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1228Y1 - Operation structure of the door outside handle - Google Patents

Operation structure of the door outside hand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1228Y1
KR200211228Y1 KR2019980025319U KR19980025319U KR200211228Y1 KR 200211228 Y1 KR200211228 Y1 KR 200211228Y1 KR 2019980025319 U KR2019980025319 U KR 2019980025319U KR 19980025319 U KR19980025319 U KR 19980025319U KR 200211228 Y1 KR200211228 Y1 KR 20021122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gear
housing
door
cap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5319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00012368U (en
Inventor
박태만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800253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1228Y1/en
Publication of KR2000001236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2368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122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1228Y1/en

Link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어 아웃 사이드 핸들의 조작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아웃 사이드 핸들 본체의 두께(t')가 좁아지게 되고 이로 인해 도어 내부의 공간이 넓어지게 되어 내부의 각종 메커니즘 구성 설치가 자유로워지고, 핸들 사이즈 축소로 인해 설계의 자유도가 증대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peration structure of the door outside handle, the thickness (t ') of the outside handle main body is narrowed, thereby widening the space inside the door to free installation of various mechanism configuration inside the handle, Reducing size increases design freedom.

본 고안은 도어 아웃터 패널(2)에 고정되는 아웃 사이드 핸들 하우징(13) 내측에 캡 하우징(14)을 형성하고, 상기 핸들 하우징(13)에 일단이 힌지 결합된 핸들(15)의 타측면을 상기 캡 하우징(14)내에 삽입함과 동시에 그 삽입부에 제1 나선부(16)를 형성하며, 상기 캡 하우징(14)에 일측에 코일 스프링(17)을 감고 상기 제1 나선부(16)와 치합된 제1 기어(18)를 설치하며, 상기 제1 기어(18)에 하단부에 래치와 연결되는 로드(8)를 결합한 제2 기어(19)를 치합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cap housing 14 inside the outer handle housing 13 fixed to the door outer panel 2, and the other side of the handle 15 hinged to one end of the handle housing 13. The first spiral portion 16 is formed at the same time as the insertion into the cap housing 14, the coil spring 17 is wound around the cap housing 14, and the first spiral portion 16 is formed. The first gear 18 is meshed with the second gear 19 to which the rod 8 coupled to the latch is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first gear 18.

Description

도어 아웃 사이드 핸들의 조작구조Operation structure of the door outside handle

본 고안은 도어 아웃 사이드 핸들의 조작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peration structure of the door outside handle.

주지하는 바와 같이 차량의 아웃 사이드 핸들은 래치와 로드로 연결하고 핸들을 당겨 로드를 견인하므로서 스트라이커에 잠겨 있던 래치를 해방시킨 후 도어를 열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As is known, the outside handle of the vehicle is connected to the latch and the rod and pulls the handle to pull the rod to release the latch locked to the striker, and then open the door.

이러한 종래의 아웃 사이드 핸들 본체(1)는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 아웃터 패널(2)에 고정된 핸들 하우징(3)의 중심부에 핸들(4)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코일 스프링(5)을 감은 레버(6)가 설치된 브래킷(7)을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레버(6)의 하측은 핸들(4)이 끼워지며 상측은 로드(8)를 결합한 클립(9)이 설치되며, 상기의 핸들(4)은 일측이 힌지(10)를 통해 핸들 하우징(3)에 결합되고 타측은 핸들 하우징(3) 내측에 설치된 레버(6)의 하단부에 걸리는 것이며, 핸들 하우징(3)의 일측에는 도어를 록킹하기 위한 키삽입부가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로드(8)의 오른쪽 파선부분은 도어 글래스(11)로서, 도어 아웃터 패널(2)에 핸들 하우징(3)이 설치되게 되면 로드(8)의 오른쪽에 도어 글래스(11)가 설치되는 것이다.This conventional outside handle main body 1 is a coil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handle 4 in the center of the handle housing 3 fixed to the door outer panel 2, as shown in Figs. A bracket (7) provided with a lever (6) wound around a spring (5) is integrally formed, and a lower portion of the lever (6) is fitted with a handle (4), and an upper portion thereof has a clip (9) coupled with a rod (8). It is installed, the handle 4 is one side is coupled to the handle housing 3 through the hinge 10 and the other side is to be caught on the lower end of the lever 6 installed inside the handle housing 3, the handle housing 3 One side of the) is to form a key insert for locking the door. And the right broken line part of the rod 8 shown in FIG. 5 is the door glass 11, and when the handle housing 3 is installed in the door outer panel 2, the door glass 11 on the right side of the rod 8 is shown. Will be installed.

