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1434Y1 - 이동통신 단말기의 심카드 장착구조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의 심카드 장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1434Y1
KR200211434Y1 KR2020000022143U KR20000022143U KR200211434Y1 KR 200211434 Y1 KR200211434 Y1 KR 200211434Y1 KR 2020000022143 U KR2020000022143 U KR 2020000022143U KR 20000022143 U KR20000022143 U KR 20000022143U KR 200211434 Y1 KR200211434 Y1 KR 20021143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m card
card
terminal
window
si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21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순성
Original Assignee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000221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143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143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1434Y1/ko

Links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심카드 장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GSM 이동전화 단말기에서 심 카드(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Card)(SIM Card)를 이동 전화 단말기에 편리하게 장착 및 분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심카드 장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단말기 본체(200)의 측면(201)에서 SIM카드(202)를 장착하기 위하여, SIM카드를 끼워넣거나 빼내기 위한 카드 윈도우(203)가 형성되고, 상기 카드 윈도우(203)를 통해서 SIM카드가 장착되기 위한 슬림형의 수납 공간부(204)가 이루어지고, 상기 수납 공간부(204)에는 서로 대향하는 한쌍의 제1탄성판(205) 및 제2탄성판(206)이 설치됨과 함께 SIM카드(202)의 중앙부를 지지하기 위한 제3탄성판(207)이 설치된다.
본 고안은 SIM카드(202)를 단말기 외부에서 직접 단말기내에 장착하거나 분리할 수 있으므로 SIM카드의 장착과 분리가 종래에 배터리 수납부속에 SIM카드를 넣어두는 구조보다 편리하다.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의 심카드 장착구조{SIM Card Holder For Mobile Station}
본 고안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심카드 장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GSM 이동전화 단말기에서 심 카드(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Card)(SIM Card)를 이동 전화 단말기에 편리하게 장착 및 분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심카드 장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과 같은 이동 전화 시스템에 있어서 SIM카드는 단말기에 삽입되어 사용되며, 가입자 ID(Identification), 과금 정보, 단말기의 운용과 관련된 정보 등을 제공한다.
GSM 시스템에 있어서 SIM 카드는 단말기의 SIM 카드 리더(reader)에 삽입되어 사용되어 진다. 이러한 SIM 카드는 선불 기능도 구비하고 있어서 선불한 금액만큼 통화 가능하다.
상기한 SIM 카드를 사용하는 단말기에서 통상적으로 다음과 같이 과금 정보를 처리하여 왔었다. 만일 사용자가 단말기의 전원을 온시키거나 단말기내의 SIM 카드를 교체하는 경우, 단말기의 콘트롤러(controller)는 SIM 카드내의 과금정보를 판독하여 확인한다. 이 과금정보에는 사용자가 이미 사용한 누적된 총 통화의 과금액과 사용 가능 최대 허용 금액인 선불금액이 포함되어 있다. 이후 콘트롤러는 비통화 상태의 동작을 처리하다가 일단 통화가 시작되면, 현 통화에 대한 과금상황을 디스플레이하고 누적된 총 통화의 과금액을 SIM 카드에 저장한다. 또한 이때의 통화가 선불 금액을 초과하는지를 비교하여 확인하고 이를 초과하면 통화를 종료 처리한다.
도1은 상기 이동 전화 단말기(GSM단말기)의 예로서, 통상적인 GSM 단말기의 블록구성도를 보인 것이다.
단말기(100)는 SIM 카드(101)의 정보를 읽어내거나 기록하기 위한 SIM 카드 리더(102)와 사용자 인터페이스(103), 송신기(104a)와 수신기(104b) 및 콘트롤러 (105)를 구비하며, RF신호를 전기적인 RF신호로 변환하는 안테나(106)를 사용한다.
