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0708Y1 - 도청 감지주파수의 전송장치 - Google Patents

도청 감지주파수의 전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0708Y1
KR200210708Y1 KR2020000022614U KR20000022614U KR200210708Y1 KR 200210708 Y1 KR200210708 Y1 KR 200210708Y1 KR 2020000022614 U KR2020000022614 U KR 2020000022614U KR 20000022614 U KR20000022614 U KR 20000022614U KR 200210708 Y1 KR200210708 Y1 KR 20021070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vesdropping
frequency
detection
tapping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261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교승
Original Assignee
한국 기업보안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 기업보안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 기업보안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0002261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070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070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0708Y1/ko

Links

Landscapes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일정 구역내에서 도청여부를 감지 및 도청을 방지하도록 할때 발생되는 도청감지 주파수를 전송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종래 도청감지장치 및 도청방지장치는 모두 개별적인 제품군을 이루는 관계로 하나의 통합적인 중앙관제시스템을 통한 관리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므로서, 사용자들에게 보안에 대한 확실성을 제공하지 못하는 단점을 갖고 있다.
이에 본 고안은, 도청교란을 위한 도청방지장치가 부가되어 있는 도청감지장치의 고주파 수신부에서 수신하는 광대역의 전파중에서 일정 전계강도 이상의 주파수에 대하여 그 주파수를 카운트하여 표시한 후 그 표시된 도청주파수 정보를 사용자가 설정한 장소(중앙관제시스템, 구내, 인터넷)로 경보음 발생과 동시에 전송하는 시스템을 구성하므로서, 수신되는 도청주파수를 도청 특성에 맞추어 특정 시간이상 수신되는 것만 선택적으로 표시하여 도청감지 및 그 방지에 실용성을 높여줄 때 이를 다시 사용자가 설정한 장소로 그 도청주파수를 전송하여 외부에서의 관리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질수 있도록 하고, 더불어 도청에 대한 불안감을 해소할수 있는 도청 감지주파수의 전송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도청 감지주파수의 전송장치{Device for perception and interception of wiretapping}
본 고안은 일정 구역내에서 도청여부를 감지 및 도청을 방지하도록 할때 발생되는 도청감지 주파수를 전송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도청교란을 위한 도청방지 장치가 부가되어 있는 도청감지장치에서 감지된 도청 주파수를 사용자가 설정한 특정장소로 전송하여 보안관리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질수 있도록 하는 도청 감지주파수의 전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 전자기술의 발전과 함께 특정 정보나 개인의 사적인 대화 및 통화내용을 도청하는 도청기술도 발달하였다.
이러한 도청으로는 통상 유선 통신선로상에서 송수신데이타나 무선통신상에서의 송수신데이타 및 대화 내용인 음성신호를 직,간접적으로 수신하는 것으로서,
이 도청한 데이타를 발신기에 의하여, 무선상의 RF 신호로 외부로 발신한 후 이를 수신기로 수신, 복조하는 방법이 일반적인 양식이다.
또한 도청하고자 하는 실내에 별도의 발신장치를 설치하지 않고도 외부에서 도청할수 있는 고도의 도청기술이 제공되었는 바, 이는 실내에서 나누는 대화의 미세한 파장을 소정 거리 떨어진 외부에서 직접 감지하거나 대화자의 음성이 내는 파장이 실내의 유리창에 반사되므로서 유리창에 미세한 파장이 발생되는 것을 이용하여 건물 외부에서 건물 유리창의 파장을 감지하여 이를 증폭 및 음성신호로 전환시켜 도청하는 등의 방법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도청장치의 발전은 개개인의 사생활 침해와 상거래나 범죄 등에 악용될 소지가 많은 것이어서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한 바, 이에따라 여러가지 도청상태를 알 수 있도록 하는 도청감지장치 및 도청방지장치가 제공되었다.