상기한 바와 같이 도어 아웃터 패널(2)에 핸들 하우징(3)을 설치한 후 핸들(4)을 당기게 되면, 핸들(4)이 힌지(10)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고 핸들(4)이 회전됨과 동시에 레버(6)를 당기게 되어 레버(6)가 회전하게 되면서 로드(8)를 위치 이동시키게 되어 결과적으로 스트라이커에 잠겨 있던 래치를 해방시켜 도어가 열리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핸들(4)을 놓게 되면 코일 스프링(5)의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레버(6)가 회전하고 레버(6)의 회전과 동시에 레버(6)가 핸들(4)을 당기게 되어 핸들(4)이 원위치로 돌아가게 되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handle 4 is installed after the handle housing 3 is installed in the door outer panel 2, the handle 4 rotates about the hinge 10 and the handle 4 rotates. At the same time, the lever 6 is pulled so that the lever 6 rotates to move the rod 8, thereby releasing the latch locked in the striker, thereby opening the door. When the handle 4 is released, the lever 6 rotates due to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coil spring 5, and the lever 6 pulls the handle 4 at the same time as the lever 6 rotates. It will return to its original position.

그러나 상기한 도어 아웃 사이드 핸들은, 브래킷(7)에 설치된 레버(6)가 회전을 통해 작동되는 것으로서 레버(6)의 회전작동 한계길이 때문에 아웃 사이드 핸들 본체(1)의 두께(t)가 넓어지게 되고, 이로 인해 도어 내부의 공간이 좁아지게 되어 내부의 각종 메커니즘(Mechanism)구성 설치제약이 따르게 되며, 핸들 사이즈가 크기 때문에 설계의 자유도가 없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door outside handle has a thickness t of the outside handle main body 1 because the lever 6 installed on the bracket 7 is operated by rotation, and the limit of the rotational operation limit length of the lever 6 is large. As a result, the space inside the door is narrowed, and various mechanisms (mechanisms) and installation constraints are followed, and the handle size is large, resulting in a lack of design freedom.

그리고 아웃 사이드 핸들 본체(1)의 두께(t)가 넓어지므로서 리어 도어 힌지 사이즈 증대로 필러 단면적 사이즈가 축소되어 측면충격 법규만족을 위한 별도의 보강이 요구되는 단점도 있었다.In addition, as the thickness t of the outside handle main body 1 is widened, the size of the filler cross-sectional area is reduced by increasing the rear door hinge size, so that a separate reinforcement is required for satisfying the side impact regulations.

또한 도난방지를 위하여 도어 글래스(11) 하단에 별도의 브래킷을 적용하고, 핸들(4)과 래치에 프로텍터를 별도로 설치하여야 되므로서 중량과 코스트가 증가하는 단점도 있었다.In addition, to prevent theft, a separate bracket is applied to the bottom of the door glass 11, and a protector must be separately installed on the handle 4 and the latch, thereby increasing weight and cost.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시정하여 아웃 사이드 핸들 본체의 두께를 축소시켜 도어 내부의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도어 아웃 사이드 핸들의 조작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operation structure of the door outside handle to correct the above problems to reduce the thickness of the outside handle body to secure the space inside the door.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도어 아웃터 패널에 고정되는 아웃 사이드 핸들 하우징 내측에 캡 하우징을 형성하고, 상기 핸들 하우징에 일단이 힌지 결합된 핸들의 타측면을 상기 캡 하우징내에 삽입함과 동시에 그 삽입부에 제1 나선부를 형성하며, 상기 캡 하우징에 일측에 코일 스프링을 감고 상기 제1 나선부와 치합된 제1 기어를 설치하며, 상기 제1 기어에 하단부에 래치와 연결되는 로드를 결합한 제2 기어를 치합한 것이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cap housing inside the outer handle housing which is fixed to the door outer panel, and inserting the other side of the handle hinged to the handle housing into the cap housing; At the same time, a first helix is formed in the insertion part, a coil spring is wound around one side of the cap housing, a first gear engaged with the first helix is installed, and a rod connected to the latch at the lower end of the first gear. The second gear is engaged.

도 1은 차량에 아웃 사이드 핸들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outside handle is installed in a vehicle;

도 2는 본 고안의 도어에 아웃 사이드 핸들이 설치된 상태의 단면도,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outside handle is installed on the doo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의 도어에 아웃 사이드 핸들이 설치된 상태의 측단면도,Figure 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outside handle is installed on the doo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종래의 도어에 아웃 사이드 핸들이 설치된 상태의 측단면도,Figure 4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conventional door installed outside handle,

도 5는 도 4의 A - A선이다.5 is a line A-A of FIG.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code used in the main part of the drawing>

1: 아웃 사이드 핸들 본체 13: 핸들 하우징 14: 캡 하우징1: outside handle body 13: handle housing 14: cap housing

