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0441Y1 - 풀리의 밸트장력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풀리의 밸트장력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0441Y1
KR0130441Y1 KR2019940016919U KR19940016919U KR0130441Y1 KR 0130441 Y1 KR0130441 Y1 KR 0130441Y1 KR 2019940016919 U KR2019940016919 U KR 2019940016919U KR 19940016919 U KR19940016919 U KR 19940016919U KR 0130441 Y1 KR0130441 Y1 KR 01304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ley
bolt
tension
belt
sl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169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5921U (ko
Inventor
이상윤
Original Assignee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성원
Priority to KR20199400169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0441Y1/ko
Publication of KR96000592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592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04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0441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7/10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by adjusting the axis of a pulley
    • F16H7/14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by adjusting the axis of a pulley of a driving or driven pulle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7/084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with means for impeding reverse motion
    • F16H2007/0857Screw mechanis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2007/0889Path of movement of the finally actuated member
    • F16H2007/0893Circular pa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Conveying Motion By Means Of Endless Flexible Memb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풀리의 밸트장력 조절장치에 관한것으로서, 풀리가 설치된 부품몸체의 상부에 암나사를 형성하고, 상기 암나사내에 선단에 구면이 형성된 보울트를 삽입하는 동시에, 층부의 별도 타부품상에 상기 보울트의 구면이 삽입되어 이동될 수 있는 슬롯을 형성하여서 상기 보울트의 선단이 슬롯내에 삽입지지된 상태로 암나사 내에서 회전하면서 풀리가 설치된 부품몸체를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이동 시키므로써 풀리에 걸어진 밸트의 장력을 조절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풀리의 밸트장력 조절장치
제1도는 종래 밸트장력 조절장치의 일예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벨트장력 조절장치의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 : 풀리 2 : 힌지축
3 : 부품몸체 4 : 암나사
5 : 타부품 몸체 6 : 슬롯
7 : 구면 8 : 보울트
9 : 확대부 9' : 협소부
10 : 밸트 11 : 관통공
12 : 장공 13: 지지브라켓
14 : 보울트 14' : 너트
본 고안은 풀리의 밸트장력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풀리를 가지는 부품 몸체와 주변의 타부품몸체의 사이에 장력을 조절 할 수 있도록 보울트를 설치하여서 된 밸트 장력조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풀리의 밸트장력 조절장치는 첨부도면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하부 일점에 힌지축(2)을 가지며, 일면으로 풀리(1)가 설치되어진 부품몸체(3)의 상부에 관통공(11)을 형성하고, 상기 부품몸체(3)와 이웃하는 타부품몸체(5)상에 원호형 장공(12)을 가지는 지지브라켓(13)을 고정 설치한후, 별도의 보울트(14)와 너트(14')로써 상기 관통공(11)과 장공(12)을 관통체결한 구조를 이루고 있었다.
따라서, 작업자가 밸트(10)의 장력을 조절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보울트(14)와 너트(14')를 다소 풀어준후 부품몸체(3)의 보울트(14)위치를 힌지축(2)을 중심으로 지지브라켓(13)의 장공(12)내에서 전, 후로 이동시켜 밸트(10)의 장력이 원하는 상태가 되었을때 상기 보울트(14)와 너트(14')를 다시 조여 주므로써 밸트(10)가 조절되어진 장력을 유지 할 수 있도록 되어지는바, 이는 풀리(1)를 가지는 부품몸체(3)를 강하게 당기거나 한 상태에서 보울트(14)나 너트(14')를 조여주어야 하므로 1일의 작업으로는 어려움이 많으며, 시간의 흐름에 따라 밸트(10)의 장력에 의하여 보울트(14)및 너트(14')의 체결부위가 점차 앞쪽으로 이동되어져 다시 밸트(10)의 장력이 느슨해지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종래의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풀리가 설치된 부품몸체의 상부에 암나사를 형성하고, 상기 암나사내에 선단으로 구면이 형성된 보울트를 삽입하는 동시에, 측부의 별도 타부품상에 상기 보울트의 구면이 삽입되어 이동될 수 있는 슬롯을 형성하여서 상기 보울트의 선단이 슬롯내에 삽입지지된 상태로 암나사 내에서 회전하면서 풀리가 설치된 부품몸체를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이동 되도록 하므로써 풀리에 걸어진 밸트의 장력을 조절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풀리의 밸트장력 조절장치에 있어서, 풀리(1)가 설치되고 하부 일단이 힌지축(2)으로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된 부품몸체(3)의 상부에 힌지축(2)의 방향과 직각되도록 암나사(4)가 형성되고, 부품몸체(3)와 근접된 타부푸몸체(5)에는 원호형의 슬롯(6)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암나사(4)에는 선단에 구면(7)이 형성된 보울트(8)가 체결되어 상기 구면(7)이 슬롯(6)내에 삽입지지되도록 하여서 된 것이다.
이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첨부도면 제2도는 본 고안의 구성도로써, 풀리(1)가 설치되어지며, 하단은 별도의 주변부품상에 힌지축(2)으로 회전가능하게 고정된 부품몸체(3)상부에 상기 힌지축(2)의 방향과 직각되도록 암나사(4)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암나사(4)내에는 보울트(8)가 관통설치되어지되, 상기 보울트(8)는 선단에 구면(7)이 형성되어져 있다.
또한, 상기 부품몸체(3)의 측부에 위치되는 타부품몸체(5)에는 상기 보울트(8)의 구면(7)이 접촉될 위치에 원호형의 슬롯(6)이 형성되되, 상기 슬롯(6)은 상부에 보울트(8)의 구면(7)이 삽입되어질 수 있는 확대부(9)와 삽입된 구면(7)이 이탈되지 않도록 된협소부(9')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부품몸체(3)의 암나사(4)를 관통한 보울트(8)의 구면(7)은 상기 슬롯(6)내에 삽입, 지지되어져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풀리(1)는 이웃하는 풀리(1')와 밸트(10)로 연결되어져 있으며, 상기 풀리(1)가 설치된 부품몸체(3)는 하부가 힌지축(2)으로 회동가능하도록 배면의 별도부품에 설치되어지며, 상부에는 암나사(4)에 보울트(8)가 관통되어 상기 보울트(8)선단의 구면(7)이 측부의 타부품몸체(5)에 형성된 슬롯(6)내에 확대부(9)로 삽입되어 협소부(9')에 위치되도록 지지설치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풀리(1, 1')간을 연결하는 밸트(10)의 장력을 조절하고자 할 때에는 상기 암나사(4)에 관통되어 슬롯(6)에 지지되어져 있는 보울트(8)를 회전, 또는 역회전시켜 상기 풀리(1)가 설치된 부품몸체(3)가 하부의 힌지축(2)을 중심으로 회동이전되면서 타측의 풀리(1')와의 거리에 변화를 갖도록 하므로써 상기 두개의 풀리(1, 1')를 연결하는 밸트(10)의 장력을 용이하게 조절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보울트(8)의 선단이 구면(7)을 이루고 있으며, 슬롯(6)역시 원호형상을 이루고 있으므로 보울트(8)의 조절에 따른 구면(7)과 슬롯(6)내에서 지지점 변화가 자유롭게 수용되어질 수 있으며, 부품몸체(3)와 보울트(8)가 암나사(4)에 의하여 나사결합되어 있으므로 시간의 경과나 진동등에 의하여도 상기 부품몸체(3)가 회동되거나하여 밸트(10)의 장력이 변화 되어지는 일이 없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같이 본 고안은 장력조절이 용이하고 설정위치가 사용시간의 경과나 진동등에 의하여 쉽게 변화되지 않는 풀리의 밸트장력 조절장치를 제공하므로써 자동차산업에 이바지할 수 있는 장점을 지니는 것이다.

