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4443Y1 - 핸즈프리 방향조절 구조 - Google Patents

핸즈프리 방향조절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4443Y1
KR200214443Y1 KR2019980023672U KR19980023672U KR200214443Y1 KR 200214443 Y1 KR200214443 Y1 KR 200214443Y1 KR 2019980023672 U KR2019980023672 U KR 2019980023672U KR 19980023672 U KR19980023672 U KR 19980023672U KR 200214443 Y1 KR200214443 Y1 KR 20021444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s
free
speaker
call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36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8286U (ko
Inventor
김광호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주식회사웨스텍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주식회사웨스텍코리아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20199800236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4443Y1/ko
Publication of KR1999000828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828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444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4443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핸즈프리에 관한 것으로, 핸즈프리의 방향전환을 용이하게 형성하여 통화자의 음질이 양호한 상태로 전달하기 위한 핸즈프리 구조에 관한 것이다.
핸즈프리는 운전중인 차안에서 통화를 용이하게 하여 운전의 안전을 도모하기 위한 것이나, 운전 중인 차안에서는 소음이 많이 발생하여 양질의 통화에 어려운 점이 있다. 본 고안에서는 이 점을 고려하여 운전 중인 차안에서 통화자의 통화 각도와 핸즈프리 스피커 각도가 같도록 임의 조정이 가능하게 구성한 방향조절 핸즈프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핸즈프리 방향조절 구조
본 고안은 핸즈프리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핸즈프리의 방향을 임의 조정을 가능하게하여 통화자의 통화량 과 통화자세를 양호하게 할 수 있는 방향조절이 가능한 핸즈프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핸즈프리는 스피커의 위치가 고정되어 차 안에서 전화 통화시 최적의 통화 환경으로 조정하기 어렵게 구성되어 있으며, 그 기능상으로 즉 스피커의 방향설정이 운전자 만의 전화 통화가 가장 용이하도록 형성된 것이 사실이다. 그렇다 하더라도 운전자가 운전을 하면서 최선의 통화 자세가 형성되기 어려운 위치에 있으며, 뒷 자석의 동승자는 통화에 더욱 어려운 점이 있는 것을 지적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본 고안이 안출된 것으로, 핸즈프리는 전원의 연결부와 스피커부 그리고 전화기와 연결하는 잭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종래의 일체로 형성된 핸즈프리의 구조에서 전원에 결합되는 연결부와 스피커부를 별개로 형성하여 결합하되 상기 스피커부가 일정한 각도로 굴절이 가능하도록 구성하고 통화자의 통화가 편리한 방향으로 임의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데 본 고안의 목적이 있다. 또한 핸즈프리 굴절부에서 스피커부가 양호한 통화 각도로 회전하기 위해서, 즉 후방의 통화를 양호하게 하기 위해서 같은 방향의 궤도로 회전하는 것이 아니라 스피커부의 입체적 궤도를 구성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해서 스피커부의 후면을 볼록하게 곡면으로 형성하고 상기 곡면과 결합하는 연결부의 결합 부분을 오목한 곡면으로 형성하여 스피커부와 연결부가 결합하여 굴절부에서 스피커부가 상기 곡면에 따라 횐전하게 하므로서 스피커의 방향은 다 각도의 방향을 형성하는 것이다.
제 1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
제 2도는 본 고안의 결합도.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1 : 스피커부 12 : 굴절부
13 : 연결부 14 : 곡면(a,b)
15 : 턱부(a,b) 16 : 고정축
이하 첨부된 도면과 실시예를 참고하여 본 고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고안은 전원과 연결되는 연결부(13)와 스피커부(11)에 형성되는 굴절부(12)와 통화가 가능한 마이크부(11)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상태를 도시하고자 한 것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결합구조를 도시하고자 한 것이다.
스피커부(11) 후면은 곡면(14a)으로 볼록하게 형성되고 곡면(14a)의 가장자리 어느 일 지점에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고정축(15)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축(15)의 일단은 스피커부(11)에 고정되며 다른 일단에 턱부(16a)가 일정한 높이로 형성된다. 상기 고정축(15)에 연결부(13)가 2개의 부분으로 구성되어 결합하도록 형성되며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스피커부(11)와 결합되는 연결부(13)의 일단은 오목한 곡면(14b)으로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13) 일단의 내부에 상기 고정축(15)에 지지되며 회동할 수 있도록 턱부(16b)가 형성된다.
실시예로, 연결부(13)와 스피커부(11)를 결합할 때 연결부(13)의 턱부(16b)는 고정축(15)의 턱부(16a)의 안측으로 결합되도록 한다. 상기 연결부(13)는 2개의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각기 한 부분씩 고정축(15)과 결합하고 연결부(13)를 완성하면 상기 연결부(13)는 고정축(15)의 턱부(16a)의 간섭에 의해 스피커부(11)에서 이탈되지 않고 굴절만 되도록 굴절부(12)를 형성한다.
핸즈프리의 연결부(13)를 전원에 삽입하고 스피커부(11)가 정상의 위치에 있을 때 탑승자의 통화시 통화 방향과 스피커(11)의 방향이 같아야 양질의 통화가 가능한 것이다. 운전자의 통화시 운전자는 스피커(11)의 오른쪽에 있으므로 그 통화의 좋은 방법은 스피커(11)를 운전자측으로 방향을 전환하는 것이다. 차안에서 통화가 가능한 방향은 3개의 방향이 되므로 스피커(11)의 방향 전환은 최소한 3 방향으로 전환이 가능해야한다. 본 고안의 핸즈프리는 스피커부(11)와 연결부(13)의 굴절부(12)가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곡면(14a,14b)을 경계로 결합하고 연결부(13)를 전원에 고정하여 스피커(11)를 전환시키면 상기 스피커부(11)는 굴절되면서 전환되므로 운전자 방향, 뒷 자석 방향, 운전자의 동승자 방향으로의 전환이 임의 가능해 진다.
본 고안에 의한 핸즈프리는 그 용도상 차 내에서 주로 이용하는 것이므로 종래의 핸즈프리에 비교하여 스피커의 방향과 통화자의 소리방향이 거의 같아지므로 소음이 배제되는 양질의 통화가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전원과 결합하는 연결부(13)와 통화가 가능한 스피커부(11)로 형성된 핸즈프리에 있어서, 볼록한 스피커부(11) 곡면(14a)에 일단이 고정되고 다른 일단은 턱부(16a)를 형성한 고정축(15)과 일단이 오목한 곡면(14b)에 일단이 고정되고 다른 일단은 턱부(16a)를 형성한 고정축(15)과 일단이 오목한 곡면(14b)으로 형성된 연결부(13)가 결합할 수 있도록 연결부(18) 내부에 형성된 턱부(16b)로 구성되어 스피커부(11)의 회전시 연결부(13)와 탈리되지 않는 구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조절 핸즈프리 구조.
KR2019980023672U 1998-11-30 1998-11-30 핸즈프리 방향조절 구조 KR20021444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3672U KR200214443Y1 (ko) 1998-11-30 1998-11-30 핸즈프리 방향조절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3672U KR200214443Y1 (ko) 1998-11-30 1998-11-30 핸즈프리 방향조절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8286U KR19990008286U (ko) 1999-02-25
KR200214443Y1 true KR200214443Y1 (ko) 2001-03-02

