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9641Y1 - 광케이블의 보호장치 - Google Patents

광케이블의 보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9641Y1
KR200209641Y1 KR2019980006908U KR19980006908U KR200209641Y1 KR 200209641 Y1 KR200209641 Y1 KR 200209641Y1 KR 2019980006908 U KR2019980006908 U KR 2019980006908U KR 19980006908 U KR19980006908 U KR 19980006908U KR 200209641 Y1 KR200209641 Y1 KR 2002096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cable
fixing body
rear end
optical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69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40294U (ko
Inventor
신중현
Original Assignee
유채준
대한전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채준, 대한전선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채준
Priority to KR20199800069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9641Y1/ko
Publication of KR1999004029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029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96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9641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6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installing or repairing optical fibres or optical cables
    • G02B6/50Underground or underwater installation; Installation through tubing, conduits or ducts
    • G02B6/54Underground or underwater installation; Installation through tubing, conduits or ducts using mechanical means, e.g. pulling or pushing devices
    • G02B6/545Pulling ey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39Auxiliary devices
    • G02B6/4457Bobbins; Reel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6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installing or repairing optical fibres or optical cab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ght Guides In General And Applications Therefo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광케이블의 보호장치에 관한 것으로, 드럼에 감겨진 상태인 광케이블이 다수의 광코드의 선단부에 컨넥터를 각각 구비한 상태로 출고하게 되므로 상기의 컨넥터를 포함하는 광코드 및 광케이블이 내장되는 자바라관의 일측에는 중심인장선을 고정하는 선단부재를 부착하면서 타측에는 광케이블의 외면을 고정하는 후단부재를 부착하여 출고시의 이동이나 광케이블의 포설이 용이하도록 하되,
상기의 선단부재는 자바라관의 일측에 선단고정체를 결합하고, 상기 선단고정체의 내부에는 원통형 고정체를 결합하고, 상기 선단고정체에는 지지판에 지지되며 링형 걸림부가 일체인 되돌림체를 결합하고, 광케이블의 관통공에 중신인장선이 끼워져 고정되도록 하는 한편,
상기의 후단부재는 자바라관의 타측에 후단고정체를 결합하고, 상기 후단고정체의 오목걸림부에는 반으로 분리되고 반원형홈이 형성된 두 결합체의 볼록검림부를 결합하여 볼트를 체결하면서 광케이블의 외면에 지지고정하도록 함으로써 드럼에 감긴 광케이블의 처리와 각각의 광코드에 구비된 컨넥터를 보호할 수 있고 광케이블의 포설시 풀링아이와 되돌림쇠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으며 결합과 분해가 용이하여 현장에서의 작업성이 향상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광케이블의 보호장치
본 고안은 광케이블의 보호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드럼의 외주면에 감싸여진 광케이블의 선단부위에 결합되어 드럼에 감긴 광케이블의 처리와 각각의 광코드에 구비된 컨넥터를 보호할 수 있고, 광케이블의 포설시 풀링아이와 되돌림쇠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으며, 결합과 분해가 용이하여 현장에서의 작업성이 향상되도록 한 광케이블의 보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러가지 신호를 빠르고 정확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여러개의 광섬유인 광코드를 실장한 광케이블을 선로에 설치하여 사용함으로써 단결정으로 형성된 광섬유가 여러 신호를 동선등에 비하여 빠르게 전달이 가능하고, 잡음이 없어 많이 이용되고 있음은 이미 잘 알려진 사실이다.
그리고 상기의 광케이블은 포설이나 운반이 용이한 적당한 길이를 드럼에 감은 상태로 출고하여 이를 현장에서 직접 포설하거나 다른 광케이블과 연결하면서 포설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상기의 광케이블의 선단부에는 다수개로 분리된 광코드의 끝단에 컨넥터를 추가로 부착하여 현장에서 다른 광코드에 간단하게 연결하여 사용하도록 하고 있다.
