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2928Y1 - Decorative material for construction - Google Patents

Decorative material for constru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2928Y1
KR200212928Y1 KR2020000022669U KR20000022669U KR200212928Y1 KR 200212928 Y1 KR200212928 Y1 KR 200212928Y1 KR 2020000022669 U KR2020000022669 U KR 2020000022669U KR 20000022669 U KR20000022669 U KR 20000022669U KR 200212928 Y1 KR200212928 Y1 KR 20021292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stering
construction
decorative
building
fini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2669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아름
Original Assignee
김아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아름 filed Critical 김아름
Priority to KR20200000226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2928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292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2928Y1/en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건축용 미장 마감재에 관하여, 건물의 내외 벽면과 바닥면 등에 타일 등의 각종 미장재로 마무리공사를 하면서 서로 다른 미장재의 사이에 설치하여 외관의 의장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 고정부와 장식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에 절곡부를 형성하여 장식부의 높이와 경사도를 자유롭게 조절하여 설치하도록 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마감재의 생산, 보관 취급 및 시공성이 매우 우수한 이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designed to improve the appearance of the exterior by installing between different plastering materials while finishing the construction of various plastering materials such as tiles on the interior and exterior walls and floors of the building with respect to the construction plastering finishing materials. Forming the bent portion to connect to be connected to be installed to adjust the height and inclination of the decoration freely, according to this there is a very excellent advantage in the production, storage handling and construction of the finishing material.

Description

건축용 미장 마감재{DECORATIVE MATERIAL FOR CONSTRUCTION}Plasterer for Buildings {DECORATIVE MATERIAL FOR CONSTRUCTION}

본 고안은 건물의 벽면과 바닥면에 타일 등의 미장재를 부착하면서 사용하는 건축용 미장 마감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마감재 몸체의 경사 장식판의 높이와 경사도가 연결부를 절곡시킴에 의해 조절되도록 함으로써 시공되는 미장재의 형태와 치수에 구애됨이 없이 형태를 변형시켜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건축용 미장 마감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ilding plaster finish for use while attaching a plastering material, such as tiles to the wall and floor of the building, in particular the plastering that is constructed by adjusting the height and slope of the inclined decorative plate of the finish body by bending the connection It relates to a building plastering finishing material that can be freely used by changing the shape without regard to the shape and dimensions of the ash.

일반적으로 건물의 내장공사 및 미장공사 등의 마무리공사를 함에 있어서 건물의 외관 및 방수 등을 위하여 브론즈 타일, 마블(대리석) 타일, 슬레이트 타일, 시유 타일과 무유 타일 등의 타일로 내외 벽면과 바닥면을 부착하는 경우에는 벽면과 바닥면에 시멘트 몰탈을 균일하고 편평하게 바른 다음 타일 붙임 계획에 의하여 줄눈이 가늘고 바르게 되도록 부착하게 된다.In general, the interior and exterior finishing of buildings, such as bronze tiles, marble (marble) tiles, slate tiles, oil-based tiles and oil-free tiles for the exterior and waterproofing of the building, etc. In case of attaching the cement mortar uniformly and evenly on the wall and the floor, the joints are attached so that the joint is thin and straight.

그리고, 건물의 마무리를 위하여 사용되는 자재에는 타일 이외에 합성수지 판재, 나무 판재, 종이 등의 재료도 사용되고 있으며, 타일, 판재 및 종이 등을 부착하지 않고 몰탈층으로 마감하거나, 도료를 칠하여 마감하는 경우도 있다.In addition to the tiles, materials used for finishing the building may also be made of materials such as synthetic resin, wood, and paper, and may be finished with a mortar layer or painted with no tiles, plates, or paper. have.

이와 같이, 건물의 내외 벽면과 바닥면 등을 타일과 여러가지 다른 재료를 이용하여 마무리하는 경우 타일이 부착되는 영역의 단부에서 타일과 다른 재료의 높이가 맞지 않고, 타일의 단면과 몰탈층이 노출되어 거칠게 보이게 되므로 외관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As such, when the interior and exterior walls and floors of a building are finished using tiles and various other materials, the heights of the tiles and other materials do not match at the end of the area where the tiles are attached, and the end faces of the tiles and the mortar layer are exposed. Since it looks rough,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appearance is dropped.