종래에 알려진 도청감지장치 일예의 구성으로는, 수개의 수신 안테나를 구비하여 일정범위의 고주파를 수신하는 고주파 수신부를 구비하고, 이 수신된 고주파수신부에서 수신되는 특정 주파수의 전파신호에 부저나 램프를 동작시켜 경보를 발생하도록 하는 경보처리부로 구성된 것이 있다.
이러한 구성의 종래 도청감지장치는 안테나를 통하여 도청장치의 구성 중 도청 발신기에서 발신되는 무선상의 RF신호가 감지되면 램프 또는 부저를 작동시켜, 현재 도청상태임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한 장치이다.
또한 종래에 알려진 도청방지장치 일예의 구성으로는, 전원부를 통하여 일정전원이 인가되면 음성대역의 잡음을 발생시키는 잡음발생부와, 이를 증폭시키는 증폭부 및 수개의 트랜듀서들로 구성되어, 트랜듀서들을 창문에 부착시킨 상태에서 작동시키면, 트랜듀서들에서 생성되는 파동이 창문 유리를 진동시키므로서, 실내에서 이루어지는 대화자의 음성과 믹싱되고, 이로 인하여 음성 청취 발신에 의한 직접적인 도청이나 창문 유리의 파동을 감지하는 간접적인 도청을 곤란하게 하는 특징을 갖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도청감지장치나 방지장치들은, 수신되는 광대역의 주파수에 대하여 모두 작동하게 되므로 불필요한 오작동의 소지가 있었으며, 감지된 주파수가 도청장치의 주파수인지 파악이 곤란하여 도청상태를 정확히 파악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고, 또한 도청감지장치 및 도청방지장치가 별도의 장비로 분리 설치하므로서 설치 및 관리상으로 경제적 부담과 여러가지 불편한 점이 있었다.
이에 종래에는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은 도청감지장치 및 도청방지장치를 제공하였다.
즉, 도 1의 도청감지장치에서와 같이, 일정 공간내에서 수신안테나에 의하여 고주파수신부(11)가 광대역의 주파수를 수신하고 있다가 도청장치 등의 발신기에서 발생하는 일정 전계강도 이상의 전파(예: 10MHz∼4.2GHz)가 수신되면, 주파수 계수부(12)에서 이를 카운트하여 LED표시부(13)에 의하여 디지탈 숫자로 표시하며, 동시에 경보처리부(14)에서는 카운트된 주파수가 있으면 이를 램프 동작신호 및 부저작동신호로 변환하여 램프(15) 및 부저(16)를 작동시킨다.
그러면, 도청경보 및 램프의 작동으로 도청유무를 즉시 알수 있음은 물론, 그 수신된 주파수가 LED표시부(13)에 의해 디지탈 숫자로 표시되므로서 사용자는 LED표시부(13)에서 파악되는 주파수에 의하여 도청 경보된 주파수가 도청장치의 발신기에서 발생하는 특정 주파수인지, 또는 기타의 주파수인지를 판단하여, 오동작에 의한 기타 경보일 경우에는 이를 무시하고, 도청장치 발신기에 의한 주파수일 경우에는 발신기의 근원을 찾아 조치할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도 2에서와 같이 고주파수신부(11)에 특정주파수의 신호가 감지될때 소정시간(0.5∼120초 내외) 이후에 경보처리부(14)에 신호전달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지연회로(17)와, 이 지연회로(17)의 자동시간을 임의 범위내에서 가변 조정할수 있는 지연시간 가변회로(18)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였는 바,
이는 대부분의 도청 발신기 주파수는 적어도 1분이상 지속적으로 발신되는 특성이 있고, 경찰 등 일반적인 통신용 무선 주파수는 비교적 짧게 단속되는 특성이 있음을 감안할 때, 상기 도청감지장치를 사용하는 용도에 따라서 잡음성 전파가 적은 지방이나 교외등에서는 지연회로(17)의 작동시간을 짧게 설정하여, 비교적 짧은 시간동안 발생하는 전파에도 작동되도록 하며, 잡음성 전파가 많거나 도청우려가 높아 도청에 민감한 지역에서는 지연시간을 길게 설정하여 잡음에 의한 오동작을 방지하여 정확하게 도청유무를 파악할수 있도록 하였다.