15: 핸들 16: 제1 나선부 18: 제1 기어 19: 제2 기어15: handle 16: first helix 18: first gear 19: second gear

본 고안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 아웃터 패널(2)에 고정되는 아웃 사이드 핸들 본체(1)의 핸들 하우징(13) 내측에 설계의 자유도 증대와 도난방지를 위한 일정 크기의 캡 하우징(14)을 형성하고, 상기 핸들 하우징(13)에 힌지(10)로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캡 하우징(14)내에 삽입됨과 동시에 그 삽입부인 핸들(15)의 일측면에 제1 나선부(16)를 형성하며, 상기 제1 나선부(16)와 치합되고 일측에 코일 스프링(17)을 감아서 자체 복원력을 가진 제1 기어(18)를 캡 하우징(14)에 설치하고, 상기 제1 기어(18)가 정역방향으로 회전운동함에 따라 승강되며 하단부에 래치와 연결된 로드(8)를 결합한 제2 기어(19)를 상기 제1 기어(18)와 수직이 되게 치합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s 1 to 3, a certain size for increasing the degree of freedom of design and prevention of theft inside the handle housing 13 of the outside handle body 1 fixed to the door outer panel (2) The cap housing 14 is formed, one end of which is coupled to the handle housing 13 by a hinge 10, and the other end is inserted into the cap housing 14, and at one side of the handle 15, which is the insertion part thereof. 1 to form a spiral portion 16, and the first gear 18 having a self-resilience force is installed in the cap housing 14 by engaging the first spiral portion 16 and winding the coil spring 17 on one side As the first gear 18 rotates in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 the second gear 19 which is lifted up and coupled with the rod 8 connected to the latch at the lower end is engaged with the first gear 18 so as to be perpendicular to the first gear 18. .

상기의 제1 기어(18)는 캡 하우징(14)에 지지된 상태에서 핸들(15)의 제1 나선부(16)와 치합되어 있어, 핸들(15)을 당기게 되면 제1 기어(18)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핸들(15)을 놓게 되면 제1 기어(18)의 코일 스프링(17)에 의해 제1 기어(18)가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되면서 핸들(15)이 원위치로 복원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제2 기어(19)는 제1 기어(18)와 수직으로 치합되고 캡 하우징(14)에 지지되어 있어, 제1 기어(18)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제2 기어(19)는 하측으로 이동하고 제1 기어(18)가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제2 기어(19)가 상측으로 이동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제1 기어(18)의 회전에 따라 승강되면서 래치를 제어하게 되는 것인 바, 상기의 각 기어는 미끄럼 방지를 위하여 헬리컬 기어를 사용할 수 있는 것이며, 캡 하우징(14)의 측부에는 도어를 록킹하기 위한 키 삽입부(12)가 형성되는 것이다.The first gear 18 is engaged with the first helix 16 of the handle 15 in a state supported by the cap housing 14, so that when the handle 15 is pulled, the first gear 18 is When the clock 15 rotates and the handle 15 is released, the handle 15 is restored to its original position while the first gear 18 is rotated counterclockwise by the coil spring 17 of the first gear 18. . The second gear 19 is vertically engaged with the first gear 18 and supported by the cap housing 14. When the first gear 18 rotates clockwise, the second gear 19 is lowered. When the first gear 18 is rotated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and the second gear 19 is moved upwards, as a result of being lifted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first gear 18 to control the latch. Bar, each of the gears can use a helical gear to prevent slipping, the key insertion portion 12 for locking the door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cap housing (14).

이와 같이 구성된 상태에서 도어 아웃터 패널(2)에 아웃 사이드 핸들 본체(1)를 고정한 상태에서 핸들(15)을 당기게 되면, 핸들(15)이 힌지(10)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면서 제1 나선부(16)와 치합된 제1 기어(18)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제1 기어(18)의 회전으로 제2 기어(19)가 하향 이동함과 동시에 로드(8)가 위치이동 되어 결과적으로 스트라이커에 잠겨 있던 래치를 해방시켜 도어가 열리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핸들(15)을 놓게 되면 코일 스프링(17)의 복원력에 의해 제1 기어(18)가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되어 제2 기어(19)는 상승하고 핸들(15)은 핸들 하우징(13) 내측의 캡 하우징(14)측으로 이동되므로서 원위치로 복귀되는 것이다.When the handle 15 is pulled while the outside handle main body 1 is fixed to the door outer panel 2 in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handle 15 rotates about the hinge 10 while the first spiral part The first gear 18 meshed with the 16 rotates clockwise, and the rotation of the first gear 18 causes the second gear 19 to move downward and at the same time the rod 8 moves. The door is opened by releasing the latch locked in the striker. When the handle 15 is released, the first gear 18 is rotated counterclockwise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coil spring 17 so that the second gear 19 is raised and the handle 15 is inside the handle housing 13. It will be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while being moved to the cap housing 14 side.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핸들 하우징 내측의 캡 하우징내에 설치된 제1 기어의 회전으로 제2 기어가 승강하면서 작동되는 것으로서 아웃 사이드 핸들 본체의 두께(t')가 좁아지게 되고 이로 인해 도어 내부의 공간이 넓어지게 되어 내부의 각종 메커니즘 구성 설치가 자유로워지고, 핸들 사이즈 축소로 인해 설계의 자유도가 증대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operated while the second gear is moved up and down by the rotation of the first gear installed in the cap housing inside the handle housing, so that the thickness t 'of the outside handle body is narrowed, which causes a space inside the door. The wider the structure is free to install the various mechanism configuration, the reduction in handle size has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freedom of design.