즉, 상기의 드럼에 감져진 상태의 광케이블을 포설할 때 현장에서 다른 광케이블을 추가로 연결하거나 내선에 연결할 때 끝단의 컨넥터를 이용하여 간단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의 광케이블을 현장에서 설치할 때 이의 끝단에 견인로프를 결합하여 끌어당기면서 지하의 매설구나 지상의 매설공간을 지나도록 하고 있다.
그러므로 광케이블의 끝단에 견인로프를 결합하기 위한 풀링아이를 설치하여야 하고, 풀링아이가 설치된 상태에서 견인로프에 의해 당겨질 때 회전이나 뒤틀리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견인로프와 풀링아이의 사이에 회전이 자유로운 되돌림쇠를 추가로 설치하여 포설시의 회전이나 뒤틀림으로 인해 광케이블이 꼬이게 되는 현상을 방지하여야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광케이블 구조에 의하여서는 광케이블이 드럼에 감겨진 상태에서 출고될 때 각각의 광코드의 선단에 형성된 컨넥터의 처리가 불편하고 운반이나 설치시 손상을 입게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게 되었다.
그리고 광코드를 포설할 때 별도의 풀링아이를 광케이블의 선단에 결합한 후 다시 되돌림쇠를 회전가능하게 결합하여 견인로프로 되돌림쇠를 끌어당기면서 원하는 공간에 포설하도록 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사정을 고려하여 착안한 것으로 광케이블의 선단부인 광코드와 컨넥터를 보호하면서 드럼에 감긴 상태에서 안전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 광케이블의 보호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광케이블을 현장에서 포설할 때 별도의 풀링아이나 되돌림쇠를 사용하지 않고도 간단하게 포설할 수 있으며 포설후 분리가 용이하도록 함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드럼에 감겨진 상태인 광케이블이 현장에서의 포설을 위해 다수의 광코드의 선단부에 컨넥터를 각각 구비한 상태로 출고하게 되므로 상기의 컨넥터를 포함하는 광코드 및 광케이블이 내장되는 자바라관의 일측에는 중심인장선을 고정하는 선단부재를 부착하면서 타측에는 광케이블의 외면을 고정하는 후단부재를 부착하여 출고시의 이동이나 광케이블의 포설이 용이하도록 하되,
상기의 선단부재는 자바라관의 일측 볼트부에 선단고정부의 너트부를 나사조임으로 체결하면서 이의 외면에 형성한 볼트부에는 선단고정체의 내면에 형성한 너트부가 나사조임으로 결합되도록 하고, 상기 선단고정체의 내부 축공에는 중앙에 관통공이 형성된 원통형 고정체를 결합하고, 상기 선단고정체의 오목부와 상기 원통형 고정체의 큰직경부의 사이에는 지지판에 의해 지지되며 링형 걸림부가 일체인 되돌림체를 결합하고, 내부의 관통공으로 광케이블의 중신인장선이 끼워져 볼트에 의해 고정되는 상기 원통형 고정체의 타측 볼트부에는 작은 너트부를 체결하여 지지판과의 사이에 되돌림체와 선단고정체가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의 후단부재는 자바라관의 타측 볼트부에 후단고정부의 너트부를 나사조임으로 체결하면서 이의 외면에 형성한 볼트부에는 후단고정체의 내면에 형성한 너트부가 나사조임으로 결합되도록 하고, 중앙에 구멍이 형성된 상기 후단고정체의 타측에는 오목걸림부를 일체로 형성하여 반으로 분리되고 중앙의 반원형홈이 형성된 두 결합체의 볼록검림부가 결합되도록 하고, 상기 두 결합체의 볼트공에 볼트를 체결하면서 광케이블의 외면에 지지고정하도록 함으로써 드럼에 감긴 광케이블의 처리와 각각의 광코드에 구비된 컨넥터를 보호할 수 있고 광케이블의 포설시 풀링아이와 되돌림쇠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으며 결합과 분해가 용이하여 현장에서의 작업성이 향상되도록 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주요부분을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선단부재의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후단부재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5 : 자바라관 11 : 선단부재
