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3516Y1 - 선별기의 인입롤러 - Google Patents

선별기의 인입롤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3516Y1
KR200213516Y1 KR2019980022689U KR19980022689U KR200213516Y1 KR 200213516 Y1 KR200213516 Y1 KR 200213516Y1 KR 2019980022689 U KR2019980022689 U KR 2019980022689U KR 19980022689 U KR19980022689 U KR 19980022689U KR 200213516 Y1 KR200213516 Y1 KR 20021351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gear
waste vinyl
inlet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26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0421U (ko
Inventor
장무호
Original Assignee
장무호
덕우기계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무호, 덕우기계주식회사 filed Critical 장무호
Priority to KR20199800226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3516Y1/ko
Publication of KR2000001042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042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351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3516Y1/ko

Links

Landscapes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폐비닐을 선별기에 일정한 속도로 공급하여 폐비닐의 파쇄효율의 상승에 따른 폐비닐 선별효과를 높이는 인입롤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인입롤러는 표면이 쇠를 가공하여 홈을 형성하거나 고무판을 씌워서된 것으로 무겁고, 표면 가공이 힘들거나 표면이 약한 단점이 있고, 또 동력전달이 벨트나 체인에 의해 전달되기 때문에 동력의 손실 및 상하부롤러의 회전속도의 불균일에 의해 폐비닐을 일정한 속도로 인입시키지 못하여 내부에 회전되는 파쇄드럼이 인집되는 폐비닐을 잘게 절단시키지 못하여 폐비닐 선별효과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인입롤러(20)를 구동시키는 별도의 구동모터(30)를 구비하고, 인입롤러(20)의 표면에 우레탄(221)을 코팅하고, 상부롤러(21a)의 축(22a)을 폐비닐의 양에 따라 상하로 유동이 가능하도록 프레임(16)에 상하로 절결된 절결구멍에 축착시키고, 축(22a)의 상단과 절결구멍의 사이에 상승되는 축(22a)을 복원시키는 탄력수단을 설치하며, 하부롤러(21b)의 축(22b) 일단이 구동모터(30)와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받고 타단은 상부롤러(21a)와 유동시에도 동력이 전달가능한 기어수단으로 동력을 전달하도록 하여 파쇄효과의 상승에 따른 페비닐 선별효과가 향상되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선별기의 인입롤러
본 고안은 폐비닐을 재생하기 위해 잘게 파쇄하여 재활용할 수 있는 폐비닐을 선별하는 선별기의 인입롤러에 관한 것으로, 특히 폐비닐을 선별기에 일정한 속도로 공급하여 파쇄효율을 높임으로서 폐비닐의 선별효과를 높이는 인입롤러에 관한 것이다.
비닐은 성형성 및 밀폐성 등의 장점이 있어 주로 각종 식품을 포장하는 포장지나 농가의 비닐하우스 등으로 사용된다. 이러한 비닐은 일상생활에 상당한 편리성을 주고 또 농가에서는 농작물의 생산성을 높여 고소득을 올릴 수 있게 해 주는 반면 잘썩지 않는 단점이 있어 환경오염을 일으키는 주범이 되기도 하다.
특히, 농촌에서는 비닐하우스와 같이 농작물의 생산에 사용하던 비닐은 일정기간이 되면 교환해주게 되는데, 교체된 폐비닐은 환경오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모두 수거하여 재활용 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막상 비닐을 걷어 재생장치로 재활용하려고 해도 종래의 장치로는 비닐에 섞여있는 이물질 및 오물을 제대로 분리시키지 못하여 재생비닐제품의 질이 떨어지고 그 작업이 번거로워 폐비닐의 재생 비용이 많이 부담되었다. 이 때문에 재생사업이 활성화되지 못하게 됨으로 비닐 수거가 어렵거나 실제 많은 비용을 들여 비닐을 수거를 하여도 이를 미처 처리하지 못하여 개인적으로 소각하거나 그대로 방치하여 환경오염을 가중시키게 되는 결과를 낳았다.
그러나 근래에는 환경오염의 심각성이 부각되어 비닐의 재생사업을 활성화시키려는 노력들이 일고 있으며, 그 일환으로 선별기를 개발하여 폐비닐에 섞여 있는 오물 및 이물질들을 효과적으로 분리시킴과 동시에 비닐을 잘게 파쇄하여 선별효율을 높임으로 재생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이러한 선별기는 실용신안공보 공고번호 91-3345 및 93-6956에 이미 소개된 바있다.
