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4934Y1 - 골절기의 띠톱 장력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골절기의 띠톱 장력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4934Y1
KR0134934Y1 KR2019960010596U KR19960010596U KR0134934Y1 KR 0134934 Y1 KR0134934 Y1 KR 0134934Y1 KR 2019960010596 U KR2019960010596 U KR 2019960010596U KR 19960010596 U KR19960010596 U KR 19960010596U KR 0134934 Y1 KR0134934 Y1 KR 013493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sion
band saw
fracture
tension bracket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105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60670U (ko
Inventor
양동광
Original Assignee
양동광
한국후지기계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동광, 한국후지기계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동광
Priority to KR20199600105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4934Y1/ko
Publication of KR97006067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6067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493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4934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17/00Other devices for processing meat or bones
    • A22C17/06Bone-shears; Bone-crush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1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 B26D1/46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n endless band-knife or the like
    • B26D1/48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n endless band-knife or the like with tension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2210/00Machines or methods used for cutting special materials
    • B26D2210/02Machines or methods used for cutting special materials for cutting food products, e.g. food slic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aw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골절기의 주동휠과 종동휠의 사이에 걸어진 띠톱의 장력을 레버조작으로 간편 용이하게 조절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골절기 본체의 주동휠과의 사이에 띠톱을 걸기 위한 종동휠이 축착되어져 걸이봉에 걸어진 걸이편을 상, 하 이동조절되게 하여 띠톱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편심되게 형성된 받침봉이 안내편 사이에 가이드되는 걸이봉을 받침하도록 골절기 본체의 축공으로 일단부가 끼워져 스냅링으로고정되는 조절축과, 상기 조절축에 관통설치되고 볼트에 의해 골절기 본체 외주벽면에 동축상으로 고정설치되되 스톱홈을 가진 텐션 브라켓트 및 상기 텐션 브라켓트 외방으로 돌출된 조절축상에 끼워져 함께 회전가능하도록 고정설치되고 관통홈내로는 셋트스크류로서 텐션력이 조절되는 볼을 스프링으로 탄설하여 미세조절시 상기 텐션 브라켓트의 스톱홈에 걸려지도록 하고, 외주면으로는 조작용 레버가 구비되어진 조절구로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골절기의 띠톱 장력 조절장치
제1도는 종래 고안에 따른 띠톱 장력 조절상태를 보인 정면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띠톱 장력 조절장치의 분해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텐션 브라켓트의 배면 발췌 사시도.
제4도는 제2도의 조립 측단면도.
제5도는 (a)(b)도는 본 고안의 띠톱 장력 조절상태를 보인 장치에 따른 조절축의 조작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인 정면도로서, (a)도는 걸이봉이 받침봉에 의해 상승된 상태로 들려져 있는 상태이며, (b)도는 걸이봉이 받침봉에 의해 하강된 상태로 들어져 있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골절기 본체 10a : 축공
11 : 안내편 12 : 걸이봉
13 : 걸이편 14 : 종동휠
20 : 조절축 21 : 받침봉
30 : 텐션 브라켓트 32,33 : 스톱홈
40 : 조절구 41 : 요홈
42 : 관통공 43 : 스프링
44 : 셋트 스크류 45 : 볼
49 : 조작핸들
본 고안은 골절기의 주동휠과 종동휠 사이에 걸어진 띠톱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레버조작에 따라 편심 회전되는 조절축에 의해 종동휠이 축착된 걸이편이 걸어지는 걸이봉을 간편하게 상, 하 이동시켜 주므로서 띠톱의 장력조절을 간편하고 부드럽게 조작시킬 수 있도록 골절기의 띠톱 장력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골절기(100)의 주동휠(102)과 종동휠(103) 사이에 걸이진 띠톱(104)은 골절작업에 의해 금속특성상 마모되거나 늘어나게 되는 경우 이를 교체 또는 적절한 긴장상태가 유지되게 그 장력을 조절해주어야 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서, 이러한 띠톱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일예의 장치로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걸이편(105)이 걸어져서 안내편(106) 사이에서 상, 하 이동되는 걸이봉(107)에 나사관(108)을 일체로 형성하고 이에 골절기 본체(101)의 외부에서 조작가능한 핸들(109)의 나사축(110)을 나삽시켜서 된 구성이다.
