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2342Y1 - 식품저장용기 - Google Patents

식품저장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2342Y1
KR200212342Y1 KR2019990000934U KR19990000934U KR200212342Y1 KR 200212342 Y1 KR200212342 Y1 KR 200212342Y1 KR 2019990000934 U KR2019990000934 U KR 2019990000934U KR 19990000934 U KR19990000934 U KR 19990000934U KR 200212342 Y1 KR200212342 Y1 KR 20021234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storage container
lid
groove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09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6106U (ko
Inventor
정일두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900009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2342Y1/ko
Publication of KR2000001610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610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234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2342Y1/ko

Links

Landscapes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식품저장용기에 관한 것으로, 식품을 담을 수 있도록 내부에 수용부(101)가 갖춰진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의 상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수용부(101)를 개폐시키도록 된 뚜껑(200)으로 이루어진 식품저장용기에 있어서, 상기 뚜껑(200)의 소정부위에는 일정크기의 개구홈(220)이 형성됨과 더불어 이 개구홈(220)에는 수용부(101)와 본체(100)의 외부가 연결되도록 관통구멍(221)이 형성됨은 물론 상기 개구홈(220)에는 본체(100)로부터 뚜껑(200)을 개방하지 않아도 수용부(101)를 주시할 수 있는 투시창(400)이 착탈가능하게 설치도어져, 이용자가 상기 투시창(400)을 통해 수용부(101)내에 담겨진 식품의 종류 및 담겨진 양의 정도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식품저장용기{LONFAINER FOR KEEPING FOOD}
본 고안은 음식물과 같은 식품을 담아서 보관하도록 된 식품저장용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체로부터 뚜껑을 개방하지 않아도 본체내에 담겨진 식품의 종류 및 양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된 식품저장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종래의 식품저장용기(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음식물과 같은 식품을 담을 수 있도록 소정크기의 수용부(101)가 갖춰진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의 상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수용부(101)를 개폐시키도록 된 뚜껑(200)으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본체(100)의 상단부위 외측면에는 그 둘레를 따라 소정의 크기로 돌출된 돌기부(110)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뚜껑(200)의 상부면에는 본체(100)로부터 뚜껑(200)개폐시 이용자가 파지하도록 된 소정크기의 뚜껑돌기(210)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용자는 식품저장용기(10)의 뚜껑(200)을 본체(100)로부터 탈거시켜 본체(100)내에 형성된 수용부(101)를 외부와 연결되게 개방시킨 후, 상기 수용부(101)로 김치나 또는 이용자가 원하는 종류의 식품을 담은 다음, 상기 뚜껑(200)을 본체(100)의 상부로 재결합시켜 수용부(101)를 밀폐시키게 되면, 이용자가 원하는 종류의 식품이 식품저장용기(10)내에 용이하게 보관되게 된다.
이러한, 식품저장용기(10)는 수용부(101)에 담겨진 식품의 종류에 따라 신선한 상태로 보관하여야 하는 바, 즉 상기 수용부(101)에 담겨진 식품의 종류가 김치와 같은 발효식품일 경우에는 상기 식품저장용기(10)를 냉장고나 또는 도 2에 도시된 김치저장고(300)에 수납하여 상기 수용부(101)에 담겨진 식품을 신선한 상태로 보관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식품저장용기(10)를 김치저장고(300)에 수납하여 보관하는 과정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김치저장고(300)의 본체(310)로부터 도어(320)를 일측방향으로 회동시켜 본체(310)내에 형성된 고내(311)를 외부와 연결되게 개방시킨 후, 상기 식품저장용기(10)를 고내(311)의 바닥면(311a)에서부터 차례차례 적층되게 수납시킨 다음, 상기 도어(320)를 재차 회동시켜 고내(311)를 밀폐시킨다.