공고번호 91-3345에 소개된 선별기는, 외주면에 다수의 칼날이 부착된 파쇄드럼의 전방에 인입롤러가 설치되어 있고, 파쇄드럼 저부에 다수의 오물배출공이 형성된 커버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커버의 하부는 집진기와 연통되어 흡입모터를 통해 오물이 집진기로 흡입되도록 되어 있다. 특히 인입롤러는 서로 대응되는 요철이 형성되어 있고, 체인으로 동력이 전달되도록 되어 있으며, 체인의 일측에 탄력유지장치가 설치되어 있어 비닐의 통과량에 따라 상하로 승하강 작동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인입롤러가 비닐을 공급시키면 이를 파쇄드럼이 파쇄하면서 파쇄된 비닐은 칼날에 걸려 회전되다가 원심력에 의해 폐비닐 수집통으로 이송된다. 폐비닐에 섞여 있는 오물은 커버의 오물배출구멍을 통해 배출된다. 이때, 흡입모터의 작동에 의해 오물배출구멍을 통과한 오물은 집진기로 배출된다.
또한, 공고번호 93-6956호는 전방에 인입롤러가 배치되어 있고, 그 후측에 크기가 다른 2개의 파쇄드럼을 구성하였고, 전동식 고무인입롤과 제1파쇄드럼 사이에는 고정칼날이 고정되어 있고, 그리고 오물을 걸러내는 망을 판구조가 아니라 스크린구조로 하였고, 오물을 효과적으로 배출시키기 위해 스크루피터 및 오물제거용 안내판을 설치하였으며, 송풍팬을 통해 공기를 불어주어 오물과 폐비닐을 구분함과 동시에 가벼운 폐비닐들을 폐비닐 수집통으로 보내지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로된 선별기에 있어서 파쇄드럼의 성능에 따라 폐비닐의 파쇄효과가 결정되기도 하지만 인입롤러의 기능에 의해서도 결정된다. 즉, 인입롤러에 의해 폐비닐이 공급되면 파쇄드럼이 회전되면서 칼날로 공급되는 칼날을 내리쳐 절단하게 되는데, 이때 칼날의 회전력이 폐비닐을 칼날이 회전되는 방향으로 끌어내리게 된다. 이럴때 폐비닐이 칼날의 회전방향으로 쉽게 끌려가게 되면 폐비닐이 파쇄되지 않는 현상이 발생하여 폐비닐의 파쇄효과가 떨어지게 되므로 인입롤러가 폐비닐을 일정한 속도로 인입시켜야만 파쇄효과를 높일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구조로 작동되는 종래의 인입롤러 구조를 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공고번호 91-3345에 소개된 선별기의 상하부 인입롤러는 표면이 금속으로 되어 있고, 표면을 깍아 요철부를 형성하여 상하부 인입롤러의 요철부가 서로 맞물리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공고번호 93-6956호는 상하부 인입롤러의 표면에 고무로된 판이 씌워져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상술한 두개의 롤러를 구동시키는 구조는 파쇄드럼을 회전시키는 모터가 벨트와 풀리를 통해 하부롤러를 회전시키고, 하부롤러는 체인을 통해 상부롤러를 회전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때 상부롤러는 별도의 스프로킷을 통해 동력을 전달받기 때문에 하부롤러와 상부롤러의 회전방향은 반대방향이다. 또한 상부롤러는 상하로 회동되도록 되어 있으며, 체인에는 스프링장치가 설치되어 있어 스프링장치의 신축에 의해 체인의 장력을 조절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공고번호 91-3345호의 인입롤러는 금속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돌이나 금속등 폐비닐에 섞여있는 이물질에 의해 롤러의 표면이 손상될 염려가 없는 장점은 있으나 롤러의 표면에 요철부를 형성하기 위해 롤러의 표면을 깎아야 하기 때문에 요철부의 가공이 힘들고, 또 롤러를 이루는 판을 두꺼운 것으로 해야하므로 중량이 필요이상으로 무거워지는 단점이 있었다.
