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9769Y1 - 냉간 압연롤의 간격 조정 장치 - Google Patents

냉간 압연롤의 간격 조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9769Y1
KR200209769Y1 KR2020000023282U KR20000023282U KR200209769Y1 KR 200209769 Y1 KR200209769 Y1 KR 200209769Y1 KR 2020000023282 U KR2020000023282 U KR 2020000023282U KR 20000023282 U KR20000023282 U KR 20000023282U KR 200209769 Y1 KR200209769 Y1 KR 20020976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oke
dog
roll
clamp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32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광락
오춘근
박진수
Original Assignee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filed Critical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000232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976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976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9769Y1/ko

Links

Landscapes

  • Metal Roll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제철소의 냉간 압연롤 간격 조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재사용을 위한 연마로 인해 냉간 압연롤을 교체시에 별도의 수동조작이 필요없도록 하여 냉간 압엽롤의 교체를 용이하고 안전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부쵸크(10)와 하부쵸크(20) 그리고 도그(30)로 구성되는 냉간 압연롤 간격 조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부쵸크(10)의 외면측 하단에 결합홈(11)을 형성하고, 상기 하부쵸크(20)의 상부 외벽으로부터 외부로 상하 2개소에서 돌출되어 그 끝에 관통홀(21, 21')을 형성한 결합부(22)를 하부쵸크(20)에 형성하며, 상기 상부쵸크(10)의 결합홈(11)에 맞물리는 도그돌출부(31)를 상기 도그(30) 상면에 형성하고 상기 도그(30)가 그 하단부 일측에서 상기 관통홀(21)과 힌지결합되고, 도그(30)의 하단과 접하는 클램프돌출부(40)가 상면에 하부쵸크측과 가깝게 형성되고 하단부 일측에서 상기 관통홀(21')과 힌지결합하는 클램프(4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Description