12 : 선단고정체 14 : 원통형 고정체
16 : 지지판 17 : 되돌림체
21 : 후단부재 22 : 후단고정체
24 : 오목걸림부 25, 27 : 결합체
26, 28 : 볼록걸림부
도면에 도시하지 않은 드럼에 감겨진 상태인 광케이블(1)이 현장에서의 포설을 위해 다수의 광코드(2)의 선단부에 컨넥터(3)를 각각 구비한 상태로 출고하게 되므로 상기의 컨넥터(3)를 포함하는 광코드(2) 및 광케이블(1)의 일부가 내장되는 자바라관(5)의 일측에는 중심인장선(4)을 고정하는 선단부재(11)를 부착하면서 타측에는 광케이블(1)의 외면을 고정하는 후단부재(21)를 부착하여 출고시의 이동이나 광케이블의 포설이 용이하도록 하되,
상기의 선단부재(11)는 자바라관(5)의 일측 볼트부(6)에 선단고정부(7)의 너트부(7a)를 나사조임으로 체결하면서 이의 외면에 형성한 볼트부(7b)에는 선단고정체(12)의 내면에 형성한 너트부(12a)를 나사조임으로 결합하고,
상기 선단고정체(12)의 내부 축공(13)에는 중앙에 관통공(15)이 형성된 원통형 고정체(14)를 결합하고,
상기 선단고정체(12)의 오목부(12b)와 상기 원통형 고정체(14)의 큰직경부(14a)의 사이에는 지지판(16)에 의해 지지되며 링형 걸림부(17a)가 일체인 되돌림체(17)를 결합하고,
내부의 관통공(15)으로 광케이블의 중신인장선(4)이 끼워져 볼트(18)에 의해 고정되는 상기 원통형 고정체(14)의 타측 볼트부(14b)에는 너트(19)를 체결하여 지지판(16)과의 사이에 되돌림체(17)와 선단고정체(12)가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풀링아이와 되돌림쇠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한다.
그리고 상기의 후단부재(21)는 상기 자바라관(5)의 타측 볼트부(8)에 후단고정부(9)의 너트부(9a)를 나사조임으로 체결하면서 이의 외면에 형성한 볼트부(9b)에는 후단고정체(22)의 내면에 형성한 너트부(22a)가 나사조임으로 결합되도록 하고,
중앙에 구멍(23)이 형성된 상기 후단고정체(22)의 타측에는 오목걸림부(24)를 일체로 형성하여 반으로 분리되고 중앙의 반원형홈(25a)(27a)이 각각 형성된 두 결합체(25)(27)의 볼록걸림부(26)(28)가 결합되도록 하고,
상기 두 결합체(25)(27)를 관통하게 형성된 볼트공(25b)(27b)에 볼트(29)를 체결하면서 광케이블(1)의 외면에 지지고정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다음과 같이 작용하게 된다.
본 고안이 결합되는 상태는 다음과 같다. 먼저, 드럼에 감긴 광케이블(1)의 일부와 광코드(2)의 선단부에 구비된 컨넥터(3)를 자바라관(5)에 내장시키면서 이의 일측에는 선단부재(11)를 부착하면서 중심인장선(4)을 고정시키고 타측에는 후단부재(21)를 부착하여 광케이블(1)의 외면을 고정함으로써 출고시의 이동이나 광케이블의 포설이 용이하도록 한 것으로서,
상기 후단부재(21)는 타측 볼트부(8)에 후단고정부(9)의 너트부(9a)를 나사조임으로 체결하면서 이의 외면에 형성한 볼트부(9b)에는 후단고정체(22)의 내면에 형성한 너트부(22a)를 나사조임으로 결합하면 된다.
여기서 후단고정부(9)와 후단고정체(22)는 상기 자바라관(5)의 내부에 쾅케이블(1)을 내장할 때 같이 끼워지도록 해야한다.