또 요철부에 흙이 끼면 마찰력이 떨어지게 되므로 폐비닐을 제대로 이송시키지 못할 뿐아니라 폐비닐이 파쇄드럼에 의해 쉽게 끌려들어가 파쇄효율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폐비닐의 공급량에 따라 상부인입롤러가 상하로 유동될 때 동력을 전달하는 체인이 스프링장치의 신축에 의해 장력이 조절되기 때문에 폐비닐의 공급량이 많아 부하가 클 경우에는 체인이 스프로킷을 타고 넘어가 회전력을 전달하지 못하므로 폐비닐을 원활하게 인입시키지 못한다. 또한 상하부인입롤러의 회전력이 달라 상하부인입롤러의 요철부가 맞물리지 않아 마찰력이 떨어지게 되므로 파쇄롤러가 비닐을 칼날로 파쇄시킬 때 그 힘에 의해 비닐이 파쇄되지 않고 쉽게 딸려들어가게 되는 현상이 발생되어 파쇄효과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한편, 공고번호 93-6956호의 인입롤러의 경우에는 요철부 대신 고무재로된 판을 롤러의 표면에 부착시켜 롤러의 무게를 줄이고 가공성을 향상시켰으나 고무재로된 판의 일부가 돌이나 금속같은 이물질에 의해 일부분이 파손되면 판의 결방향으로 찢어지는 현상이 발생하여 이를 자주 교체해 주어야만 하는 폐단이 있다.
또한 상부인입롤러가 전자의 인입롤러와 마찬가지로 하부 인입롤러로부터 체인을 통해 동력을 전달받기 때문에 폐비닐의 통과량이 많아 큰 부하가 걸렸을 때 상부롤러가 잘 회전되지 못하게 되면 체인이 스프로킷을 타고 넘어가 동력이 전달되지 않으므로 폐비닐의 이송이 원활치 못함과 동시에 스프로킷을 넘어가는 체인이 튀어 소음이 발생하는 폐단이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인입롤러의 단점에 의해 폐비닐을 파쇄시키지 못한 폐비닐이 파쇄드럼에 감기면 파쇄드럼의 파쇄효율을 떨어뜨림과 동시에 선별기의 고장의 원인이 되기 때문에 이를 제거해주어야 하므로 작업효율이 떨어지는 폐단이 있다.
또한 벨트와 체인을 통하여 하나의 모터로 인입롤러와 파쇄드럼을 구동시키므로 구동중에 폐비닐의 인입량을 조절하기 위해 인입롤러의 회전을 정,역회전시켜야 할 때 모든 장치가 정역회전해야하는데, 고속회전이 파쇄드럼이 순간적으로 정지하여 다시 역회전한다는 것은 풀리와 벨트로 동력을 전달하는 구조에서는 불가능한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폐단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인입롤러를 구동하는 별도의 모터로 동력을 전달받아 인입롤러의 속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고, 또 동력을 체인으로 공급하므로써 동력손실을 방지하며, 인입롤러로 공급되는 폐비닐의 양에 따라 상부인입롤러가 유동되더라도 그 회전속도에는 전혀 변함이 없도록 동력을 기어로 전달하여 비닐 공급량의 대소에 관계없이 항상 일정한 속도로 파쇄드럼으로 공급시킴과 동시에 인입롤러의 표면을 우레탄으로 형성하여 마찰력을 높이므로 폐비닐의 공급속도를 일정하게 하므로써 파쇄효과를 높이는 선별기의 인입롤러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선별기의 구조를 나타낸 측면도,
도 2은 본 고안에 따른 선별기의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선별기의 구조를 나타낸 정면도,
도 4a는 본 고안에 따른 선별기의 인입롤러 동력전달장치를 정면에서 본 구조도,
도 4b는 본 고안에 따른 선별기의 인입롤러의 동력전달장치 측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컨베이어 12a,12b - 파쇄드럼
13 - 칼날 16 - 프레임
20 - 인입롤러 21a,21b - 상,하부롤러
22a,22b - 상,하부롤러축 221 - 우레탄
23 - 스프로킷 25 - 체인
26,27 - 제1,제2기어 28a,28b - 제3,제4아이들기어
29a,29b,29c - 제1,제2,제3아암 30 - 구동모터
31 - 스프링장치 32 - 가압봉
33 - 스프링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인입롤러는 선별기의 입구부에 설치되어 폐비닐을 내부의 파쇄드럼으로 인입시키는 상하부 인입롤러에 있어서, 상기 인입롤러를 구동시키는 구동모터를 구비하고, 상기 상하부 인입롤러를 프레임에 상하 근접 배치되게 축착시키되 상기 상부롤러는 표면에 우레탄을 피복시킴과 동시에 인입되는 폐비닐의 양에 따라 상하로 유동이 가능하도록 프레임에 상하로 절결된 절결구멍에 축착시키고, 축의 상단과 절결구멍의 사이에 상승되는 축을 복원시키는 탄성수단을 설치하며, 상기 하부 롤러의 축 일단이 구동모터와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받고 타단은 상부롤러와 유동시에도 동력이 전달가능한 기어수단으로 동력을 전달하여 달성된다.