안테나(106)를 통해 수신기(104b)에 수신되어진 전기적인 RF신호는 복조된후 콘트롤러(105)로 출력된다. 콘트롤러(105)는 수신기(104b)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사용자 인터페이스(103)에 의해 사용될 음성 또는 데이터로 포맷(format)한다. 콘트롤러(105)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메모리장치를 포함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103)는 사용자와 단말기(100)간에 정보를 전달하는데 사용되며, 일반적으로 마이크로폰, 스피커, 디스플레이장치, 데이터 포트, 키이 패드를 포함한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103)로부터의 음성 및 데이터는 콘트롤러(105)에 의해 처리되어 송신기(104a)에 입력된다. 송신기(104a)는 데이터를 전기적인 RF신호로 변환하여 안테나(106)를 통해 송신한다. 그리고 SIM 카드 리더(102)에는 전술한 바와 같은 SIM 카드(101)가 삽입된다.
이와같은 SIM카드 삽입구조가 종래에는 단말기의 배터리 수납부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SIM카드를 장착하기 위해서는 배터리 커버를 연 후에 배터리를 꺼내고 그 안쪽의 배터리 수납 공간 일부에 형성된 SIM카드 인터페이스에 SIM카드를 연결한 다음, 다시 배터리를 덮고 배터리 커버를 닫아야 한다.
이러한 점은 SIM 카드의 장착 내지는 교체시 마다 매번 배터리 커버를 열고 배터리를 꺼낸 다음 SIM카드를 끼워넣고 다시 배터리와 커버를 덮는 번거로움을 유발한다.
본 고안은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심카드 장착구조에서 SIM카드를 배터리 수납부에 장착하지 않고, 단말기의 외부에서 직접 SIM카드를 장착할 수 있도록 하여, SIM카드의 장착 내지는 교체를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심카드 장착구조를 제공한다.
본 고안은 SIM카드를 단말기 본체의 외부에서 직접 삽입하여 장착하거나 분리할 수 있는 카드 윈도우를 단말기 본체에 형성하고, 상기 카드 윈도우를 통해서 장착되는 SIM카드의 수납 공간부 및 SIM카드 홀더를 단말기 본체 내부에 구성함으로써, SIM카드를 단말기 외부에서 직접 장착하거나 분리할 수 있도록 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심카드 장착구조를 제공한다.
도1은 GSM 단말기의 개략적인 회로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2는 본 고안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심카드 장착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본 고안은 SIM카드를 단말기 외부에서 직접 장착 및 분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단말기 본체에 형성된 카드 윈도우와, 상기 카드 윈도우를 통과하여 단말기 본체 내부로 진입한 SIM카드가 수납되기 위하여 단말기 본체내에 형성되는 수납 공간부와, 상기 수납 공간부에 수납되는 SIM카드를 고정해 주기 위하여 상기 수납공간부에 설치된 SIM카드 홀딩수단과, 상기 SIM카드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카드 윈도우 일부를 개폐하는 잠금수단;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심카드 장착구조 이다.
또한 본 고안의 심카드 장착구조에서 상기 카드 윈도우가 단말기 본체의 측면에 형성되어 SIM카드가 단말기 본체의 측면으로부터 장착 및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심카드 장착구조에서 상기 홀딩수단은 SIM카드의 후미에 접촉되어 SIM카드를 탄력있게 지지해 주는 한쌍의 제1 및 제2탄성판과, SIM카드의 중앙면에 접촉되어 SIM카드를 탄력있게 지지해 주는 제3탄성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내지 제3탄성판에 의해서 상기 수납 공간부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심카드 장착구조의 실시예를 도2에 도시하였다.
도2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고안은, 단말기 본체(200)의 측면(201)에서 SIM카드(202)를 장착하기 위하여, SIM카드를 끼워넣거나 빼내기 위한 카드 윈도우(203)가 형성되고, 상기 카드 윈도우(203)를 통해서 SIM카드가 장착되기 위한 슬림형의 수납 공간부(204)가 이루어지고, 상기 수납 공간부(204)에는 서로 대향하는 한쌍의 제1탄성판(205) 및 제2탄성판(206)이 설치됨과 함께 SIM카드(202)의 중앙부를 지지하기 위한 제3탄성판(207)이 설치된다.
