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3325Y1 - 비계클램프 - Google Patents

비계클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3325Y1
KR200213325Y1 KR2020000026848U KR20000026848U KR200213325Y1 KR 200213325 Y1 KR200213325 Y1 KR 200213325Y1 KR 2020000026848 U KR2020000026848 U KR 2020000026848U KR 20000026848 U KR20000026848 U KR 20000026848U KR 200213325 Y1 KR200213325 Y1 KR 20021332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bridge
construction
scaffolding clamp
scaff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68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식
Original Assignee
이상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식 filed Critical 이상식
Priority to KR20200000268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332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332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3325Y1/ko

Links

Landscapes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교량 등과 같이 지상작업이 어려운 공사에서 교각 상부에 가설프레임을 완성하여 상기 가설프레임 위로 동바리, 안전망, 작업발판을 설치할 수 있는 비계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비계클램프는 전체적으로 ㄷ자형으로 양쪽의 측면부(11)와 상기 양쪽의 측면부(11) 하단을 잇는 연결부(12)로 구분되며, 상기 측면부(11)의 상부끝에는 ㄱ자형의 걸림편(13)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12)는 경사면을 이루는 본체(10); 상기 본체(10) 내측에 끼워지는 것으로 연결부(12)보다 길며, 하면은 상기 본체 연결부(12)의 경사면과 동일한 경사면(22)을 이루고 상면은 수평으로 압착면(21)을 형성하고 양단부는 마구리면(25a, 25b)을 형성하는 쐐기(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비계클램프를 이용하면 교량 등과 같이 지상작업이 어려운 공사에서 수평재와의 간단한 조립만으로 교각 상부에 가설프레임을 완성하여 상기 가설프레임 위로 동바리, 안전망 또는 작업발판을 설치함으로 콘크리트 바닥판의 타설 및 교량의 유지보수를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교각 하부 지반으로부터 시스템 동바리를 사용하던 것을 교각 상부, 거더높이로만 동바리를 설치할 수 있게 함으로써 자재비용과 노무비의 절감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Description

