KR200214665Y1 - 카메라 팬 및 틸트 드라이브 구조 - Google Patents

카메라 팬 및 틸트 드라이브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4665Y1
KR200214665Y1 KR2020000023301U KR20000023301U KR200214665Y1 KR 200214665 Y1 KR200214665 Y1 KR 200214665Y1 KR 2020000023301 U KR2020000023301 U KR 2020000023301U KR 20000023301 U KR20000023301 U KR 20000023301U KR 200214665 Y1 KR200214665 Y1 KR 20021466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camera
support base
tilt drive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33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인표
이재봉
Original Assignee
유니모테크놀로지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모테크놀로지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니모테크놀로지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000233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466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466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4665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1Support related camera access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8Means for changing the camera field of view without moving the camera body, e.g. nutating or panning of optics or image sen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 Accessories Of Cameras (AREA)

Abstract

카메라 팬 및 틸트 드라이브 구조에 관한 본 고안은, 내부공간을 가지며 상부에는 축삽입홈이 마련된 지지베이스와, 상기 축삽입홈에 지지되며 지지베이스상에서 회전가능하고 내부에는 지지프레임이 고정되어 있는 몸체와, 상기 지지프레임에 핀연결되며 카메라가 설치되는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의 하측부에 고정되는 호형기어를 갖는 카메라지지부와, 상기 호형기어에 회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를 포함하는 카메라 팬 및 틸트 드라이브에 있어서, 상기 지지베이스의 측면에는 내부에 수용된 단자를 지지베이스의 측벽을 통하여 외부로 연결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단자설치홈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베이스와 몸체의 사이에는 지지베이스에 대한 몸체의 회전각도를 제한하기 위한 회전각제어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은, 지지베이스의 측벽에 각종 단자를 설치할 수 있는 설치홈을 형성하여, 지지베이스 내부의 단자를 상기 측벽을 통하여 외부와 연결할 수 있으므로 설치 및 유지보수가 간단하다. 또한 지지베이스에 대한 몸체의 불필요한 회전을 방지하며, 호형기어의 상방향 회동각도를 제한하여 카메라의 회전 및 회동운동을 효율적으로 제어 할 수 있으며, 특히 장치가 천장면에 거꾸로 설치되더라도 카메라가 자중에 의해 몸체로부터 빠져나갈 염려가 없어 안정적인 동작을 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카메라 팬 및 틸트 드라이브 구조{Structure of pan and tilt drive of camera}
본 고안은 특히 CCTV용 카메라를 팬(pan)운동시키거나 또는 틸트(tilt)운동시키는 드라이브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팬운동 및 틸트운동에 따른 카메라의 회전각도를 제한하여 카메라의 과도한 회전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카메라 팬 및 틸트 드라이브 구조에 관한 것이다.
카메라 팬 및 틸트 드라이브(Pan and Tilt drive)는 예를 들어 감시용 카메라나 CCTV카메라를 지지한 상태로 아파트나 빌딩 또는 백화점 등의 엘레베이터 내부, 은행의 출입구나 창구 및 CD기 주변등에 감시목적으로 설치 및 사용되는 장치이다.
기본적으로 상기 드라이브는 벽면이나 선반 또는 천장면에 고정되는 지지베이스와, 상기 지지베이스상에서 회전운동하는 몸체와, 상기 몸체에 대해 상하로 회동운동하고 카메라를 지지하는 카메라지지부로 구성된다. 따라서 결국 상기 카메라지지부는 지지베이스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회전하는 팬(Pan)운동 및 수직으로 회동하는 틸트(Tilt)운동을 하며 카메라로 하여금 상하좌우의 상태를 촬영하도록 한다.
그러나 종래의 카메라 팬 및 틸트 드라이브는 카메라의 팬 및 틸트운동의 각도를 설치장소에 대응하여 적절히 조절하지 못하였다. 상기 몸체는 지지베이스상에서 모터에 의해 360도 회전이 가능한데, 감시카메라에 요구되는 팬운동각도가 보통 90도 또는 90도 이하임에 비추어 카메라의 필요없는 회전을 제한 할 필요가 있음에도 종래의 드라이브에는 몸체의 회전을 제한하기 위한 별다른 수단이 없었다.
