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3451Y1 - 자동차용 너클암의 허브 베어링 교환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너클암의 허브 베어링 교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3451Y1
KR200213451Y1 KR2020000025745U KR20000025745U KR200213451Y1 KR 200213451 Y1 KR200213451 Y1 KR 200213451Y1 KR 2020000025745 U KR2020000025745 U KR 2020000025745U KR 20000025745 U KR20000025745 U KR 20000025745U KR 200213451 Y1 KR200213451 Y1 KR 20021345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uckle arm
hub bearing
bearing
exchange device
bottom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57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수상
Original Assignee
김수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수상 filed Critical 김수상
Priority to KR20200000257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345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34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3451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너클암을 공중에서 고정하는 고정구와 상기 너클암이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안착체인 및 너클암에 압입된 허브베어링을 유압자키로 이루어진 허브베어링의 교환장치를 제공하여 상기 유압자키의 유압을 이용하여 수월하게 너클암 내부에 압입된 허브베어링을 빼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정구에 의해 너클암이 견고하게 고정되어 작업의 안전성을 도모하며 작업의 단순화에 따른 인력을 감소할 수 있는 자동차용 너클암의 허브 베어링 교환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인 자동차용 너클암의 허브 베어링 교환장치는, 힌지결합부(11a)가 상부에 형성된 지지구(11)가 일측에 돌설되고 타측에 결합부(12)를 갖으며, 일측 상단에 유동방지구(14)가 구성된 바닥판(10)과; 상기 바닥판(10)의 일측에 입설된 지지구(11)의 상부에 형성된 힌지결합부(11a)에 일단이 끼워져 힌지결합되고, 타단에 파지부(21)가 형성된 고정구(20); 및 상기 바닥판(10)의 상면에 인입되는 유압자키(30)와 그리고, 상기 유압자키의 로드(31) 상단에 구성되는 베어링 탈착구(40)가 더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너클암의 허브 베어링 교환장치{EXCHANGE DEVICE HUB-BEARING OF KNUCKLE ARM FOR AUTOMOBILE}
본 고안은 자동차의 독립현가장치로 사용되는 너클암의 허브베어링을 교환하는 것으로, 특히, 너클암에 압입된 허브베어링을 유압자키를 이용하여 간단하게 빼낼 수 있도록 하여, 작업 단순화를 도모할 수 있는 자동차용 너클암의 허브 베어링 교환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독립현가 장치로 사용되는 너클암의 허브베어링은 각각의 바퀴들이 너클암 축설되어 원활히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축수부재로서, 자동차의 주행거리가 많아지면 윤활기능이 저하되어 일정사용기간 후에는 정기적으로 교환하여야 되는 소모성 부품이다.
이러한 허브베어링의 교환작업은, 자동차의 허브를 드럼과 함께 분리시킨 다음 스핀들을 분리시키고 너클의 베어링에 끼워져 있는 스플라인 보스를 분리시키게 된다.
그리고 다음에 너클의 베어링을 분리시키게 되는데, 이 베어링은 분활되는 스플리트베어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구름베어링과 베어링 내컵을 분리한 후 베어링 외컵을 분리해 내게 되고 이러한 베어링 외컵은 너클의 보스에 억지 끼움되어 있기 때문에 별도의 도구를 이용하여 분리해내고 있다.
따라서, 종전에 있어 상기한 베어링 외컵은, 쇠막대를 컵에 단후 망치로 타격하여 분리해 내는 방법을 시도해 오고 있으며, 그로인해 베어링컵이 손상되어 못 쓰게 되는 경우가 허다하게 발생되므로서, 경제적 손실이 초래되었을 뿐만 아니라, 너클은 너클보스로부터 사방으로 불규칙한 너클암이 뻗어 있기 때문에, 베어링컵 분리 및 조립작업시 한사람은 너클과 쇠막대를 잡고 다른 한사람은 망치로 타격하여야 하였으므로, 작업불편 및 2사람의 인력손실과 시간적 낭비가 초래되는 문제점을 수반하게 되었다.
