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3281Y1 - 곡물 이송 및 보관용 박스형 빈 - Google Patents

곡물 이송 및 보관용 박스형 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3281Y1
KR200213281Y1 KR2020000025600U KR20000025600U KR200213281Y1 KR 200213281 Y1 KR200213281 Y1 KR 200213281Y1 KR 2020000025600 U KR2020000025600 U KR 2020000025600U KR 20000025600 U KR20000025600 U KR 20000025600U KR 200213281 Y1 KR200213281 Y1 KR 20021328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n
forklift
grain
fork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56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용교
Original Assignee
대원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원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원산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000256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328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328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3281Y1/ko

Links

Landscapes

  • Storage Of Harvested Produc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곡물의 이송 및 보관용 박스형 빈에 관한 것으로, 둘레는 플라스틱등을 재질로하는 그물망(100)으로 싸여 통풍이 잘 되도록 구성되었으며, 빈의 하부는 지게차의 삽입이 용이함은 물론 로테이팅 포크(Rotating Fork)(601) 기능을 가진 지게차(600)에 의해서 적재한(담은) 곡물 원료를 쉽게 하역(unload)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빈의 적층이 가능토록 하여 보관창고의 공간확보는 물론 기존의 포대에 넣어 보관하던 번거러움과 호퍼(hopper)에서의 보관시 이동이 불가능한 단점을 보완하였다. 즉 본 고안의 빈은 곡물의 부패 원인을 막기 위해 외부가 그물망으로 싸이고, 지게차에 의해 쉽게 이송과 하역이 편리할 수 있도록 바닥에는 지게차의 포크삽입과 로테이팅 포크(601) 사용이 가능토록 포크 안내부(200(a), 200(b))를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곡물 이송 및 보관용 박스형 빈{The box type bin for the transfer and storage of grains}
본 고안은 대량 곡물원료를 취급하는 미곡종합처리장(RPC:Rice Processing Complex)이나 정미소에서 곡물의 이송 및 보관용 박스형 빈에 관한 것으로, 특히 빈(bin)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더 자세하게 보면, 빈 둘레는 그물망(100)으로 싸여 통풍이 잘 되도록 구성되었으며, 빈의 하부는 지게차의 포크삽입이 용이함은 물론 로테이팅 포크(Rotating Fork)(601) 기능을 가진 지게차(600)에 의해서는 적재한(담은) 곡물 원료를 쉽고, 정확하게 하역(unload)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통상적으로 곡물의 원료는 큰 포대(ton bag)를 이용하여 이송 및 보관되거나 이동이 불가능한 가공 전의 고정 호퍼(hopper)에 일시적으로 보관되어 왔다. 이로 인하여 장기간 보관시 공기 통풍이 이루어지지 않아 곡물의 부패가 빈번하였으며, 곡물포대에 있어서 이송과 하역이 불편하였고 곡물창고에 보관시 많은 공간을 차지하는 문제점을 가지게 되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빈 둘레는 그물망(100)으로 싸여 통풍이 잘 되도록 구성되었으며, 빈의 바닥(저면)은 지게차의 포크삽입이 용이함은 물론 로테이팅 포크(Rotating Fork)(601) 기능을 가진 지게차(600)에 의해서는 적재한(담은) 곡물 원료를 쉽고 정확하게 하역(unload)할 수 있고, 빈의 네 모서리 부분을 이용하여 정렬된 적층(積層)과 함께 공간확보가 가능하도록 하는데 있다.
제 1 도는 본 고안에 따른 빈의 사시도
제 2 도는 본 고안에 따른 현장 응용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그물망 200(a), 200(b) : 포크 안내부
300 : 크레인 연결구 및 적재 지지봉 확인구
400 : 적재 지지봉 500 : 지지대
501 : 조립 볼트
600 : 로테이팅 포크가 구비된 지게차 601 : 로테이팅 포크
700 : 곡물 원료 800 : 원료 용기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빈의 사시도이다. 본 고안은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곡물의 이송 및 보관이 용이한 빈에 관한 것으로서, 빈 둘레는 부식을 막기 위해 조밀한 플라스틱이나 철을 재질로 하는 그물망(100)으로 싸여 통풍이 잘 되도록 구성하였다. 또한 빈의 상부 네 곳의 모서리 부분에는 하부네 곳의 모서리 부분의 적재 지지봉(400)과 함께 정렬된 적층(積層)이 가능하도록 하는 동시에 크레인에 의해서도 이동 가능하도록 하는 크레인 연결구 및 적재 지지봉 확인구(300)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빈의 하부는 지게차의 포크삽입과 로테이팅 포크(Rotating Fork)(601) 기능을 가진 지게차(600)에 의해서 하역이 가능하도록 포크 안내부(200(a), 200(b))가 구성되었다.
그리고 본 고안 빈의 각 5면[A(정면), B(좌측면), C(우측면), D(뒷면), E(저면)]들은 조립볼트(501)로 지지대(500) 축에 서로 조립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었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현장 응용도로서, 로테이팅 포크(601) 기능을 갖춘 지게차(600)에 의해 본 고안 빈에 담긴 곡물 원료(700)를 지정한 곡물용기(800)에 하역하는 예시도이다. 로테이팅 포크(601)가 작동하게 되면 F상태의 빈은 G상태의 빈으로 회전하여 곡물원료를 지정한 곡물용기(800)에 정확히 하역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곡물의 이송 및 보관이 용이한 본 고안은 그물망(100) 사용으로 통풍이 잘되어 곡물원료가 부패되지 않도록 구성하였을 뿐만 아니라, 정렬된 적층(積層)이 가능하여 보관창고의 공간확보가 가능하고, 로테이팅 포크(Rotating Fork)(601) 기능을 가진 지게차(600)에 의해서는 적재한(담은) 곡물 원료를 쉽고, 정확하게 지정한 곡물 용기(800)에 하역(unload)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Claims (2)

