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3495Y1 - 벨트 텐셔너의 장력조절장치 - Google Patents

벨트 텐셔너의 장력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3495Y1
KR200213495Y1 KR2019970031366U KR19970031366U KR200213495Y1 KR 200213495 Y1 KR200213495 Y1 KR 200213495Y1 KR 2019970031366 U KR2019970031366 U KR 2019970031366U KR 19970031366 U KR19970031366 U KR 19970031366U KR 200213495 Y1 KR200213495 Y1 KR 20021349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hole
pulley
support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13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8148U (ko
Inventor
김일웅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700313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3495Y1/ko
Publication of KR1999001814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814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34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3495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7/10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by adjusting the axis of a pulley
    • F16H7/12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by adjusting the axis of a pulley of an idle pulley
    • F16H7/1254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by adjusting the axis of a pulley of an idle pulley without vibration damping means
    • F16H7/1281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by adjusting the axis of a pulley of an idle pulley without vibration damping means where the axis of the pulley moves along a substantially circular pat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2007/0876Control or adjustment of actu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Conveying Motion By Means Of Endless Flexible Memb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벨트 텐셔너의 장력조절장치(A device for controlling the tension of a belt tensioner)에 관한 것으로, 자동차의 엔진 등에 설치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벨트의 장력을 적정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설치되어 사용되는 벨트 텐셔너의 텐션력의 조정이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텐셔너 풀리가 회전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는 후방을 연장한 연장부를 형성하고 상기 연장된 연장부를 관통하여 가이드 볼트가 삽입되는 회전방지구멍이 관통되며 상기 회전방지구멍과 동일한 방향의 일측으로 돌출되며 그 단부에 걸림턱이 형성된 지지축이 구비되는 풀리축과, 상기 풀리축이 삽입되며 삽입된 풀리축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장공형태의 가이드 구멍이 관통되는 지지부 및 그 양측이 상기 풀리축과 동일한 방향으로 절곡되며 회전방지구멍과 동일 중심을 갖는 나사결합공이 관통되는 상측지지부와 상기 지지축과 동일 중심으로 내향되도록 소정 길이로 돌출되며 그 단부에는 나사부가 형성되는 이동나사축이 구비되는 하측지지부가 각각 구비되는 브라케트와, 상기 이동나사축이 하측으로 나사 결합되기 위한 나사부가 내주연에 형성되며 상측 단부에는 지지돌기가 돌출되어 상기 지지축의 걸림턱에 록킹되어 회전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며 그 외주연에는 절첩되도록 힌지 결합되며 회전을 위한 작동레버의 탈착을 위한 삽입구멍이 마련된 회전브라케트가 서로 대향되게 설치되는 회전체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브라케트의 지지부에 관통된 가이드 구멍에 삽입되는 텐셔너 풀리의 풀리축이 가이드 볼트에 의하여 회전이 방지되며 이동나사축에 나사 결합된 회전체의 회전에 따라 풀리축이 이동되도록 한 벨트 텐셔너의 장력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벨트 텐셔너의 장력조절장치
본 고안은 벨트 텐셔너의 장력조절장치(A device for controlling the tension of a belt tensioner)에 관한 것으로, 자동차의 엔진 등에 설치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벨트의 장력을 적정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설치되어 사용되는 벨트 텐셔너의 텐션력의 조정이 용이하게 한 벨트 텐셔너의 장력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벨트 텐셔너는 동력이 발생되는 구동축과 이와 연계되어 구동되는 종동축을 연계하는 벨트를 장력을 조절하여 구동축의 구동력에 따른 종동축의 정확한 회전수가 얻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즉, 자동차의 엔진에서 피스톤의 왕복운동에 의하여 회전되는 구동축인 크랭크축과 이와 연계되어 정확한 회전비로 회전되는 캠축을 연결하는 타이밍벨트의 장력이나, 구동모터와 크랭크 축, 그리고 워터펌프를 연계하는 하는 팬벨트의 장력을 조정하여 벨트의 장력이 적정하게 유지되도록 하였다.