또한 상기 카메라지지부의 틸트운동을 위해 원호형기어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원호형기어는 다른 모터에 의해 회동하는데, 상기 모터의 오작동에 의해 원호형기어가 허용각도 이상으로 상부로 회동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특히 만일 지지베이스를 천장면에 고정시킨 경우, 카메라의 자중에 의하여 원호형기어가 모터의 구동기어로부터 분리되어 몸체로부터 빠져나갈 수 도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카메라는 지지베이스내의 영상단자 및 제어단자를 통하여 외부의 감시모니터 및 콘트롤러에 연결되는데, 종래의 지지베이스에 있어서 영상단자 및 제어단자는 지지베이스의 하부커버 중앙부에 설치되어 외부의 케이블과 각 단자를 연결하기 위해서는 지지베이스의 하부 커버를 뜯어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한 것으로서, 지지베이스의 측벽에 각종단자를 설치할 수 있는 설치홈을 형성하여, 지지베이스 내부의 단자를 상기 측벽을 통하여 외부와 연결할 수 있어 설치 및 유지보수가 간단하고, 또한 지지베이스에 대한 몸체의 불필요한 회전을 방지하며 호형기어의 상방향 회동각도를 제한하여 카메라의 회전 및 회동운동을 효율적으로 제어 할 수 있는 카메라 팬 및 틸트 드라이브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팬 및 틸트 드라이브 구조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팬 및 틸트 드라이브의 조립된 모습을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팬 및 틸트 드라이브의 카메라 지지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팬 및 틸트 드라이브의 카메라지지부를 도시한 분리 절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지지베이스 12:몸체
14:커버 16:카메라지지부
18:스토퍼 20:걸림턱
22:영상단자설치홈 24:제어단자설치홈
26:스트럿 28:축삽입홈
32:내접기어 34:제 1기어
36:제 1모터 38:제 2기어
40:제 2모터 42:지지프레임
44:장착구멍 46:호형기어
48:회동축 50:카메라지지부재
52:장공 54:볼트
56:카메라 60:안전홈
62:암나사구멍 64:걸림턱
66:지지턱 68:하부커버
70:지지대 72:볼트구멍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각종 단자 및 부품을 수용하는 공간을 가지며 상부에는 수직의 축삽입홈이 마련된 지지베이스와, 상기 축삽입홈에 끼워져 지지되며 지지베이스상에서 회전가능하고 내부에는 지지프레임이 고정되어 있는 몸체와, 상기 지지프레임에 핀 연결되어 상하로 회동가능한 것으로 카메라가 설치되는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의 하측부에 고정된 호형기어를 갖는 카메라지지부와, 상기 호형기어에 회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를 포함하는 카메라 팬 및 틸트 드라이브에 있어서,
상기 지지베이스의 측면에는 내부에 수용된 단자를 지지베이스의 측벽을 관통하여 외부로 연결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단자설치홈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베이스와 몸체의 사이에는 지지베이스에 대한 몸체의 회전각도를 제한하기 위한 회전각제어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각제어수단은, 지지베이스 상부에 착탈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하나이상의 스토퍼와; 상기 몸체의 저면에 고정되는 것으로 몸체가 지지베이스 상에서 회전시 상기 스토퍼에 걸려 몸체가 정지되도록 하는 걸림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호형기어의 외주 하단부에는 몸체에 대한 호형기어의 상방향 회동을 제한하기 위해 기어의 이를 형성하지 않은 안전홈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대에는 카메라와 직접 결합하는 카메라지지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지지대로부터 카메라지지부재가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대의 일단부 내측면에는 지지턱이 형성되고, 카메라지지부재의 일단부에는 상기 지지턱의 하부에 끼워져 지지되는 걸림턱이 마련되며, 상기 지지대의 타단부 및 카메라지지부재의 타단부는 볼트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팬 및 틸트 드라이브구조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카메라 팬 및 틸트 드라이브구조는, 벽면이나 선반 또는 천장면 등에 고정되는 지지베이스(10)와, 상기 지지베이스(10)의 상부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지지프레임(42)이 고정되어 있는 몸체(12)와, 상기 지지프레임(42)에 지지되어 상하 회동하며 카메라(도 2의 56)를 지지하는 카메라지지부(16) 및 상기 몸체(12)의 상부에 설치되는 한 쌍의 커버(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지지베이스(10)는 내부에 공간을 가지며 하측부에는 하부커버(68)가 씌워진다. 상기 하부커버(68)는 하나의 플레이트로서 각종 전자부품이나 단자 등이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지지베이스(10)에 하부커버(68)가 씌워지면 상기 각종 전자부품이나 단자등은 지지베이스(10)의 내부공간에 수용된다.