한편, 상기 본체(310)의 하부에 형성된 공간부(312)에는 압축기(331)와 증발기(332)등으로 구성된 냉동장치(330)가 설치되는 바, 상기 냉동장치(330)에 의해 냉매에서 열교환된 냉기는 증발기파이프(332a)를 거쳐 상기 고내(311)로 토출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고내(311)에 적층되도록 수납된 식품저장용기(10)는 고내(311)로 토출되는 냉기에 의해 신선한 상태로 보관되게 되며, 이와 더불어 상기 식품저장용기(10)에 담겨진 식품도 냉기에 의해 신선한 상태로 보관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식품저장용기(10)에 의하면, 뚜껑(200)이 불투명한 플라스틱재질로 형성되어 있음으로 인해, 이용자가 상기 식품저장용기(10)내에 담겨져 김치저장고(310)에 보관된 식품의 종류나 또는 담겨진 양의 정도를 확인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식품저장용기(10)를 고내(311)로부터 하나하나 들어낸 후 뚜껑(200)을 열어보아야만 상기식품저장용기(10)에 담겨진 식품의 종류나 또는 담겨진 양의 정도를 파악할 수 있게 되므로, 이용자의 편의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뚜껑의 소정부위에 투시창을 착탈가능하게 결합하여, 이용자가 본체의 수용부내에 담겨진 식품의 종류나 또는 담겨진 양의 확인시 상기 본체로부터 뚜껑을 개방하지 않아도 투시창을 통해 용이하게 확인 할 수 있게 되므로, 이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되도록 된 식품저장용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식품을 담을 수 있도록 내부에 수용부가 갖춰진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수용부를 개폐시키도록 된 뚜껑으로 이루어진 식품저장용기에 있어서, 상기 뚜껑의 소정부위에는 일정크기의 개구홈이 형성됨과 더불어 이 개구홈에는 수용부와 본체의 외부가 연결되도록 관통구멍이 형성됨은 물론 상기 개구홈에는 본체로부터 뚜껑을 개방하지 않아도 수용부를 주시할 수 있는 투시창이 착탈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식품저장용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
도 2는 식품저장용기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종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식품저장용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
도 4 내지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식품저장용기에 투시창이 결합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요부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식품저장용기 100 - 본체
101 - 수용부 110 - 돌기부
200 - 뚜껑 210 - 뚜껑돌기
220 - 개구홈 221 - 관통구멍
222 - 바닥면 223 - 측면
224 - 설치홈 225 - 안내홈
400 - 투시창 410 - 안내돌기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식품저장용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로서, 종래구조와 동일한 부위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면서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식품저장용기(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음식물과 같은 식품을 담을 수 있도록 소정크기의 수용부(101)가 갖춰진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의 상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수용부(101)를 개폐시키도록 된 뚜껑(200)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100)의 상단부위 외측면에는 그 둘레를 따라 소정의 크기로 돌출된 돌기부(110)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뚜껑(200)의 상부면에는 본체(100)로부터 뚜껑(200)개폐시 이용자가 파지하도록 된 소정크기의 뚜껑돌기(210)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뚜껑(200)의 소정부위에는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크기의 개구홈(220)이 형성되고, 상기 개구홈(220)의 중앙부위에는 수용부(101)와 본체(100)의 외부가 연결되도록 소정크기의 관통구멍(221)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개구홈(220)의 중앙부위에 관통구멍(221)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개구홈(220)과 관통구멍(221)사이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면(222)이 일정한 폭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개구홈(220)내에 형성된 측면(223)중에서 서로 대향되는 한쌍의 측면(223)소정부위에는, 뚜껑(200)의 상부면에서부터 바닥면(222)까지 연결되도록 안쪽으로 오목한 모양의 설치홈(224)이 형성되고, 상기 측면(223)중 바닥면(222)과 연결되는 부위에는 상기 설치홈(224)을 중심으로 한쪽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면서 일단이 설치홈(224)과 연결되도록 된 안내홈(225)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개구홈(220)에는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면이 상기 바닥면(222)과 선택적으로 밀착되므로써 상기 관통구멍(221)을 개폐시킴은 물론 본체(100)로부터 뚜껑(200)을 개방하지 않아도 수용부(101)를 용이하게 주시할 수 있도록 된 투시창(400)이 착탈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투시창(400)의 측면중 서로 대향되는 한쌍의 측면소정부위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홈(224)으로 삽입되어 안내홈(225)에 위치됨으로써 상기 투시창(400)이 개구홈(22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투시창(400)이 안내홈(225)을 따라 이동되도록 이동안내기능을 수행하면서 개구홈(220)에 설치된 투시창(400)이 한쪽방향으로 회동가능하도록 회전중심의 기능을 수행하는 안내돌기(410)가 형성된다.