상기한 바와 같이, 건물의 대상면을 서로 다른 형태와 두께를 갖는 미장재료를 이용하여 마무리하는 경우에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서로 다른 미장재료가 부착되는 영역의 경계선에 마감재를 결합하여 의장감을 향상시키고 있으나, 이러한 종래의 마감재는 사용되는 미장재에 따라 사용될 수 있는 치수가 한정되어 있으므로 호환성이 결여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에 따라 마감재의 생산, 보관 취급 및 시공성이 불리한 것이었다.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caused when finishing the target surface of the building by using a plastering material having a different shape and thickness, conventionally by combining the finishing material to the boundary of the area where the different plastering materials are attached Although improving the design, such a conventional finish has a problem that lacks compatibility because the size can be used according to the plastering material used, and thus the production, storage handling and construction of the finish was disadvantageous.

이하, 종래의 미장 마감재를 도면 도 1 내지 도 4에 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 conventional plastering finish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4.

도 1은 종래 미장 마감재의 시공예를 보인 사시도로서, 건물의 내벽면, 외벽면 또는 바닥면과 같은 대상면(1)에 몰탈과 같은 접착재(3)를 바르고, 서로 두께가 다른 타일(5),(7)를 부착한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struction example of a conventional plastering finish, applying an adhesive material (3) such as mortar on the target surface (1), such as the inner wall surface, outer wall surface or floor surface of the building, the thickness of the tiles (5) A configuration in which 7 is attached is shown.

그리고, 이와 같이 서로 두께가 다른 타일(5),(7)이 부착되어 높이가 다른 양쪽 부분의 경계부분에는 외관을 향상시키기 위한 미장 마감재(9)가 부착되어 있다.In this way, tiles 5, 7 having different thicknesses are attached to each other, and a plaster finish 9 for improving the appearance is attached to the boundary portions of both parts having different heights.

도 2는 미장 마감재의 종단면도로서, 이를 함께 참조하면, 상기 미장 마감재(9)는 고정부(11)와 장식부(13)가 연결부(15)로 일체로 연결된 형태로 되어 있다.FIG. 2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 plasterer, and referring to this, the plasterer 9 has a form in which the fixing part 11 and the decorative part 13 are integrally connected to the connecting part 15.

도 3 및 도 4는 서로 다른 시공예를 보인 종단면도로서, 도 3과 도 4에서 일측부 타일(5)은 서로 두께가 같으나 타측부 타일(7)은 두께가 서로 다른 형태로 시공된 예가 도시되어 있다.3 and 4 are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different construction examples. In FIG. 3 and FIG. 4, one side tile 5 has the same thickness but the other side tile 7 is constructed in different thickness. It is.

상기 미장 마감재(9)는 대상면(1)과 양쪽 타일(5),(7) 사이의 접착재(3) 층에 고정부(11)와 연결부(15)가 매입되고, 장식부(13)가 노출된 형태로 설치되며, 이와 같이 시공되면 서로 높이가 다른 양쪽 타일면의 경계부분이 노출되지 않으므로 외관이 향상된다.The plaster finish 9 has a fixing portion 11 and a connecting portion 15 embedded in a layer of adhesive material 3 between the target surface 1 and both tiles 5 and 7, and the decorative portion 13 is It is installed in an exposed form, and the construction improves the appearance since the boundary portions of both tile surfaces having different heights are not exposed.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미장 마감재(9)는 도 3 및 도 4와 같이, 장식부(13)의 상단부(17)가 높은 위치의 타일(5)에 밀착되고, 하단부(19)가 낮은 위치의 타일(7)에 밀착되는 형태로 시공되는 것이므로, 도 2와 같이 미장 마감재(9)에 구비된 장식부(13)의 상단부(17)와 하단부(19)의 높이(h1),(h2)가 결정되어 제조되면 그 규격에 적합하게 시공되는 벽면에만 사용될 뿐 시공치수가 다른 벽면에는 사용되지 못한다.The conventional plaster finish 9 as described above, as shown in Figs. 3 and 4, the upper end 17 of the decorative portion 13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tile 5 of the high position, the lower end 19 of the lower position Since the construction i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tile (7), the height (h1), (h2) of the upper end 17 and the lower end 19 of the decorative portion 13 provided in the plaster finish 9 as shown in FIG. Once determined and manufactured, it is only used for walls that conform to the specification, and cannot be used for walls with different construction dimensions.

