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7383B1 - 이동통신 단말기의 uim/sim 카드 착탈 장치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의 uim/sim 카드 착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7383B1
KR100677383B1 KR1020040091600A KR20040091600A KR100677383B1 KR 100677383 B1 KR100677383 B1 KR 100677383B1 KR 1020040091600 A KR1020040091600 A KR 1020040091600A KR 20040091600 A KR20040091600 A KR 20040091600A KR 100677383 B1 KR100677383 B1 KR 1006773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im
sim card
battery
card
receiv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16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42806A (ko
Inventor
한동엽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916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7383B1/ko
Publication of KR200600428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28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73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73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16Mechanical arrangements for accommodating identification devices, e.g. cards or chips; with connectors for programming identification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사용되는 사용자 식별 모듈인 UIM(Us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카드를 배터리를 단말기 본체에 대하여 장착하거나 분리하는 하나의 동작에 의하여 착탈이 가능하도록 하는 UIM/SIM 카드 착탈 장치에 관한 것으로, 단말기 본체의 배터리 장착부에 형성되고, 그 입구가 상기 단말기 본체의 측면에 형성되는 UIM/SIM 카드 수용홈부; 상기 카드 수용홈부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UIM/SIM 카드를 배출시키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체; 상기 UIM/SIM 카드의 후단부에 형성되는 경사부; 및 상기 배터리 장착부에 슬라이드되어 탈착되는 배터리에 상기 UIM/SIM 카드의 경사부와 접촉할 수 있게 돌출 형성되어, 상기 배터리를 일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면 상기 UIM/SIM 카드의 경사부를 밀어서 상기 UIM/SIM 카드를 상기 수용홈부에 록킹시키고, 상기 배터리를 반대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면 상기 UIM/SIM 카드의 록킹을 해제시키는 잠금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동통신, 단말기, UIM, SIM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의 UIM/SIM 카드 착탈 장치{UIM/SIM CARD INSERT/EJECTING APPARATUS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1은 종래의 UIM/SIM 카드 장착구조를 보이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가 분리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UIM/SIM 카드가 카드 수용홈에 고정되는 것을 보이기 위한 것으로서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UIM/SIM 카드 착탈 구조를 보이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면 사시도,
도 4는 도 3에서 UIM/SIM 카드와 배터리를 단말기 본체에 결합시킨 후 B-B선에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 5와 도 6은 배터리를 단말기 본체에 고정시킴에 따라 UIM/SIM 카드가 고정되는 것을 보인 작동상태도로서,
도 5는 배터리가 단말기 본체에 대하여 고정되기 전을 보인 것이고,
도 6은 배터리를 위로 슬라이드시켜 고정됨에 따라 잠금 돌기도 이동되어 UIM/SIM 카드가 삽입 고정된 것을 보인 것이다.
*도면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0: 배터리 42: 잠금 돌기
50: 카드 수용홈부 52: 안내홈
54: 판 스프링 55,56: 안내턱
70: UIM/SIM 카드 71: 경사부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사용되는 사용자 식별 모듈인 UIM(Us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카드를 배터리를 단말기 본체에 대하여 장착하거나 분리하는 하나의 동작에 의하여 착탈이 가능하도록 하는 UIM/SIM 카드 착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에 사용되는 UIM 카드 또는 SIM 카드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로밍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권한 정보, 또는 사용자 본인에 관한 정보 즉, 사용자의 식별이나 인증을 위한 모듈을 내장한 카드로서, 지역이나 단말기 기기에 관계없이 이 UIM/SIM 카드를 당해 이동통신 단말기에 장착하여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자신의 이동통신 단말기가 아닌 다른 이동통신 단말기에 UIM/SIM 카드를 장착하여 이동전화 서비스를 사용하게 되어도 이전에 사용하였던 여러 정보들을 불편없이 계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UIM/SIM 카드를 사용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UIM/SIM 카드를 플러그인하기 위해서 이 UIM/SIM 카드의 수용공간을 갖춘 UIM/SIM 카드 소켓 장치가 필요한 바, 종래의 UIM/SIM 카드 소켓 장치에 의한 UIM/SIM 카드 착탈 구조를 첨부한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과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UIM/SIM 카드를 수용하기 위한 소켓 장치는, 단말기 본체(10)의 배면에 형성된 배터리 안착면(12)에 UIM/SIM 카드(13)를 수용하기 위한 카드 수용홈(16)이 형성되고, 이 카드 수용홈(16)의 상부에는 UIM/SIM 카드(13)를 카드 수용홈(16)에 고정하기 위한 카드 고정용 홀더(17)(18)가 형성되며, 이 카드 수용홈(16)에 형성된 설치공(14)에 단말기 본체(10)의 내부에 있는 피시비(21)에 장착되며 다수의 접속핀(15a)을 구비한 핀커넥터(15)가 UIM/SIM 카드(13)의 접속핀(13a)과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게 구비되어 있다.