상기 제1탄성판(205)과 제2탄성판(206)의 선단부에는 대략 원형으로 굴곡진 지지부(205a)(206a)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205a)(206a)가 SIM카드(202)의 후미에 접촉되어 SIM카드(202)를 탄력있게 지지하며, 상기 제3탄성판(207)의 선단부에는 대략 '??'자형으로 굴곡진 지지부(207a)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207a)가 SIM카드(202)의 중앙에 접촉되어 SIM카드(200)를 탄력있게 지지하면서 SIM카드(202)의 자세를 바로 잡아준다.
그리고, 카드 윈도우(203)의 일부를 개폐하는 잠금장치(208,209)가 설치된다. 이 잠금장치는 슬라이더(208)와 슬라이더를 탄력지지하는 스프링(209)으로 이루어지며, SIM카드(202)를 카드 윈도우(203) 속으로 완전히 삽입하면 슬라이더 (208)가 스프링(209)의 탄성력에 의해 카드 윈도우(203)의 일부를 닫아서 카드 윈도우(203)의 개구부를 좁혀줌으로써, 그 속에 수납된 SIM카드(202)가 단말기 본체(202) 밖으로 튀어나오지 않도록 해준다. SIM카드(202)를 빼낼 때에는 슬라이더(208)를 밀어서 카드 윈도우(203)를 완전히 열어준 상태로 SIM카드(202)를 쉽게 빼낼 수 있다.
도2에 도시한 바와같이 본 고안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심카드 장착구조에서는 SIM카드(202)를 단말기 본체(200)의 외부에서 직접 끼워넣거나 빼낼 수 있는 구조이다.
SIM카드(202)를 단말기 본체(200)에 끼워넣을 경우에는 SIM카드(202)의 후미를 카드 윈도우(203)를 통해 수납 공간부(204)속으로 밀어넣는다.
이때 SIM카드(202) 선단부 일측면이 슬라이더(208)에 접촉되면서 슬라이더 (208)를 밀어주기 때문에 카드 윈도우(203)의 개구부는 완전하게 열리고, SMI카드 (202)가 수납 공간부(204) 속으로 완전히 삽입되면 슬라이더(208)가 스프링(209)의 탄성력에 의해서 원위치로 복원되면서 카드 윈도우(203)의 개구부를 좁혀줌으로써, SIM카드(202) 후미가 슬라이더(208)에 걸리게 되어 SIM카드(202)의 이탈이 방지된다.
SIM카드(202)가 수납 공간부(204)속으로 삽입되면 SIM카드(202)의 후미가 제1탄성판(205)의 지지부(205a) 및 제2탄성판(206)의 지지부(206a)에 접촉되면서 제1탄성판(205) 및 제2탄성판(206)의 탄력을 받아 수납 공간부(204)내에 정위치되고, 또한 이 때 제3탄성판(207)의 지지부(207a)가 SIM카드(202)의 중앙부 일면을 가볍게 눌러주게 된다.
따라서, SIM카드(202)는 종래와 같이 배터리 커버를 열고 배터리를 분리한 다음에 SIM카드를 장착하는 번거로운 작업없이 단말기 본체(200)의 외부에서 직접 카드 수납 공간부(204)속으로 삽입된다.
또한, 종래와 같이 심카드 장착 후에 배터리와 배터리 커버를 덮는 동작도 필요하지 않게 된다.
SIM 카드(202)를 빼낼 때는 상기 삽입시와 역순에 의해서 SIM 카드(202)가 간단하게 분리될 수 있다.
SIM카드(202)를 분리할 때에도 종래와 같이 배터리 커버의 개폐와 배터리 분리 및 재장착 등의 번거로운 작업없이, 단말기 본체(200)의 외부로 직접 SIM카드(202)를 빼낼 수 있다.
본 고안의 심카드 장착구조에서는 종래에 심카드를 배터리 수납부에 장착한 구조에 비하여, 심카드 장착과 분리가 용이하고, 종래와 같이 배터리 커버의 개폐와 배터리 분리 및 재장착 등의 번거로운 절차없이 간편하게 심카드를 단말기 본체에 장착하고 또한 분리할 수 있다.