한편, 상기와 같은 도청감지장치에 도청방지장치를 일체로 내장하여 구성할 수도 있는데 이는 도 3에서와 같이, 전원부(24)로 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회로로서, 음성영역대의 잡음을 발생시키는 잡음발생부(21), 이를 증폭하는 증폭부(22), 증폭부(22)에서 증폭된 잡음을 출력하는 수개의 트랜듀서(23)들로 구성된 일반적인 도청방지장치 구성을 원용하여, 상기 도청감지장치에 일체로 내장하였는 바,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도청감지장치와 동시에 상기 도청방지장치가 작동되는 바, 수개의 트랜듀서(23)들을 창문 유리창에 부착시켜 설치하여 주면, 잡음발생부(21)에서 발생시킨 음성영역대의 잡음이 증폭부(22)를 통하여 증폭된 후 수개의 트랜듀서(23)들에 의하여 음성영역대의 잡음 파동이 발생하면서 창문 유리를 진동시키게 되므로, 외부에서 파동에 의하여 도청을 시도하는 경우에 실내에서 이루어지는 대화의 음성과 상기 잡음 파동이 믹싱되므로 외부 도청기에서 수신되는 음성판독기의 판독기능을 교란시켜 실내의 대화 내용을 제대로 분석할수 없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도청감지장치 및 도청방지장치는 모두 개별적인 제품군을 이루는 관계로 하나의 통합적인 중앙관제 시스템을 통한 관리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므로서, 사용자들에게 보안에 대한 확실성을 제공하지 못하는 단점을 갖고 있다.
일예로, 한 기업체에 도청감지장치와 방지장치를 설치하였다고 가정할 때, 만약 도청이 감지되면서 방지장치를 통해 도청을 교란할 때 이는 어디까지나 한 가정의 내부에서만 알수 있을뿐, 그 가정이 도청당하고 있다는 사실은 주위에서 아무도 모르고, 이를 알릴수 있는 방법으로는 도청 당한 당사자의 신고에 의해서만 사실 파악이 되는 등 도청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즉 경비업무에 있어서의 자동통보기같은 도난경보시스템)는 이루어지지는 못하였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도청교란을 위한 도청방지장치가 부가되어 있는 도청감지장치의 고주파 수신부에서 수신하는 광대역의 전파중에서 일정 전계강도 이상의 주파수에 대하여 그 주파수를 카운트하여 표시한 후 그 표시된 도청주파수 및 시작시간, 종료시간 수신감도 등의 정보를 사용자가 설정한 장소(중앙관제시스템, 구내, 인터넷)로 경보음 발생과 동시에 전송하는 시스템을 구성하므로서, 수신되는 도청주파수를 도청 특성에 맞추어 특정 시간이상 수신되는 것만 선택적으로 표시하여 도청감지 및 그 방지에 실용성을 높여줄때 이를 다시 사용자가 설정한 장소로 그 도청주파수를 전송하여 외부에서의 관리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질수 있도록 하고, 더불어 도청에 대한 불안감을 해소할수 있는 도청 감지주파수의 전송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도청감지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
도 2는 종래 도청감지장치의 다른 실시예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
도 3은 종래 도청감지 및 방지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 도청 감지주파수 전송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럭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고주파수신부 12; 주파수계수부
13; LED표시부 14; 경보처리부
15; 램프 16; 부저
17; 지연회로 18; 지연시간 가변회로
21; 잡음발생부 22; 증폭부
23; 트랜듀서 30; 도청감지 타이머부
40; 전송수단 50; 전송장소 설정부
60; 프린터 100; 도청감지장치