한편, 도 1 및 도 2는 종래 벨트 텐셔너(100)를 보인 것으로 벨트가 감겨지는 텐셔너 풀리(110)의 설치 위치를 가이드 하는 가이드 홈(122)이 관통 구비된 가이드 구(120)를 해당부위의 소정 위치에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 홈(122)에 상기 텐셔너 풀리(110)의 배면으로 돌출 구비되며 단부에 나사부(132)가 마련된 가이드 축(130)을 삽입한 후 너트(134) 체결하여 텐셔너 풀리(110)의 설치 위치가 조정되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된 벨트 텐셔너(110)를 구성하는 상기 텐셔너 풀리(110)는 가이드 축(130)이 가이드 구(120)의 가이드 홈(122)을 따라 이동됨으로서 상기 텐셔너 풀리(110)에 감겨진 벨트의 장력이 조정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된 종래의 벨트 텐셔너는 텐셔너 풀리의 이동을 위하여 가이드 축의 나사부에 체결된 너트를 풀어 가이드 축이 가이드 구의 가이드 홈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한 후 텐셔너 풀리의 이동이 가능한 것으로 텐셔너 풀리의 이동을 위한 작업성이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하여 임의 위치에 고정되도록 한 것으로 상기 텐셔너 풀리의 적정한 위치설정과 그에 따른 작업성이 용이하지 못하였다.
또한, 텐션너 풀리의 이동을 위하여 너트를 탈거하는 별도의 공구가 구비되어야 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제기되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벨트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벨트 텐셔너의 위치 설정에 따른 위치의 이동과 고정작업이 용이하고 이동되는 벨트 텐셔너의 위치조정이 미세하게 이루어져 벨트의 장력 조절이 가장 적합한 상태의 조정이 용이하도록 하며 동시에 소정의 공구를 구비하지 않아도 상기 벨트 텐셔너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여 작업성이 향상되도록 한 벨트 텐셔너의 장력조절장치를 제공하는데 본 고안의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벨트 텐셔너를 보인 정면도
도 2는 도 1의 A-A선을 단면한 텐셔너의 결합상태를 보인 측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벨트 텐셔너를 결합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벨트 텐셔너의 작동상태를 보인 측면도
* 도면중 주요 부호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텐셔너 풀리 20 : 풀리축
30 : 가이드 볼트 40 : 브라케트
50 : 회전체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텐셔너 풀리가 회전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는 후방을 연장한 연장부를 형성하고 상기 연장된 연장부를 관통하여 가이드 볼트가 삽입되는 회전방지구멍이 관통되며 상기 회전방지구멍과 동일한 방향의 일측으로 돌출되며 그 단부에 걸림턱이 형성된 지지축이 구비되는 풀리축과, 상기 풀리축이 삽입되며 삽입된 풀리축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장공형태의 가이드 구멍이 관통되는 지지부 및 그 양측이 상기 풀리축과 동일한 방향으로 절곡되며 회전방지구멍과 동일 중심을 갖는 나사결합공이 관통되는 상측지지부와 상기 지지축과 동일 중심으로 내향되도록 소정 길이로 돌출되며 그 단부에는 나사부가 형성되는 이동나사축이 구비되는 하측지지부가 각각 구비되는 브라케트와, 상기 이동나사축이 하측으로 나사 결합되기 위한 나사부가 내주연에 형성되며 상측 단부에는 지지돌기가 돌출되어 상기 지지축의 걸림턱에 록킹되어 회전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며 그 외주연에는 절첩되도록 힌지 결합되며 회전을 위한 작동레버의 탈착을 위한 삽입구멍이 마련된 회전브라케트가 서로 대향되게 설치되는 회전체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브라케트의 지지부에 관통된 가이드 구멍에 삽입되는 텐셔너 풀리의 풀리축이 가이드 볼트에 의하여 회전이 방지되며 이동나사축에 나사 결합된 회전체의 회전에 따라 풀리축이 이동되도록 함으로서 소기의 목적이 달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인 풀리 텐셔너의 장력조절장치에 따른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벨트 텐셔너를 결합상태를 보인 측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벨트 텐셔너의 작동상태를 보인 측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텐셔너 풀리(10)가 