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0815Y1 - 진공청소기용 흡입구 - Google Patents

진공청소기용 흡입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0815Y1
KR200210815Y1 KR2020000010723U KR20000010723U KR200210815Y1 KR 200210815 Y1 KR200210815 Y1 KR 200210815Y1 KR 2020000010723 U KR2020000010723 U KR 2020000010723U KR 20000010723 U KR20000010723 U KR 20000010723U KR 200210815 Y1 KR200210815 Y1 KR 20021081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cuum cleaner
suction
brush
inlet
du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07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상균
Original Assignee
정상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상균 filed Critical 정상균
Priority to KR20200000107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081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081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0815Y1/ko

Links

Landscapes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고안의 명칭] 진공청소기용 흡입구(Vacuum Cleaner Tip)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
진공청소기
[고안의 목적]
1. 진공청소기의 흡입 능률을 올림
2. 위치 변경을 원활하게 함으로서 작업 효율을 올림
[고안의 구성]
1. 흡입구멍 중앙에 솔을 부착함
2. 바퀴를 공모양 바퀴로 함
[고안의 효과]
1. 흡입 구멍의 중앙에 솔을 부착함으로써 앞으로 밀때나 뒤로 당길때 바닥에 붙어있는 먼지를 빨아 들일 수 있어 그 능률을 높일 수 있음
2. 흡입구의 바퀴를 공모양으로 함으로써 앞과 뒤, 오른쪽과 왼쪽으로 자유로이 위치를 옮길 수 있기 때문에 청소하는데 힘을 절약할 수 있고 효율적이고 편리함