이 UIM/SIM 카드(13)를 단말기 본체(10)에 장착하기 위해서는, 우선 배터리(11)를 단말기 본체(10)로부터 분리시키고(1단계), UIM/SIM 카드(13)를 카드 수용홈(16)에 수납시켜 플러그-인한 다음(2단계), 배터리(11)를 단말기 본체(10)에 고정하는 과정(3단계)을 거쳐야 한다.
반대로, UIM/SIM 카드(13)를 단말기 본체(10)로부터 플러그-아웃시키기 위해서도, 우선 배터리(11)을 단말기 본체(10)로부터 분리시키고(1단계), UIM/SIM 카드(13)를 카드 수용홈(16)으로부터 분리시킨 다음(2단계), 배터리(11)를 단말기 본체(10)에 고정하는 과정(3단계)을 거쳐야 하는 사용상 불편함이 예상된다.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UIM/SIM 카드(13)를 카드 수용홈(16)에 고정하기 위해서는, 손가락으로 UIM/SIM 카드(13)를 카드 수용홈(16)에 대하여 대략 횡방향으로 홀더(17)(18)의 하부로 밀어 삽입시켜야 한다.
이 과정에서 이 UIM/SIM 카드(13)가 휘게 될 수 있으므로, UIM/SIM 카드(13)가 오작동되거나 망가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UIM/SIM 카드(13)를 용이하게 탈착할 수 있도록 여유공간이나 경사면(20)을 둔 형태가 제안되었다.
그러나, 위와 같은 여유공간이나 경사면(20)을 둔 만큼 단말기 본체(10)에 결합되는 다른 부품의 설치 공간을 축소시킬 뿐만 아니라, 단말기를 슬림화하는데 제약을 가하게 되는 문제가 생긴다.
또한, UIM/SIM 카드의 휨을 방지하고 설치홈에 용이하게 고정하기 위하여, UIM/SIM 카드를 카드 수용홈에 대하여 대략 수직방향으로 삽입시키고, 이 UIM/SIM 카드를 탄성적으로 누를 수 있는 수단을 설치하여, 이 UIM/SIM의 안정적인 접속을 가능하게 하는 형태가 제안되기도 하였으나, 이 역시 UIM/SIM 카드를 누르는 별도의 수단을 위한 공간을 필요로 하는 문제가 있을 뿐만 아니라, 배터리를 선결적으로 단말기 본체에 대하여 분리시키고 UIM/SIM 카드를 고정 또는 이탈시킨 후 다시 배터리를 고정시키는 3단계의 과정을 거쳐야 하므로 사용상 불편한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에 부응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UIM/SIM 카드의 착탈을 위하여 필요한 공간을 줄여 단말기의 설계상의 제약을 줄이고, 배터리를 단말기 본체에 대하여 장착시키거나 분리시키는 하나의 동작에 의하여 UIM/SIM 카드를 고정시키거나 이탈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하는 착탈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배터리의 분리시 UIM/SIM 카드가 단말기 본체에 대하여 어느 정도 돌출되게 하여 UIM/SIM 카드가 용이하게 이탈될 수 있도록 하는 착탈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단말기 본체의 배터리 장착부에 형성되고, 그 입구가 상기 단말기 본체의 측면에 형성되는 UIM/SIM 카드 수용홈부; 상기 카드 수용홈부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UIM/SIM 카드를 배출시키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체; 상기 UIM/SIM 카드의 후단부에 형성되는 경사부; 및 상기 배터리 장착부에 슬라이드되어 탈착되는 배터리에 상기 UIM/SIM 카드의 경사부와 접촉할 수 있게 돌출 형성되어, 상기 배터리를 일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면 상기 UIM/SIM 카드의 경사부를 밀어서 상기 UIM/SIM 카드를 상기 수용홈부에 록킹시키고, 상기 배터리를 반대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면 상기 UIM/SIM 카드의 록킹을 해제시키는 잠금돌기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UIM/SIM 카드 착탈장치를 제공한다.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카드 수용홈부는 상기 배터리 장착부를 향하여 개방 형성되며, 상기 카드 수용홈부와 배터리 장착부 사이에는 상기 UIM/SIM 카드의 삽입시 상기 UIM/SIM 카드가 상기 배터리 방향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안내턱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잠금돌기는 상기 배터리의 내측면에 상기 배터리의 슬라이드 방향으로 일정 길이로 형성되어 상기 잠금돌기의 측면이 상기 UIM/SIM 카드의 후단부와 접촉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체는, 상기 카드 수용홈부에 삽입되는 UIM/SIM 카드를 향하여 배향되게 지지되는 판 스프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단말기 본체에는 상기 잠금 돌기를 안내하는 안내홈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UIM/SIM 카드 착탈 장치를 첨부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관련된 공지 기능이나 부품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UIM/SIM 카드 착탈 구조를 보이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서 UIM/SIM 카드와 배터리가 결합된 후 B-B선에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단말기 본체(30)에는 단말기 본체(30)의 측면(32)에 입구(51)를 구비하여 단말기 본체(30)의 내부를 향하도록 형성된 카드 수용홈부(50)가 구비된다.