200; 도청방지장치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도청 감지주파수 전송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럭도 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수개의 수신안테나를 갖는 고주파수신부(11), 이 고주파 수신부(11)에서 수신된 전파중에서 일정 전계강도 이상의 주파수에 대해서 그 주파수를 카운트하는 주파수계수부(12), 이 주파수계수부(12)에서 카운트된 특정주파수의 수치를 디지탈숫자로 표시하는 LED표시부(13), 주파수계수부(12)에서 카운트된 특정주파수를 경보처리신호로 변환하는 경보처리부(14), 이 경보처리부(14)에서 변환된 신호를 시각적인 경보신호를 발생하는 램프(13), 경보음을 발생하는 부저(16), 고주파수신부(11)에 특정주파수의 신호가 감지될때 소정 시간(0.5∼120초 내외) 이후에 경보처리부(14)에 신호전달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지연회로(17), 이 지연회로(17)의 자동시간을 임의 범위내에서 가변 조정할수 있는 지연시간 가변회로(18)를 포함하여 도청감지장치(100)와,
전원부(24)로 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회로로서 음성영역대의 잡음을 발생시키는 잡음발생부(21), 이를 증폭하는 증폭부(22), 증폭부(22)에서 증폭된 잡음을 출력하는 수개의 트랜듀서(23)들로 구성된 도청방지장치(200), 로 이루어지는 도청감지 및 방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청감지장치(100) 및 도청방지장치(200)에 고유ID를 부여하되, 상기 램프(15) 및 부저(16)의 경보발생상태를 감지한 후 그 경보발생의 시작과 종료 시간을 체크하는 도청감지타이머부(30)와;
상기 도청감지타이머부(30)로 부터 감지된 경보발생의 시작과 종료시간은 물론 도청감지 및 방지장치(100)(200)의 고유ID와 LED표시부(13)에 표시되는 도청감지주파수를 특정장소로 전송하는 전송수단(40)과;
상기 전송수단(40)으로 부터 전송이 이루어지는 특정장소를 사용자가 임의적으로 설정하는 전송장소 설정부(50); 를 더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전송수단(40)으로 부터 이루어지는 도청감지주파수 및 고유ID와 경보 발생 및 종료의 시간은, 전송장소 설정부(50)에 의해 RS-232C의 인터페이스를 통한 인터넷, RS-485의 인터페이스를 통한 구내, 국선을 통한 경찰서, 전용선을 통한 보안전문 중앙관제시스템으로 그 전송 선택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여기서, 상기 고주파수신부(11)를 통해 도청주파수를 감지시 경보처리부(14)에 의한 램프(15)와 부저(16)의 작동이 약 20∼60초 후 이루어지도록 하고, 이와동시에 전송수단(40)을 통한 전송이 이루어지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도청감지 및 방지장치(100)(200)에 프린터(60)를 연결하므로서, LED표시부(13)에 의해 표시되는 도청주파수가 상기 프린터(60)를 통해 그 출력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일실시예 대한 작용을 첨부된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일정 공간내에서 수신안테나에 의하여 고주파수신부(11)가 광대역의 주파수를 수신하고 있다가 도청장치 등의 발진기에서 발생하는 일정 전계강도 이상의 전파(10㎒∼4.2㎓)가 수신되면, 주파수계수부(12)에서 이를 카운트하여 LED표시부(13)에 의하여 디지탈 숫자로 표시한다.
더불어, 경보처리부(14)에서는 카운트된 주파수가 있으면 이를 램프 동작신호 및 부저 작동신호로 변환한 후 램프(15) 및 부저(16)를 작동시킨다.
여기서, 상기 고주파수신부(11)를 통해 도청주파수를 감지시 경보처리부(14)에 의한 램프(15)와 부저(16)의 작동은 약 20∼60초 후 이루어지도록 함이 좋다.