회전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는 그 후방을 연장한 연장부(22)를 형성하고 상기 연장된 연장부(22)를 관통하여 가이드 볼트(30)가 삽입되는 회전방지구멍(24)이 관통되며 상기 회전방지구멍(24)과 동일한 방향의 일측으로 돌출되며 그 단부에 걸림턱(26)이 형성된 지지축(28)이 구비되는 풀리축(20)과, 상기 풀리축(20)이 삽입되며 삽입된 풀리축(2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장공형태의 가이드 구멍(41)이 관통되는 지지부(42) 및 그 양측이 상기 풀리축(20)과 동일한 방향으로 절곡되며 회전방지구멍(24)과 동일 중심을 갖는 나사결합공(43)이 관통되는 상측지지부(44)와 상기 연장부(22)의 지지축(28)과 동일 중심으로 내향되도록 소정 길이로 돌출되며 그 단부에는 나사부(45)가 형성된 이동나사축(46)이 구비되는 하측지지부(47)가 각각 구비되는 브라케트(40)와, 상기 이동나사축(46)이 하측으로 나사 결합되기 위한 나사부(51)가 내주연에 형성되며 상측 단부에는 지지돌기(52)가 돌출되어 상기 지지축(28)의 걸림턱(26)에 록킹되어 회전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며 그 외주연에는 절첩되도록 힌지(53) 결합되며 회전을 위한 작동레버(R)의 탈착을 위한 삽입구멍(54)이 마련된 회전브라케트(55)가 서로 대향되게 설치되는 회전체(50)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브라케트(40)의 지지부(42)에 관통된 가이드 구멍(41)에 삽입되는 텐셔너 풀리(10)의 풀리축(20)이 가이드 볼트(30)에 의하여 회전이 방지되며 이동나사축(46)에 나사 결합된 회전체(50)의 회전에 따라 풀리축(20)이 이동되도록 한 구성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텐셔너 풀리(10)가 회전 가능한 구조로 결합된 풀리축(20)은 브라케트(40)의 지지부(42)에 관통된 가이드 구멍(41)에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 구멍(41)을 따라 그 길이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때, 상기 풀리축(20) 후방의 연장부(22)에 관통된 회전방지구멍(24)에는 상기 브라케트(40)의 상측지지부(44)에 나사 결합된 가이드 볼트(30)가 삽입되어 텐셔너 풀리(10)의 회전에 따른 풀리축(20)의 회전이 방지된다.
그리고 상기 연장부(22)의 일측에 돌출된 지지축(28)에 결합되는 회전체(50)는 상기 지지축(28)의 걸림턱(26)에 지지돌기(52)가 록킹되어 상기 지지축(28)에서 회전되는 회전체(50)의 이탈이 방지되며 그 외측에 힌지(53) 결합된 회전브라케트(55)에 전달되는 회전력에 의하여 회전된다.
이때, 상기 힌지(53) 결합된 회전브라케트(55)는 작동레버(R)가 삽입구멍(54)에 삽입 및 작동레버(R)의 회전작업이 용이함과 동시에 작동레버(R)의 회전에 따른 회전력의 전달이 용이하도록 하였으며 상기 회전되는 회전체(50)의 내주연에 형성된 나사부(51)에 이동나사축(46)의 나사부(45)가 나사 결합되어 회전체(50)의 회전에 따라 회전체(50)의 이동이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이동나사축(46)은 브라케트(40)의 하측지지부(47)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이동나사축(46)을 따라 이동되는 회전체(50)에 의하여 연장부(22)의 지지축(28)이 결합된 풀리축(20)의 이동이 이루어지므로서 텐셔너 풀리(10)의 이동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회전체(50)의 회전을 위하여 회전브라케트(55)의 삽입구멍(54)에 삽입되는 작동레버(R)는 지렛대 역할이 가능한 드라이버와 같이 일반적인 막대형태이면 가능하여 텐셔너 풀리(10)의 이동을 위한 작업이 별도의 공구가 구비되어 있지않아도 벨트의 장력 조정이 가능한 것이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인 벨트 텐셔너의 장력조절장치를 제공하면 벨트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벨트 텐셔너의 위치 설정에 따른 위치의 이동과 고정작업이 용이하고 이동되는 벨트 텐셔너의 위치조정이 미세하게 이루어져 벨트의 장력 조절이 가장 적합한 상태의 조정이 용이하도록 하며 동시에 소정의 공구를 구비하지 않아도 상기 벨트 텐셔너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여 작업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텐셔너 풀리(10)가 회전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는 그 후방을 연장한 연장부(22)를 형성하고 상기 연장된 연장부(22)를 관통하여 가이드 볼트(30)가 삽입되는 회전방지구멍(24)이 관통되며 상기 회전방지구멍(24)과 동일한 방향의 일측으로 돌출되며 그 단부에 걸림턱(26)이 형성된 지지축(28)이 구비되는 풀리축(20)과;