이하, 본 고안의 식품저장용기(10)에 투시창(400)이 설치되는 과정 및 작동과정에 대해 도 4 내지 도 7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이용자가 도 4에 도시된 투시창(400)을 잡고 뚜껑(200)에 형성된 개구홈(220)으로 상기 투시창(400)을 근접시키되, 상기 투시창(400)에 형성된 안내돌기(410)가 개구홈(220)에 형성된 설치홈(224)으로 삽입되도록 투시창(400)을 근접시킨 상태에서 도시된 화살표 L의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상기 안내돌기(410)가 설치홈(224)으로 삽입되어 바닥면(222)과 접촉됨으로써 투시창(400)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홈(220)내에 설치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투시창(400)이 개구홈(22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투시창(400)을 도 5에 도시된 화살표 M의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상기 안내돌기(410)가 설치홈(224)과 연결되도록 형성된 안내홈(225)을 따라 이동되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홈(220)의 일단에 위치됨은 물론, 상기 안내홈(225)안에 안내돌기(410)가 걸려지게 되므로 개구홈(220)에서 투시창(400)의 이탈이 방지되게 된다.
이상태에서, 상기 투시창(400)을 도 6에 도시된 화살표 N의 방향으로 회동시키게 되면, 상기 투시창(400)이 안내홈(225)에 위치된 안내돌기(410)를 회전축으로 용이하게 회전됨과 더불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면이 상기 개구홈(220)내에 형성된 바닥면(222)과 밀착되어 개구된 관통구멍(221)을 밀폐시킴으로써, 상기 개와 같이 개구홈(220)내에 설치되게 된다.
이후, 이용자는 도 1에 도시된 식품저장용기(10)의 뚜껑(200)을 본체(100)로부터 탈거시켜 본체(100)내에 형성된 수용부(101)를 외부와 연결되게 개방시킨 후, 상기 수용부(101)로 김치나 또는 이용자가 원하는 종류의 식품을 담은 다음, 상기 뚜껑(200)을 본체(100)의 상부로 재결합시켜 수용부(101)를 밀폐시키게 되면, 이용자가 원하는 종류의 식품이 식품저장용기(10)내에 용이하게 보관되게 된다.
이러한, 식품저장용기(10)는 수용부(101)에 담겨진 식품의 종류에 따라 신선한 상태로 보관하여야 하는 바, 즉 상기 수용부(101)에 담겨진 식품의 종류가 김치와 같은 발효식품일 경우에는 상기 식품저장용기(10)를 냉장고나 또는 도 2에 도시된 김치저장고(300)에 수납하여 상기 수용부(101)에 담겨진 식품을 신선한 상태로 보관하게 된다.
한편, 이용자는 뚜껑(200)에 설치된 투시창(400)을 통해 수용부(101)내에 담겨진 식품의 종류 및 담겨진 양의 정도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되므로, 상기 뚜껑(200)을 본체(100)로부터 개방한 다음 수용부(101)내에 담겨진 식품의 종류 및 담겨진 양의 정도를 용이하게 파악하던 종래의 식품저장용기(10)보다, 이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되게 된다.