종래에는 상기 하부커버(68)에 다수의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각종 케이블이 상기 관통구멍을 관통하여 지지베이스(10)의 내부와 외부를 연결하였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관통구멍이 지지베이스(10)의 측부에 형성되는 것이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브에 있어서 상기 지지베이스(10)의 일측부에는 영상단자설치홈(22) 및 제어단자설치홈(2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단자설치홈(22,24)은 지지베이스(10)의 측벽에 위치한 관통구로서, 내부의 영상단자 및 제어단자는 상기 단자설치홈(22,24)을 통하여 외부와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베이스(10)가 벽면이나 선반등에 밑면이 고정된 상태에서 영상단자와 제어단자에 각 케이블을 연결 및 분리하기 위하여 지지베이스(10)를 설치된 장소로부터 분리할 필요가 없는 것이다.
상기 지지베이스(10)의 중앙부 상부에는 축삽입홈(28)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축삽입홈(28)의 외측부에는 내접기어(32)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내접기어의 외측부에는 두 개의 스토퍼(18)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스토퍼(18)를 설치하기 위하여 내접기어(32)의 외주면에는 다수의 스트럿(strut)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스토퍼(18)는 임의의 스트럿(26)에 끼워져 위치하는 것이다. 상기 스토퍼(18)는 스트럿(26)에 대해 분리 및 장착이 가능하여 다른 스트럿으로 이동시킬 수 있어 스토퍼(18)간의 사이각은 요구조건에 대응하여 얼마든지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지지베이스(10)의 상부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몸체(12)의 저면에는 걸림턱(2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림턱(20)은 몸체(12)의 저면에서 하부로 돌출된 돌기로서 지지베이스(10)에 대해 몸체(12)가 회전할 때 스토퍼(18)에 걸리는 부위이다. 결국 지지베이스(10)에 대한 몸체(12)의 회전각도는 상기 스토퍼(18)가 이루는 사이각에 의해 결정되며 상기 스토퍼(18)의 위치를 조절하여 카메라의 회전각도를 제한 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몸체(12)의 내부에는 수직으로 설치되며 내접기어(32)와 치합하는 제 1기어(34)를 구동하는 제 1모터(36)가 설치되어 있다. 종래에는 상기 제 1모터(36)의 구동을 제어하여 몸체(12)의 회전각도를 제어하였지만 모터만으로 회전각도를 정확히 제한하기 위해서는 장치가 복잡해지고 그에 따라 장치의 무게가 무거웠다.
상기 몸체(12)내에 형성되어 있는 지지프레임(42)에는 제 2모터(40)가 고정설치되어 있고 또한 카메라지지부(16)가 회동가능하도록 지지된다. 상기 카메라지지부(16)는 카메라를 지지하는 지지대(70)와 상기 지지대(70)의 하측부에 고정되어 제 2모터(40)의 구동력을 전달받는 호형기어(4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카메라지지부(16)의 회동축(48)은 장착구멍(44)을 관통하는 핀(미도시)에 의해 지지프레임(42)에 설치된다.
상기 호형기어(46)를 상하로 회동시키는 제 2모터(40)의 구동축에는 제 2기어(38)가 고정된다. 상기 제 2기어(38)는 호형기어(46)와 치합을 이루며 제 2모터(40)의 구동에 따라 카메라지지부(16)를 상하로 회동시키는 것이다.