이하, 본 고안의 구체적인 구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선별기의 구조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2은 본 고안에 따른 선별기의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선별기의 구조를 나타낸 정면도로서, 참조번호 12a,12b는 외주면에 다수의 칼날(13)을 구비하여 인입되는 폐비닐을 파쇄하는 파쇄드럼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선별기의 전방에는 비닐을 이송공급하는 컨베이어가 설치되어 있고, 입구부에는 컨베이어(10)로 공급되는 비닐을 내부로 인입시키는 인입롤러(20)가 설치되어 있다. 이 인입롤러(20)는 상하로 접면되는 두개의 롤러가 한조가 되어 전후로 두쌍이 설치되어 있데, 한 조를 이루는 상하부롤러(21a)(21b)의 축(22a)(22b)은 양측에 본체로부터 수직으로 설치된 프레임(16)에 축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하부롤러(21a)(21b)의 표면은 단단하면서도 신축 탄력성 및 마찰력이 양호한 우레탄(221)이 코팅되어 있다.[도 4 참조] 또 상부입롤러의 축(22a)이 축착된 프레임(16)은 상하로 절결되어 있고 이에 상부롤러의 축(22a) 양단이 삽입되어 있으며, 절결구멍의 상단과 상부롤러(21a)의 축(22a)사이에는 상승되는 상부롤러(21a)를 복원시키는 스프링장치(31)가 설치되어 있다. 이 스프링장치(31)는 프레임(16)에 지지되어 상하유동가능한 가압봉(32)의 외주에 스프링(33)이 설치되어 있어 스프링(33)의 탄성력이 수직방향으로 작용하여 가압봉(32)이 상부롤러 축(22a)의 상부를 가압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상부에 설치된 롤러은 인입되는 비닐의 두께 및 양에 따라 상하로 유동되면서 회전한다.
그리고 하부롤러 축(21b)의 일측단에는 인입롤러(20) 전용 구동모터(30)와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받는다. 즉, 하부롤러 축(21b)의 일측단부에는 스프로킷(23)이 설치되어 있고, 구동모터(30)의 회전축에도 스프로킷이 설치되어 있으며, 두 스프로킷의 사이에는 체인(25)으로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받는다. 이때 구동모터(30)는 인입롤러 두쌍이 저속회전하므로 저속에서 충분한 토크를 낼 수 있는 기어모터를 사용함과 동시에 인입량을 조절할 수 있게 정,역회전을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 4a, 4b에서와 같이 구동모터(30)와 연결된 하부롤러(21b)의 축(22b) 반대쪽 단부에는 제1기어(26)가 설치되고, 제1기어(26)가 설치되는 쪽 상부롤러의 축(22a) 단에는 제1기어(26)와 동일한 크기의 제2기어(27)가 설치된다. 또 제1기어(26)와 제2기어(27)의 사이에는 동력을 전달하는 제3,제4아이들기어(28a)(28b)가 설치되며, 제1기어 (26)및 이와 맞물리는 제3아이들기어(28a) 또한 제2기어(27)와 맞물리는 제4아이들기어(28b)는 각각 제1,제2아암(29a)(29b)에 의해 연결되어 상항 맞물린 상태로 회전한다. 이와 동시에 제3아이들기어(28a)와 제4아이들기어(28b)의 사이에는 회동이 자유로운 제3아암(29c)으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부롤러(21a)가 상하로 이동하면서도 항상 회전력은 전달되며, 동일한 크기의 기어를 통해 회전력이 전달되므로 상하부 인입롤러(20)는 항상 같은 회전수로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로 되어 있는 본 고안의 작동관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밭에서 농작물을 재배하기 위해 사용했던 비닐들을 수거하고 이들을 컨베이어(10)에 올려놓게 되면 컨베이어(10)는 비닐을 인입롤러(20)로 공급한다. 인입롤러(20)는 하부롤러(21b)의 축(22b)단에 연결된 구동모터(30)로부터 체인(25)을 통해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며, 그 회전력은 타측단부에 설치된 제1기어(26)로 전달된다. 