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2167Y1 - 케이블 컨넥터 보호어댑터 - Google Patents

케이블 컨넥터 보호어댑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2167Y1
KR200212167Y1 KR2019980022368U KR19980022368U KR200212167Y1 KR 200212167 Y1 KR200212167 Y1 KR 200212167Y1 KR 2019980022368 U KR2019980022368 U KR 2019980022368U KR 19980022368 U KR19980022368 U KR 19980022368U KR 200212167 Y1 KR200212167 Y1 KR 20021216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apter
cable
connector
fixed
close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236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0175U (ko
Inventor
권병현
Original Assignee
김종수
엘지이노텍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수, 엘지이노텍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종수
Priority to KR201998002236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2167Y1/ko
Publication of KR2000001017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017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216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2167Y1/ko

Link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케이블이 연결되어 있는 컨넥터의 연결부분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용 어댑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하면, 컨넥터(40)와, 상기 컨넥터에 연결되는 케이블(20)의 연결부분을 보호하기 위한 어댑터(30)로서, 서로 체결된 상태에서, 그 내부에 일정한 고정공간을 형성하는 어댑터상부(32)와 어댑터하부(34)로 구성되고; 상기 어댑터의 일측은 컨넥터의 일측에 밀착된 상태로 고정되고, 어댑터의 타측은 케이블에 밀착된 상태로 고정되어, 컨넥터와 케이블의 연결부분을 보호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케이블에 밀착된 상태로 고정되는 어댑터의 단부에는, 케이블을 물어서 고정할 수 있는 클램핑부분이 성형되어, 케이블을 확실하게 파지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케이블 컨넥터 보호어댑터
본 고안은 케이블컨넥터의 케이블 연결부분을 보강하는 보강용 어댑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케이블 연결부분을 외부의 진동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보강용 어댑터에 관한 것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2에 기초하면서 일반적인 케이블컨넥터의 구성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1 및 도 2에는 RF신호처리를 위하여 사용되는 케이블컨넥터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플러그(1)는, 케이블(10)이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몸체(4)와, 상기 몸체(4)와의 사이에서 클램핑링(6)에 의하여 결합되는 육각형의 외형을 가지는 육각나사(2)로 구성된다.
상기 육각나사(2)는, 외부가 육각형으로 형성되어 육각렌치 등을 이용하여 회전시켜서, 후술하는 잭(20)과 나사 결합하는 부분이다. 그리고 상기 육각나사(2)의 내주면에는 일정 구간 나사부(2a)가 성형되어 있다. 상기 나사부(2a)는 잭(20)의 나사부(20a)와 서로 나사결합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4)의 내부에는 케이블(10)이 삽입되어 고정된다. 케이블(10)은,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심선(12)과, 상기 심선의 외부를 보호하는 테프론 재질의 내피(14)와, 상기 내피를 보호하는 외부(16)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심선(12)은, 몸체(4)의 내부에 설치되는 핀(18)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몸체(4)와 케이블(10)의 연결관계를 살펴보면, 케이블(10)이 몸체(4)의 내부로 삽입된 상태에서, 케이블(10)의 외부와 몸체(4)의 연결부분에는 납땜(W)에 의하여 서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케이블(10)을 고정한 몸체(4)를 구비하는 플러그(1)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잭(20)과 결합된다. 즉, 먼저 잭(20)의 전방이 육각나사(2)의 전방에 삽입된 다음, 육각나사(2)를 회전시키게 되면, 육각나사(2)의 나사부(2a)와 잭(20)의 나사부(20a)가 서로 나사결합되는 것에 의하여 서로 고정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컨넥터에 의하면, 케이블(10)과 몸체(4)가 납땜(W)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납땜(W) 연결은, 케이블(10)의 외피(16)와 몸체(4)의 사이에서 행해지는 것이지만, 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블(10)의 외측부분에서 주로 지지되고 있으며, 이러한 지지구조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단점이 지적된다.
