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3172Y1 - 대용량 팻트병 걸이구 - Google Patents

대용량 팻트병 걸이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3172Y1
KR200213172Y1 KR2020000026605U KR20000026605U KR200213172Y1 KR 200213172 Y1 KR200213172 Y1 KR 200213172Y1 KR 2020000026605 U KR2020000026605 U KR 2020000026605U KR 20000026605 U KR20000026605 U KR 20000026605U KR 200213172 Y1 KR200213172 Y1 KR 20021317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stic bottle
support plate
plastic
elastic support
ha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660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석일
Original Assignee
지석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석일 filed Critical 지석일
Priority to KR202000002660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317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31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3172Y1/ko
Priority to JP2001004775U priority patent/JP3083537U/ja

Links

Landscapes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대용량 팻트병 걸이구는 일측이 개방되어 팻트병이 삽입되는 상단부와, 상단부를 통하여 삽입된 팻트병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탄력지지부와, 상기 탄력지지부로부터 삽입된 팻트병의 종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 형성되어 걸이구 전체를 지지하는 측면부와, 측면부 일측에 형성된 손잡이와, 상기 측면부 하단에 형성된 체결부를 통하여 체결되고 팻트병의 중심을 파지하도록 원형의 일측이 개방된 받침판과, 받침판의 일측 및 이와 대향하는 부분에 형성되어 광고 판촉물을 끼울수 있도록 한 걸림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구성에 의해 사용자가 팻트병을 파지할 경우 파지를 견고히 할 수 있고, 내용물이 팻트병 표면으로 누출된 경우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대용량 팻트병 걸이구{LARGE CONTENT PET-BOTTLE HOLDER}
본 고안은 팻트병 걸이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팻트병의 파지를 견고히 할 수 있고,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대용량 팻트병 걸이구에 관한 것이다.
소위 팻트(pet)병이라 불리우는 합성수지제 병은 생수를 비롯한 각종 음료수 및 식용유, 간장 등을 저장하는 용기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휴대의 편리성, 가벼움 등의 장점을 갖는 팻트병은 계속해서 그 사용이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여러 종류의 팻트병 중 휴대용의 소형 팻트병을 제외한 대형 팻트병, 특히 음료수 및 생수병으로 사용되는 대형 팻트병은 내용물의 신선도를 유지하고자 냉장 또는 냉동 상태에서 판매되는데, 소비자가 손으로 휴대할 경우 팻트병 표면의 찬 수분에 손이 직접 노출되어 매우 불리하였고, 내용물을 꺼낼때 상대적으로 손의 힘이 약한 어린이나 여성은 내용물이 충만한 경우 다루기가 쉽지 않았다.
또한, 가정에서 식용유병 또는 간장병 등으로 팻트병을 사용할 경우, 내용물을 이용하고 난 후 팻트병 표면으로 내용물이 흘러 추후 사용시에 손으로 직접 휴대하기 불편하고 위생상 매우 불리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파지가 용이하고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대용량 팻트병 걸이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상기 대용량 팻트병 걸이구를 다양한 크기의 팻트병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대용량 팻트병 걸이구와 팻트병과의 착탈을 손쉽게 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대용량 팻트병 걸이구는 일측이 개방되어 팻트병이 삽입되는 상단부와, 상단부를 통하여 삽입된 팻트병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탄력지지부와, 상기 탄력지지부로부터 삽입된 팻트병의 종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 형성되어 걸이구 전체를 지지하는 측면부와, 측면부 일측에 형성된 손잡이와, 상기 측면부 하단에 형성된 체결부를 통하여 체결되고 팻트병의 중심을 파지하도록 원형의 일측이 개방된 받침판과, 받침판의 일측 및 이와 대향하는 부분에 형성되어 광고 판촉물을 끼울수 있도록 한 걸림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대용량 팻트병 걸이구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대용량 팻트병 걸이구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대용량 팻트병 걸이구의 사용 상태도를 나타낸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상단부 13 ----- 탄력지지부
15 ----- 측면부 17 ----- 손잡이
19 ----- 받침판 21 ----- 걸림턱
23 ----- 체결부 30 ----- 팻트병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대용량 팻트병 걸이구의 사시도, 도 2는 측면도, 도 3은 사용 상태도를 나타낸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대용량 팻트병 걸이구는 일측이 개방되어 팻트병이 삽입되는 상단부(10)와, 상단부(10)를 통하여 삽입된 팻트병(30)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탄력지지부(13)와, 상기 탄력지지부(13)로부터 삽입된 팻트병(30)의 종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 형성되어 걸이구 전체를 지지하는 측면부(15)와, 측면부(15) 일측에 형성된 손잡이(17)와, 상기 측면부(15) 하단에 형성된 체결부(23)를 통하여 체결되고 팻트병(30)의 중심을 파지하도록 원형의 일측이 개방된 받침판(19)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측면부(15)와 받침판(19)의 체결에 있어서, 현재 시판되고 있는 팻트병은 그 크기가 매우 한정되어 있어 받침판(19)의 체결 적용 범위가 광범위하나, 특별한 경우 크기가 상이한 받침판을 체결하기 위하여 받침판은 체결부(23)를 통하여 체결이 자유롭도록 착탈식으로 제공된다. 또한, 팻트병(30)의 목 부분(상단부(10)에 끼워지는 부분)은 대부분 그 직경이 한정되고 상단부(10)는 팻트병(30)이 삽입된 후 지지 역할만을 수행하므로 상단부(10)의 크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단부(10)는 팻트병(30)의 삽입시 이를 지지하기 위하여 끝단이 원의 안쪽으로 약간 휘어 있으며, 상단부(10)가 측면부(15)와 연계되기 이전에 소정 간격 꺽인 구간, 즉 탄력지지부(13)가 형성되어 팻트병(30)의 삽입시 내용물의 무게에 의한 탄력에 기인하여 팻트병(30)이 걸이구에 안전하게 착용된다.
도면의 부호 21은 걸림턱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받침판(19)의 일측 및 이와 대향하는 부분에 형성되어 광고 판촉물을 끼울수 있도록 한다. 비록 도면으로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상기 광고 판촉물은 상품의 이미지 등을 효과적으로 나타낼 수 있는 물품 또는 걸이구의 미관을 보다 수려하게 하는 물품 등을 상기 걸림턱(21)에 끼워 사용한다. 이때, 상기 걸림턱(21)은 도면과 같은 형태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체결 방식을 취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고안의 대용량 팻트병 걸이구는 통상의 플라스틱과 같은 탄성력이 우수한 재료가 바람직한 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하, 도 3을 참고로 본 고안의 대용량 팻트병 걸이구의 사용예를 알아본다.
먼저, 사용자가 받침판(19)의 개방부에 팻트병(30)을 끼운 후 팻트병(30)의 목부분을 걸이구의 상단부(10)에 끼움으로써 팻트병(30)은 걸이구에 안착하게 된다. 그후, 사용자는 손잡이(17)를 잡고 팻트병(30)을 기울여 소망하는 만큼의 내용물을 병 밖으로 방출시킨다. 이상과 같은 과정의 반복에 의해 팻트병(30)의 내용물이 일정량 방출되고 나면 사용자는 상기 결합과정과 반대 과정을 통해 팻트병(30)을 걸이구로부터 떼어낸다.
본 고안의 대용량 팻트병 걸이구에 따르면 팻트병의 파지를 견고히 할 수 있고, 팻트병을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Claims (1)