예를 들어 도 2의 미장 마감재(9)가 양쪽 타일(5),(7) 및 접착재(3)의 두께 등의 여러가지 시공치수에 따라 도 3과 같이 시공되는 타일벽면에 설치되는 것이라면, 이러한 규격의 미장 마감재(9)는 도 4와 같이 양쪽 타일(5),(7)의 시공치수가 도 3의 형태와 상이한 경우에는 사용하지 못할 수 없고, 다른 규격의 미장 마감재가 필요하게 된다.For example, if the plaster finish 9 of FIG. 2 is installed on the tile wall surface as shown in FIG. 3 according to various construction dimensions, such as the thickness of both the tiles 5, 7 and the adhesive 3, such a specification Plaster finish 9 of the two can not be used when the construction dimensions of the tiles (5), (7) is different from the form of Figure 3, as shown in Figure 4, the plaster finish of different standards is required.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의 미장 마감재는 고정부와 장식부가 연결부에 의해 일체로 연결되고, 그 형태를 변경시킬 수 없도록 제조된 것이므로 각종 타일, 판재 및 종이 등의 다양한 형태의 미장재를 혼용하여 시공할 경우 여러가지 규격의 미장 마감재가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와 같이 호환성이 결여됨에 따라 자재를 생산, 보관 취급 및 시공하는 과정에서 많은 시간, 인력 및 비용이 요구되는 단점이 있었다.As described above, the conventional plaster finishing material is integrally connected by the connecting part and the decorative part, and is manufactured so as not to change the shape thereof, so that various types of plastering materials such as various tiles, plates, and paper can be mixed and installed. In this case, there is a problem that a plaster finish of various standards is required, and as such a lack of compatibility requires a lot of time, manpower and cost in the process of producing, storing, handling and constructing materials. there was.

본 고안은 상기한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 및 결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마감재 몸체의 경사 장식판의 높이와 경사도가 연결부를 절곡시킴에 의해 조절되도록 함으로써 시공되는 미장재의 형태와 치수에 구애됨이 없이 형태를 변형시켜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건축용 미장 마감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defects described above, the height and inclination of the inclined decorative plate of the finishing material body is to be adjusted by bending the connecting portion is to be limited to the shape and dimensions of the plastering material to be constructed It is to provide a building plaster finish that can be freely used by modifying the form without.

도 1 내지 도 4는 종래의 미장 마감재에 관한 도면으로서,1 to 4 is a view of a conventional plastering finish,

도 1은 미장 마감재의 시공예를 보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struction example of a plastering finish.

도 2는 미장 마감재의 종단면도.2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 plasterer.

도 3 및 도 4는 서로 다른 시공예를 보인 종단면도.3 and 4 are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different construction example.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미장 마감재의 측면도.5 is a side view of a plaster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미장 마감재의 부분 절결 사시도.6 is a partially cutaway perspective view of a plaster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 내지 도 9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미장 마감재의 사용예를 단계적으로 보인 종단면도.7 to 9 are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use of plastering finis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미장 마감재의 사시도.10 is a perspective view of a plaster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 내지 도 1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미장 마감재의 사용예를 단계적으로 보인 종단면도.11 to 13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use of plastering finish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Symbols for Major Parts of Drawings>