Family

ID=695096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3672U KR200214443Y1 (ko) 1998-11-30 1998-11-30 핸즈프리 방향조절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4443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9071B1 (ko) * 2002-08-27 2005-05-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핸즈프리 마이크 위치 조절장치
KR100471855B1 (ko) * 2002-09-13 2005-03-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핸즈프리시스템의 성능향상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8286U (ko) 1999-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19196B2 (en) Headset
USD439890S1 (en) Communications headset
CA2322283A1 (en) Optical switch for headset
US6751331B2 (en) Communication headset
EP1777985A1 (en) Headphone with improved earpiece suspension
CN109068221B (zh) 一种蓝牙耳机的降噪方法
USD449289S1 (en) Headset
KR200214443Y1 (ko) 핸즈프리 방향조절 구조
US20040190745A1 (en) Adjustable earpiece
CN209159580U (zh) 用于汽车座椅头枕的语音装置
KR100520225B1 (ko) 선꼬임 방지 기능을 갖는 차량용 회전 거치대
CA2434025A1 (en) Outboard motor
CN110843628B (zh) 用于汽车座椅的可调式扬声装置
CN208827667U (zh) 用于车辆座椅的可调式扬声装置
KR0126073B1 (ko) 가변적인 방향특성을 갖는 자동차의 스피커 장착구조
JPH074988Y2 (ja) ハンドフリー自動車電話の取付構造
KR200189135Y1 (ko) 마이크가 구비된 이어폰
CN110856054B (zh) 可调式车用扬声装置
CN111031455A (zh) 用于汽车座椅头枕的可调式扬声系统
KR200210278Y1 (ko) 자동차용 휴대폰 접속 지지장치
KR200258190Y1 (ko) 헤드레스트 부착형 핸즈프리
KR200302706Y1 (ko) 이어폰 내장형 선그라스
KR200141909Y1 (ko) 각도조정이 가능한 자동차용 스피커
KR200232798Y1 (ko) 자동차용 휴대폰 거치대 지지장치
KR200253273Y1 (ko) 차량용 휴대폰 홀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20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