한편, 상기 호형기어(46)의 외주면 하측부에는 안전홈(6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안전홈(60)은 호형기어(46)에 있어서 기어이(tooth)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부위로서, 호형기어(46)와 제 2기어(38)의 치합을 해제하여 호형기어(46)가 상부로 완전히 회동하여 제 2기어(38)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도면부호 14는 몸체(12)를 덮어씌우는 커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팬 및 틸트 드라이브의 일측면의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팬 및 틸트 드라이브 구조에 있어서, 지지베이스(10)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영상단자설치홈(22) 및 제어단자설치홈(24)에는 영상단자와 제어단자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외부의 감시 모니터나 콘트롤러(미도시)에 연결되어 있는 케이블은 상기 설치홈(22,24)을 통하여 드라이브 내부와 연결된다.
또한 상기 지지베이스(10)의 상측부에는 두 개의 스토퍼(18)가 구비되며, 몸체(12)의 저면에는 걸림턱(20)이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걸림턱(20)은 몸체(12)가 화살표 a 또는 b방향으로 회전할 때 스토퍼(18)에 걸려 몸체(12)의 회전을 제한하도록 마련한 것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팬 및 틸트 드라이브의 카메라 지지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호형기어(46)와 치합하는 제 2기어(38)의 회전에 의해 지지대(70)가 화살표 c방향으로 회동함에 있어서, 지지대(70)가 최대각도로 상승한 순간 제 2기어(38)는 안전홈(60)내부로 삽입되어 더 이상의 상승은 이루어지지 않는다. 상기 안전홈(60)은 호형기어(46)의 외주면에 형성한 홈으로서 기어이가 형성되어 있지 않으므로 제 2기어(38)는 안전홈(60)내에서 공회전하며 지지대(70)의 상승을 멈춘다.
따라서 제 2모터(도 1의 40)의 오작동에 의해 제 2기어(38)가 계속적으로 회전하더라도 제 2기어(38)는 호형기어(46)의 외주면에서 벋어나지 않을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 2기어(38)의 회전운동을 반대로 하면 호형기어(46)는 제 2기어(38)와 다시 치합하며 지지대(70)는 반대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팬 및 틸트 드라이브의 카메라지지부를 도시한 분리 절제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지지대(70)에는 카메라지지부재(50)가 볼트(54)에 의해 고정설치됨을 알 수 있다. 상기 카메라지지부재(50)는 카메라와 직접 연결되는 부재로서 중앙부에 카메라의 설치를 위한 장공(5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대(70)의 일단부 내측에는 지지턱(66)이 형성되어 있으며 반대측인 타단부에는 볼트구멍(7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지지부재(50)의 일단부에는 상기 지지턱(66)의 하부에 끼워져 위로 빠지지 않도록 걸리는 걸림턱(64)이 형성되어 있으며, 타단부에는 암나사구멍(6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암나사구멍(62)은 암나사가 형성되어 있는 구멍으로서 볼트구멍(72)을 통과하여 삽입된 볼트(54)에 나사결합한다.
결국 상기 카메라지지부재(50)의 양단부는 지지턱(66) 및 볼트(54)에 의해 견고히 결합되어 카메라지지부재(50)가 지지대(70)로부터 분리되지 않고 견고히 결합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카메라의 팬운동의 회전각도가 스토퍼(18) 및 걸림턱(20)에 의해 제한되며, 또한 카메라지지부(16)의 승강운동도 일정각도 이상으로 회동하지 못하도록 구성되어, 드라이브자체를 거꾸로 설치하더라도 안정된 촬영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은, 지지베이스의 측벽에 각종 단자를 설치할 수 있는 설치홈을 형성하여, 지지베이스 내부의 단자를 상기 측벽을 통하여 외부와 연결할 수 있으므로 설치 및 유지보수가 간단하다. 또한 지지베이스에 대한 몸체의 불필요한 회전을 방지하며, 호형기어의 상방향 회동각도를 제한하여 카메라의 회전 및 회동운동을 효율적으로 제어 할 수 있으며, 특히 장치가 천장면에 거꾸로 설치되더라도 카메라가 자중에 의해 몸체로부터 빠져나갈 염려가 없어 안정적인 동작을 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각종 단자 및 부품을 수용하는 공간을 가지며 상부에는 수직의 축삽입홈이 마련된 지지베이스와, 상기 축삽입홈에 끼워져 지지되며 지지베이스상에서 회전가능하고 내부에는 지지프레임이 고정되어 있는 몸체와, 상기 지지프레임에 핀 연결되어 상하로 회동가능한 것으로 카메라가 설치되는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의 하측부에 고정된 호형기어를 갖는 카메라지지부와, 상기 호형기어에 회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를 포함하는 카메라 팬 및 틸트 드라이브에 있어서,