상기와 같은 폐단을 예방하기 위해 여러 가지 허브베어링을 빼내는 장치가 제안되고는 있으나, 허브베어링을 빼내는 작업이 수월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가격 또한 고가이기 때문에 실용화 되지 못하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유압자키를 이용하여 너클암에 압입된 허브베어링을 수월하게 빼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의 단순화를 도모함은 물론, 작업의 능률이 향상될 수 있는 자동차용 너클암의 허브 베어링 교환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너클암의 허브 베어링 교환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너클암의 허브 베어링 교환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작동상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너클암의 허브 베어링 교환장치에 의해 너클암에 압입된 허브베어링이 탈착되는 것을 나타낸 작동 확대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너클암의 허브 베어링 교환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작동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바닥판 11 : 지지구
11a : 힌지결합부 12 : 결합부
14 : 유동방지구 15 : 유동방지체인
20 : 고정구 21 : 파지부
22 : 걸이봉 23 : 압착부
30 : 유압자키 31 :로드
40 : 베어링탈착구 50 안착체인
상기와 같은 목적을 지닌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너클암의 허브 베어링 교환장치는,
힌지결합부가 상부에 형성된 지지구가 일측에 돌설되고 타측에 결합부를 갖으며, 일측 상단에 유동방지구가 구성된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일측에 입설된 지지구의 상부에 형성된 힌지결합부에 일단이 끼워져 힌지결합되고, 타단에 파지부가 형성된 고정구;
및 상기 바닥판의 상면에는 유압자키가 더 인입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특징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너클암의 허브 베어링 교환장치는, 너클암을 공중에서 고정하는 고정구와 상기 너클암이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안착체인 및 너클암에 압입된 허브베어링을 유압자키로 이루어진 허브베어링의 교환장치를 제공하여 상기 유압자키의 유압을 이용하여 수월하게 너클암 내부에 압입된 허브베어링을 빼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정구에 의해 너클암이 견고하게 고정되어 작업의 안전성을 도모하며 작업의 단순화에 따른 인력을 감소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너클암의 허브 베어링 교환장치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너클암의 허브 베어링 교환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면에 유동방지체인(15)을 갖는 유동방지구(14)가 입설되고, 일측에는 상부에 힌지결합부(11a)를 갖는 지지구(11)가 구성되고 타측에는 결합부(12)로 이루어진 바닥판(10)과, 상기 바닥판(10)의 일측에 구성된 지지구(11)의 상부 힌지결합부(11a)에 힌지 결합된 고정구(20)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구(20)는, 일측이 상기 힌지결합부(11a)에 힌지 결합되어 이 고정구(20)의 원활한 회동이 가능토록 하며, 타측에는 이 고정구(20)를 원활하게 회동하기 위한 파지부(21)가 형성되고, 또한, 상기 고정구(20)의 상부 일측에는 안착체인(50)이 더 구성된다.
또한, 상기 바닥판(10)의 상면에는 유압에 의해 자유로이 로드(31)가 상/하운동되는 유압자키(30)가 더 구성되며, 이 유압자키의 상부에 구성된 상기 로드(31)의 상부에는 허브베어링을 밀어내는 베어링 탈착구(40)가 더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너클암의 허브 베어링 교환장치의 작용을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너클암의 허브 베어링 교환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작동상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너클암의 허브 베어링 교환장치에 의해 너클암에 압입된 허브베어링이 탈착되는 것을 나타낸 작동 확대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자동차의 독립현가장치인 너클암에 압입된 허브베어링을 빼내기 위해서는, 먼저, 상기 고정구(20)의 상부에 형성된 안착체인(50)을, 상기 고정구(20)의 타측에 돌설된 걸이봉(22)에 걸은 후, 너클암(60)을 상기 안착체인(50)의 상부에 올려 놓은 후, 상기 바닥판(10)의 상면에 구성된 유압자키(30)의 상부 로드(31)에 베어링탈착구(40)를 올려놓은 다음, 상기 유압자키(30)의 로드(31)를 유압에 의해 들어올린다.
상기 상승되는 로드(31)에 의해 이 로드(31)의 상부에 구성된 베어링 탈착구(40)가 상기 안착체인(50)에 안착된 너클암(60)내로 인입되며, 이 인입되는 베어링탈착구(40)는 상기 너클암(60)내에 압입된 허브베어링(B)에 접하게 된다.
이때, 상기 유압자키(30)의 유압에 의해 로드(31)를 계속해서 상승시키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허브베어링(B)은, 너클암(60)의 상부를 통해 빠져나오게 되고, 빠져나온 허브베어링(B)은, 다시 고정구(20)의 상부에 통공된 관통공(24)을 통해 밖으로 빠져나온다.