1 : 대상면 3 : 접착재1: target surface 3: adhesive material

20, 22 : 미장재 30 : 미장 마감재20, 22: Plastering material 30: Plastering material

32 : 고정부 34 : 장식부32: fixing part 34: decoration part

34a : 돌출부 34b : 홈34a: protrusion 34b: groove

36 : 연결부 36a : 상측 굴신부36: connection part 36a: upper flexor

36b : 하측 굴신부 36c : 돌기36b: Lower flexor 36c: Projection

38 : 절곡부 38a : 중간 절곡부38: bending portion 38a: middle bending portion

38b : 하측 절곡부 39 : 회동식 접철부38b: lower bend 39: pivotal folding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한 건축용 미장 마감재는 건물의 벽면과 바닥면에 타일 등의 미장재를 부착하면서 사용하는 건축용 미장 마감재에 관한 것으로, 특히 경사 장식판의 높이와 경사도를 연결부의 절곡부 및/또는 회동식 접철부에 의해 조절하도록 하여 사용되는 미장재의 형태와 치수에 구애됨이 없이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건축용 미장 마감재를 제공하고자 함에 목적이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construction plastering finishing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struction plastering finishing material used while attaching plastering materials such as tiles to the wall and floor of a building, in particular, bending the height and inclination of the inclined decorative plate at the connection part.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uilding plaster finish that can be used without regard to the shape and dimensions of the plaster used to be adjusted by the buoy and / or pivotal folding.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건물의 내외 벽면, 바닥면과 같은 대상면에 접착재를 개재하여 부착되는 미장재, 사이에 결합되고 고정부와 장식부 사이에 연결부가 일체로 연결되는 형태를 갖는 미장 마감재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절곡부가 형성되어 상기 장식부의 높이 및 경사도를 상기 미장재의 시공 형태에 따라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건축용 미장 마감재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orm in which a plastering member is attached to a target surface such as interior and exterior walls of a building and a floor surface through an adhesive, and a connection part is integrally connected between the fixing part and the decorative part. In the plaster finish having, at least one bent portion is formed in the connecting portion to provide a building plaster finishing material configured to adjust the height and the inclination of the decoration according to the construction form of the plastering material.

또한, 상기 연결부의 상단부에 장식부의 중간부가 회동식 접철부로 연결되어, 상기 장식부의 높이 및 경사도를 상기 회동식 접철부에 의해서도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미장 마감재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middle portion of the decorative portion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connecting portion by the pivoting foldable, provides a construction plastering finishing material, characterized in that the height and inclination of the decorative portion is configured to be adjusted by the pivoting foldable.

이하,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described in detail by the accompanying drawing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follows.

도 5에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미장 마감재의 측면도가 도시되고, 도 6에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미장 마감재의 부분 절결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7 내지 도 9에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미장 마감재의 사용예를 단계적으로 보인 종단면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FIG. 5 is a side view of a plaster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partially cutaway perspective view of a plaster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7 to 9 show the present invention.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step-by-step examples of the use of a plaster finish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re respectively shown.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건물의 내외 벽면, 바닥면과 같은 대상면(1)에 접착재(3)를 개재하여 부착되는 미장재(20),(22) 사이에 결합되고 고정부(32)와 장식부(34) 사이에 연결부(36)가 일체로 연결되는 형태를 갖는 미장 마감재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36)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절곡부(38)가 형성되어 상기 장식부(34)의 설치 각도 및 높이를 상기 미장재(20),(22)의 시공 형태에 따라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As shown in the figure, it is coupled between the plastering material (20), 22 which is attached to the target surface (1), such as the interior and exterior walls, floor surface of the building via the adhesive material (3), the fixing part 32 and the decoration In the plaster finish having a form in which the connecting portion 36 is integrally connected between the portions 34, at least one bent portion 38 is formed in the connecting portion 36, the installation angle of the decorative portion 34 and The height is configured to be adjustable according to the construction form of the plastering material (20), (22).