카드 수용홈부(50)에는 UIM/SIM 카드(70)를 이 카드 수용홈부(50)의 입구(51) 쪽으로 UIM/SIM 카드(70)의 판면 방향 즉, 횡방향으로 밀어 삽입시킴으로써 고정시키거나 이 UIM/SIM 카드(70)를 잡아 당겨서 분리시킬 수 있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UIM/SIM 카드(70)의 삽입을 위하여 단말기 본체에 별도의 공간이나 경사면을 둘 필요가 없어질 뿐만 아니라, 상기 UIM/SIM 카드(70)의 삽입을 위하여 이 UIM/SIM 카드(70)의 휨과 같은 물리적인 변형이 필요 없게 된다.
그리고, 상기 카드 수용홈부(50)는 단말기 본체(30)의 배면에 형성된 배터리 장착부(31)를 향하여 개방되게 형성되며, 카드 수용홈부(50)의 상부에는 UIM/SIM 카드(70)의 삽입시 UIM/SIM 카드(70)가 배터리(40)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안내턱(55)(56)이 구비된다.
상기 카드 수용홈부(50)의 내부에는 다수의 접속핀(60a)을 포함하는 핀커넥터(60)가 단말기 본체(30) 내부에 구비된 피시비(도시되지 않음)에 장착되어 UIM/SIM 카드(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구비된다.
또한, 상기 카드 수용홈부(50)의 입구(51)에 대향하는 내측벽(53)에는 판 스프링(54)이 카드 수용홈부(50)의 입구(51)를 향하여 배향되게 양단이 탄성 지지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판 스프링(54)에 의하여 UIM/SIM 카드(70)는 다른 외력이 없을 경우 카드 수용홈부(50)의 입구(51) 밖으로 일부가 돌출되므로 UIM/SIM 카드(70)를 용이하게 잡고 빼낼 수 있게 된다.
상기 카드 수용홈부(50)에 삽입되는 UIM/SIM 카드(70)는 일 모서리가 모따기로 형성된 경사부(71)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 경사부(71)를 포함하는 외측 단부(72)가 뒤로 가게 하고 외측 단부(72)에 대향하는 내측 단부(73)가 앞으로 가게 하여 밀어 삽입시킬 수 있게 형성된다.
특히, 상기 경사부(71)는 UIM/SIM 카드(70)가 전기적으로 올바르게 접속될 수 있도록 UIM/SIM 카드(71)의 삽입 방향을 식별하기 위하여 구비됨과 동시에,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경사부(71)를 상기 잠금 돌기(42)와의 접촉을 통하여 UIM/SIM 카드(70)를 이동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다만, 후자의 역할을 위하여 경사부를 별도로 두는 실시예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단말기 본체(30)에 결합되도록 배터리(40)의 내측 커버(41)의 양 단부에는 대략 'ㄴ'자 형으로 돌출 형성된 배터리 고정 후크(43)가 구비되고, 이 배터리 고정 후크(43)에 대응하는 단말기 본체(30)의 배터리 장착부(31)에는 상기 배터리 고정 후크(43)를 수용함과 동시에 상기 배터리 고정 후크(43)가 삽입되어 위로 올려질 때 배터리(40)을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잠금홈(33)이 구비된다.
그리고,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배터리(40)의 상기 카드 수용홈(50)의 입구(51)에 대응되는 부위의 하부에는 상기 입구(51) 쪽을 향하여 돌출 형성된 잠금 돌기(42)를 구비한다. 따라서, 잠금 돌기(42)는 배터리(40)가 단말기 본체(30)에 대하여 슬라이드 고정시, 상기 UIM/SIM 카드(70)의 삽입방향과 대략 직각되게 배터리(40)와 일체로 이동된다.