그러나, 이러한 조절장치는 띠톱의 장력조설시 상부쪽에 위치된 핸들을 일일이 돌려 주어야 하기 때문에 조작이 번거롭고 불편할 뿐 아니라 핸들이 외부로 돌출되어 있으므로 인하여 운반시 충격으로 인해 휘어질 염려가 있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띠톱의 장력조절장치를 골절기 본체 후방측면에서 조절되도록 함으로써 운반시 파손 우려가 없고 레버 조작에 의해 장력을 조절하기 때문에 그만큼 장력 조절이 간편하고 부드럽게 이루어질 수 있는 띠톱 장력 조절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골절기의 띠톱 장력조절장치의 특징은, 골절기 본체의 주동휠과의 사이에 띠톱을 걸기 위한 종동휠이 축착되어져 걸이봉에 걸어진 걸이편을 상, 하 이동조절되게 하여 띠톱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편심되게 형성된 받침봉이 안내편 사이에 가이드되는 걸이봉을 받침하도록 골절기본체의 축공으로 일단부가 끼워져 스냅링으로 고정되는 조절축과, 상기 조절축에 관통설치되고 볼트에 의해 골절기 본체 외주벽면에 동축상으로 고정설치되되 스톱홈을 가진 텐션 브라켓트와, 상기 텐션 브라켓트 외방으로 돌출된 조절축상에 끼워져 함께 회전가능하도록 고정 설치되고 관통홈내로는 셋트스크류로서 텐션력이 조절되는 볼을 스프링으로 탄설하여 미세조절시 상기 텐션 브라켓트의 스톱홈에 걸려지도록 하고, 외주면으로는 조작용 레버가 구비되어진 조절구로 구성된 점에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골절기의 띠톱 장력 조절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에는 본 고안에 따른 띠톱 장력 조절장치의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는바, 골절기 본체(10)의 내측벽면으로는 마모방지를 위한 부상(12a)이 구비된 걸이봉(12)의 양단부가 끼워져 가이드되는 안내편(11)이 적정 간격을 두고 고정설치되어 있고, 안내편(11)의 사이 중간부로는 조절축(20)의 일단부가 관통되는 축공(10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걸이봉(12)으로는 부싱(12a)의 양측으로 걸이편(13)이 걸이지고, 이 걸이편(13)에는 종동휠(14)이 지지축(15)을 중심으로 축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한편, 골절기 본체(10)의 축공(10a)으로 관통된 조절축(20)의 단부로는 걸이봉(12)의 부싱(12a)과 접촉되면서 이를 받쳐주는 받침봉(21)이 편심되게 형성되어 있고, 받침봉(21)이 형성된 단부의 조절축(20) 상으로는 스냅링(22)을 위한 스냅링홈(20a)이 파여 있다. 그리고 골절기 본체(10) 외방으로 관통된 조절축(20) 상으로는 텐션 브라켓트(30)가 관통 설치되는바, 이 텐션 브라켓트(30)는 볼트(31)에 의해 골절기 본체(10)의 벽면에 체결고정되는 것이며, 외주벽면 소정지점으로는 제3도와 같이 후술되는 볼(45)이 걸려지는 두 개의 스톱홈(32)(33)이 적정간격을 두고 내입 형성되어 있다.