실질적으로 플러그(1)와 잭(20)의 결합은 나사 결합되는 부분 등이 모두 일정 이상의 강성을 가진 재질로 제조되어 있다. 그러나 실질적으로 케이블(10)이 삽입되는 연결부분은 납땜을 이용하여 고정하는 구조이다. 이러한 구조는 외부에서 일정한 진동이 가해지면 이러한 진동이 케이블(10)과 몸체(4)의 연결부분에 집중하게 된다. 따라서 비록 가벼운 하중이라도 반복되면 피로하중으로 작용하게 되어, 상술한 납땜 연결부(W)가 손상되는 단점이 일어나게 된다.
본 고안의 목적은, 컨넥터의 케이블 연결부분을 충분하게 보호할 수 있는 보강용 어댑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은, 실질적으로 RF신호와 같이 일정한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는 컨넥터의 신뢰성을 확보하여, 이를 이용하는 제품을 장기간 사용할 수 있도록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케이블컨넥터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2는 종래의 케이블컨넥터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보강용 어댑터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보강용 어댑터의 단면도로서
(a)는 횡단면도, (b)는 종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어댑터의 결합상태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 케이블 30 ..... 어댑터
32 ..... 어댑터상부 34 ..... 어댑터하부
32a ..... 후크 34a ..... 체결공
40 ..... 컨넥터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하면, 컨넥터와, 상기 컨넥터에 연결되는 케이블의 연결부분을 보호하기 위한 어댑터로서: 서로 체결된 상태에서, 그 내부에 일정한 고정공간을 형성하는 어댑터상부와 어댑터하부로 구성되고; 상기 어댑터의 일측은 컨넥터의 일측에 밀착된 상태로 고정되고, 어댑터의 타측은 케이블에 밀착된 상태로 고정되어, 컨넥터와 케이블의 연결부분을 보호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넥터 보호어댑터를 기술적 요지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상기 어댑터에 의하여 컨넥터와 케이블의 연결부분을 보호할 수 있게 되어, 신호전달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그리고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케이블에 밀착된 상태로 고정되는 어댑터의 단부에는, 케이블을 물어서 고정할 수 있는 클램핑부분이 성형되어 있다. 이러한 클램핑부분에 의하여, 케이블이 확실하게 파지되어서 컨넥터와의 연결부분의 임의의 이동을 방지함과 동시에 외력을 충분히 흡수할 수 있게 된다.
다음에는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기초하면서 본 고안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에는 본 고안에 의한 어댑터(30)와, 케이블(20)이 연결된 컨넥터(40)가 도시되어 있다.
본 고안에 의한 어댑터(30)는, 일단부는 컨넥터(40)의 일측에 밀착된 상태로 고정되고, 타단부는 케이블(20)에 밀착된 상태로 고정되어, 케이블(20)이 외력에 의한 충격을 받지 않도록 보강하기 위한 것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어댑터(30)는, 서로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어댑터상부(32)와 어댑터하부(34)로 구성된다.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상부(32)는 하방을 향한 복수개의 후크(32a)를 구비하고 있으며, 어댑터하부(34)에는 상기 복수개의 후크(32a)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후크(32a)가 삽입, 체결되는 복수개의 체결공(34a)가 성형되어 있다.
따라서 어댑터상부(32)와 어댑터하부(34)는, 상기 후크(32a)와 체결공(34a)이 서로 체결되어 고정된 상태로 되면, 일체화된 하나의 어댑터(30)로 완성된다.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상부(32)와 어댑터하부(34)는 결합된 상태에서 원통형으로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본 고안에 의한 어댑터는, 이와 같은 원통형 어댑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자명하다.