그리고 상기 미장 마감재(30)의 장식부(34)는 중간부에 중간 절곡부(38a)가 형성되어 상측 굴신부(36a)와 하측 굴신부(36b)가 중간 절곡부(38a)를 기준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됨과 아울러 하측 굴신부(36b)와 고정부(32) 사이에 하측 절곡부(38b)가 형성되어 하측 굴신부(36b)가 하측 절곡부(38b)를 기준으로 절곡됨으로써 상기 장식부(34)의 높이와 경사도가 조절되도록 구성되어 있다.And the decorative portion 34 of the plaster finish 30 is formed in the middle of the middle bending portion 38a, the upper bending portion 36a and the lower bending portion 36b is bent based on the intermediate bending portion 38a. In addition, the lower bent portion 38b is formed between the lower bent portion 36b and the fixing portion 32 so that the lower bent portion 36b is bent based on the lower bent portion 38b to form the decorative portion 34. ) Height and inclination are adjusted.

또, 상기 미장재(20),(22)의 장식부(34)의 양단부에는 양쪽 미장재(20),(22)의 표면에 접촉되는 접촉돌부(40)가 형성되어 있다.Moreover, the contact protrusions 40 which contact the surfaces of both the plastering materials 20 and 22 are formed in the both ends of the decoration part 34 of the said plastering material 20,22.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건물의 내외 벽면과 바닥면과 같은 대상면(1)에 각종 타일, 합성수지 판재, 나무 판재, 종이 등을 부착하는 마무리공사를 행하면서 사용하면, 예를 들어 도 7 내지 도 9와 같이, 대상면(1)에 서로 규격이 다른 미장재(20),(22)를 부착하는 경우 도 7과 같이 양쪽 미장재(20),(22) 사이에 미장 마감재(30)를 결합하고, 도 8 및 도 9와 같이 장식부(34)의 상측부와 하측부를 약간 힘을 가하여 누르게 되면 고정부(32)와 장식부(34) 사이에 형성된 연결부(36)의 상측 굴신부(36a)와 하측 굴신부(36b)가 절곡부(38a),(28b)에 의해 절곡되고 장식부(34)의 높이와 경사도가 양쪽 미장재(20),(22)의 시공된 형태에 따라 자연스럽게 맞추지면서 도 9와 같이 양쪽 미장재(20),(22)의 표면에 밀착 고정된다.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s used while performing a finishing work for attaching various tiles, synthetic resin boards, wooden boards, paper, etc. to the target surface (1), such as the interior and exterior walls and floors of the building, for example, Figure 7 to As shown in FIG. 9, when the plastering materials 20 and 22 having different specifications are attached to the target surface 1, the plaster finishing material 30 is disposed between the two plastering materials 20 and 22 as shown in FIG. 7. When combined, and pressing the upper portion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decorative portion 34 with a slight force, as shown in Figs. 8 and 9, the upper extension portion of the connecting portion 36 formed between the fixing portion 32 and the decorative portion 34 ( 36a) and the lower flexion part 36b are bent by the bent parts 38a and 28b, and the height and the inclination of the decoration part 34 are naturally depending on the construction of the two plastering materials 20 and 22. While being fitted, as shown in FIG. 9, the surfaces of both plastering materials 20 and 22 are tightly fixed.

도 10에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미장 마감재의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11 내지 도 13에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미장 마감재의 사용예를 단계적으로 보인 종단면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10 is a perspective view of a plastering finish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1 to Figure 13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ep by step example of the use of plastering finish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는 미장 마감재(30)의 연결부(36)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절곡부(38)가 형성되고, 미장 마감재(30)의 연결부(36)의 상단부에 장식부(34)의 중간부가 회동식 접철부(39)로 연결되어, 어 상기 장식부(34)의 높이 및 경사도를 상기 미장재(20),(22)의 시공 형태에 따라 상기 절곡부(38)와 회동식 접철부(39)에 의해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As shown in this,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one or more bent portions 38 are formed at the connection portion 36 of the plastering finish 30, and decorated at the upper end of the connection portion 36 of the plastering finish 30 The intermediate part of the part 34 is connected to the pivoting folding part 39, so that the height and the inclination of the decorative part 34 are changed according to the construction form of the plastering material 20, 22. ) And the pivoting folding part 39 is configured to be adjustable.

