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54468B1 - 냉장고의 도어 내측 전방 오픈형 카버포켓 - Google Patents

냉장고의 도어 내측 전방 오픈형 카버포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4468B1
KR100254468B1 KR1019970068483A KR19970068483A KR100254468B1 KR 100254468 B1 KR100254468 B1 KR 100254468B1 KR 1019970068483 A KR1019970068483 A KR 1019970068483A KR 19970068483 A KR19970068483 A KR 19970068483A KR 100254468 B1 KR100254468 B1 KR 1002544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cket
door
elastic force
carver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684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49525A (ko
Inventor
이상무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10199700684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54468B1/ko
Publication of KR199900495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95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44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44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4Doors; Covers with special compartments, e.g. butter conditio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5Secondary clos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25D25/022Bask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5/00Charging, supporting or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5/021Shelves with several possible configur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프링에 의해 개방되는 냉장고의 도어 내측 전방 오픈형 카버 포켓을 제공한다.
그 카버 포켓(70)은, 카버(74)가 힌지축(73)에 의해 회동,개폐되게 도어 내상(20')에 설치된 오픈형 카버 포켓에 있어서: 상기 힌지축(73)을 지지하도록 힌지축 지지부재(72)가 형성된 양측벽부(71')와 그 사이의 수평부로 거의 형성되며, 도어 내상(20')에 지지되는 수평포켓선반(71)과; 상기 카버(74)를 90도 정도 도어 내상(20')측으로 개방시킨 때에 도어 내상(20')의 전방의 수평위치로 탄성력에 의해 회동,개방되고 상기 카버(74)를 폐쇄시킨 때에 그 탄성력에 대항하여 상기 수평포켓선반(71)의 단부에 대해 수직으로 회동되는 포켓 도어(75)와; 상기 카버(74)를 개방시킨 때에 상기 포켓 도어(75)에 탄성력을 가하기 위한 스프링유니트(90)와; 상기 포켓 도어(75)가 상기 스프링유니트(90)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수직위치로 회동되고, 카버(74)가 폐쇄된 때에 그 포켓 도어(75)를 스프링유니트(90)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폐쇄위치로 유지시키도록 상기 카버(74)에 형성되는 스토퍼(76)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카버 포켓(70)이 완전히 전방을 개방시킬 수 있게 되어 피수납물의 수납과 인출이 편리하게 되고 보다 높이가 높은 피수납물을 수납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냉장고의 도어 내측 전방 오픈형 카버 포켓
본 발명은 냉장고의 도어 내측 전방 오픈형 카버 포켓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전방으로 완전히 개방될 수 있는 수직부분을 지니는 냉장고의 도어 내측 전방 오픈형 카버 포켓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유럽형 가정용 냉장고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공간으로 상하로 냉장실(50)과 냉동실(40)로 분리되어 있고, 직냉식의 경우, 냉동실(40)에는 에바(evaporator)가 냉동실(40)을 다수의 공간부, 일예로, 제빙실(31), 급속냉동실(32), 일반적인 냉동실(33,34)로 분리시키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냉장고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개폐하는 상부의 냉장실 도어(20)와 하부의 냉동실 도어(30)를 통해 냉장실과 냉동실에의 피수납물의 수납 및 인출이 이루어지고 폐쇄되어 단열을 이루게 되지만, 냉동실의 경우, 냉동온도가 낮아 하부의 냉동실 도어(30)의 개방으로 열손실이 크게 되기 때문에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동실(40)의 내부의 분리된 공간부사이에도 각각 폐쇄되게 구성된다. 즉, 도 2에 도시된 냉장고에서는 제빙실(31)과 급속냉동실(32)에는 업다운(up-down) 도어가 설치되고 일반적인 냉동실(33,34)에는 드로우어(drawer)가 설치된다.
한편, 냉장실(50)을 개폐하는 냉장실 도어(20)의 내측에는 여러가지 형태의 포켓이 형성되는데, 그 중 상단에 카버 포켓(60)이 마련된다. 이러한 카버 포켓(60)에는 도 2에 구체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에그 트레이(68)가 수납되게 된다. 그 카버 포켓(6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내상(20')에 지지되는 수평선반부(61')와 그 수평선반부(61')의 단부에서 거의 수직으로 연장된 수직턱부(61")로 구성되는 포켓선반(61)과, 그 포켓선반(61)의 수직턱부(61")의 양측벽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힌지축 지지부재(62)에 힌지축(63)을 개재하여 90도 정도 도어 내상(20')측으로 회동, 개폐되는 카버(64)로 구성된다.