상기 어댑터상부(32)와 어댑터하부(34)가 결합된 상태에서, 그 내부에는 일정한 고정공간(33)가 형성된다. 이러한 고정공간(33)는, 실제로 케이블(20) 및 컨넥터(40)의 일측부분이 수납되어 고정되는 부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어댑터상부(32)와 어댑터하부(34)가 결합된 어댑터(30) 내부의 고정공간(33)의 일단부(38)는, 컨넥터(40)의 일측에 밀착되어 고정된다. 그리고 그 반대측 단부는, 케이블(20)에 고정되는 부분으로, 케이블(20)에 고정되는 경우, 케이블(20)을 외측면에 견고하게 클램핑되기 위한 클램핑부분(36)이 성형되어 있다. 상기 클램핑부분(36)은, 실제로 케이블(20)의 외주면을 확실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면 충분하고,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케이블(20)의 외피 부분을 확실하게 물어 고정시킬 수 있는 이빨 형상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상기 클램핑부분(36)의 반대측 부분인 일단부(38)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컨넥터(40)의 후단부의 일측에 밀착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되면 충분하다.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일단부(38)는 컨넥터(40)에서 후방으로 약간 돌출된 연결부분(42)에 꼭 끼워질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하에서 도면부호 38은, 컨넥터(40)의 일측에 밀착되는 부분임을 감안하여, 컨넥터밀착부라고 칭하기로 한다.
다음에는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의한 어댑터(30)의 사용 상태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컨넥터(40) 및 케이블(20)은, 종래의 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컨넥터(40)의 연결부부(42)를 통하여 납땜 등의 방법으로 고정되어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어댑터하부(34)를, 케이블(20) 및 컨넥터(40)에 걸쳐 하방에 위치시킨다. 그리고 어댑터상부(32)에 형성된 복수개의 후크(32a)를 어댑터하부(34)의 복수개의 체결공(34a)에 체결시키는 것에 의하여, 어댑터상부(32)와 어댑터하부(34)를 서로 체결하게 된다.
이렇게 체결되면, 상기 어댑터(30)의 클램핑부분(36)은 케이블(20)의 동합금 외피를 물어서 확실하게 파지하는 상태로 된다. 그리고 어댑터(30)의 컨넥터밀착부(38)는, 컨넥터(40)의 후방에 완전하게 밀착된 상태로 지지된다. 도시한 실시예에서 상기 컨넥터밀착부(38)는 컨넥터(40)의 후방으로 돌출 성형된 연결부분(42)의 외측에 밀착되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있다.
도 5에는 상기와 같이 하여 어댑터(30)가, 컨넥터(40)와 케이블(20)에 동시에 밀착, 지지되어 있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상태가 되면, 실질적으로 본 고안에 의한 어댑터(30)가 컨넥터(40)의 일단부와 케이블(20)을 확실하게 파지하고 있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외력에 의한 충격이, 컨넥터(40) 및 케이블(20)에 가해지더라도 이러한 외력은 어댑터(30)에 의하여 흡수되어 컨넥터(40) 및 케이블(20)의 연결부에는 전달되지 않게 된다. 즉, 컨넥터(40)와 케이블(20)의 연결부분인 납땜부분(W)은 외력에 의하여 충격에서 충분히 보호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어댑터(30)는, 컨넥터(40)의 일단부와 케이블(20)에 각각 양단부가 밀착된 상태로 지지되는 것에 의하여, 컨넥터(40)와 케이블(20)의 연결 납땜부분(W)을 보호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기술적 범위 내에서 많은 다른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예를 들면, 하나의 완성된 어댑터(30)를 구성하기 위한 어댑터상부(32)와 어댑터하부(34)의 외형은 상술한 바와 같이 원통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실제로 사용되는 컨넥터의 형상에 따라서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리고 다른 실시예로서, 어댑터상부(32)와 어댑터하부(34)를 서로 체결하는 구성에는 상술한 바와 같은 후크(32a)와 체결공(34a)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어댑터상부(32)와 어댑터하부(34)를 서로 체결하기 위한 구성으로써는 다른 많은 실시예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예를 들면, 어댑터상부(32) 및 어댑터하부(34)를 서로 묶어서 고정할 수 있는 별도의 체결부재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함은 당연하다. 또한 어댑터상부(32) 및 어댑터하부(34)를 다른 체결구조로 서로 체결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리고 본 고안에 의한 어댑터는, 케이블과 컨넥터본체 사이의 연결부분을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어떠한 형태의 컨넥터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어댑터를 적용하면, 실질적으로 컨넥터(40)와 케이블(20)의 연결부분(W)의 취약성을 충분하게 보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통상 RF신호를 전달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컨넥터에 있어서, 케이블(20)과 컨넥터(40)는 납땜으로 서로 고정되는 바, 이는 실제로 외력에 취약하고, 특히 피로응력에 의하여 쉽게 손상되는 실정이다. 이러한 경우, 본 고안에 의한 어댑터를 적용하는 것에 의하여, 그 연결부분을 충분히 보호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따라서 외력에 의한(특히 피로하중에 의한) 컨넥터의 파손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는 컨넥터의 신뢰성을 확보하게 되어, 제품의 장기간 사용 및 신호전달에 대한 우수한 특성을 제공하는 것에 가능하게 된다.