그리고 아웃 사이드 핸들 본체의 두께가 (t)에서 (t')로 좁아지므로서 리어 도어 힌지 사이즈 축소로 필러 단면적 사이즈가 확대되어 측면충격으로부터 승객이 안전하게 보호되는 것이다.And since the thickness of the outside handle body is narrowed from (t) to (t '), the size of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filler is increased by reducing the size of the rear door hinge to protect the passengers from side impact.

또한 캡 하우징을 통해 외부에서 근접 접근이 불가능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도난방지를 위한 보강이 불필요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중량과 코스트가 절감되는 것이다.In addition, close proximity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cap housing makes it impossible to reinforce theft prevention, resulting in weight and cost savings.

Claims (1)

도어 아웃터 패널에 고정되는 아웃 사이드 핸들 하우징 내측에 캡 하우징을 형성하고, 상기 핸들 하우징에 일단이 힌지 결합된 핸들의 타측면을 상기 캡 하우징내에 삽입함과 동시에 그 삽입부에 제1 나선부를 형성하며, 상기 캡 하우징에 일측에 코일 스프링을 감고 상기 제1 나선부와 치합된 제1 기어를 설치하며, 상기 제1 기어에 하단부에 래치와 연결되는 로드를 결합한 제2 기어를 치합한 도어 아웃 사이드 핸들의 조작구조.A cap housing is formed inside the outside handle housing fixed to the door outer panel, and the other side of the handle hinged to the handle housing is inserted into the cap housing, and at the same time, a first spiral portion is formed in the insert housing. And a coil spring wound around one side of the cap housing and installing a first gear engaged with the first spiral part, and a door out side handle in which a second gear coupled with a rod connected to a lower end is coupled to the first gear. Operation structure.
KR2019980025319U 1998-12-17 1998-12-17 Operation structure of the door outside handle KR200211228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5319U KR200211228Y1 (en) 1998-12-17 1998-12-17 Operation structure of the door outside hand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5319U KR200211228Y1 (en) 1998-12-17 1998-12-17 Operation structure of the door outside hand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2368U KR20000012368U (en) 2000-07-05
KR200211228Y1 true KR200211228Y1 (en) 2001-02-01

Family

ID=695077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5319U KR200211228Y1 (en) 1998-12-17 1998-12-17 Operation structure of the door outside hand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1228Y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2833B1 (en) * 2001-07-12 2003-12-3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A non housing grip type door handle and assembling process of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2368U (en) 2000-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35084B1 (en) Door inside handle assembly for automobile
US6168216B1 (en) Vehicle door latch device
EP0956414B1 (en) Child-proof door latch
US20050212302A1 (en) Latch
WO1998023833A9 (en) Child-proof door latch
KR101209680B1 (en) Door latch for vehicle having backup lever
WO1996020847A1 (en) Fuel door/sliding door interlock mechanism
KR200211228Y1 (en) Operation structure of the door outside handle
US20010030430A1 (en) Operating arrangement for a sliding door
JP2006009559A (en) Door latch for automobile
JP6463692B2 (en) Car door lock
JP3663339B2 (en) Driving device for antitheft device for motorcycle
KR100392001B1 (en) Anti-Jam type door latch of car
KR100380499B1 (en) A burglarproof door-locking apparatus
KR100269895B1 (en) Hood secondary ratch for a car
US20030093954A1 (en) Apparatus for storing energy
KR0121636Y1 (en) Handle lever locking device of a vehicle&#39;s door
KR200144265Y1 (en) Anti-rolling structure of car door
KR100412234B1 (en) Door Locking Method For Vehicles
KR100803840B1 (en) A grip type outside handle
KR100364275B1 (en) Trunk filler switch and fuel filler switch of vehicle
KR0121663Y1 (en) Anti-theft door handle
KR200162097Y1 (en) Trunk lid stopper for automobile
JPS631434B2 (en)
KR19980038019U (en) Fuel filler door opener for ca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