그리고, 상기 회동식 접철부(39)는 상기 장식부(34)의 하면 중간부에 형성된 돌출부(34a)에 홈(34b)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36)의 상단부에 형성된 반구형상의 돌기(36c)가 상기 홈(34b)에 삽입되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In addition, the pivoting folding part 39 has a groove 34b formed in a protrusion 34a formed in the middl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decorative part 34, and a hemispherical protrusion 36c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connecting part 36. ) Is inserted into the groove 34b to be rotatably coupled.

이와 같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는 미장 마감재(30)를 양쪽 미장재(20),(22) 사이에 결합하여, 장식부(34)의 경사도를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절곡부(38)에 의해 조절함과 아울러 회동식 접철부(39)에 의해 조절할 수 있으므로 조절 여유도가 증대되고, 이에 따라 시공작업을 매우 간편하게 행할 수 있다.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bines the plastering finish 30 between the two plastering 20, 22, to adjust the inclination of the decorative portion 34 by the bent portion 38 as described above In addition, since it can be adjusted by the pivoting folding part 39, the adjustment margin is increased, and thus the construction work can be performed very easily.

본 고안의 미장 마감재를 이용하여 각종 건물의 내,외장 공사를 행함에 있어서는 위와 같이, 대상면(1)에 서로 두께가 다른 미장재(20),(22)를 부착하여 설치하는 형태 이외에도 재질, 형상, 치수 및 시공 구조에 따라 다양한 미장재(20),(22)가 다양한 형태로 부착될 수 있으며, 본 고안에 의한 미장 마감재(30)는 이와 같은 다양한 종류와 시공 형태에 구애됨이 없이 사용할 수 있다.In the interior and exterior construction of various buildings using the plastering finishing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n addition to the form of attaching the plastering material 20, 22 having different thicknesses to the target surface 1, the material, Various plastering materials 20 and 22 can be attached in various forms according to the shape, dimensions and construction structure, and the plastering finish 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without regard to such various types and construction forms. Can b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건축용 미장 마감재는 건물의 내외 벽면과 바닥면 등에 각종 미장재로 마무리공사를 하면서 서로 다른 미장재의 사이에 설치하여 외관의 의장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 고정부와 장식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에 절곡부를 형성하여 장식부의 높이와 경사도를 자유롭게 조절하여 설치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마감재의 생산, 보관 취급 및 시공성이 매우 우수한 이점이 있다.The plastering finishing material for bui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s to improve the appearance of the exterior by installing between different plastering materials while finishing work with various plastering materials on the inside and outside walls and floors of the building. Since the bent portion is formed to connect the portion to be installed to adjust the height and inclination of the decoration freely, there is a very excellent advantage in the production, storage handling and construction of the finishing material.

Claims (4)