한편, 상기의 선단부재(11)는 자바라관(5)의 일측 볼트부(6)에 선단고정부(7)의 너트부(7a)를 나사조임으로 체결하면서 이의 외면에 형성한 볼트부(7b)에는 선단고정체(12)의 내면에 형성한 너트부(12a)를 나사조임으로 결합한다.
상기 선단고정체(12)의 오목부(12b)에 지지판(16)에 의해 지지되도록 링형 걸림부(17a)가 일체인 되돌림체(17)를 결합한 후 상기 선단고정체(12)의 내부 축공(13)에 원통형 고정체(14)를 결합하여 큰직경부(14a)에 의해 지지판(16)이 지지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원통형 고정체(14)의 타측 볼트부(14b)에 너트(19)를 체결하여 지지판(16)과의 사이에 되돌림체(17)와 선단고정체(12)가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면 선단부재(11)의 결합이 완료된다.
그러므로 원통형 고정체(14)의 중앙에 형성한 관통공(16)으로 광케이블의 중신인장선(4)이 끼워지도록 한 후 볼트(18)를 체결하여 고정시키면 광케이블(1)의 선단부가 자바라관(5)의 내부에 안정된 상태로 위치하게 된다.
자라라관(5)에 내장된 광케이블(1)의 외측은 후단부재(21)에 고정시키면 된다.
즉, 중앙의 구멍(23)에 광케이블(1)이 끼워진 상태인 상기 후단고정체(22)의 타측에 형성한 오목걸림부(24)에 반원통형의 두 결합체(25)(27)의 볼록걸림부(26)(28)가 결합되도록 하면서 중앙의 반원형홈(25a)(27a)에 광케이블(1)이 끼워진 상태가 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두 결합체(25)(27)를 관통하게 형성된 볼트공(25b)(27b)에 볼트(29)를 체결하여 광케이블(1)의 외면에 지지고정하면 광케이블(1)에 보호장치를 완전히 설치한 상태가 된다.
그러므로 후단부재(21)의 반원통형의 두 결합체(25)(27)를 통해 광케이블(1)의 외면이 고정되고 선단부재(11)의 원통형 고정체(14)에 중심인장선(4)이 고정된 상태 이므로 광케이블(1)을 현장에서 포설할 때 견인로프를 상기 되돌림체(17)의 링형 걸림부(17a)에 결합하여 당기게 되면 드럼에 감신 상태에서 원하는 위치로 이동하여 포설이 용이해진다.
그리고 포설시 견인로프의 회전이나 뒤틀리는 현상이 일어나더라도 되돌림체(17)가 선단고정체(12)의 오목부(12b)에 지지판(16)에 의해 이탈이 방지되면서 자체적으로 회전하여 광케이블(1)이 꼬이게 되는 현상을 발생하지 않는다.
이와같은 본 고안은 드럼에 감겨진 상태인 광케이블이 다수의 광코드의 선단부에 컨넥터를 각각 구비한 상태로 출고하게 되므로 상기의 컨넥터를 포함하는 광코드 및 광케이블이 내장되는 자바라관의 일측에는 중심인장선을 고정하면서 되돌림체를 부착하고 상기 자바라관의 타측에는 광케이블의 외면에 고정하는 후단부재를 부착하여 출고시의 이동이나 광케이블의 포설이 용이하도록 함으로써 드럼에 감긴 광케이블의 처리와 각각의 광코드에 구비된 컨넥터를 보호할 수 있고 광케이블의 포설시 풀링아이와 되돌림쇠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으며 결합과 분해가 용이하여 현장에서의 작업성이 향상되도록 한 것이다.