비계클램프{A scaffolding clamp}
본 고안은 비계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교량 등과 같이 지상작업이 어려운 공사에서 수평재와의 간단한 조립만으로 교각 상부에 가설프레임을 완성하여 상기 가설프레임 위로 동바리, 안전망, 작업발판을 설치함으로 콘크리트 바닥판의 타설 및 교량의 유지보수를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는 비계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공사에서 축조된 교각 상부로 슬래브 타설을 위한 가설방법은 교량의 형식, 현장지형, 가설높이, 교량하부의 교통상태, 공기 및 공사비 등의 여러 종합적인 요소를 고려하여 선정하게 된다.
종래에는 상부 구조물을 설치하기 위한 가설공법으로는, 이미 축조된 교각 사이에 거더를 지지하기 위한 가교각을 설치하고 교각 하부 지반으로부터 시스템 서포트 등을 사용하여 동바리를 설치한 후 그 상부로 슬래브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거푸집을 설치하는 동바리 공법, 교각 상부로 목재 동바리를 설치하는 목재 동바리 공법 또는 기계화된 동바리공과 거푸집을 사용하여 1스팬을 한번에 시공하는 이동식 비계 공법 등을 주로 적용해 왔다.
하지만 교각 하부 지반으로부터 동바리를 설치하는 동바리 공법은 가설높이가 높아지면 많은 자재와 인력을 필요로 하고 형하공간이 가설공간으로 확보되어야 하는 단점이 뒤따르며, 동바리 및 거푸집의 설치와는 별도로 작업자의 작업공간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거더 상부에 돌출된 스터드 볼트에서 철선을 연결한 후 측면으로 내려 단관비계를 묶어 작업발판 또는 안전망 등의 가설재를 설치하는 비계작업이 선행되어야만 한다.
한편, 목재 동바리를 설치하는 공법은 거더와 거더사이에 작업대 및 슬래브 동바리를 소요간격으로 설치한 후 합판 등으로 슬래브 거푸집을 조립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는데, 목재 동바리는 가공성이 좋고 초기 비용이 저렴한 반면 부재 자체의 강성이 좋지 않아 좁은 간격으로 설치되어야 하고 설치와 해체작업이 반복되면서 쉽게 파손되어 전용율을 떨어뜨리며 결과적으로 가설공사비를 증대시킨다.
또한, 이동식 비계 공법에서는 지반에서부터 동바리를 설치할 필요가 없어 형하공간이나 지반 등의 조건에 좌우되지 않고 시공할 수 있으나 설치작업이 복잡하고 대형장비의 투입이 필수적이다.
따라서 본 고안자는 상기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면서 교각상부에서 동바리를 설치할 수 있고 동시에 작업발판 또는 안전망을 설치할 수 있는 비계클램프를 개발하게 되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교량 등과 같이 지상작업이 어려운 공사에서 수평재와의 간단한 조립만으로 교각 상부에 가설프레임을 완성하여 상기 가설프레임 위로 동바리, 안전망 또는 작업발판을 설치함으로 콘크리트 바닥판의 타설 및 교량의 유지보수를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는 비계설치를 위한 비계클램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교각 하부 지반으로부터 시스템 동바리를 사용하던 것을 교각 상부, 거더높이로만 동바리를 설치할 수 있게 함으로써 자재비용과 노무비의 절감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비계클램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목재보다 내구성 및 강성이 좋고 전용률이 우수한 강재를 이용함으로 건축폐기물을 줄일 수 있고 경제적으로 시공가능한 비계클램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제1도 및 제2도는 본 고안의 비계클램프의 사시도이다.
제3도는 본 고안의 비계클램프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측면도(a) 및 사시도(b)이다.
제4도는 쐐기의 변형예를 도시한 비계클램프의 단면도이다.
제5도 및 제6도는 교량에서 본 고안의 비계클램프를 이용하여 가설재를 설치한 상태의 단면도 및 상세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교각 2: 거더
3: 턱이 형성된 부재 4: 턱
5: 쐐기식 비계클램프 6: 거푸집
7: 동바리 8: 콘크리트 슬래브
10: 본체 11: 측면부
12: 연결부 13: 걸림편
15: 리브 17: 엠보싱
19: 고정핀 20: 쐐기
21: 압착면 22: 경사면
25a, 25b: 마구리면 50: 수평재
도면에 따라 본 고안을 설명한다.