Claims (4)

  1. SIM카드를 단말기 외부에서 직접 장착 및 분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단말기 본체에 형성된 카드 윈도우와, 상기 카드 윈도우를 통과하여 단말기 본체 내부로 진입한 SIM카드가 수납되기 위하여 단말기 본체내에 형성되는 수납 공간부와, 상기 수납 공간부에 수납되는 SIM카드를 고정해 주기 위하여 상기 수납공간부에 설치된 SIM카드 홀딩수단과, 상기 SIM카드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카드 윈도우 일부를 개폐하는 잠금수단;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심카드 장착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 윈도우가 단말기 본체의 측면에 형성되어 SIM카드가 단말기 본체의 측면으로부터 장착 및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심카드 장착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수단은 SIM카드의 후미에 접촉되어 SIM카드를 탄력있게 지지해 주는 한쌍의 제1 및 제2탄성판과, SIM카드의 중앙면에 접촉되어 SIM카드를 탄력있게 지지해 주는 제3탄성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내지 제3탄성판에 의해서 상기 수납 공간부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심카드 장착구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수단은 카드 윈도우의 일부를 개폐하는 슬라이더 및 상기 슬라이더를 탄력 지지하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심카드 장착구조.
KR2020000022143U 2000-08-03 2000-08-03 이동통신 단말기의 심카드 장착구조 KR20021143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2143U KR200211434Y1 (ko) 2000-08-03 2000-08-03 이동통신 단말기의 심카드 장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2143U KR200211434Y1 (ko) 2000-08-03 2000-08-03 이동통신 단말기의 심카드 장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1434Y1 true KR200211434Y1 (ko) 2001-01-15

Family

ID=730868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2143U KR200211434Y1 (ko) 2000-08-03 2000-08-03 이동통신 단말기의 심카드 장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1434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4308B1 (ko) * 2002-10-04 2005-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심 카드 장착구조
KR100628104B1 (ko) 2005-09-29 2006-09-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사용자 인증 모듈 카드 분리구조
KR100677383B1 (ko) 2004-11-10 2007-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uim/sim 카드 착탈 장치
KR100729811B1 (ko) 2006-07-19 2007-06-20 주식회사 우영 휴대용 단말기의 카드 소켓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4308B1 (ko) * 2002-10-04 2005-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심 카드 장착구조
KR100677383B1 (ko) 2004-11-10 2007-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uim/sim 카드 착탈 장치
KR100628104B1 (ko) 2005-09-29 2006-09-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사용자 인증 모듈 카드 분리구조
KR100729811B1 (ko) 2006-07-19 2007-06-20 주식회사 우영 휴대용 단말기의 카드 소켓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556970B1 (en) Memory module reader suitable for a radio telephone
EP1123583B3 (en) Data card connector
EP0616458B1 (en) Portable telephone set combined with a card
US5831256A (en) Electronic card reader for reading cards of different formats, and portable telephone including such a reader
KR100391735B1 (ko) 착탈식 부속품용 전기 커넥터
JP4237834B2 (ja) 携帯電話機
US6543696B2 (en)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US20060073848A1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JP4306143B2 (ja) 携帯電話機
US20040063462A1 (en) Card holding structure for cellular phone
JP3439868B2 (ja) 携帯電話機
US6068186A (en) Chip card reader with adapter for reading cards of different formats, telephone comprising such a reader
KR200211434Y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심카드 장착구조
JPH10190803A (ja) 携帯電話機の複合コネクター構造
US6535750B1 (en) Radio apparatus, especially a mobile telephone
US6907266B2 (en) Mobile communication apparatus having an accessory unit including at least the transponder circuit of a transponder unit
EP0564105A2 (en) Memory module adapter
WO2001080437A1 (en) Mobile telephone accessory
KR100800662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 커버 장치
JPH11266293A (ja) 携帯電話機
JPH11163984A (ja) 無線通信装置
KR200211452Y1 (ko) Gsm 단말기의 sim 카드 장착구조
KR100640458B1 (ko) 와치 타입 텔레폰의 배터리팩 접속장치
KR200166528Y1 (ko) 엘씨디모듈이분리가능한휴대용무선단말기
RU59924U1 (ru) Мобильный телефонный аппарат - панель автомагнитолы (вариант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929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