이때, 도청감지타이머부(30)에서는 상기 램프(15) 및 부저(16)의 경보발생상태를 감지한 후 그 경보발생의 시작과 종료 시간을 체크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도청감지타이머부(30)에 의해 체크된 경보발생의 시작과 종료시간은 전송수단(40)으로 출력되고, 상기 전송수단(40)에서는 경보발생의 시작과 종료시간은 물론 도청감지 및 방지장치(100)(200)의 고유ID와 LED표시부(13)에 표시되는 도청감지주파수를 특정장소로 전송하게 된다.
즉, 상기 도청감지장치(100) 및 도청방지장치(200)에는 고유ID가 부여되어 있고, 더불어 사용자가 임의적으로 전송장소를 설정할수 있는 전송장소 설정부(50)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전송수단(40)에는 인터넷으로으로의 전송을 위한 RS-232C의 인터페이스, 회사내의 구내용으로 이용되는 RS-485의 인터페이스, 국선, 보안전문 중앙관제시스템으로의 전송을 위한 전용선이 시스템의 환경에 따라 택일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바,
시스템의 환경(즉, 회사내의 도청방지, 가정집에서의 도청방지 등)에 따라 전송수단(40)으로 전송라인을 연결한 후 사용자가 전송장소 설정부(50)를 통해 도청주파수의 수신시 이를 알릴수 있는 전송장소를 설정하여 둔다.
그러면, 상기 전송수단(40)에서는 상기 도청감지타이머부(30)로 부터 감지된 경보발생의 시작과 종료시간은 물론 도청감지 및 방지장치(100)(200)의 고유ID와 LED표시부(13)에 표시되는 도청감지주파수를 사용자가 설정한 장소로 전송하므로서, 현재의 도청상태를 외부에 알릴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전송수단(50)으로 연결되는 RS-232C의 인터페이스는 그 전송이 인터넷으로 이루어지고, RS-485의 인터페이스는 구내용이며, 또는 전용선에 의하여 보안전문 중앙관제시스템으로 그 전송이 이루어지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도청감지 및 방지장치(100)(200)에 프린터(60)를 연결할수도 있는데, 이는 LED표시부(13)에 의해 표시되는 도청주파수가 상기 프린터(60)를 통해 그 출력이 이루어지도록 하므로서 도청에 대한 보다 정확한 정보를 얻을수 있도록 하였다.
한편, 도시하는 않았지만, 상기 도청 감지주파수 전송장치에 방향탐지용 안테나와, 상기 방향탐지용 안테나의 채용을 위한 VF컨버터를 더 부가하여 고주파수신부(11)를 통해 수신되는 도청주파수의 위치를 파악하므로서, 도청자에 대한 근원적인 예방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도청교란을 위한 도청방지장치가 부가되어 있는 도청감지장치의 고주파 수신부에서 수신하는 광대역의 전파중에서 일정 전계강도 이상의 주파수에 대하여 그 주파수를 카운트하여 표시한 후 그 표시된 도청주파수 정보를 사용자가 설정한 장소(중앙관제시스템, 구내, 인터넷)로 경보음 발생과 동시에 전송하는 시스템을 구성하므로서, 수신되는 도청주파수를 도청 특성에 맞추어 특정 시간이상 수신되는 것만 선택적으로 표시하여 도청감지 및 그 방지에 실용성을 높여줄때 이를 다시 사용자가 설정한 장소로 그 도청주파수를 전송하여 외부에서의 관리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질수 있도록 하고, 더불어 도청에 대한 불안감을 해소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Claims (4)

  1. 도청교란을 위한 도청방지장치가 부가되어 있는 도청감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청감지장치 및 도청방지장치에 고유ID를 부여하되, 상기 램프 및 부저의 경보발생상태를 감지한 후 그 경보발생의 시작과 종료 시간을 체크하는 도청감지타이머부와;
    상기 도청감지타이머부로 부터 감지된 경보발생의 시작과 종료시간은 물론 도청감지 및 방지장치의 고유ID와 LED표시부에 표시되는 도청감지주파수를 특정장소로 전송하는 전송수단과;
    상기 전송수단으로 부터 전송이 이루어지는 특정장소를 사용자가 임의적으로 설정하는 전송장소 설정부; 를 더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도청 감지주파수의 전송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도청감지주파수 및 고유ID와 경보 발생 및 종료의 시간을 전송하기 위한 전송수단의 전송라인은, 인터넷 연결이 가능한 인터페이스, 구내용으로 활용되는 인터페이스, 국선 및 전용선을 선택적으로 연결하여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도청 감지주파수의 전송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도청감지 및 방지장치에 프린터를 연결하여 도청주파수의출력이 가능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도청 감지주파수의 전송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도청 감지주파수 전송장치에 방향탐지용 안테나와, 상기 방향탐지용 안테나의 채용을 위한 VF컨버터를 더 부가하므로서, 고주파수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도청주파수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도청 감지주파수의 전송장치.