  1. 일측이 개방되어 팻트병(30)이 삽입되는 상단부(10)와,
    상기 상단부(10)를 통하여 삽입된 팻트병(30)을 지지하는 탄력지지부(13)와,
    상기 탄력지지부(13)로부터, 삽입된 팻트병(30)의 종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 형성된 측면부(15)와,
    상기 측면부(15) 일측에 형성된 손잡이(17)와,
    상기 측면부(15) 하단에 형성된 체결부(23)를 통하여 체결되고 팻트병(30)의 중심을 파지하도록 원형의 일측이 개방된 받침판(19)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대용량 팻트병 걸이구.
KR2020000026605U 2000-09-21 2000-09-21 대용량 팻트병 걸이구 KR200213172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6605U KR200213172Y1 (ko) 2000-09-21 2000-09-21 대용량 팻트병 걸이구
JP2001004775U JP3083537U (ja) 2000-09-21 2001-07-19 大容量ペットボトルの掛け具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6605U KR200213172Y1 (ko) 2000-09-21 2000-09-21 대용량 팻트병 걸이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3172Y1 true KR200213172Y1 (ko) 2001-02-15

Family

ID=432350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6605U KR200213172Y1 (ko) 2000-09-21 2000-09-21 대용량 팻트병 걸이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3083537U (ko)
KR (1) KR20021317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083537U (ja) 2002-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682352A (en) Detachable handle for cylindrical containers
CA2510299C (en) Bottle holder
US6352235B2 (en) Combination bottle hook and wrench
US6481590B1 (en) Container carrier
US5447259A (en) Container carriers
US20040108346A1 (en) Clip-on water or beverage bottle holder
US20100308006A1 (en) Closure and bottle
US5613720A (en) Cup holder
US5810218A (en) Bottle carrier
US20070125791A1 (en) Insulating sleeve for a glass
US20140239003A1 (en) Carrying device for containers
AU2002334351A1 (en) Paint brush holder consisting of one part
KR200213172Y1 (ko) 대용량 팻트병 걸이구
KR200248363Y1 (ko) 대용량 팻트병 걸이구
US20050127120A1 (en) Lanyard neckwear twin-arm bottled water holder
US20030214140A1 (en) Combination bottle holder and pitcher type container
KR200432667Y1 (ko) 희석식 음료용기
JP2001106272A (ja) ペットボトル用携帯具
CA2341863A1 (en) Bottle carrying apparatus
KR20080028249A (ko) 희석식 음료용기
KR101802072B1 (ko) 오프너 기능이 구비된 물병걸이
US20020053116A1 (en) Ezi handle
KR200177548Y1 (ko) 피이티병 휴대용 고리
JP2001097400A (ja) 包装容器
KR200207382Y1 (ko) 음료수 휴대용 손잡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