제2도와 같이 텐션 브라켓트(30) 외방으로 돌출된 조절축(30)의 말단부에 요홈(41)이 끼워지고 단턱면(40a)에 텐션 브라켓트(30)의 외주면 일부가 내삽되는 상태로 조립되는 조절구(40)로는 스톱홈(32)(33)과 동일직경상의 관통공(42)을 형성하여 이에 스프링(43)을 삽설하고, 관통공(42)의 일단부는 셋트 스크류(44)를 체결하여 볼(45)의 탄력을 조절토록 해준다. 따라서, 볼(45)은 조립시 관통공(42)내에 내설된 스프링(43)의 탄력에 의해 텐션 브라켓트(30)의 주벽면에 밀접되어지고 미세 조절시에는 각 스톱홈(32)(33)내에 걸려져 조절구(40)가 스톱되게 한다. 또한, 조절구(40)의 요홈(41)내에 삽설된 조절축(40)의 말단부를 두 군데 정도의 나사홈(46)에 볼트(47)로서 조여줌으로써 조절구(40)는 조절축(20)와 일체로 회동조작되고, 조절구(40)의 외주면으로는 조작을 용이하도록 하는 조작핸들(48)이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띠톱 장력 조절장치의 조립상태를 살펴보면, 즉,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골절기 본체(10)의 축공(10a)으로 일단부가 관통된 조절축(20)은 스냅링(23)을 골절기본체(10) 내측벽쪽에 위치된 스냅링홈(20a)에 끼워주므로서 후방으로 빠지지 않도록 유설되어지며, 이때 조절축(20)에 편심설치된 받침봉(21)은 안내편(11)에 가이드되게 끼워진 걸이봉(12)을 받쳐주게 된다. 그리고 골절기 본체(10) 후방으로 관통된 조절축(20)상으로는 텐션 브라켓트(30)가 볼트(31)에 의해 고정설치되어 있고, 그 조절축(20)상으로는 텐션 브라켓트(30)가 볼트(31)에 의해 고정설치되어 있고, 그 조절축(20)상의 말단부에 요홈(41)이 삽설 고정되어져서 골절기 본체(10) 벽면에 고정된 텐션 브라켓트(30)와는 별도로 회전가능하게 되는 조절구(40)는 조작핸들의 조작에 따라 텐션 브라켓트(30)를 중심으로 조절축(30)과 함께 회동조절되어 진다. 이러한 상태로 조립이 완료된 본 고안의 띠톱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조작상태를 제5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즉, 제5도의 (a)도는 조절축(20)의 받침봉(21)에 의해 걸이편(13)이 걸이진 걸이봉(12)이 안내편(11)에 안내되어 최상축으로 이동하여 들려져 있는 것으로서 이때 미도시된 주동휠과 걸이편(13)의 종동휠(14)사이에 걸어진 띠톱(50)은 최대한 긴장상태로 팽팽하게 상호 당겨져 있게 된다. 동휠과의 사이에 걸어져 회전되는 띠톱의 장력조절 및 교환을 손 그리고 띠톱을 교환하거나 느슨하게 할 경우에는 조작핸들(48)을 잡고 조절구(40)를 소정방향으로 회동시켜주면 제5도의 (b)도와 같이 받침봉(21)은 조절축(20)의 회전에 의해 편심회전하게 되는바, 이때 걸이봉(12)은 걸이편(13)의 하중에 의해 받침봉(21)의 편심거리만큼 동시에 하강 이동되어져서 받침봉(21)에 받침 되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조작되면 기장상태로 양 휠간에 걸어져 있던 띠톱(50)은 종동휠(14)의 하강에 의해 느슨한 상태로 되어 띠톱(50)의 교체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띠톱(50)의 장력상태를 미세하게 조절하고자 할 경우에는 조절구(40)의 관통홈(42)내에 스프링(43)으로 탄설된 볼(45)이 텐션 브라켓트(30)의 스톱홈(32)(33)에 각각 선택적으로 걸려지도록 조절구(40)를 회전조작시켜주면 받침봉(21)이 소정거리만큼 편심회전하면서 걸이봉(12)을 받쳐주게 되어 양 휠간에 걸어진 띠톱의 장력은 미세하게 조절되어 질 수 있는 것이며, 이때 조절구(40)는 볼(45)이 스톱홈(32)(33)내에 스프링(43)의 탄력에 의해 강제적으로 걸리게 되어 인위적으로 조작시키지 않은 이상 회전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걸이편이 걸어진 걸이봉을 레버 조작에 따라 편심회전되는 조절축의 받침봉으로 상, 하 이동하면서 받쳐주도록 함에 따라 띠톱의 장력조절에 따른 조작이 매우 간편 용이하고 부드럽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골절기 본체(10)의 주동휠과의 사이에 띠톱(50)을 걸기 위한 종동휠(14)이 축척되어져 걸이봉(12)에 걸어진 걸이편(13)을 상, 하 이동 조절되게하여 띠톱(50)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편심되게 형성된 받침봉(21)이 안내편(11) 사이에 가이드되는 걸이봉(12)을 받침하도록 골절기 본체(10)의 축공(10a)으로 일단부가 끼워져 스냅링(22)으로 고정되는 조절축(20)과, 상기 조절축(20)에 관통 설치되고 볼트(31)에 의해 골절기 본체(10) 외주벽면에 동축상으로 고정설치되되 스톱홈(32, 33)을 가진 텐션 브라켓트(30) 및 상기 텐션 브라켓트(30) 외방으로 돌출된 조절축(20)상에 끼워져 함께 회전가능 하도록 고정설치되고 관통공(42)내로는 셋트스크류(44)로서 텐션력이 조절되는 볼(45)을 스프링(43)으로 탄설하여 미세 조절시 상기 텐션 브라켓트(30)의 스톱홈(32, 33)에 걸려지도록 하고 외부면으로는 조작용 레머(48)가 구비되어진 조절구(4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골절기의 톱날 장력 조절장치.
