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2655Y1 - 공구걸이부재가설치된공구대 - Google Patents

공구걸이부재가설치된공구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2655Y1
KR200212655Y1 KR2019980000704U KR19980000704U KR200212655Y1 KR 200212655 Y1 KR200212655 Y1 KR 200212655Y1 KR 2019980000704 U KR2019980000704 U KR 2019980000704U KR 19980000704 U KR19980000704 U KR 19980000704U KR 200212655 Y1 KR200212655 Y1 KR 20021265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l
connecting member
connector
piece
h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07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4381U (ko
Inventor
박승부
Original Assignee
박승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승부 filed Critical 박승부
Priority to KR20199800007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2655Y1/ko
Publication of KR1999003438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438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26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2655Y1/ko

Links

Landscapes

  • Workshop Equipment, Work Benches, Supports, Or Storage Means (AREA)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공구 걸이부재가 설치된 공구대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은 공구를 보관할 수 있는 공구대에 있어서, 상기 공구대(10)의 측면 상부측에 상호 연통된 확개부(20a)와 협소부(20b)를 구비한 설치공(20)이 등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되고, 상기 설치공(20)에는 양단이 마주보게 절곡된 연결부재(16)가 연결구(30)에 의해 탈부착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연결부재(16)의 절곡된 양단 사이에는 자성을 갖는 공구걸이부재(11)를 구비한 커버(11a)가 회동되도록 볼트(17)로 결합되는 것으로, 본 고안에 의하면, 공구대(10)의 상단에 공구 걸이부재(11)를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하여, 작업중에 작은 공구 등을 용이하게 올려 놓고 사용할 수 있고, 상면에 형성된 보관홈(10a) 등에 공구가 적게 놓이게 됨으로 보관홈(10a)등에 도면 등을 올려 놓고 사용 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 것이다.