냉간 압연롤의 간격 조정 장치{An apparatus for control of interval of cold roll}
본 고안은 제철소의 냉간 압연롤 간격 조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재사용을 위한 연마로 인해 냉간 압연롤을 교체시에 별도의 수동조작이 필요없도록 하여 냉간 압엽롤의 교체를 용이하고 안전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소에서는 제강공정에서 나온 슬라브(slab)등을 가열하여 압연하는 열간압연 공정을 거치게 되며 이 열간압연 공정의 산물인 핫 코일(hot coil)을 재료로 하여 다시 한번 압연하는 냉간압연 공정을 통해 제품을 생산하게 된다.
냉간압연공정에서는 냉간 압연롤을 사용하여 압연공정을 수행하는데 압연롤을 일정기간동안 사용하게 되면 표면에 흠이 발생하게 되며 또한 불균일한 마모로 인해 제품의 품질에 악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이를 일정량 연마한 후 다시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연마를 거친 후에 상하부롤을 2단으로 포개어 차공정 냉간 압연 라인(skin pass line)으로 반출을 하는데 2단으로 포갤때 상부롤과 하부롤의 충돌에 의한 찍힌흠을 방지하고 스탠드(stand)의 커플링(coupling)과의 간격을 정확하게 하여 압연기로의 인입을 잘 되게 하기위해 받침대(block)를 사용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1을 참조하여 종래의 롤 교체과정을 설명하고자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연마가 끝난 하부롤을 하부쵸크(20)에 고정후 하부쵸크의 상단에 도그(dog)(30)를 올려놓고 상부롤을 연마한 후 이를 상부쵸크(choke)(10)에 고정하여 상기의 도그위에 올려놓아 이를 적치하여두는 것이다.
이러한 종래기술에 의하면 롤 교체시에 작업자가 압연기내로 들어간 후에 크레인으로 상부롤을 들어올린 후에 상하부 쵸크사이에 도그를 삽입하여 전체 롤을 들어낸후에 연마가 끝난 롤을 다시 압연기내로 이동후 상부롤을 들어올린 후에 도그를 제거하고 이를 다시 내려놓아야 하는데 이 때 설비사이의 좁은 공간 회전체 주위에서 작업을 해야 하기 때문에 위험하고 운전실의 운전자와 신호 불일치로 대형 안전 사고의 위험이 잠재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설비 사이에 작업자가 들어갈 필요없이 단지 상부롤을 들어올리는 것만으로 자동으로 도그가 착탈될 수 있는 냉간 압연롤 간격 조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도1은 종래의 냉간 압연롤의 2단 적치 상태도이다.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냉간 압연롤의 간격 조정 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3은 도2에 도시된 냉간 압연롤의 간격 조정 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4는 도2에 도시된 냉간 압연롤의 작동을 나타내는 작동상태도이다.
[도면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상부 롤, 2 …하부 롤,
10 …상부쵸크, 11 …결합홈,
20 …하부쵸크, 21, 21' …관통홀,
22 …결합부, 30 …도그,
31 …도그돌출부, 40 …클램프돌출부,
41 …클램프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상부쵸크(10)와 하부쵸크(20) 그리고 도그(30)로 구성되는 냉간 압연롤 간격 조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부쵸크(10)의 외면측 하단에 결합홈(11)을 형성하고, 상기 하부쵸크(20)의 상부 외벽으로부터 외부로 상하 2개소에서 돌출되어 그 끝에 관통홀(21, 21')을 형성한 결합부(22)를 하부쵸크(20)에 형성하며, 상기 상부쵸크(10)의 결합홈(11)에 맞물리는 도그돌출부(31)를 상기 도그(30) 상면에 형성하고 상기 도그(30)가 그 하단부 일측에서 상기 관통홀(21)과 힌지결합되고, 도그(30)의 하단과 접하는 클램프돌출부(40)가 상면에 하부쵸크측과 가깝게 형성되고 하단부 일측에서 상기 관통홀(21')과 힌지결합하는 클램프(4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냉간 압연롤 간격 조정 장치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2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의 상부쵸크(10)의 하단부에는 상부롤(1)이 도그(30)위로 놓여질때 도그(30)의 도그돌출부(31)와 체결되기 위한 결합홈(11)이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하부쵸크(20)에는 하부쵸크의 상부 외벽으로부터 상하 2개소에서 돌출되는 결합부(22)가 형성되어 있다. 이 결합부의 2개의 돌출부의 끝단에는 도그(30)와 클램프(41)와 힌지결합하기 위한 관통홀(21, 21')이 각각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의 도그(30)와 클램프(41)는 결합부(22)에 체결된 상태에서 상하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 본 고안에서는 도그(30), 클램프(41)가 상기의 결합부(22)와 체결되는 방법을 힌지결합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도그(30)와 클램프(41)가 결합부(22)에 체결된 상태에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기만 하면 충분하다.
그러므로 힌지결합 대신에 부싱과 핀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의 도그(30)는 그 상면에 상기의 결합홈(11)과 체결되는 도그돌출부(31)를 가지며 하단의 일측에서 상기의 결합부(22)와 힌지결합되는데 결합위치가 롤측으로 치우쳐 있어 자유로운 상태에서는 아래로 기울어져 있게 된다.
상기의 클램프(41)는 상면에 하부롤측으로 치우친 위치에서 상기의 도그(30)의 하단과 접하는 클램프돌출부(40)를 가지며 상기의 도그와 동일하게 하단의 일측에서 상기의 결합부(22)와 힌지결합되어 역시 자유로운 상태에서는 아래로 기울어지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의 클램프돌출부(41)의 돌출양은 도그(30)와 클램프(41)가 결합부(22)에 체결된 후 평행한 위치에 놓여있게 될 때에는 서로 떨어져 있을 정도이어야 한다. 따라서 도그(30)의 하단이 클램프(41)의 클램프돌출부(40)와 접한 위치에서는 도그(30)가 아래를 향해 약간 기울어져있게 된다.
도3을 참조하여 상기의 실시예의 작동을 설명하고자 한다.
도3의 (가)는 하부롤의 압연이 끝난 후에 상부롤을 하부롤위에 적치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 때에는 상부롤을 적치하기 전에 도그(30)를 위로 들어올린 상태에서 클램프(41)를 들어올리고 다시 도그(30)를 내려놓으면 상기 클램프돌출부(40)가 도그(30)의 하면과 접하게 된다. 이로인해 클램프(41)가 회전하면서 아래로 내려가는 것이 방지되는데 클램프가 회전하게되면 상기 클램프돌출부(40)는 우측상방향으로 도그를 밀게되며 이러한 힘은 도그가 자체중량에 의해 클램프를 아래로 미는 힘과 균형을 이루게 되어 도그(30)는 클램프를 지지한 상태에서 아래를 향해 약간 기울어져 있게된다. 이러한 작용을 위해서는 상기 클램프돌출부(40)의 위치는 클램프의 회전 중심을 이루는 관통홀(21')보다 더욱 하부쵸크쪽에 가깝게 위치하여야 한다.
도3의 (나)는 상기의 적치가 더욱 진행된 상태를 도시한 것인데 상부쵸크를 하부쵸크위에 내려놓으면 상기 결합홈(11)과 도그돌출부(31)가 결합하게 되며 상부쵸크가 완전히 적치가 끝난 상태에서는 도그(30)는 상부쵸크의 무게로 인해 위로 들어올려지게 되고 이로인해 상기 클램프돌출부(40)와의 접촉이 해제되어 클램프(41)는 아래로 회전하면서 내려가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하부롤은 압연기(도시되지 않음)로 운반되어 다시 장착되게 되는 데 도3의 (다)는 이러한 상태를 도시한것으로 압연기에 장착된 후 실린더에 의해 상부롤이 상승하면 도그(30)는 자체 중량에 의해 아래로 내려가게 되며 이러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 도3의 (라)이다. 즉 (라)는 상하부롤의 교체가 끝난 상태를 나타내며 이 상태에서 압연공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만일 다시 롤연마가 필요한 경우가 되면 실린더로 상부롤을 들어올린후에 (가) 및 (나)의 단계를 거쳐 롤을 운반하여 연마를 실시하면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하여 작업자가 압연롤 연마를 위한 롤 교체시에 압연기내로 들어가서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에 단독작업으로 신속하게 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작업자가 설비사이 회전체에 들어가지 않고 안전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상부쵸크(10)와 하부쵸크(20) 그리고 도그(30)로 구성되는 냉간 압연롤 간격 조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부쵸크(10)의 외면측 하단에 결합홈(11)을 형성하고;
    상기 하부쵸크(20)의 상부 외벽으로부터 외부로 상하 2개소에서 돌출되어 그 끝에 관통홀(21, 21')을 형성한 결합부(22)를 하부쵸크(20)에 형성하며;
    상기 상부쵸크(10)의 결합홈(11)에 맞물리는 도그돌출부(31)를 상기 도그(30) 상면에 형성하고 상기 도그(30)가 그 하단부 일측에서 상기 관통홀(21)과 힌지결합되고;
    도그(30)의 하단과 접하는 클램프돌출부(40)가 상면에 하부쵸크측과 가깝게 형성되고 하단부 일측에서 상기 관통홀(21')과 힌지결합하는 클램프(4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간 압연롤 간격 조정 장치.
KR2020000023282U 2000-08-17 2000-08-17 냉간 압연롤의 간격 조정 장치 KR20020976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3282U KR200209769Y1 (ko) 2000-08-17 2000-08-17 냉간 압연롤의 간격 조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3282U KR200209769Y1 (ko) 2000-08-17 2000-08-17 냉간 압연롤의 간격 조정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9769Y1 true KR200209769Y1 (ko) 2001-01-15