Claims (1)

  1. 컨넥터(3)를 포함하는 광코드(2) 및 광케이블(1)의 일부를 자바라관(5)의 내부에 내장하면서 일측에는 선단부재(11)를 부착하면서 타측에는 후단부재(21)를 부착하여 출고시의 이동이나 광케이블의 포설이 용이하도록 한 광케이블의 보호장치에 있어서,
    상기의 선단부재(11)는 자바라관(5)의 일측 볼트부(6)에 선단고정부(7)를 나사조임으로 체결하면서 외면에는 선단고정체(12)를 나사조임으로 결합하고,
    상기 선단고정체(12)의 내부 축공(13)에는 중앙에 관통공(15)이 형성된 원통형 고정체(14)를 결합하고,
    상기 선단고정체(12)의 오목부(12b)와 상기 원통형 고정체(14)의 큰직경부(14a)의 사이에는 지지판(16)에 의해 지지되며 링형 걸림부(17a)가 일체인 되돌림체(17)를 결합하고,
    내부의 관통공(16)으로 광케이블의 중신인장선(4)이 끼워져 볼트(18)에 의해 고정되는 상기 원통형 고정체(14)의 타측 볼트부(14b)에는 너트(19)를 체결하고,
    상기의 후단부재(21)는 상기 자바라관(5)의 타측에 후단고정부(9)를 나사조임으로 체결하면서 외면에는 후단고정체(22)를 나사조임으로 결합하고,
    중앙에 구멍(23)이 형성된 상기 후단고정체(22)의 타측에는 오목걸림부(24)를 일체로 형성하여 반으로 분리되고 중앙의 반원형홈(25a)(27a)이 각각 형성된 두 결합체(25)(27)의 볼록걸림부(26)(28)를 결합하고,
    상기 두 결합체(25)(27)를 관통하게 형성된 볼트공(25b)(27b)에 볼트(29)를 체결하여 광케이블(1)의 외면에 지지고정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의 보호장치.
KR2019980006908U 1998-04-29 1998-04-29 광케이블의 보호장치 KR20020964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6908U KR200209641Y1 (ko) 1998-04-29 1998-04-29 광케이블의 보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6908U KR200209641Y1 (ko) 1998-04-29 1998-04-29 광케이블의 보호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0294U KR19990040294U (ko) 1999-11-25
KR200209641Y1 true KR200209641Y1 (ko) 2001-01-15

Family

ID=695056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6908U KR200209641Y1 (ko) 1998-04-29 1998-04-29 광케이블의 보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964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0294U (ko) 1999-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641627B (zh) 装有光纤连接器的光缆及该光缆的穿线方法、该穿线方法中使用的牵引部件和光纤连接器
US6135398A (en) Trunion clamp for optical fiber
US10627594B2 (en) Fiber optic pulling grip assembly
BR102015012313B1 (pt) Gaveta de vedação do cabo resistente à torção
BR102015001780A2 (pt) prensa-cabo
KR200209641Y1 (ko) 광케이블의 보호장치
KR102305678B1 (ko) 지중배전선 이탈방지용 고정 장치
KR100706785B1 (ko) 지중 케이블 관로의 연결구
JPS60109712A (ja) 外装ケーブルグンド
KR100258547B1 (ko) 풀링아이 및 그 사용방법
US20230228962A1 (en) Optical cable member,towing member, and towing method
KR101228133B1 (ko) 해저관로의 케이블 견인포설용 볼캐스터형 캐리어
KR100258548B1 (ko) 풀링아이 및 그 사용방법
KR200159261Y1 (ko) 케이블 포설용 끌기고리 조립체
KR100818623B1 (ko) 전력선 인출용 풀링아이
KR200150494Y1 (ko) 개량된 케이블 포설용 끌기고리
KR20000047100A (ko) 풀링아이 및 그 사용방법
KR100320389B1 (ko) 광케이블 분기장치
JP4852515B2 (ja) 牽引端及び牽引方法
KR200222315Y1 (ko) 광케이블연결부재
KR20150002895U (ko) 전선포설용 캡
JPS61166502A (ja) 光フアイバ複合架空地線用の接続箱
JP2934091B2 (ja) 架空送電線巻付け布設光ケーブルの懸垂式接続箱
KR20090131394A (ko) 광케이블 포설이 가능한 선통대 및 이를 이용한 광케이블포설 방법
JPH08240756A (ja) 光ファイバケーブルのテンションメンバ端部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01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