Description

공구 걸이부재가 설치된 공구대
본 고안은 작업중에 자주 사용하는 공구를 공구대의 상면 뿐만 아니라 공구대의 상단 측면이나 배면에도 공구를 보관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공구 걸이부재가 설치된 공구대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공구를 보관하는 공구대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주 사용하지 않은 공구는 서랍속에 놓고 보관 하였고, 작업중에 자주 사용하는 공구는 작업자가 식별이 용이하고 필요시 마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공구대의 상면에 올려놓았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경우 공구대의 상면에는 공구 뿐만 아니라 도면이나 기타 물건 등이 함께 놓여지게 됨으로 공구를 보관할 수 있는 공간이 부족하였고, 도면 등에 공구가 가려 공구의 식별이 어려웠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공구대의 상측에 공구를 보관할 수 있는 공구 걸이부재를 설치하여 자주 사용하는 공구를 용이하고 올려놓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공구 걸이부재가 설치된 공구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 공구대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공구대와 공구 걸이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공구대와 연결부재 및 공구 걸이부재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4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 5은 본 고안에 의한 연결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연결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공구대 11 : 공구 걸이부재
11a : 커버 16 : 연결부재
17 : 볼트 20 : 설치공
20a : 확개부 20b : 협소부
25 : 걸이구 25a : 끼움편
25b : 걸이편 30 : 연결구
30a : 이격부 30b : 걸림편
이와 같은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공구를 보관할 수 있는 공구대에 있어서, 상기 공구대(10)의 측면 상부측에 상호 연통된 확개부(20a)와 협소부(20b)를구비한 설치공(20)이 등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되고, 상기 설치공(20)에는 양단이 마주보게 절곡된 연결부재(16)가 연결구(30)에 의해 탈부착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연결부재(16)의 절곡된 양단 사이에는 자성을 갖는 공구 걸이부재(11)를 구비한 커버(11a)가 회동되도록 볼트(17)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 걸이부재가 설치된 공구대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이때, 상기 연결구(30)는 상기 각 설치공(20)과 마주보는 위치의 연결부재(16) 일면에 각각 돌출 형성되는 다수개의 걸이편(32); 및 상기 확개부(20a)로 삽입되어 각각의 협소부(20b)에 걸리도록 상기 연결부재(16)의 일면과 이격되게 상기 각 걸이편(32)의 끝단부에 형성되는 끼움편(34)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의한 상기 연결구(30)는 상기 각 설치공(20)과 마주보는 위치의 연결부재(16) 일면에 확개부(16a)와 협소부(16b)를 구비하여 각각 형성되는 결합공(16c); 및 상기 각 설치공(20)의 확개부(20a)를 거쳐 협소부(20b)에 걸리는 제 1걸림편(36)과, 상기 각 결합공(16c)의 확개부(16a)를 거쳐 협소부(16b)에 걸리는 제 2걸림편(38)이 양단에 각각 형성되는 이격봉(39)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중에서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공구대(10)는 상면에 공구나 도면 등을 올려 놓을 수 있는 보관홈(10a)이 형성되고, 전면에 공구나 사무용품 등을 수납할 수 있는 다수의 서랍(10b)이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며, 하단에는 부피가 큰 공구 등을 넣을 수 있는 공간부(10c)가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또한, 상기 공구대(10)의 상면 일측에는 금속 재질을 갖는 작은 공구 등을 부착시킬 수 있도록 자성을 갖는 공구 걸이부재(11)가 커버(11a)에 내설되어 연결 부재(16)와 연결구(30)에 의해 탈부착이 가능하게 설치된 것이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상기 공구대(10)의 측면 상부측에는 상호 연통된 확개부(20a)와 협소부(20b)를 구비한 설치공(20)이 등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되고, 상기 각 설치공(20)에는 양단이 마주보게 절곡된 연결부재(16)와 연결구(30)에 의해 탈부착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연결부재(16)의 절곡된 양단 사이에는 자성을 갖는 공구 걸이부재(11)를 구비한 커버(11a)가 회동되도록 볼트(17)로 결합되는 구성을 갖는다.
다시 설명하면, 상기 커버(11a)에 내설된 공구 걸이부재(11)는 연결부재(16)와 연결구(30)에 의해 상기 공구대(10)의 상부 측면에 탈부착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구성을 갖는 것이다.
이때, 상기 공구 걸이부재(11)가 결합된 연결부재(16)를 공구대(10)에 결합 시키는 연결구(30)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즉, 상기 연결구(30)는 상기 각 설치공(20)과 마주보는 위치의 연결부재(16)일면에 각각 돌출 형성되는 다수개의 걸이편(32)과, 상기 확개부(20a)로 삽입되어 각각의 협소부(20b)에 걸리도록 상기 연결부재(16)의 일면과 이격되게 상기 각 걸이편(32)의 끝단부에 형성되는 끼움편(34)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다시 설명하면, 상기 연결구(30)는 상기 연결부재(16)의 일면(공구 걸이부재(11)가 결합되는 반대면)에 각각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연결부재(16)의 일면에 형성된 상기 연결구(30)는 상기 끼움편(34)이 상기 각 설치공(20)의 협소부(20b)에 걸리거나 그로부터 이탈됨으로써, 상기 공구 걸이부재(11)가 결합된 연결부재(16)를 공구대(10)에 부착하거나 탈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공구 걸이부재(11)가 내설된 커버(11a)를 상기 공구대(10)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먼저, 상기 커버(11a)를 상기 연결부재(16)의 절곡된 양단 사이에 위치시키고, 복수개의 볼트(17)로 상기 커버(11a)를 상기 연결부재(16)의 절곡된 양단에 고정 설치한다. 이때, 상기 공구 걸이부재(11)의 사용각도를 설정하기 위하여 상기 볼트(17)를 조이기 전에, 먼저 설정된 각도로 회전시킨 후 볼트(17)를 조인다. 이로써, 상기 공구 걸이부재(11)가 내설된 커버(11a)는 상기 연결부재(16)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연결부재(16)의 일면에 형성된 각각의 끼움편(34)이 상기 공구대(10)의 상부 측면에 형성된 각 설치공(20)의 확개부(20a)에 삽입되도록 한 후, 상기 연결부재(16)를 협소부(20b)측으로 이동시킨다.
즉, 상기 설치공(20)은 중앙에 상기 끼움편(34)이 삽입될 수 있는확개부(20a)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확개부(20a)의 주변에 상기 끼움편(34)이 걸리도록 협소하게 형성된 협소부(20b)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끼움편(34)을 상기 확개부(20a)으로 삽입한 후, 상기 협소부(20b) 측으로 이동 시키게 되면, 상기 끼움편(34)은 상기 협소부(20b)의 이면에 밀착되어 걸리게 되는 것이고, 상기 걸이편(32)은 상기 협소부(20b)를 관통하는 상태가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걸이편(32)과 끼움편(34)은 설치공(20)에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공구 걸이부재(11)가 내설된 커버(11a)가 연결부재(16)에 볼트(17)로 결합되고, 상기 연결부재(16)가 걸리편(32)과 끼움편(34)에 의해 상기 공구대(10)의 각 설치공(20)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공구 걸이부재(11)는 상기 공구대(10)에 설치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작업장에 공구대(10)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작업을 하고자 하는 곳으로 공구대(10)을 이동시킨다. 그리고, 자주 사용하는 공구나 도면 등을 서랍(10b)속에서 꺼낸 후에 금속성의 작은 공구 등은 공구 걸이부재(11)에 부착시키고, 나머지 공구, 부품 및 도면 등은 보관홈(10a)에 올려 놓는다. 이때, 공구 걸이부재(11)는 자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금속성 공구를 용이하게 탈부착 시킬 수 있어 작업시 공구 사용이 매우 편리해 진다.
또한, 상기 공구 걸이부재(11)는 볼트(17)에 의해 상기 연결부재(16)에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볼트(17)를 느슨하게 푼 후에, 사용하기 편리한 각도로 회전시킨 후 상기 볼트(17)를 다시 조임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로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공구 걸이 부재(11)를 공구대(10)로부터 탈거하기위해서는 먼저, 상기 연결부재(16)를 취부한 후, 상기 끼움편(34)이 상기 협소부(20b)로부터 이탈되어 상기 확개부(20a)로 이동하도록 상기 연결부재(16)를 일측으로 이동시킨 후, 전방으로 당긴다. 이와 같이, 상기 각 끼움편(34)이 각각의 설치공(20)으로부터 이탈되도록 상기 연결부재(16)를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연결부재(16)는 공구대(20)로부터 탈거될 수 있는 것이고, 이는 상기 공구 걸이부재(11)가 공구대(10)로부터 탈거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금속성 공구 등을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공구 걸이부재(11)를 용이하게 공구대(10)에 설치하거나 탈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에 의한 연결구(30)의 다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중에서 도 5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에 의한 연결구(30)는 상기 각 설치공 (20)과 마주 보는 위치의 연결부재(16) 일면에 확개부(16a)와 협소부(16b)를 구비하여 각각 형성되는 결합공(16c)과, 상기 각 설치공(20)의 확개부(20a)를 거쳐 협소부(20b)에 걸리는 제 1걸림편(36)과, 상기 각 결합공(16c)의 확개부(16a)를 거쳐 협소부(16b)에 걸리는 제 2걸림편(38)이 양단에 각각 형성되는 이격봉(39)으로 구성된 것이다.
이러한 다른 실시예에 의한 연결구(30)를 이용하여 상기 공구 걸이부재(11)가 결합된 연결부재(16)를 상기 공구대(10)에 설치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연결부재(16)의 일면에 형성된 각각의 결합공(16c)의 확개부(16a)에 상기 각 이격봉(39)의 제 2걸림편(38)을 삽입한 후, 상기 결합공(16c)의 협소부(16b)측으로 이동시켜 걸리도록 한다. 즉, 상기 각각의 결합공(16c)에 각 이격봉(39)의 제 2걸림편(38)을 삽입하여 고정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으로 상기 각 이격봉(39)의 제 2걸림편(38)이 상기 연결부재(16)의 각 결합공(16c)에 끼워져 고정되면, 상기 각 이격봉(39)의 제 1걸림편(38)을 상기 공구대(10)의 각 설치공(20)에 삽입하여 고정한다.
즉, 상기 각 이격봉(39)이 상기 연결부재(16)의 결합공(16c)에 삽입되어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각 이격봉(39)의 제 1 걸림편(36)을 상기 공구대(10)의 상부일측에 형성된 각 설치공(20)의 확개부(20a)에 삽입한 후, 협소부(20b)로 이동시켜 상기 협소부(20b)에 끼워져 걸리게 함으로써, 상기 각 이격봉(39)의 제 1 걸림편(36)은 공구대(10)의 설치공(20)에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공구 걸이부재(11)가 결합된 연결부재(16)는 상기 이격봉(39)의 제 1걸림편(36)이 설치공(20)에 고정되고, 제 2걸림편(38)이 결합공(16c)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공구대(10)에 설치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공구 걸이부재(11)를 공구대(10)로부터 탈거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 1걸림편(36) 또는 제 2걸림편(38) 중의 하나만 상기 설치공(20) 또는 결합공(16c)으로부터 분리함으로써 용이하게 탈거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이때, 상기 연결부재(16)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볼트(18)에 의해 상기 공구대(10)에 설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연결부재(16)의 일면을 상기 공구대(10)의 상부 일측에 밀착시킨 후, 별도의 볼트(18)를 이용하여 체결함으로써, 상기 연결부재(16)는 상기 공구대(10)에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공구대(10)의 상단에 공구 걸이부재(11)를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하여, 작업중에 작은 공구 등을 용이하게 올려 놓고 사용할 수 있고, 상면에 형성된 보관홈(10a) 등에 공구가 적게 놓이게 됨으로 본관홈(10a)등에 도면 등을 올려 놓고 사용 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3)