또한, 단말기 본체(30)에는 상기 잠금 돌기(42)를 안내하기 위하여 잠금 돌기(42)의 이동 방향과 일치하게 안내홈(52)이 구비된다.
한편, 상기 판 스프링(54)은 UIM/SIM 카드(70)가 카드 수용홈부(50)에 완전히 삽입되었을 때부터 일정 구간에서 UIM/SIM 카드(70)에 대하여 반발력을 가하는 수단으로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간은 UIM/SIM 카드(70)를 이 카드 수용홈부(50)에 밀어 넣어 내측 단부(73)가 판 스프링(54)에 접촉하기 시작할 때 적어도 잠금 돌기(42)의 대응 부위가 경사부(71)가 되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판 스프링(54) 외에도 이러한 반발력을 가하는 수단으로서의 탄성체는 압축 스프링이 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UIM/SIM 카드 착탈 장치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배터리(40)를 단말기 본체(30)에 대하여 슬라이드시켜 고정하고자 할 때, UIM/SIM 카드(70)를 판 스프링(54)에 접촉하기 시작하는 위치까지 밀어 넣은 후 배터리(40)를 올리기 시작하면, 잠금 돌기(42)가 배터리(40)와 일체로 이동하면서 경사부(71)와 접촉하며 경사부(71)를 도면에서 보아 오른쪽으로 밀게 되고, 이에 따라 UIM/SIM 카드(70)도 같이 오른쪽으로 이동하게 되어 카드 수용홈부(50)에 삽입된다.
그리고,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배터리(40)를 완전히 고정시키는 경우, 잠금 돌기(42)는 경사부(71)를 지나 외측 단부(72)와 접촉하며 UIM/SIM 카드(70)를 카드 수용홈부(50)에 완전히 삽입시켜 카드측 접속핀(70a)과 수용홈측 접속핀(60a)이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함과 동시에, 판 스프링(54)의 반발력에 의하여 이 UIM/SIM 카드(70)가 카드 수용홈부(50)의 외부로 나오는 것을 방지한다.
만약, 배터리(40)를 단말기 본체(30)에 대하여 분리하는 경우에는 도 5와 도 6을 역순으로 보면 된다.
즉,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잠금 돌기(42)가 UIM/SIM 카드(70)의 외측 단부(72)와 접촉하고 있는 상태에서, 도 5를 보는 바와 같이 잠금 돌기(42)가 후퇴시에 하부로 내려와서 경사부(71)와 접촉하게 되면 판 스프링(54)의 반발력에 의하여 UIM/SIM 카드(70)는 서서히 돌출된다. 그리고, 잠금 돌기(42)가 안내홈(52)의 하부로 완전히 내려와서 카드 수용홈부(50)의 입구(51)를 개방하게 되면 UIM/SIM 카드(70)의 일부가 배출되어 사용자가 UIM/SIM 카드(70)를 잡고 상기 카드 수용홈부(50)로부터 분리 용이한 상태가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UIM/SIM 카드 착탈 장치에 의하면, UIM/SIM 카드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으로서 단말기 본체의 측면으로 개방된 카드 수용홈을 구비하는 형태이므로 UIM/SIM 카드를 횡으로 밀어 넣거나 UIM/SIM 카드를 누르기 위한 수단을 위하여 필요한 여유공간이나 경사면을 둘 필요가 없으므로 단말기를 슬림화하기 위한 설계상의 제약이 저감된다.