상기 로드(31)가 상승될 때에 상기 너클암(60)은, 상기 고정구(20)의 하단에 돌설된 압착부(23)의해 더욱 압착 고정되기 때문에, 상기 허브베어링(B)의 탈착을 원활하게 유도한다.
또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구(20)는, 힌지결합부(11a)의 힌지결합됨에 따라 자유로운 회동이 가능하기 때문에, 상기 너클암(60)이 상기 고정구(20)에 자유롭게 탈착된다.
상기와 같이 너클암(60) 내에 압입된 허브베어링(B)을 빼낸 후, 새 것으로 교환하는 방법은, 상기 고정구(20)에 놓여지는 너클암(60)을 역방향으로 하여 위치한 후, 유압자키(30)의 유압에 의해 너클암(60)내로 새 허브베어링을 밀어넣으면 되는 것으로 이 방법은, 상기 너클암(60)을 역방향으로 위치한다는 것 이외에는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자동차용 너클암의 허브 베어링 교환장치에 따르면, 너클암의 내부에 압입된 허브베어링의 탈착을 보다 간편하게 할 뿐만 아니라, 유압자키에 의해 서서히 압력을 가해주는 방법으로 탈착됨에 따라, 일정한 압력이 베어링탈착구 전체 요소 요소에 균등적으로 작용됨으로써 허브베어링의 탈착이 가능하게 됨에 따라 이 허브베어링을 재활용할 수 있으며, 또한, 혼자서도 너클암 내부에 압입된 허브베어링의 탈착 작업이 가능하여 작업의 단순화에 따른 인력낭비와 정비시간 낭비가 초래되었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힌지결합부(11a)가 상부에 형성된 지지구(11)가 일측에 돌설되고 타측에 결합부(12)를 갖으며, 일측 상단에 유동방지구(14)가 구성된 바닥판(10)과;
    상기 바닥판(10)의 일측에 입설된 지지구(11)의 상부에 형성된 힌지결합부(11a)에 일단이 끼워져 힌지결합되고, 타단에 파지부(21)가 형성된 고정구(20); 및
    상기 바닥판(10)의 상면에 인입되는 유압자키(30)와 그리고, 상기 유압자키의 로드(31) 상단에 구성되는 베어링 탈착구(40)가 더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너클암의 허브 베어링 교환장치.
KR2020000025745U 2000-09-08 2000-09-08 자동차용 너클암의 허브 베어링 교환장치 KR20021345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5745U KR200213451Y1 (ko) 2000-09-08 2000-09-08 자동차용 너클암의 허브 베어링 교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5745U KR200213451Y1 (ko) 2000-09-08 2000-09-08 자동차용 너클암의 허브 베어링 교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3451Y1 true KR200213451Y1 (ko) 2001-02-15

Family

ID=730799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5745U KR200213451Y1 (ko) 2000-09-08 2000-09-08 자동차용 너클암의 허브 베어링 교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345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12070A (en) Dual wheel puller/dolly
US6581265B2 (en) Wheel pulling apparatus
US6024416A (en) Wheel assembly for a stroller
US5740848A (en) Tire changer tool set
KR200213451Y1 (ko) 자동차용 너클암의 허브 베어링 교환장치
US5009257A (en) Tire breaker apparatus for all-terrain vehicle tires
CA2417498A1 (en) Bushing driver
US8225473B2 (en) Industrial tire ring tool
US3060559A (en) Bearing remover having axle holding reaction member
JP3162562B2 (ja) 自動二輪車の車軸支持構造
KR100322682B1 (ko) 타이어 탈착기
US6481084B2 (en) Method for removal of a vehicle hub and rotor assembly
CA2164287A1 (en) Bearing pusher
KR200393902Y1 (ko) 오일필터의 탈착용 공구
CN219901987U (zh) 一种便携式制动蹄片拆装工具
US6564848B1 (en) Bead vice tire tool
KR100578756B1 (ko) 차량의 리어 액슬 허브
CN214001224U (zh) 一种t字型鸟头
US6314632B1 (en) Steering wheel puller and method
CN220535680U (zh) 一种车轮快拆组件
JP2605879Y2 (ja) ベアリング着脱装置
JP2534025B2 (ja) ガスボンベ据付け用ブラケット
JPH059203Y2 (ko)
KR0133103Y1 (ko) 자동차 조향너클의 스핀들 너트 보호용 허브캡
KR19980030206U (ko) 차량의 스페어 타이어 탈, 장착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11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