Description

진공청소기용 흡입구{Vacuum Cleaner Tip}
진공 청소기의 먼지흡입구를 개량함으로써 작업 능률을 올리고 편리하게 함
현재는 솔이 없거나 있어도 솔의 위치가 흡입 구멍의 뒤쪽에 위치함 바퀴는
앞과 뒤로만 움직일 수 있는 바퀴의 형태로 되어 있음
1. 먼지를 털어내는 솔의 위치를 흡입구멍의 중앙에 위치하게 하여 앞으로 움직일때나 뒤로 움직일 때도 털어낸 먼지를 흡입할 수 있어 작업 효율을 올림
2. 흡입구의 바퀴를 공모양 바퀴로 바꿈으로서 위치를 어떠한 방향으로도 옮길 수있도록 함으로서 힘을 절약하며 효율적이고 편리하게 함
도1 은 일반적인 가정용 진공청소기 모양임
도2 는 진공청소기의 먼지 흡입구(1)의 밑 부분의 모양임
도3 은 공모양 바퀴(2)의 구조를 나타냄
도4는 도2의 흡입구를 왼쪽에서 바라본 측면도임
도5는 도2의 흡입구를 7과 8방향으로 절단한 단면도임
도6은 도2의 흡입구를 9와 10방향으로 절단한 단면도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진공청소기용 흡입구 2. 흡입구의 바퀴 3. 솔 4. 바퀴 공 5. 작은 공 6. 흡입 구멍
12. 윗쪽 작은공
1. 도2 는 진공청소기의 먼지 흡입구(1)의 밑 부분의 올려다 본 모양으로서흡입구(1)의 밑면에 있는 흡입구멍(6)의 중앙에 위치한 흡입구의 몸체에 도5와 같이 솔(3)을 장착합니다 솔(3)을 장착한 위치와 모양은 도5와 도6의 단면도에 잘 나타나 있으며 흡입구(1)을 옆에서 볼 경우 도4와 같이 솔(3)의 털 부분이 밑으로 나와있어 방바닥의 먼지를 쓸어내게 됩니다 흡입구(1)의 위치를 옮기기 쉽게하기위해 부착하는 바퀴는 흡입구(1)의 밑면의 4귀퉁이 부근에 각각 1개씩 총 4개를 부착(도2 참조)하게되는데 공모양바퀴(2)이며 바퀴의 많은 부분이 흡입구 밑면 몸체속에 장착되어 공모양 바퀴의 밑부분 일부만 흡입구 밑면 밖으로(도4 참조) 나오게 합니다 도3 은 공모양 바퀴의 구조를 나타내는 것으로 그 구조를 설명드리면 방바닥과 닿는 큰공모양의 바퀴공(4)를 위에서 작은공(12)로 지탱시키고 아래(큰공4의 중간위치보다 조금 아래쪽)옆에 3개의 작은 공(5)로 지탱시키므로 바퀴공(4)가 빠지지 않고 원활하게 어떠한 방향으로도 굴러 가게 함 2. 방바닥에 붙어있는 먼지를 털어내기위해 솔을 부착하게 되는데 본 고안에서는 흡입구멍(6)의 중앙부분에 위치한 흡입구(1)의 밑면 몸체에 길쭉하고 홀쭉한 'ㅡ' 글자 모양의 솔을 부착함(도2 참조) 이 경우 흡입구멍(6)이 방바닥과 닿는 부분에서는 도5와 도6의 아래쪽 6부분과 같이 솔(3)에 의해 두갈래로 분리되어 먼지 쓰레기등이 두갈래로 흡입되어 흡입구 중간의 윗쪽(도6의 중간쪽과 윗쪽에 있는 6의 부분)에서 하나의 흡입구멍(6)으로 합쳐져 진공청소기의 먼지 주머니쪽으로 빨려 들어가게 됩니다 그리고 솔(3)이 흡입구멍(6)의 중앙에 위치해야만 털어낸 먼지를 최고로 효율적으로 흡입할 수 있음 (솔의 부착 위치가 본 고안의 핵심임) 그리고 솔의 모양은 도면에 'ㅡ' 글자 모양이지만 '+' 모양으로도 할 수 있음 'ㅡ' 글자 모양일 경우는 앞뒤로 먼지를 쓸어낼 수 있고 '+' 글자 모양일 때는 앞뒤방향과 양옆쪽 방향으로도 먼지를 쓸어 낼 수 있음 3. 흡입구(1)에는 흡입구의 위치를 쉽게 옮길 수 있도록 흡입구 몸체 밑면의 네 모퉁이 부근에 각각 1개씩 4개의 바퀴(2)를 달아 흡입구 밑면과 방바닥 사이에 틈새가 생기게(도4 참조) 되고 이 틈새 사이로 먼지와 쓰레기가 빨려 들어 가게 되어 있습니다 본 고안은 흡입구(1) 몸체 밑면에 장착하는 바퀴를 공모양 바퀴로 장착함으로서 흡입구의 위치를 전후좌우 어떤 방향으로든 쉽게 옮길 수 있게 함
공모양 바퀴는 바퀴의 아랫부분만 흡입구 몸체 밖으로 나오게 하고 바퀴의 윗부분은 흡입구 몸체 속에 들어간 상태로 장착함으로서 흡입구 밑면과 방바닥 사이의 틈새를 좁게하여 방바닥에 붙어있는 먼지등이 강하게 빨려 들어가게 함
1. 현재 주로 사용되고 있는 진공청소기의 흡입구는 솔을 부착하지 않았거나 솔의 위치가 흡입구멍의 뒤쪽에 있음
따라서 방바닥에 붙어있는 먼지를 털어내기 어렵거나 (흡입력이 강하다고 하더라도) 앞쪽으로 움직일때 털어내기만하고 뒤쪽으로 움직일때 털어낸 먼지를 흡입할 수 있으며 먼지등이 솔에 많이 흡착되어 솔의 기능이 저하 됨
흡입구의 바퀴는 앞과 뒤로만 움직일 수 있는 형태로 되어 있어 흡입구의 위치를 옆으로 움직이기가 어렵게되어 있음
'W' 글자의 모양으로나 'I' 글자의 모양으로 위치를 옮기며 작업할 수 있음
2. 본 고안은 솔을 흡입구멍의 중앙에 부착함으로써 앞으로 움직일때도 털어냄과 동시에 털어낸 먼지를 흡입하고 뒤로 움직일 때도 털어냄과 동시에 털어낸 먼지를 흡입하므로서 먼지의 흡입을 효율적으로 하며 솔에 먼지등이 흡착되지 아니함
3. 본 고안은 흡입구의 바퀴를 공모양바퀴로 장착함으로써 흡입구의 위치를 어떠한 방향으로도 바꿀 수 있음
따라서 'ㄹ' 글자 모양으로 흡입구를 옮겨가며 작업할 수 있기 때문에 골고루 청소 작업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고 위치 변환에 소모되는 힘을 대폭 줄일 수 있음