    상기 풀리축(20)이 삽입되며 삽입된 풀리축(2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장공형태의 가이드 구멍(41)이 관통되는 지지부(42) 및 그 양측이 상기 풀리축(20)과 동일한 방향으로 절곡되며 회전방지구멍(24)과 동일 중심을 갖는 나사결합공(43)이 관통되는 상측지지부(44)와 상기 연장부(22)의 지지축(28)과 동일 중심으로 내향되도록 소정 길이로 돌출되며 그 단부에는 나사부(45)가 형성된 이동나사축(46)이 구비되는 하측지지부(47)가 각각 구비되는 브라케트(40)와;
    상기 이동나사축(46)이 하측으로 나사 결합되기 위한 나사부(51)가 내주연에 형성되며 상측 단부에는 지지돌기(52)가 돌출되어 상기 지지축(28)의 걸림턱(26)에 록킹되어 회전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며 그 외주연에는 절첩되도록 힌지(53) 결합되며 회전을 위한 작동레버(R)의 탈착을 위한 삽입구멍(54)이 마련된 회전브라케트(55)가 서로 대향되게 설치되는 회전체(5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벨트 텐셔너의 장력조절장치.
KR2019970031366U 1997-11-07 1997-11-07 벨트 텐셔너의 장력조절장치 KR20021349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1366U KR200213495Y1 (ko) 1997-11-07 1997-11-07 벨트 텐셔너의 장력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1366U KR200213495Y1 (ko) 1997-11-07 1997-11-07 벨트 텐셔너의 장력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8148U KR19990018148U (ko) 1999-06-05
KR200213495Y1 true KR200213495Y1 (ko) 2001-09-25

Family

ID=538969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1366U KR200213495Y1 (ko) 1997-11-07 1997-11-07 벨트 텐셔너의 장력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3495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6742B1 (ko) * 2008-06-18 2011-01-10 주식회사신흥기계 갠트리의 벨트장력조절장치
GB2586078B (en) * 2019-08-02 2021-09-15 Perkins Engines Co Ltd Tensioning of belt driv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8148U (ko) 1999-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430507A (en) Apparatus for positioning a belt driven generator
US4597227A (en) Device for attaching a tool
JPH07156101A (ja) チェーンソーのチェーン張力調節装置
US4512752A (en) Belt tensioning device
JPH0214575B2 (ko)
KR200213495Y1 (ko) 벨트 텐셔너의 장력조절장치
US7448973B2 (en) Belt tensioner and method
DE10159072A1 (de) Spannvorrichtung für einen Zugmitteltrieb
US4971489A (en) Code key cutting machine fast cam feed
KR100282916B1 (ko) 벨트 텐셔너의 장력조절장치
US5364168A (en) Retractor shaft-rotating type seat belt pretensioner
KR19990059328A (ko) 타이밍 벨트의 장력 조절장치
EP1794474B1 (de) Zugmitteltrieb, insbesondere für einen verbrennungsmotor
KR850000630Y1 (ko) 벨트식 연삭공구
US4790800A (en) Belt tightening assembly
JPS637727Y2 (ko)
KR20000034654A (ko) 자동차엔진부 벨트시스템의 벨트텐셔닝용 브라켓
JP3100865B2 (ja) 内燃機関における補機の取付け装置
JP2005240927A (ja) 動力伝達機構のベルトテンション調整構造
KR970003898Y1 (ko) 벨트구동부의 장력조절 장치
KR0130441Y1 (ko) 풀리의 밸트장력 조절장치
JPS5836919Y2 (ja) ベルトの張力調整装置
KR100261409B1 (ko) 자동차의 구동벨트 장력조절장치
KR100277927B1 (ko) 자동차용 알테네이터 벨트의 장력 조절장치
JPS5824663Y2 (ja) ベルト伝動機構における無端ベルトの張り状態調節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32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