따라서, 그 카버(64)의 손잡이부(65)를 회동시킴으로써 카버 포켓(60)의 카버(64)가 힌지축(63)을 중심으로 개폐되게 되고, 피수납물을 수납 또는 인출하게 된다.
그러나, 그러한 종래의 카버 포켓(60)의 구조는 먼지 등의 유입이나 여타의 냉장실(50)의 수납물에 의한 충돌을 방지하여 에그 등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되나, 유럽형 냉장고와 같이 상부에 냉장실(50)이 형성되는 경우, 그 상단에 통상 카버 포켓(60)이 형성되게 되어 높이가 높아 수납이나 인출이 불편하다는 문제가 있다. 특히, 카버 포켓(60)의 수평선반부(61')와 수직턱부(61")가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더욱 그 수직턱부(61")에 의해 피수납물의 인출이나 수납이 불편할 뿐만 아니라, 피수납물이 그 수직턱부(61")에 걸려 떨어지거나 파손되는 일도 있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카버 포켓(60)의 카버(64)의 개방으로 그 수납입구의 공간이 상기 수직턱부(61")에 의해 제한되어 높이가 큰 피수납물은 수납할 수 없는 문제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피수납물의 수납과 인출이 편리하고 보다 높이가 높은 피수납물을 수납할 수 있도록 완전히 전방을 개방시킬 수 있는 냉장고의 도어 내측 전방 오픈형 카버 포켓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유럽형 냉장고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오픈형 카버 포켓의 구조를 도시한 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 내측 전방오픈형 카버 포켓의 구조를 도시한 횡단면도,
도 4는 도 3의 스프링유니트의 구조를 상세하게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냉장고 본체 20: 냉장실 도어
30: 냉동실 도어 50: 냉장실
40: 냉동실 60,70: 카버 포켓
61: 포켓선반 61': 수평선반부
61": 수직턱부 62,72: 힌지축 지지부재
63,73: 힌지축 64,74: 카버
71: 수평포켓선반 75: 포켓 도어
76: 스토퍼 82: 개방힌지축 지지부재
83: 개방힌지축 90: 스프링유니트
91: 스프링 받침판 92: 외통
93: 압축스프링 94: 가이드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 내측 전방오픈형 카버 포켓은, 카버를 힌지축을 중심으로 도어 내상측으로 90도 정도 회동,개폐시키도록 도어 내상에 지지되는 냉장고의 도어 내측 오픈형 카버 포켓에 있어서: 상기 힌지축을 지지하도록 힌지축 지지부재가 형성된 양측벽부와 그 사이의 수평부로 거의 형성되며, 도어 내상에 지지되는 수평포켓선반과; 상기 카버를 90도 정도 도어 내상측으로 개방시킨 때에 도어 내상의 전방의 수평위치로 탄성력에 의해 회동,개방되고 상기 카버를 폐쇄시킨 때에 그 탄성력에 대항하여 상기 수평포켓선반의 단부에 대해 수직으로 회동되는 포켓 도어와; 상기 카버를 개방시킨 때에 상기 포켓 도어에 탄성력을 가하기 위한 스프링유니트와; 상기 포켓 도어가 상기 스프링유니트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수직위치로 회동되고, 카버가 폐쇄된 때에 그 포켓 도어를 스프링유니트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폐쇄위치로 유지시키도록 상기 카버에 형성되는 스토퍼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포켓 도어를 회동,개폐시키기 위해 상기 포켓 도어에 형성된 개방힌지축 지지부재와, 상기 개방힌지축 지지부재와 양측벽부를 회동가능하게 연결시키는 개방힌지축을 구비하여 구성시킬 수 있으며; 상기 스프링유니트는, 수평포켓선반에 일체로 형성되고 내측으로 내측걸림턱을 지니는 스프링 수용 외통과, 그 외통의 내측걸림턱에 걸리는 외측걸림턱을 지니는 스프링 받침판과, 상기 스프링 받침판과 상기 수평포켓선반사이에서 탄성력을 작용시키도록 외통내에 수용되는 압축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스프링 받침판으로부터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작용하도록 상기 포켓 도어의 내측으로 돌출판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로 카버의 개방과 동시에 완전히 전방을 개방시킬 수 있게 되어 피수납물의 수납과 인출이 편리하게 되고 보다 높이가 높은 피수납물을 수납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 내측 전방오픈형 카버 포켓이 횡단면도로서 도시된다.
