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0509Y1 - 장애인용 보행 운동장치 - Google Patents

장애인용 보행 운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0509Y1
KR200210509Y1 KR2020000020653U KR20000020653U KR200210509Y1 KR 200210509 Y1 KR200210509 Y1 KR 200210509Y1 KR 2020000020653 U KR2020000020653 U KR 2020000020653U KR 20000020653 U KR20000020653 U KR 20000020653U KR 200210509 Y1 KR200210509 Y1 KR 2002105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king
horizontal
disabled
walking part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065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호
Original Assignee
이종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호 filed Critical 이종호
Priority to KR202000002065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050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05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0509Y1/ko

Links

Landscapes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장애인용 보행 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피 고정물인 지면에 고정 설치되고 입구와 출구를 형성하며 일정한 높이를 갖고 대응 설치된 다수 개의 수직간; 상기 수직간의 상단부에 연결 설치되는 수평간; 일 측의 수평간 측에서 일정구간 평행하게 연장 설치된 제1 보행부; 상기 제1 보행부를 구획하는 수평간에서 타 측으로 파형을 유지하며 연장설치된 제2 보행부; 및 상기 제2 보행부를 구획하는 수평간에서 상기 출구 측의 수직간까지 연장 설치되며 등받이 부를 갖는 제3 보행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목발과 휠체어를 이용하는 장애인 및 재활 치료자들이 쉽게 보행운동을 할 수 있다.

Description

장애인용 보행 운동장치{Exercise apparatus of walking for handicapped use}
본 고안은 장애인용 보행 운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목발과 휠체어를 이용하는 장애인 및 재활 치료자들이 쉽게 보행운동을 할 수 있는 장애인용 보행 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바와 같이 헬스센터 또는 둔치 및 공원 등 야외에 설치된 간이 운동시설물들은 역도기구 및 웨스트 트위스트 머신, 조깅머신 그리고 철봉과 평행봉 등 다양한 운동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운동기구들은 신체가 모두 정상인 일반인들의 체형에 맞도록 제작된 운동기구로서, 실제 운동을 지속적으로 해야 하는 장애인 및 재활치료자 등은 그와 같은 운동기구들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최근에는 장애인들이 사회적으로 소외감을 느끼지 않고 일반인들과 동일한 인격체로서 건전한 사회생활을 해 나갈 수 있도록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집중 및 고조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 그와 같은 일 예로 각종 공공시설물들을 장애인들이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예를 들어 계단대신 휠체어 전용 길을 구축하거나, 휠체어를 탄 상태에서 리프트를 이용하여 많은 계단을 오르내릴 수 있도록 편의시설을 제공하고 있는 추세이지만, 가장 장애인들에게 관심을 부여해야 하는 체육시설 및 재활용 운동시설은 전국 어디에서나 쉽게 찾아볼 수 없을 정도로 무관심하였던 것이 사회적인 현실의 모순이었다.
따라서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즉 본 고안의 제1 목적은 종래와 같이 장애인들의 신체적인 어려움을 충분히 배려할 수 없었던 사회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목발과 휠체어를 이용하는 장애인 및 재활 치료자들이 쉽게 다리운동을 할 수 있는 장애인용 보행 운동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제2 목적은, 장애인들이 신체적으로 부자유스러울 수밖에 없는 문제점을 감안하여 장애인들에 대해 혐오감과 열등감을 부여하지 않으면서 쉽게 이용할 수 있는 장애인용 보행 운동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제3 목적은, 장애인들이 신체적으로 결함이 있다는 것을 외부로 노출시키지 않으면서, 장애인들의 자격지심과 열등의식 그리고 자존심을 배제시킬 수 있는 장애인용 보행 운동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특히, 본 고안의 제4 목적은 장애인들의 신체적 결함을 고려하여 안전이 전제된 상태에서 충분히 운동할 수 있는 장애인용 보행 운동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장애인용 보행 운동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장애인용 보행 운동장치의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보행 운동장치의 사용상태를 보인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수직간 11,12;입,출구
20;수평간 30;제1 보행부
40;제2 보행부 50;제3 보행부
51;등받이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바람직한 본 고안은, 피 고정물인 지면에 고정 설치되고 입구와 출구를 형성하며 일정한 높이를 갖고 대응 설치된 다수 개의 수직간; 상기 수직간의 상단부에 연결 설치되는 수평간; 일 측의 수평간 측에서 일정구간 평행하게 연장 설치된 제1 보행부; 상기 제1 보행부를 구획하는 수평간에서 타 측으로 파형을 유지하며 연장설치된 제2 보행부; 및 상기 제2 보행부를 구획하는 수평간에서 상기 출구 측의 수직간까지 연장 설치되며 등받이 부를 갖는 제3 보행부를 포함하는 장애인용 보행 운동장치를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고안이 설치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고안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보인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장애인용 보행 운동장치는, 피 고정물인 지면에 고정 설치되고 입구(11)와 출구(12)를 형성하며 일정한 높이와 폭을 갖고 대응 설치된 다수 개의 수직간(10)이 구비된다.
상기 수직간(10)의 상단부에는 수평간(20)이 연장 설치된다.
상기 수평간(20)은 지면으로부터 아동 및 성인을 기준으로 하여 대략적으로 60㎝∼120㎝ 정도의 높이를 유지하는 범위내에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측의 수평간(20) 측에서 일정구간 평행하게 제1 보행부(30)가 연장 설치된다.
상기 제1 보행부(30)를 구획하는 수평간(20)의 일 측에서 타 측으로 파형을 유지하며 제2 보행부(40)가 연장 설치되고, 상기 제2 보행부(40)를 구획하는 수평간(20)의 일 측에서 상기 출구(12) 측의 수직간(10)까지 제3 보행부(50)가 연장 설치된다.
상기 제3 보행부(50)의 일정한 구간에는 후술하는 보행 후 등을 기대며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외측을 향하여 만곡된 등받이 부(51)가 구비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사용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처음, 본 고안을 사용할 때에는 목발 또는 휠체어를 이용하는 장애인 및 재활 치료자들은 동행인의 도움을 받거나, 손수의 힘으로 입구(11)측에 구비된 손잡이의 기능을 하는 수평간(20)을 파지한 상태에서 출구(12)측을 향해 걸어가며 도 3과 같이 보행운동을 한다.
즉, 처음에는 제1 보행부(30)를 직선으로 보행하며 통과하고, 그 다음에는 제2 보행부(40)를 따라 지그재그로 보행운동을 하며 연속하여 신체의 균형을 유지하는 운동을 겸하게 된다.
그리고 마지막에는 또 다시 제3 보행부(50)를 통하여 직선으로 보행한 후 일정구간에 도달하게 되면 제3 보행부(50)의 일측에 구비된 등받이부(51)에 등을 기댄 채 휴식을 취할 수도 있고, 출구(12)측을 통하여 통과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제3 보행부(50)에 등받이부(51)를 설치한 이유는, 비록 짧은 구간이지만 자력으로 보행운동을 하지 않은 상태로 생활해온 장애자들에게 발생될 수 있는 피로의 누적 등을 배려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일련의 동작을 장기간 반복적으로 행하다보면 장애인 및 재활 치료자들은 보행에 자신감을 부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신체의 균형을 유지하는데 탁월한 효과가 있고, 또 그에 따라 재활속도를 단축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고안은, 장애인 및 재활 치료자들이 큰 무리 없이 효과적으로 보행운동을 할 수 있음은 물론, 손잡이를 꼭 잡은 상태에서 운동하게 되므로 팔 힘과 다리 힘을 길러줄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지금까지는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한정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경 사용이 가능하다.
그러나, 그와 같은 변경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함이 명백하다.