KR2019960010596U 1996-05-02 1996-05-02 골절기의 띠톱 장력 조절장치 KR013493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10596U KR0134934Y1 (ko) 1996-05-02 1996-05-02 골절기의 띠톱 장력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10596U KR0134934Y1 (ko) 1996-05-02 1996-05-02 골절기의 띠톱 장력 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0670U KR970060670U (ko) 1997-12-10
KR0134934Y1 true KR0134934Y1 (ko) 1998-12-15

Family

ID=194553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10596U KR0134934Y1 (ko) 1996-05-02 1996-05-02 골절기의 띠톱 장력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4934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01269A (ko) * 2011-03-03 2012-09-13 정운조 식품초고속자동절단기
KR20160120488A (ko) * 2015-04-08 2016-10-18 임상훈 골절기의 띠톱 장력 조절장치
KR20200109447A (ko) * 2019-03-13 2020-09-23 한국후지기계 주식회사 띠톱을 이용한 식품 절단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01269A (ko) * 2011-03-03 2012-09-13 정운조 식품초고속자동절단기
KR20160120488A (ko) * 2015-04-08 2016-10-18 임상훈 골절기의 띠톱 장력 조절장치
KR20200109447A (ko) * 2019-03-13 2020-09-23 한국후지기계 주식회사 띠톱을 이용한 식품 절단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0670U (ko) 1997-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46390A (en) Miter saw
US5309805A (en) Cutting knife
US5896670A (en) Chain tensioner for chain saw
US4779662A (en) Shade operator
EP1652426B1 (en) Fishing line guide mechanism for a spinning reel
JP2007223133A (ja) 携帯用切断機
JP2007223133A5 (ko)
US5026047A (en) Quick release mechanism for bicycle trainer
JP2572431Y2 (ja) ドラムペダルのスプリング調節構造
JPH0733063A (ja) 操作レバー装置
US6851437B1 (en) Cane handle with adjustable supporting loop
KR0134934Y1 (ko) 골절기의 띠톱 장력 조절장치
JP4552078B2 (ja) 二輪車のペダル
KR980009099A (ko) 벨트식 호이스트
US6920816B2 (en) Vertical saw machine
KR920019662A (ko) 스트랩공구용 텐션장치
RU2129089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дачи нити
US6891098B1 (en) Anti-friction drum strand selective tensioner
US4960026A (en) Quick action band saw blade tensioning device
KR940010761B1 (ko) 자전거용 브레이크 레버장치
JPH10313749A (ja) 魚釣用リ−ルの釣糸案内装置
KR100279181B1 (ko) 실공급장치
US20020157264A1 (en) Portable bandsaw
JP2006213522A (ja) 綾巻きパッケージを製造する繊維機械に用いられる巻取り装置
CN109157346B (zh) 一种提线装置及运用该提线装置的轮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027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