도 3에서 종래와 같이 카버 포켓(70)의 카버(74)는 양측벽부(71')의 힌지축 지지부재(72)에 설치되는 힌지축(73)을 중심으로 도어 내상(20')측으로 90도 정도 회동,개폐시키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라서는 도어 내상(20')에 지지되는 카버 포켓(70)의 선반인 수평포켓선반(71)은 상기 힌지축(73)을 지지하도록 힌지축 지지부재(72)가 형성된 양측벽부(71')와 그 사이의 수평부로 거의 형성되고, 도 2에서의 종래의 수직턱부(61")를 분리시킨 포켓 도어(75)가 그 수평포켓선반(71)에 회동,개폐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상기 카버(74)를 90도 정도 도어 내상(20')측으로 개방시킨 때에 도어 내상(20')의 전방의 수평위치로 포켓 도어(75)가 회동,개방될 수 있게 된다.
그와 같이 포켓 도어(75)가 회동,개폐되는 구조는 도 3에서 개방힌지축 지지부재(82), 개방힌지축(83), 스프링유니트(90) 및 상기 카버(74)에 형성되는 스토퍼(76)로 구성된다.
상기 개방힌지축 지지부재(82)는 상기 포켓 도어(75)에 일체로 또는 고정되게 형성되며, 상기 개방힌지축 지지부재(82)가 양측벽부(71')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도록 개방힌지축(83)이 개방힌지축 지지부재(82)와 양측벽부(71')에 설치된다.
상기 스토퍼(76)는 카버(74)가 폐쇄된 때에 그 포켓 도어(75)를 스프링유니트(90)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폐쇄위치로 유지시키도록 상기 카버(74)에 형성된다.
상기 스프링유니트(90)는, 구체적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통(92), 스프링 받침판(91), 압축스프링(93)으로 구성되고, 압축스프링(93)의 압축과 신장을 안내하는 가이드(94)를 중앙에 설치할 수도 있다. 또, 상기 스프링 받침판(91)으로부터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작용하도록 상기 포켓 도어(75)의 내측으로 돌출판(81)이 형성된다.
상기 외통(92)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포켓선반(71)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내측으로는 내측걸림턱이 형성되며, 그 외통(92)의 내측걸림턱에 걸리는 외측걸림턱을 지니는 스프링 받침판(91)이 설치되고, 그 압축스프링(93)은 상기 스프링 받침판(91)과 수평포켓선반(71)사이에서 탄성력을 작용시키도록 외통(92)내에 수용된다. 또한, 상기 스프링 받침판(91)으로부터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작용하도록 상기 포켓 도어(75)의 내측으로 돌출판(81)이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 내측 전방오픈형 카버 포켓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도 3에서 실선의 폐쇄위치로부터 카버(74)를 화살표 "E"방향으로 90도의 이점쇄선의 위치(74')로 개방시킬 때, 스토퍼(76)가 그 포켓 도어(75)의 폐쇄상태를 해제하게 되어 포켓 도어(75)가 스프링유니트(90)의 탄성력의 작용으로 인하여 개방힌지축(83)을 중심으로 화살표 "A" 방향으로 회동하게 되어 포켓 도어(75)가 카버(74)의 회동,개방과 동시에 자동으로 이점쇄선의 위치인 (75")로 회동, 개방되게 된다.
한편, 카버(74)의 폐쇄는 손으로 포켓 도어(75)를 회동시키고 스프링유니트(90)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가압한 후, 카버(74)를 폐쇄시킴으로써 폐쇄상태로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 내측 전방오픈형 카버 포켓의 구성과 작용에 의하면, 카버 포켓(70)의 포켓선반을 수직부인 포켓 도어(75)와 수평부인 수평포켓선반(71)으로 분리시키고 그 포켓 도어(75)를 수평포켓선반(71)에 대해 스프링유니트(90)의 탄성력으로 회동,개방시킴으로써 카버 포켓(70)의 전방이 완전히 개방될 수 있게 되어 특히 유럽형 냉장고와 같이 상부에 카버 포켓(70)을 설치하는 경우 더욱 피수납물의 수납과 인출이 편리하게 되고 보다 높이가 높은 피수납물을 수납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된 것은 아니고 이하의 특허 청구 범위에 마련되는 본 고안의 정신이나 분야를 이탈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Claims (2)

  1. 카버(74)를 힌지축(73)을 중심으로 도어 내상(20')측으로 90도 정도 회동,개폐시키도록 도어 내상(20')에 지지되는 냉장고의 도어 내측 오픈형 카버 포켓에 있어서:
    상기 힌지축(73)을 지지하도록 힌지축 지지부재(72)가 형성된 양측벽부(71')와 그 사이의 수평부로 거의 형성되며, 도어 내상(20')에 지지되는 수평포켓선반(71)과;
    상기 카버(74)를 90도 정도 도어 내상(20')측으로 개방시킨 때에 도어 내상(20')의 전방의 수평위치로 탄성력에 의해 회동,개방되고 상기 카버(74)를 폐쇄시킨 때에 그 탄성력에 대항하여 상기 수평포켓선반(71)의 단부에 대해 수직으로 회동되는 포켓 도어(75)와;
    상기 카버(74)를 개방시킨 때에 상기 포켓 도어(75)에 탄성력을 가하기 위한 스프링유니트(90)와;