제1도 및 제2도는 본 고안의 비계클램프의 사시도이고 제3도는 비계클램프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측면도(a) 및 사시도(b)로, 본 고안의 비계클램프(5)는 본체(10)와 쐐기(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체(10)는 전체적으로 ㄷ자형상으로 양쪽의 측면부(11)와 상기 양쪽의 측면부(11) 하단을 잇는 연결부(12)로 구분되며, 상기 측면부(11)의 상부 끝에는 ㄱ자형의 걸림편(13)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12)는 경사면을 이룬다. 상기 본체(10)는 턱이 형성된 부재(3)의 턱(4)에 상기 걸림편(13)이 걸쳐지면서 설치된다. 제2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의 측면부(11)는 프레스로 가압하여 외측으로 볼록하고 내측으로 오목한 엠보싱(17)이 처리되도록 하거나 외측으로 보강판을 접합할 수 있다. 이는 일정 두께를 갖는 판상의 부재로 제작되는 측면부(11)를 보강하여 휘거나 비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체의 측면부(11) 상부 걸림편(13) 외측에 리브(15)를 접합하면 턱이 형성된 부재(3)의 턱(4)과의 접촉부위를 넓힐 수 있어 휨 또는 비틀림 방지에 더욱 효과적이다.
쐐기(20)는 상기 본체(10) 내측에 끼워지는 것으로 연결부(12)의 길이보다 길며, 하면은 상기 본체의 연결부(12)와 동일한 경사면(22)을 이루고 상면은 수평으로 압착면(21)을 형성하며 양단부는 마구리면(25a, 25b)을 형성한다. 상기 양단부의 마구리면(25a, 25b)은 경사면(22) 끝에서 형성되므로 서로 다른 크기를 갖는다. 상기 쐐기(20) 상부로는 수평재(50)가 설치되는 바 쐐기의 압착면(21)은 수평재(50)와 밀착되기 때문에 제4도와 같이 사용되는 수평재(50)의 형상에 따라 다양하게 제작될 수 있다. 제4a도는 수평재(50)로 원형강관을 사용하는 경우로 압착면(21)의 종단면이 원호를 이루고, 제4b도는 수평재(50)로 각형강관 또는 각종 형강류를 사용하는 경우로 압착면(21)의 종단면이 직선을 이루며, 제4c도는 압착면(21)의 종단면이 중앙부는 원호이면서 양단부는 직선을 이루기 때문에 수평재(50)로 각형강관, 원형강관 또는 형강류 중 어느 것을 사용해도 무방하게 된다.
또한, 상기 본체의 연결부(12)에 본체 내측으로 고정핀(19)을 접합하고 쐐기의 경사면(22)에 상기 고정핀(19)의 머리보다 작은 폭으로 기다란 슬릿이 형성되도록 하면 본체(10)와 쐐기(20)가 분리되지 않아 취급 및 관리가 용이해진다.
제5도 및 제6도는 교량에서 본 고안의 비계클램프를 이용하여 가설재를 설치한 구체예로, 이하 강교 가설방법을 설명한다.
강교에서 하부구조물인 교각공사가 완성되면 교각(1) 상부에 거더(2)가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된다. 상기 거더(2)로는 강상자, H 형강 또는 I 형강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강상자는 턱이 형성되도록 제작되기 때문에 그대로 적용가능하고 H 형강 또는 I 형강의 경우에는 상기 H 형강 또는 I 형강의 하부 플랜지가 턱을 대신하게 된다.
본 고안의 비계클램프(5)의 쐐기(20)를 크기가 큰 마구리면(25a) 쪽으로 밀어냄으로써 본체(10) 내측 공간을 충분히 확보한 후, 상기 본체(10) 내측 공간에 수평재(50)를 삽입하여 준비하고 상기 비계클램프의 걸림편(13)이 거더(2)의 턱에 걸쳐지도록 설치한다. 비계클램프(5)의 크기가 큰 쪽 쐐기의 마구리면(25a)을 해머로 타격하면, 쐐기의 경사면(22)은 본체의 연결부(12)를 따라 이동하면서 쐐기의 압착면(21)과 수평재(50)는 거더(2) 하부면에 균일하게 압착되고, 곧 비계클램프(5) 및 수평재(50)는 거더(2)에 단단하게 고정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본 고안의 비계클램프(5)와 수평재(50)를 교량에 설치한 후 제5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재(50) 위로 동바리(7)를 설치하면 슬래브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거푸집(6)을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동바리(7)는 교각 상부, 즉 거더 하부에서 거더 상부까지의 높이로 거더를 따라 연속하여 설치된다. 또한 별도의 비계 설치 작업없이 상기 수평재 위에 안전망 또는 작업발판을 설치하면 가설작업이 완성된다. 교각 상부 구조물이 완성되면 가설구조물의 설치와 반대로 작업하여 해체한다.
본 고안의 비계클램프를 이용하면 교량 등과 같이 지상작업이 어려운 공사에서 수평재와의 간단한 조립만으로 교각 상부에 가설프레임을 완성하여 상기 가설프레임 위로 동바리, 안전망 또는 작업발판을 설치함으로 콘크리트 바닥판의 타설 및 교량의 유지보수를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교각 하부 지반으로부터 시스템 동바리를 사용하던 것을 교각 상부, 거더높이로만 동바리를 설치할 수 있게 함으로써 자재비용과 노무비의 절감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목재 대신 강재를 이용하므로 건축폐기물을 줄일 수 있으며, 강재는 내구성 및 강성이 좋고 전용율이 우수한 자재이므로 가설구조물의 설치와 해체가 반복되는 교량공사에서 경제적인 시공을 가능하게 한다.