제1기어(26)는 제3,제4아이들기어(28a)(28b) 및 제2기어(27)로 동력을 전달한다. 이때 제3,제4아이들기어(28a)(28b)를 통해 상부롤러(21a)의 축(22a)단에 설치된 제2기어(26)로 동력을 전달하기 때문에 제2기어(26) 및 상부롤러(21a)는 하부롤러(21b)와 서로 반대로 회전한다. 즉, 상부롤러(21a)와 하부롤러(21b)의 접면부에서 볼때 상,하부롤러(21a)(21b)는 외측에서 내측방으로 회전한다. 이와 같이 인입롤러(20)가 회전하면서 그 사이로 통과되는 폐비닐을 상부롤러(21a)의 하중과 스프링장치(31)의 탄성력을 받으면서 통과된다. 그러나 공급되는 비닐의 양은 불규칙하고 또 내부에 섞여있는 이물질에 의해 그 두께가 다를 수가 있다. 만약 폐비닐의 양이 많을 경우에는 상부롤러(21a)는 상승하게 되는데, 이때 제1,제2기어(26)(27) 및 제3,제4아이들기어(28a)(28b)는 맞물려있지만 제1기어(26)와 제3아이들기어(28a) 및 제3기어(28a)와 제4아이들기어(28b) 그리고 제4아이들기어(28b)와 제2기어(27)의 사이에는 각 기어의 회전이 자유롭도록 연결된 제1,제2아암(29a)(29b) 및 제3아암(29c)에 의해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하부롤러(21a)(21b)의 간격이 멀어진 만큼 제1∼제3아암(29a)(29b)(29c)이 회동하면서 제1∼제4아이들기어(26)(27)(28a)(28b)가 맞물린 상태를 유지하므로 동력을 전달하게 된다.
또한, 폐비닐의 통과량에 따라 상부롤러(21a)의 축(22a)이 프레임(16)의 절결구멍의 상부로 상승하게 되므로 하부롤러(21b)와 상부롤러(21a)가 멀어지면 멀어진 만큼 스프링장치(31)는 비닐을 좀더 압축시키게 된다.
이러한 작동을 하는 인입롤러(20)는 비닐의 통과 량에 따라 상부롤러(21a)가 상하로 유동되면서 회전되므로 인입드럼(20)에 의해 공급되는 비닐이 선별기의 내부로 일정한 속도로 이송시킨다. 이송되는 비닐은 파쇄드럼(12a)(12b)이 회전하면서 외주면에 다수개 장착된 칼날(13)로서 비닐을 파쇄하게 된다. 즉 인입롤러(20)는 비닐을 거의 동일한 속도로 공급하게 되고 파쇄드럼(12a)(12b)은 비닐의 이송 속도보다 빠르게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공급되는 비닐을 파쇄드럼(12a)(12b)의 칼날(13)이 회전하면서 진입되는 폐비닐을 내리쳐 절단하게 된다. 이때 칼날(13)이 폐비닐을 치면서 그 회전력으로 진입되는 폐비닐을 파쇄드럼(12a)(12b)쪽으로 끌어당기게 되는데 인입롤러(20)의 중량과 스프링장치(31)에 의해 폐비닐을 누름과 동시에 인입롤러(20)의 표면에 코팅된 우레탄(221)의 마찰력으로 폐비닐을 물고 있고, 또 구동모터(기어모터)(30)가 저속회전하기 때문에 폐비닐은 파쇄드럼(12a)(12b)쪽으로 끌려들어가지 않고 인입롤로(20)에 의해 일정한 속도를 유지하면서 진입됨으로 파쇄효과가 더욱 향상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인입롤러(20)를 구동하는 별도의 구동모터(30)로 동력을 전달받아 인입롤러(20)의 속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고, 또 동력을 체인(25)으로 공급하므로써 동력손실이 방지되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인입롤러(20)로 공급되는 비닐의 양에 따라 상부롤러(21a)가 유동되더라도 그 회전속도에는 전혀 변함이 없도록 상하부롤러(21a)(21b)간에는 동력을 유성기어로 전달하여 비닐 공급량의 대소에 관계없이 항상 일정한 속도로 파쇄드럼(12a)(12b)으로 공급시킴과 동시에 인입롤러(20)의 표면을 우레탄(221)으로 형성하여 마찰력을 높이므로 폐비닐의 공급속도를 일정하게 되어 폐비닐의 파쇄효과가 높아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인입롤러(20)의 표면이 우레탄(221)으로 코팅되어있는 관계로 돌, 흙, 금속 등이 인입되어도 우레탄(221)표면이 단단하고 신축 탄력성이 있으므로 표면의 손상이 없으며, 비록 특정 부분이 손상이 된다 하더라도 손상된 부분으로 인해 다른 부분이 영향을 받지 않기 때문에 수명이 길다.