Claims (3)

  1. 먼지 털이용 솔의 부착 위치가 흡입구 밑면에 있는 흡입구멍의 중앙 부분이고, 흡입구의 위치변경을 쉽게하기 위해 흡입구 밑면 몸체에 공모양 바퀴를 장착한 진공청소기용 흡입구
  2. 제1항에 있어서 흡입구멍의 중앙 부분에 솔만을 부착하고 흡입구 밑면 몸체에 공모양 바퀴를 장착하지 아니한 진공청소기용 흡입구
  3. 제1항에 있어서 흡입구멍의 중앙 부분에 솔을 부착하지 아니하고 흡입구 밑면 몸체에 공모양 바퀴만을 장착한 진공청소기용 흡입구
KR2020000010723U 2000-04-15 2000-04-15 진공청소기용 흡입구 KR20021081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0723U KR200210815Y1 (ko) 2000-04-15 2000-04-15 진공청소기용 흡입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0723U KR200210815Y1 (ko) 2000-04-15 2000-04-15 진공청소기용 흡입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0815Y1 true KR200210815Y1 (ko) 2001-01-15

Family

ID=730852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0723U KR200210815Y1 (ko) 2000-04-15 2000-04-15 진공청소기용 흡입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081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450455A1 (en) Vacuum cleaner having integral frame assembly and removable main body
USD479636S1 (en) Dust cleaning tool adaptive to a vacuum cleaner nozzle
DE50213166D1 (de) Bodenreinigungsgerät mit geringer bauhöhe
CN1124611A (zh) 用于真空吸尘器的辅助抽吸工具
CA2359778A1 (en) Suction port assembly of vacuum cleaner
CN102334950B (zh) 吸尘器的狭缝吸嘴结构
EP1371317A3 (en) Vacuum cleaner with reversible rotary agitator
TR200002029T2 (tr) Aspiratör emicisi.
KR200210815Y1 (ko) 진공청소기용 흡입구
US5953787A (en) Suction globe of a vacuum cleaner
KR100688614B1 (ko) 진공청소기의 흡입브러시
JP2005168623A (ja) 電気掃除機
CN220800893U (zh) 吸嘴和具有该吸嘴的吸尘器
CN219878046U (zh) 一种多刷头翻转切换使用的双面清洁式吸尘器地刷
KR960000914Y1 (ko) 진공청소기의 브러쉬
CN2472848Y (zh) 吸尘电钻机
CN208725639U (zh) 一种吸尘器及其地刷
JP3630146B2 (ja) 電気掃除機用吸込具及びそれを用いた電気掃除機
CN219229742U (zh) 用于吸尘器的地刷及吸尘器
JPH0444731A (ja) 電気掃除機の吸口
CN201036538Y (zh) 一种用于吸尘器的地刷
JP2008188377A (ja) 電気掃除機用吸込具と電気掃除機
CN116570178A (zh) 一种多刷头翻转切换使用的双面清洁式吸尘器地刷
KR200364068Y1 (ko) 진공 청소기의 막대형 흡입구
KR200161654Y1 (ko) 진공청소기용 악세서리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802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