Family

ID=730871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3282U KR200209769Y1 (ko) 2000-08-17 2000-08-17 냉간 압연롤의 간격 조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976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789757A (en) Printing press having automatic printing cylinder loading and unloading apparatus
US4854806A (en) Device for loading or unloading paper rolls onto or from a roll stand of a web-fed rotary printing press
US5308217A (en) Roll chucking apparatus
KR200209769Y1 (ko) 냉간 압연롤의 간격 조정 장치
KR200243132Y1 (ko) 압연롤 교체를 위한 롤센터조정 및 표면검사장치
US2283310A (en) Sheet and plate metal forming machine
US3367262A (en) Calender roll-out mechanism
US3926027A (en) Roll changing apparatus for a rolling mill or the like
US3475940A (en) Fall-away spacer block
KR100979776B1 (ko) 롤 연삭기
KR200215169Y1 (ko) 교체가 용이한 코일 권취기의 사이드 가이드 장치
KR200331472Y1 (ko) 장입주편 추락 방지장치
US4452561A (en) Railway wheel lifter and inverter
KR100723254B1 (ko) 통스 크레인의 통키 자동 복귀장치
JPS63216646A (ja) ロ−ルチヨツク反転装置
KR20010028912A (ko) 스트립 코일 굴림장치
KR200172509Y1 (ko) 연속주조설비의 퀵체인지 유니트 운반용 행거핀 자동착탈장치
US2102809A (en) Rolling mill housing
KR970002824Y1 (ko) 압연기 스핀들 교체 장치
KR100951262B1 (ko) 압연롤의 위치 조정장치
KR100822969B1 (ko) 고중량 롤 이송용 통 크레인
KR200181429Y1 (ko) 후판압연용 롤 쵸크 고정장치
KR101817568B1 (ko) 스크랩의 배출이 용이한 버킷장치
KR20030023906A (ko) 압연롤 시프팅장치
KR0114095Y1 (ko) 스킨패스밀(Skin Pass Mill)의 라이너 교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925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