Claims (4)

  1. 전체적으로 ㄷ자형으로 양쪽의 측면부(11)와 상기 양쪽의 측면부(11) 하단을 잇는 연결부(12)로 구분되며, 상기 측면부(11)의 상부끝에는 ㄱ자형의 걸림편(13)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12)는 경사면을 이루는 본체(10); 및,
    상기 본체(10) 내측에 끼워지는 것으로 연결부(12)보다 길며, 하면은 상기 본체 연결부(12)의 경사면과 동일한 경사면(22)을 이루고 상면은 수평으로 압착면(21)을 형성하고 양단부는 마구리면(25a, 25b)을 형성하는 쐐기(2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계클램프.
  2. 제1항에서, 상기 본체의 측면부(11)는 프레스로 가압하여 외측으로 볼록하고 내측으로 오목한 엠보싱(17)으로 처리되거나 또는 외측으로 보강판이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계클램프.
  3.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본체의 측면부(11) 상부 걸림편(13)의 외측에 비틀림 보강용 리브(15)가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계클램프.
  4. 제1항에서, 상기 압착면(21)은 그 단면이 직선 또는 원호 또는 중앙부는 원호이면서 양단부는 직선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계클램프.
KR2020000026848U 2000-09-25 2000-09-25 비계클램프 KR20021332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6848U KR200213325Y1 (ko) 2000-09-25 2000-09-25 비계클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6848U KR200213325Y1 (ko) 2000-09-25 2000-09-25 비계클램프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1690A Division KR100383890B1 (ko) 2000-09-01 2000-09-01 비계클램프 및 이를 이용한 강교 가설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3325Y1 true KR200213325Y1 (ko) 2001-02-15

Family

ID=730891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6848U KR200213325Y1 (ko) 2000-09-25 2000-09-25 비계클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332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47904B1 (en) Fly clamp for reinforcing bars in concrete construction
CA2420326C (en) Scaffolding for bridges and other structures
KR100882464B1 (ko) 지지구가 보강된 데크플레이트
US20200018020A1 (en) Road form work
JP6180376B2 (ja) 合成桁の床版取替工法における主桁仮受け方法と、合成桁の床版取替工法と、合成桁の床版取替工法における主桁仮受け構造
KR100903211B1 (ko) 지지구가 보강된 데크플레이트
KR100838409B1 (ko) 데크형 복공판
KR100383890B1 (ko) 비계클램프 및 이를 이용한 강교 가설방법
KR101816767B1 (ko) 철근콘크리트 강합형 파형강판 보강 구조물
JPH0782709A (ja) 中空pc鋼棒を使用した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補強方法
KR100373783B1 (ko) 피시빔교용 가설브래킷 및 이를 이용한 피시빔교 가설방법
KR101687748B1 (ko) 탈형 데크
KR20100123405A (ko) 에이치 형강 매립 구조
KR200213325Y1 (ko) 비계클램프
CN217810491U (zh) 一种桥梁伸缩缝
KR101028372B1 (ko) 트러스 합성 데크 플레이트의 연결 구조
JP3707006B2 (ja) 既設組積造壁における開口部の新設方法
KR100694824B1 (ko)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데크 플레이트 및 그에 따른구조물의 시공방법
KR200430300Y1 (ko) 건축물의 슬래브 성형을 위한 거푸집 받침장치에 적합한보강받침대
CN210947345U (zh) 一种用于超长建筑结构的温度应力释放结构
KR100903442B1 (ko) 안전 난간의 지지 구조물
KR200213539Y1 (ko) 안전 작업대의 프레임
KR200222611Y1 (ko) 피씨빔 공법 또는 스틸 박스 공법에 적용되는 슬라브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
JP4293696B2 (ja) 合成床版橋の構築方法
KR200346435Y1 (ko) 고정수단이 구비된 트러스형 데크 플레이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