    상기 포켓 도어(75)가 상기 스프링유니트(90)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수직위치로 회동되고, 카버(74)가 폐쇄된 때에 그 포켓 도어(75)를 스프링유니트(90)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폐쇄위치로 유지시키도록 상기 카버(74)에 형성되는 스토퍼(76)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도어 내측 전방 오픈형 카버 포켓.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켓 도어(75)를 회동,개폐시키기 위해 상기 포켓 도어(75)에 형성된 개방힌지축 지지부재(82)와, 상기 개방힌지축 지지부재(82)와 양측벽부(71')를 회동가능하게 연결시키는 개방힌지축(83)을 구비하며;
    상기 스프링유니트(90)가, 수평포켓선반(71)에 일체로 형성되고 내측으로 내측걸림턱을 지니는 스프링 수용 외통(92)과, 그 외통(92)의 내측걸림턱에 걸리는 외측걸림턱을 지니는 스프링 받침판(91)과, 상기 스프링 받침판(91)과 상기 수평포켓선반(71)사이에서 탄성력을 작용시키도록 외통(92)내에 수용되는 압축스프링(93)으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스프링 받침판(91)으로부터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작용하도록 상기 포켓 도어(75)의 내측으로 돌출판(81)이 형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도어 내측 전방 오픈형 카버 포켓.
KR1019970068483A 1997-12-13 1997-12-13 냉장고의 도어 내측 전방 오픈형 카버포켓 KR1002544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8483A KR100254468B1 (ko) 1997-12-13 1997-12-13 냉장고의 도어 내측 전방 오픈형 카버포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8483A KR100254468B1 (ko) 1997-12-13 1997-12-13 냉장고의 도어 내측 전방 오픈형 카버포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9525A KR19990049525A (ko) 1999-07-05
KR100254468B1 true KR100254468B1 (ko) 2000-05-01

Family

ID=195272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68483A KR100254468B1 (ko) 1997-12-13 1997-12-13 냉장고의 도어 내측 전방 오픈형 카버포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5446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2034B1 (ko) * 2002-06-21 2008-10-07 주식회사 포스코 대탕도의 보수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8936B1 (ko) * 2005-12-02 2013-02-01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2034B1 (ko) * 2002-06-21 2008-10-07 주식회사 포스코 대탕도의 보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9525A (ko) 1999-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57470C (en) Refrigerator
EP3152502B1 (en) Refrigerator
CA2453530C (en) French door chiller compartment for refrigerators
KR100254468B1 (ko) 냉장고의 도어 내측 전방 오픈형 카버포켓
KR100643395B1 (ko) 냉장고용 계란선반
KR100835353B1 (ko) 냉장고
KR101024464B1 (ko) 냉장고의 홈바
KR100213143B1 (ko) 냉장고의 서랍
KR950002345Y1 (ko) 냉장고의 도아포켓
KR19990056272A (ko) 냉장고의 도어포켓
KR19990056270A (ko) 냉장고의 도어 내측 전방 오픈형 포켓
KR20090078390A (ko) 냉장고
KR100834107B1 (ko) 도어바스켓을 구비하는 냉장고 도어어셈블리
KR0117749Y1 (ko) 냉장고용 서브-도어 개폐장치
KR19990056271A (ko) 냉장고의 도어 내측의 전방 오픈형 카버포켓
KR200165904Y1 (ko) 냉장고의 도어바스켓 커버 구조
KR19990049544A (ko) 냉장고의 업다운 도어 개폐구조
KR200169566Y1 (ko) 냉장고의 보조도어용 힌지
KR19990024616U (ko) 도어카버 포켓용 외부 보조도어를 지니는 냉장고의도어
KR19990049526A (ko) 냉장고의 슬라이딩 포켓을 지니는 도어포켓
KR100222984B1 (ko) 냉장고용 선반
KR0137800Y1 (ko) 회전선반의 조립 구조물
KR0119890Y1 (ko) 냉장고 도어
KR19990049514A (ko) 냉장고의 업다운 도어 회동구조
JPH11173752A (ja) 冷蔵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12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