    상기 지지베이스의 측면에는 내부에 수용된 단자를 지지베이스의 측벽을 관통하여 외부로 연결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단자설치홈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베이스와 몸체의 사이에는 지지베이스에 대한 몸체의 회전각도를 제한하기 위한 회전각제어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팬 및 틸트 드라이브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각제어수단은, 지지베이스 상부에 착탈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하나이상의 스토퍼와;
    상기 몸체의 저면에 고정되는 것으로 몸체가 지지베이스 상에서 회전시 상기 스토퍼에 걸려 몸체가 정지되도록 하는 걸림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팬 및 틸트 드라이브 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호형기어의 외주 하단부에는 몸체에 대한 호형기어의 상방향 회동을 제한하기 위해 기어의 이를 형성하지 않은 안전홈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팬 및 틸트 드라이브 구조.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에는 카메라와 직접 결합하는 카메라지지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지지대로부터 카메라지지부재가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대의 일단부 내측면에는 지지턱이 형성되고, 카메라지지부재의 일단부에는 상기 지지턱의 하부에 끼워져 지지되는 걸림턱이 마련되며, 상기 지지대의 타단부 및 카메라지지부재의 타단부는 볼트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팬 및 틸트 드라이브 구조.
KR2020000023301U 2000-08-17 2000-08-17 카메라 팬 및 틸트 드라이브 구조 KR20021466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3301U KR200214665Y1 (ko) 2000-08-17 2000-08-17 카메라 팬 및 틸트 드라이브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3301U KR200214665Y1 (ko) 2000-08-17 2000-08-17 카메라 팬 및 틸트 드라이브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4665Y1 true KR200214665Y1 (ko) 2001-02-15

Family

ID=730573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3301U KR200214665Y1 (ko) 2000-08-17 2000-08-17 카메라 팬 및 틸트 드라이브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466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49451A (zh) * 2018-03-28 2018-08-24 江苏赛博宇华科技有限公司 一种可旋转手机摄像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49451A (zh) * 2018-03-28 2018-08-24 江苏赛博宇华科技有限公司 一种可旋转手机摄像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27257A (en) Pan and tilt unit
KR101082808B1 (ko) 촬상 장치
KR20210022973A (ko) 멀티 카메라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촬영 시스템
EP2192444A1 (en) Camera having a slip ring and pan-tilt mechanism
US20080008467A1 (en) Omni-directional surveillance network video camera
US7101095B2 (en) Rotation type camera apparatus
DE102007008845A1 (de) Bildgebende Vorrichtung
EP1378707B1 (en) Camera rotation device
EP3562140A2 (en) Two axis pan tilt camera system configured to maintain a level image when wall or ceiling mounted
KR100835352B1 (ko) 카메라 팬 틸트 장치
JP2000029134A5 (ko)
KR101184727B1 (ko) 화재진압용 소방로봇의 팬틸트 장치
KR200214665Y1 (ko) 카메라 팬 및 틸트 드라이브 구조
EP3396939B1 (en) Camera housing and camera mount arrangement
KR20060123840A (ko) 감시 카메라
KR100558021B1 (ko) 팬/틸트 돔형 카메라
KR100593059B1 (ko) 디스플레이 패널 장치의 승강 구조
KR100738707B1 (ko) 영상기기의 스위블 스탠드
EP1078342B1 (en) Surveillance camera housing with mounting unit
JP2003302695A (ja) 監視用カメラの支持機構
KR200326661Y1 (ko) 카메라의 팬/틸트 구동메카니즘
KR200320712Y1 (ko) 팬틸트카메라
US7283155B1 (en) Camera actuator system
KR200352613Y1 (ko) 팬/틸트 돔형 카메라
KR20080006658A (ko) 카메라용 크레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10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