  1. 곡물의 이송 및 보관용 빈에 있어서, 상기한 빈은 5면(A,B,C,D,E)에 의해 조립되도록 구성하고, 둘레는 그물망(100)으로 싸서 빈 내부에 통풍이 잘 이루어지도록 구성하고, 상부의 네 곳 모서리 부분에는 하부 네 곳 모서리 부분의 적재 지지봉(400)과 함께 정렬된 적층(積層)이 가능하도록 하는 동시에 크레인에 의해서도 이동 가능하도록 하는 크레인 연결구 및 적재 지지봉 확인구(300)를 구성하고, 또한 하부에는 지게차의 포크삽입과 로테이팅 포크(Rotating Fork)(601) 기능을 가진 지게차(600)에 의해서 적재한(담은) 곡물 원료를 쉽고, 정확히 하역(unload)할 수 있도록 포크 안내부(200(a), 200(b))가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이송 및 보관용 박스형 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그물망(100)은 플라스틱 혹은 기타 철재 재질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이송 및 보관용 박스형 빈.
KR2020000025600U 2000-09-08 2000-09-08 곡물 이송 및 보관용 박스형 빈 KR20021328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5600U KR200213281Y1 (ko) 2000-09-08 2000-09-08 곡물 이송 및 보관용 박스형 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5600U KR200213281Y1 (ko) 2000-09-08 2000-09-08 곡물 이송 및 보관용 박스형 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3281Y1 true KR200213281Y1 (ko) 2001-02-15

Family

ID=730885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5600U KR200213281Y1 (ko) 2000-09-08 2000-09-08 곡물 이송 및 보관용 박스형 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328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95522A (en) Bottom dumping bulk container apparatus
US5878903A (en) Extensible and extractable cargo container
US7476068B2 (en) Cargo shipping assembly and method
US6533121B1 (en) Palletized bulk bag
GB2446553A (en) Container for shipping vehicles
US4875814A (en) Intermodal caged flatbed for efficient containerized cargo handling
US3917354A (en) Containerized handling of flowable solids
KR200213281Y1 (ko) 곡물 이송 및 보관용 박스형 빈
US3981083A (en) Grain storage and shipping containers
US4983089A (en) Mobile silo
US20020007602A1 (en) Intermodal container pallet
US5395002A (en) Collapsible plastic container
JPH1059364A (ja) 組立式箱体
AU2014295810B2 (en) Shipping or cargo containers and inserts therefor
JP2002160793A (ja) 可変容積コンテナ及び同コンテナを用いた輸送方法
CN216103327U (zh) 一种双层双向翻板式托盘笼架
KR200255475Y1 (ko) 콘테이너 백
JPH055191Y2 (ko)
JPS6340477Y2 (ko)
US20230111684A1 (en) Plastic roll-off container
CN219567341U (zh) 与集装袋配合使用的翻转装置
CN209396186U (zh) 层叠式木箱
KR0113774Y1 (ko) 화물 상하차 장치
CN206654405U (zh) 一种集装箱
KR880002605Y1 (ko) 파레트 겸용 포장상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