  1. 공구를 보관할 수 있는 공구대에 있어서,
    상기 공구대(10)의 측면 상부측에 상호 연통된 확개부(20a)와 협소부(20b)를 구비한 설치공(20)이 등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되고,
    상기 설치공(20)에는 양단이 마주보게 절곡된 연결부재(160가 연결구(30)에 의해 탈부착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연결부재(16)의 절곡된 양단 사이에는 자성을 갖는 공구 걸이부재(11)를 구비한 커버(11a)가 회동되도록 볼트(17)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걸이부재가 설치된 공구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30)는 상기 각 설치공(20)과 마주보는 위치의 연결부재(16) 일면에 각각 돌출 형성되는 다수개의 걸이편(32); 및
    상기 확개부(20a)로 삽입되어 각각의 협소부(20b)에 걸리도록 상기 연결부재(16)의 일면과 이격되게 상기 각 걸이편(32)의 끝단부에 형성되는 끼움편(34);
    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 걸이부재가 설치된 공구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30)는 상기 각 설치공(20)과 마주보는 위치의 연결부재(16) 일면에 확개부(16a)와 협소부(16b)를 구비하여 각각 형성되는결합공(16c); 및
    상기 각 설치공(20)의 확개부(20a)를 거쳐 협소부(20b)에 걸리는 제 1걸림편(36)과, 상기 각 결합공(16c)의 확개부(16a)를 거쳐 협소부(16b)에 걸리는 제 2걸림편(38)이 양단에 각각 형성되는 이격봉(39);
    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 걸이부재가 설치된 공구대.
KR2019980000704U 1998-01-22 1998-01-22 공구걸이부재가설치된공구대 KR20021265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0704U KR200212655Y1 (ko) 1998-01-22 1998-01-22 공구걸이부재가설치된공구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0704U KR200212655Y1 (ko) 1998-01-22 1998-01-22 공구걸이부재가설치된공구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4381U KR19990034381U (ko) 1999-08-25
KR200212655Y1 true KR200212655Y1 (ko) 2002-07-04