Claims (3)

  1. 컨넥터와, 상기 컨넥터에 연결되는 케이블의 연결부분을 보호하기 위한 어댑터로서:
    서로 체결된 상태에서, 그 내부에 일정한 고정공간을 형성하는 어댑터상부와 어댑터하부로 구성되고; 상기 어댑터의 일측은 컨넥터의 일측에 밀착된 상태로 고정되고, 어댑터의 타측은 케이블에 밀착된 상태로 고정되어, 컨넥터와 케이블의 연결부분을 보호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넥터 보호어댑터.
  2. 제1항에 있어서, 케이블에 밀착된 상태로 고정되는 어댑터의 단부에는, 케이블을 물어서 고정할 수 있는 클램핑부분이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넥터 보호어댑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상부와 어댑터하부는, 그 어느 일측에 성형된 후크와, 타측에 성형되어 상기 후크가 체결되는 체결공에 의하여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넥터 보호어댑터.
KR2019980022368U 1998-11-17 1998-11-17 케이블 컨넥터 보호어댑터 KR20021216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2368U KR200212167Y1 (ko) 1998-11-17 1998-11-17 케이블 컨넥터 보호어댑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2368U KR200212167Y1 (ko) 1998-11-17 1998-11-17 케이블 컨넥터 보호어댑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0175U KR20000010175U (ko) 2000-06-15
KR200212167Y1 true KR200212167Y1 (ko) 2001-02-15

Family

ID=695086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2368U KR200212167Y1 (ko) 1998-11-17 1998-11-17 케이블 컨넥터 보호어댑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216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0175U (ko) 2000-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20055299A1 (en) Cable harness plug having a securing device for the cable harness
JPH09159061A (ja) スタッド係合装置
ES2296352T3 (es) Elemento de contacto con un terminal de tornillo.
KR200212167Y1 (ko) 케이블 컨넥터 보호어댑터
US4610503A (en) Protective device for overhead wires containing optical fiber units
KR19980042050A (ko) 조임장치
US4900266A (en) Strain relief system for connecting cables
ES2235471T3 (es) Conector de entrada liberado de tensiones para cables de señalizacion con pares de hilos trenzados.
US5192224A (en) Connector backshell for use with flexible conduit with an internal strain relief clamp
JPS61206182A (ja) プラグ
EP0709925B1 (en) Improved receptacle housing for connector assembly
KR100522081B1 (ko) 접속용 정착구 및 긴장재
KR200293807Y1 (ko) 모듈러플러그의 보호구
JP4859249B2 (ja) コネクタ
KR100485260B1 (ko) 케이블연결 고정 장치(연결 잭)
KR200419205Y1 (ko) 쉴드 라운드 케이블
KR200184352Y1 (ko) 써모커플 컨넥터 구조
KR200442293Y1 (ko) 단자용 전선 연결구
JPH027148B2 (ko)
KR200141552Y1 (ko) 케이블 연결구
KR200174468Y1 (ko) 전선 인입구용 방수캡
CZ282466B6 (cs) Utěsněná koncovka pro venkovní vodič s izolační vrstvou
JP3187273B2 (ja) ケーブル保護カバーの連結装置
KR20240041064A (ko) 엘보커넥터 및 그 시공방법
KR200280800Y1 (ko) 광케이블 보호관의 관이음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