또한, 상기 투시창(400)이 비교적 간단한 구조에 의해 뚜껑(200)에 설치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식품저장용기(10)에 김치와 같은 발효식품을 넣은 후, 상기 식품저장용기(10)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김치저장고의 고내(11)에 수납하였을 경우 상기 발효식품은 일정시간이 경과되면 식품저장용기(10)내에서 발효를 하게 되는 바, 이때 상기 식품저장용기(10)내에서 생성된 가스가 상기 투시창(400)을 통해 식품저장용기(10)의 외부로 배출되게 되므로, 상기 발효식품의 국물이 식품저장용기(10)의 외부로 흘러나오게 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뚜껑의 소정부위에 개구홈이 형성되면서 이 개구홈의 안쪽에는 수용부와 본체의 외부가 연결되도록 관통구멍이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개구홈에는 관통구멍을 밀폐시키도록 된 투시창이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져, 이용자가 상기 투시창을 통해 수용부내에 담겨진 식품의 종류 및 담겨진 양의 정도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되므로 이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됨은 물론 상품성이 증진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투시창의 설치구조가 비교적 간단한 구조에 설치되어져, 작업자의 작업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식품저장용기에 김치와 같은 발효식품을 넣은 후 김치저장고의 고내에 수납하였을 경우, 상기 식품저장용기내에서 생성된 가스가 상기 투시창을 통해 식품저장용기의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되게 되므로, 상기 발효식품의 국물이 식품저장용기의 외부로 흘러나오게 되는 것이 방지되어 김치저장고를 깨끗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식품을 담을 수 있도록 내부에 수용부가 갖춰진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수용부를 개폐시키도록 된 뚜껑으로 이루어진 식품저장용기에 있어서,
    상기 뚜껑의 소정부위에는, 일정크기의 개구홈이 형성됨과 더불어 이 개구홈에는 수용부와 본체의 외부가 연결되도록 관통구멍이 형성됨은 물론, 상기 개구홈에는 본체로부터 뚜껑을 개방하지 않아도 수용부를 주시할 수 있는 투시창이 착탈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식품저장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홈내에 형성된 측면중에서 서로 대향되는 한쌍의 측면에는 뚜껑의 상부면에서부터 바닥면까지 연결되도록 안쪽으로 오목한 모양의 설치홈이 형성되고, 상기 바닥면과 연결되는 측면의 소정부위에는 상기 설치홈을 중심으로 한쪽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면서 일단이 설치홈과 연결되도록 된 안내홈이 형성됨은 물론, 상기 투시창의 측면중 서로 대향되는 한쌍의 측면에는 설치홈으로 삽입되어 안내홈에 끼워지도록 형성됨과 더불어 투시창이 안내홈을 따라 이동되도록 안내역할을 수행하면서 한쪽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회전중심역할을 수행하는 안내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저장용기.
KR2019990000934U 1999-01-25 1999-01-25 식품저장용기 KR20021234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0934U KR200212342Y1 (ko) 1999-01-25 1999-01-25 식품저장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0934U KR200212342Y1 (ko) 1999-01-25 1999-01-25 식품저장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6106U KR20000016106U (ko) 2000-08-25
KR200212342Y1 true KR200212342Y1 (ko) 2001-02-15

Family

ID=547585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0934U KR200212342Y1 (ko) 1999-01-25 1999-01-25 식품저장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2342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4951B1 (ko) * 2001-07-18 2004-08-18 삼성전자주식회사 김치용기
KR100759049B1 (ko) * 2006-08-16 2007-09-14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김치냉장고의 김치저장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6106U (ko) 2000-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64322Y1 (ko) 냉장고의 보조도어용 힌지
KR200212342Y1 (ko) 식품저장용기
KR19990011033U (ko) 이중 도어 냉장고
KR100603729B1 (ko) 밀폐 기구용 도어의 개방 장치
KR20010009547A (ko) 냉장고용 도어힌지
KR100603732B1 (ko) 밀폐 기구용 도어의 개방 각도 정지 장치
KR19990039593U (ko) 이중도어를 갖춘 냉장고
KR20050103722A (ko) 냉장실의 이중도어구조
KR200169566Y1 (ko) 냉장고의 보조도어용 힌지
KR200302413Y1 (ko) 반찬저장기능을 갖는 김치냉장고
KR19990049553A (ko) 쪽문을 갖는 냉장고 도어
KR200198164Y1 (ko) 김치저장고의 잠금장치
KR100254468B1 (ko) 냉장고의 도어 내측 전방 오픈형 카버포켓
KR100222984B1 (ko) 냉장고용 선반
KR940000388Y1 (ko) 김치냉장고
KR0119890Y1 (ko) 냉장고 도어
KR200288412Y1 (ko) 냉장고 내부 360°회전선반
KR19990010789U (ko) 냉장고의 홈바 구조
KR20060109765A (ko) 냉장고의 냉기 누설 방지 장치
KR200212313Y1 (ko) 김치 냉장고 개폐구조
KR100275555B1 (ko) 냉장고의 도어장치(a door apparatus of refrigerator)
KR0117762Y1 (ko) 냉장고
KR200227548Y1 (ko) 김치 저장고
KR100294156B1 (ko) 아이스박스
KR19990074448A (ko) 냉장고의 소물 도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03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