Family

ID=697121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0704U KR200212655Y1 (ko) 1998-01-22 1998-01-22 공구걸이부재가설치된공구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265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4381U (ko) 1999-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58239B2 (en) Hanger rack for hand tools
US5881982A (en) Fastener for holding objects to a perforated wall
US6848683B2 (en) Arm clamp
US6257409B1 (en) Positive attachment wrench case
FI80510B (fi) Haollare.
US4917337A (en) Article support for pegboards of alternate thickness
KR200212655Y1 (ko) 공구걸이부재가설치된공구대
GB2156894A (en) Arrangements for detachably holding a parking meter to a pole
KR200148767Y1 (ko) 걸이용 공구보관대
KR20020048575A (ko) 드럼세탁기용 탑플레이트의 홀더 체결구조
JP2512383Y2 (ja) 板材の固定構造
US20240148166A1 (en) Pegboard Hanger Assembly
KR200333258Y1 (ko) 공구 걸이대
KR19990018783U (ko) 도어에 걸이공이 형성된 공구 보관함
KR200257829Y1 (ko) 행거 취부구
JPH0421466Y2 (ko)
JP2527821Y2 (ja) 家具等の棚板におけるハンガーバーの取付構造
KR0128704Y1 (ko) 다목적 걸이구를 구비한 안전모 보관대
KR200152341Y1 (ko) 탈.부착이 용이한 명찰판을 갖는 공구걸이구
JP3525333B2 (ja) 杆体取付型配線案内装置
JPH0127731Y2 (ko)
KR0121129Y1 (ko) 세탁기의 백커버 결합구조
JP2589485Y2 (ja) ハンガー装置
KR200177895Y1 (ko) 자석이 구비된 공구걸이구
JP2784726B2 (ja) 卓上用モジュラーユニット取付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