건물의 내외 벽면, 바닥면과 같은 대상면(1)에 접착재(3)를 개재하여 부착되는 미장재(20),(22) 사이에 결합되고 고정부(32)와 장식부(34) 사이에 연결부(36)가 일체로 연결되는 형태를 갖는 미장 마감재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36)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절곡부(38)가 형성되어 상기 장식부(34)의 높이 및 경사도를 상기 미장재(20),(22)의 시공 형태에 따라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미장 마감재.It is coupled between the plastering material 20, 22 which is attached to the target surface 1, such as the inner and outer walls, the floor surface of the building via the adhesive material 3, and between the fixing portion 32 and the decorative portion 34 In the plaster finishing material having a form in which the connecting portion 36 is integrally connected, at least one bent portion 38 is formed in the connecting portion 36 so that the height and the inclination of the decorative portion 34 are increased. Plastering construction,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be adjustable according to the construction form of (2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장 마감재(30)의 장식부(34)는 중간부에 중간 절곡부(38a)가 형성되어 상측 굴신부(36a)와 하측 굴신부(36b)가 중간 절곡부(38a)를 기준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됨과 아울러 하측 굴신부(36b)와 고정부(32) 사이에 하측 절곡부(38b)가 형성되어 하측 굴신부(36b)가 하측 절곡부(38b)를 기준으로 절곡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미장 마감재.According to claim 1, The decorative portion 34 of the plaster finish 30 is formed in the middle of the intermediate bending portion (38a) is formed in the upper bending portion (36a) and lower bending portion (36b) intermediate bending portion (38a) In addition, the lower bent portion 38b is formed between the lower bent portion 36b and the fixing portion 32 so that the lower bent portion 36b is bent based on the lower bent portion 38b. Plasterer finishing material for construc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36)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절곡부(38)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36)의 상단부에 장식부(34)의 중간부가 회동식 접철부(39)로 연결되어, 상기 장식부(34)의 높이 및 경사도를 상기 회동식 접철부(39)에 의해서도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미장 마감재.According to claim 1, At least one bent portion 38 is formed in the connecting portion 36, the intermediate portion of the decorative portion 34 to the upper end of the connecting portion 36 is connected to the pivoting folded portion 39 Plastering finishing material for building,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be adjustable by the pivoting folding portion 39, the height and inclination of the decorative portion (3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식 접철부(39)는 상기 장식부(34)의 하면 중간부에 형성된 돌출부(34a)에 홈(34b)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36)의 상단부에 형성된 반구형상의 돌기(36c)가 상기 홈(34b)에 삽입되어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미장 마감재.According to claim 3, The foldable folding portion 39 is a groove (34b) is formed in the protrusion 34a formed in the middl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decorative portion 34, hemispherical formed in the upper end of the connecting portion 36 Plastering finishing material for build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projection (36c) is inserted into the groove (34b) configured.
KR2020000022669U 2000-08-09 2000-08-09 Decorative material for construction KR200212928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2669U KR200212928Y1 (en) 2000-08-09 2000-08-09 Decorative material for constru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2669U KR200212928Y1 (en) 2000-08-09 2000-08-09 Decorative material for construc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2928Y1 true KR200212928Y1 (en) 2001-02-15

Family

ID=730572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2669U KR200212928Y1 (en) 2000-08-09 2000-08-09 Decorative material for construc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2928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40098B2 (en) Molding profile and molding profile assembly
AU2002240860B2 (en) Wall boards or panel boards for use in interior construction and dry construction
CN108301528B (en) Wall system and decoration method
TW202024447A (en) Multi-purpose tile system, tile covering, and tile
WO2020012484A2 (en) Prefabricated construction wall assembly
EP0849415B1 (en) Corner construction of cardboard-covered plaster board and method for realizing such corner construction
GB2358650A (en) Cornice system
KR200212928Y1 (en) Decorative material for construction
CN104712121A (en) Tile surface composite board
CN110805115A (en) Toilet bottom box, toilet floor and mounting method
BE1017309A6 (en) FINISHING BODY FOR A ROOM.
KR20090010130A (en) Interior decoration knockdown tile
KR200219015Y1 (en) Prefabricated bathroom wall made by connecting wall panels with brackets for flat and corner connections
JP7002222B2 (en) Makeup cap
CN110067352A (en) A kind of decoration of exterior wall method and device
CN218406163U (en) Multifunctional external corner face closing-up section bar
CN115045464B (en) Splicing and paving method and structure for floor and stone or ceramic tile
KR200373394Y1 (en) Finishing material of tile
CN214034525U (en) Assembled indoor space decoration panel
JP4663932B2 (en) Paint wall base material and paint wall base structure
CN207739427U (en) A kind of walling system
JP4042686B2 (en) Siding character
KR200315869Y1 (en) Finishing molding for building ceiling
KR200201310Y1 (en) Moulding sheet bead for levelling inequalities in the surface of concrete walls
KR100388076B1 (en) A conner finishing materials for the interior of archite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123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