Claims (2)

  1. 풀리의 밸트장력 조절장치에 있어서, 풀리(1)가 설치되고, 하부 일단이 힌지축(2)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된 부품몸체(3)의 상부에 힌지축(2)의 방향과 직각되도록 암나사(4)가 형성되고, 부품몸체(3)와 근접된 타부품몸체(5)에는 원호형의 슬롯(6)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암나사(4)에는 선단에 구면(7)이 형성된 보울트(8)가 체결되어 상기 구면(7)이 슬롯(6)내에 삽입지지되도록 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풀리의 밸트장력 조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6)은 확대부(9)와 협소부(9')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리의 밸트장력 조절장치.
KR2019940016919U 1994-07-08 1994-07-08 풀리의 밸트장력 조절장치 KR013044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6919U KR0130441Y1 (ko) 1994-07-08 1994-07-08 풀리의 밸트장력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6919U KR0130441Y1 (ko) 1994-07-08 1994-07-08 풀리의 밸트장력 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5921U KR960005921U (ko) 1996-02-17
KR0130441Y1 true KR0130441Y1 (ko) 1998-12-01

Family

ID=193879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16919U KR0130441Y1 (ko) 1994-07-08 1994-07-08 풀리의 밸트장력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0441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4945B1 (ko) * 2012-07-28 2014-03-17 용 석 장 곡물 반죽기의 장력 조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5921U (ko) 1996-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88494A (en) Adjustment mechanism for drum pedal beater
US20060285932A1 (en) Core drill assembly with the ability to control angle of drilling
JP2572431Y2 (ja) ドラムペダルのスプリング調節構造
US4713045A (en) Auto-tensioner for belt systems and a method for adjusting tension degree
US7559716B2 (en) Clamping lever with vertically adjustable thrust bearing
US4512752A (en) Belt tensioning device
US6096956A (en) Clamp device for musical instruments
US5842742A (en) Mechanism for preventing the shaking of a drum chair
KR0130441Y1 (ko) 풀리의 밸트장력 조절장치
KR940010761B1 (ko) 자전거용 브레이크 레버장치
US4478162A (en) Needle guard of a sewing machine
JPH08233042A (ja) ベルト張力調整装置
JP3708773B2 (ja) テンションプーリ調整装置
JPH04228373A (ja) 自動車のステアリング・リンケージ用タイロッドに玉継手を取付ける調節可能の取付具
KR200206308Y1 (ko) 환편기의 서브롤러 어셈블리
KR200286623Y1 (ko) 휴대폰거치대각도조절장치
US5678283A (en) Belt with clasp assembly
US4648303A (en) Device on a string tightener for stringed instruments
KR200351540Y1 (ko) 차량용발전기의벨트장력조절장치
KR200233773Y1 (ko) 환편기용 실공급기 구동벨트의 장력조절장치
KR0134934Y1 (ko) 골절기의 띠톱 장력 조절장치
JPS634841Y2 (ko)
JP2596278Y2 (ja) アイドラプーリー装置
JPS6324281Y2 (ko)
KR200213495Y1 (ko) 벨트 텐셔너의 장력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