Claims (1)

  1. 피 고정물인 지면에 고정 설치되고 입구와 출구를 형성하며 일정한 높이를 갖고 대응 설치된 다수 개의 수직간;
    상기 수직간의 상단부에 연결 설치되는 수평간;
    일 측의 수평간 측에서 일정구간 평행하게 연장 설치된 제1 보행부;
    상기 제1 보행부를 구획하는 수평간에서 타 측으로 파형을 유지하며 연장설치된 제2 보행부; 및
    상기 제2 보행부를 구획하는 수평간에서 상기 출구 측의 수직간까지 연장 설치되며 등받이 부를 갖는 제3 보행부를 포함하는 장애인용 보행 운동장치.
KR2020000020653U 2000-07-19 2000-07-19 장애인용 보행 운동장치 KR2002105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0653U KR200210509Y1 (ko) 2000-07-19 2000-07-19 장애인용 보행 운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0653U KR200210509Y1 (ko) 2000-07-19 2000-07-19 장애인용 보행 운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0509Y1 true KR200210509Y1 (ko) 2001-01-15

Family

ID=730861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0653U KR200210509Y1 (ko) 2000-07-19 2000-07-19 장애인용 보행 운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050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18792A (en) Pool ladder
US5924960A (en) Ambulation and mobility apparatus for therapeutic exercise
US5901813A (en) Physiotherapeutic device
JP2009207858A (ja) 自立生活運動支援用車椅子
KR101875338B1 (ko) 무릎관절을 보호하는 안전 스쿼트 운동기구
Frimpong et al. Task-oriented circuit training improves ambulatory functions in acute stroke: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KR200210509Y1 (ko) 장애인용 보행 운동장치
KR200210511Y1 (ko) 장애인용 팔 운동장치
KR200211685Y1 (ko) 휠체어 장애인용 팔 운동장치
JP3115283U7 (ko)
KR200210510Y1 (ko) 장애인용 전신 운동장치
KR20080000998U (ko) 실내용 평행봉 운동기구
KR200210508Y1 (ko) 장애인용 다리 운동장치
CN108014452A (zh) 一种具有安全防护功能的健腹装置
CN210331538U (zh) 智能训练扶梯
JP2008073435A (ja) ジムユニット及びジムユニットの使用方法
TW202041254A (zh) 下肢機能提升架
KR200211683Y1 (ko) 휠체어 장애인용 팔 운동장치
JP3218461U (ja) 歩行訓練装置
Petersen et al. Facility accessibility: opening the doors to all
KR200386550Y1 (ko) 노약자, 소아 및 병약자 보행을 위한 계단
Beckwith Play environments for all children
CN214971517U (zh) 一种老年人感觉统合训练装置
JP7222572B1 (ja) シーソー運動用具
Wolfinbarger et al. A survey of ramp and stair use among older adul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