KR2020000022614U 2000-08-08 2000-08-08 도청 감지주파수의 전송장치 KR20021070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2614U KR200210708Y1 (ko) 2000-08-08 2000-08-08 도청 감지주파수의 전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2614U KR200210708Y1 (ko) 2000-08-08 2000-08-08 도청 감지주파수의 전송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0708Y1 true KR200210708Y1 (ko) 2001-01-15

Family

ID=730572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2614U KR200210708Y1 (ko) 2000-08-08 2000-08-08 도청 감지주파수의 전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070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90936A1 (en) * 2005-02-04 2006-08-31 Hnt Co., Ltd. A remote control device searching for a concealed microphone
KR100731816B1 (ko) 2007-03-13 2007-06-22 주식회사 휴민트 음파를 사용한 도청방지방법 및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90936A1 (en) * 2005-02-04 2006-08-31 Hnt Co., Ltd. A remote control device searching for a concealed microphone
KR100731816B1 (ko) 2007-03-13 2007-06-22 주식회사 휴민트 음파를 사용한 도청방지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01330B2 (en) Power line communication network security system
US20060017566A1 (en) RF volumetric intrusion detection device, system and method
US6175307B1 (en) Security system with audible link and two-way communication
KR100335513B1 (ko) 도청 감시시스템 및 감시방법
Saidov et al. Digital processing of the ultrasonic signal for mobile devices in the transmission of information
KR200210708Y1 (ko) 도청 감지주파수의 전송장치
US20040204019A1 (en) Security system with telephone controller
US7636579B2 (en) Multi-frequency wireless transmitter
KR200424396Y1 (ko) 레이저 도청 방지장치의 2중 난수잡음발생 및 선로 감시기능
KR200187427Y1 (ko) 도청감지 및 방지장치
KR20100131024A (ko) 음원발생회로, 진동소자 일체형 레이저도청 방지기 및 신호 수신기
EP1432151A1 (en) On-Site localisation system and method
JPH09139768A (ja) 盗聴検知装置および盗聴検知機能付き電話機
KR200409284Y1 (ko) 차량용 도청경보장치
KR200270569Y1 (ko) 레이저도청감지 및 방지장치
US20030080867A1 (en) Security device and intrusion-alarm system
EP0403245B1 (en) Smoke alarm systems
RU38412U1 (ru) Радиолучев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храны периметра
KR20100068516A (ko) 출입자 경비시스템용 도청감지센서
JPH09312890A (ja) 所在応答リモコン装置
JP2001325681A (ja) 警備システム
JPH09307632A (ja) 盗聴防止システム
KR200198226Y1 (ko) 음성 송수신 기능이 내장된 도난 경보기
JPH07240972A (ja) 気象表示装置
JP2001007771A (ja) 受信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10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