그리고, UIM/SIM 카드를 착탈 하기 위한 잠금돌기를 배터리에 두어, 배터리를 단말기 본체에 대하여 고정시키거나 해체시키는 동작만으로도 동시에 UIM/SIM 카드를 착탈할 수 있게 되어 이 UIM/SIM 카드에 물리적 손상을 가함이 없이 편리하게 착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착탈장치에 의하면, 탄성체에 의하여 배터리의 분리시 UIM/SIM 카드가 단말기 본체에 대하여 어느 정도 돌출되게 하여 이 UIM/SIM 카드를 용이하게 잡고 취급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UIM/SIM 카드 착탈 장치를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례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Claims (5)

  1. 단말기 본체의 배터리 장착부에 형성되고, 그 입구가 상기 단말기 본체의 측면에 형성되는 UIM/SIM 카드 수용홈부;
    상기 카드 수용홈부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UIM/SIM 카드를 배출시키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체;
    상기 UIM/SIM 카드의 후단부에 형성되는 경사부; 및
    상기 배터리 장착부에 슬라이드되어 탈착되는 배터리에 상기 UIM/SIM 카드의 경사부와 접촉할 수 있게 돌출 형성되어, 상기 배터리를 일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면 상기 UIM/SIM 카드의 경사부를 밀어서 상기 UIM/SIM 카드를 상기 수용홈부에 록킹시키고, 상기 배터리를 반대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면 상기 UIM/SIM 카드의 록킹을 해제시키는 잠금돌기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UIM/SIM 카드 착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 수용홈부는 상기 배터리 장착부를 향하여 개방 형성되며,
    상기 카드 수용홈부와 배터리 장착부 사이에는 상기 UIM/SIM 카드의 삽입시 상기 UIM/SIM 카드가 상기 배터리 방향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안내턱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UIM/SIM 카드 착탈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돌기는 상기 배터리의 내측면에 상기 배터리의 슬라이드 방향으로 일정 길이로 형성되어 상기 잠금돌기의 측면이 상기 UIM/SIM 카드의 후단부와 접촉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IM/SIM 카드 착탈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상기 카드 수용홈부에 삽입되는 UIM/SIM 카드를 향하여 배향되게 지지되는 판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UIM/SIM 카드 착탈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본체에는 상기 잠금 돌기를 안내하는 안내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UIM/SIM 카드 착탈장치.
KR1020040091600A 2004-11-10 2004-11-10 이동통신 단말기의 uim/sim 카드 착탈 장치 KR1006773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1600A KR100677383B1 (ko) 2004-11-10 2004-11-10 이동통신 단말기의 uim/sim 카드 착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1600A KR100677383B1 (ko) 2004-11-10 2004-11-10 이동통신 단말기의 uim/sim 카드 착탈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2806A KR20060042806A (ko) 2006-05-15
KR100677383B1 true KR100677383B1 (ko) 2007-02-02

Family

ID=371486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1600A KR100677383B1 (ko) 2004-11-10 2004-11-10 이동통신 단말기의 uim/sim 카드 착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738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0170U (ko) * 1997-08-28 1999-03-15 윤종용 휴대폰의 심 카드 장착장치
KR200211434Y1 (ko) 2000-08-03 2001-01-15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심카드 장착구조
JP2003188969A (ja) 2001-10-05 2003-07-04 High Tech Computer Corp Simカードを携帯用データ処理/通信装置に差し込むための装置
KR200391839Y1 (ko) 2005-05-10 2005-08-10 김용필 휴대전화기 카드장착소켓의 커버구조
KR20050110321A (ko) * 2004-05-18 2005-11-23 주식회사 팬택 이동통신단말기의 카드 장착 구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0170U (ko) * 1997-08-28 1999-03-15 윤종용 휴대폰의 심 카드 장착장치
KR200211434Y1 (ko) 2000-08-03 2001-01-15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심카드 장착구조
JP2003188969A (ja) 2001-10-05 2003-07-04 High Tech Computer Corp Simカードを携帯用データ処理/通信装置に差し込むための装置
KR20050110321A (ko) * 2004-05-18 2005-11-23 주식회사 팬택 이동통신단말기의 카드 장착 구조
KR200391839Y1 (ko) 2005-05-10 2005-08-10 김용필 휴대전화기 카드장착소켓의 커버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2806A (ko) 2006-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7715B1 (ko) 트랜스 플래시 메모리 카드용 소켓
US7160131B1 (en) SIM card holder
KR20010111452A (ko) 카드용 커넥터
EP0701356A2 (en) Arrangement for securing the SIM card in a mobile telephone
KR20120009435A (ko) 모듈러 커넥터
US7578703B2 (en) Card connector
JP2004126877A (ja) カード保持構造
KR100677383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uim/sim 카드 착탈 장치
EP1265334A2 (en) Charger for portable terminal
CN212277527U (zh) 一种便于插头固定的插座
KR100850941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심카드 탈착장치
JPH10124628A (ja) カード読取装置
KR20030056688A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이젝트 장치
KR100492560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인증카드 이탈 방지장치
KR101806248B1 (ko) 스위치부재를 구비하는 커넥터 장치
CN220753769U (zh) 端子台
CN217543670U (zh) 一种处理盒以及芯片安装装置
KR100673464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탈/장착 장치
CN213366843U (zh) 联接挠性电路板与导线的连接器结构
CN217847176U (zh) 一种电子签名结构及便携式信息采集识别终端
KR100624203B1 (ko) 메모리 카드용 커넥터
KR200307484Y1 (ko) 휴대폰용 핸드프리거치대
KR100447670B1 (ko) 카드용 커넥터장치
KR100729811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카드 소켓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KR100383573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심카드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