Claims (2)

  1. 선별기의 입구부에 설치되어 폐비닐을 내부의 파쇄드럼(12a)(12b)으로 인입시키는 상하부롤러(21a)(21b)로 구성된 인입롤러(20)에 있어서,
    상기 인입롤러(20)를 구동시키는 구동모터(30)를 구비하고, 상기 인입롤러(20)의 표면에 우레탄(221)을 코팅하고, 상기 상부롤러(21a)의 축(22a)을 폐비닐의 양에 따라 상하로 유동이 가능하도록 프레임(16)에 상하로 절결된 절결구멍에 축착시키고, 축(22a)의 상단과 절결구멍의 사이에 상승되는 축(22a)을 복원시키는 탄력수단을 설치하며, 상기 하부롤러(21b)의 축(22b) 일단이 구동모터(30)와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받고 타단은 상부롤러(21a)와 유동시에도 동력이 전달가능한 기어수단으로 동력을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별기의 인입롤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수단은 하부롤러 축(22b)의 일측 단부에 설치된 제1기어(26)와;
    제1기어(26)가 설치되는 쪽 상부롤러의 축(22a)단에 제1기어(26)와 동일한 지름의 제2기어(27)와;
    제1기어와 제2기어(26)(27)의 사이에 맞물려 동력을 전달하는 동일한 지름의 제3,제4아이들기어(28a)(28b)와;
    상기 제1기어(26)와 제3아이들기어(28a) 및 제2기어(27)와 제4아이들기어(28b)를 연결지지하는 제1,제2아암(29a)(29b)과;
    상기 제3아이들기어(28a)와 제4아이들기어(28b)를 연결 지지하는 제3아암(29c)으로 구성되어 상부롤러(22a)의 유동가능하면서 회전력이 전달되도록 된 것을특징으로 하는 선별기의 인입롤러.
KR2019980022689U 1998-11-20 1998-11-20 선별기의 인입롤러 KR20021351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2689U KR200213516Y1 (ko) 1998-11-20 1998-11-20 선별기의 인입롤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2689U KR200213516Y1 (ko) 1998-11-20 1998-11-20 선별기의 인입롤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0421U KR20000010421U (ko) 2000-06-15
KR200213516Y1 true KR200213516Y1 (ko) 2001-06-01

Family

ID=695089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2689U KR200213516Y1 (ko) 1998-11-20 1998-11-20 선별기의 인입롤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3516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5685B1 (ko) * 2007-05-14 2008-01-21 김남임 파쇄장치용 이송장치
KR100897233B1 (ko) * 2007-11-14 2009-05-14 최인호 폐 발포 합성수지 분쇄압축장치
CN110052305B (zh) * 2019-05-21 2023-12-19 广东携成智能装备有限公司 一种高效破碎及易于下料的破碎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0421U (ko) 2000-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13516Y1 (ko) 선별기의 인입롤러
CN102008116B (zh) 油菜脱壳机
CN210712337U (zh) 一种防堵塞的废纸打碎装置
CN212312845U (zh) 一种适用于高水分菌袋废料的碾压式脱水机
CN214051804U (zh) 一种用于固体废弃物的破碎、收集装置
KR20000033200A (ko) 선별기
CN114074386A (zh) 一种塑料薄膜的环保回收处理装置
CN213435495U (zh) 一种用于筛分餐厨垃圾的装置
CN213058791U (zh) 一种垃圾处理皮带传输设备
CN215847510U (zh) 一种不锈钢垫圈制造用筛屑装置
CN2396889Y (zh) 垃圾给料破袋设备
CN219788956U (zh) 一种塑料过滤撕碎机
CN215142102U (zh) 一种新型风选皮带机
CN219928796U (zh) 一种物流分拣用具有清扫结构的带式输送机
CN217222275U (zh) 一种生活垃圾筛分设备
CN215810027U (zh) 一种分选生活垃圾用快速沥水处理装置
CN218752920U (zh) 一种市政垃圾破碎机用传送装置
CN218083670U (zh) 一种边料回收装置
CN217963630U (zh) 一种混合垃圾初级分拣机
CN219580693U (zh) 一种危废填埋预处理装置
CN211054473U (zh) 一种具有去衣功能的花生静音榨油机
CN218366720U (zh) 纸箱用环保型圆压圆模切装置
CN207415767U (zh) 一种废旧橡胶回收利用装置
KR0127770Y1 (ko) 톱밥제조기의 이송장치
KR200387220Y1 (ko) 트롬멜 스크린 선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20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