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9637Y1 - 받침대 겸용 가열기 - Google Patents

받침대 겸용 가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9637Y1
KR200209637Y1 KR2019980017778U KR19980017778U KR200209637Y1 KR 200209637 Y1 KR200209637 Y1 KR 200209637Y1 KR 2019980017778 U KR2019980017778 U KR 2019980017778U KR 19980017778 U KR19980017778 U KR 19980017778U KR 200209637 Y1 KR200209637 Y1 KR 20020963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late
support
fuel
fuel storage
storag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77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6601U (ko
Inventor
명노은
Original Assignee
명노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명노은 filed Critical 명노은
Priority to KR20199800177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9637Y1/ko
Publication of KR2000000660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660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963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9637Y1/ko

Links

Landscapes

  • Cookers (AREA)

Abstract

본고안은 음식물을 데워줄 수 있으면서도 필요에 따라서 뜨거운 국냄비 및 다리미 등을 받쳐주어 여러가지 목적에 사용될 수 있는 받침대 겸용 가열기에 관한 것으로, 얇은 판형태로 만들어지며 그 가운데 적절한 직경을 가지는 통공(11)이 뚫려지며 그 상면에 일정위치마다 지지돌기(12)들이 돌출형성되는 받침판부(10)와, 상기 받침판부(10)의 통공(11) 직하부에 설치되는 연료수납부(20)와, 상기 받침판부(10)의 테두리 직하부에 일정위치마다 설치되는 지지다리부(30)와, 상기 받침판부(10)의 테두리에 형성되는 손잡이부(40)로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부(10)의 하측에 연료수납부(20) 및 지지다리부(30)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여 결합시에는 받침판부(10) 상에 음식물을 올려놓고 데워주는데 사용하며, 분리시에는 냄비 등의 뜨거운 물건을 받쳐주는데 사용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받침대 겸용 가열기
본고안은 음식물을 데워 주는 가열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음식물을 데워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서 뜨거운 국냄비 및 다리미 등을 받쳐주어 여러가지 목적에 사용될 수 있는 받침대 겸용 가열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가열기는 얇은 판형태로 만들어지며 그 가운데 적절한 직경을 가지는 통공이 뚫려지며 그 상면에 일정위치마다 지지돌기들이 돌출형성되는 받침판부와, 상기 받침판부의 통공 직하부에 설치되는 연료수납부와, 상기 받침판부의 테두리 직하부에 설치되는 지지다리부와, 상기 받침판부의 테두리에 형성되는 손잡이부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것은 음식점 또는 일반가정의 주방에서 가열된 음식물이 식어지지 않도록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도록 데워주는데 사용된다. 즉, 연료수납부에 연료를 넣어서 불을 붙여주면 받침판부 상면에 올려진 국냄비 등을 데워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된다.
그러나, 종래의 것은 연료수납부 및 지지다리부를 이루는 구조부들이 받침판부에 분리가 불가능하게 만들어져 있다. 그래서 가열기는 음식물을 데우는데만 사용될 뿐 다른 용도로는 사용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가열기는 각 구조부들이 분리가 되지 않으므로 보관을 할 경우에 부피를 많이 차지하게 되어 보관하는데 불편함이 있다.
특히, 종전의 신선로를 사용하여 가열하는 경우에 바닥으로의 열전달을 차단하기 위하여 별도의 접시로서 받쳐 주어야만 하는 불편한 점이 뒤따르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고안의 목적은 음식물을 데우는데 사용할 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서 국냄비를 받쳐주거나 다리미 등의 뜨거운 물건을 받쳐줄 수 있는 받침대 겸용 가열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고안의 다른 목적은 보관할 경우에 부피를 대폭적으로 축소하여 간편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받침대 겸용 가열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고안의 또다른 목적은 받침판부에 연료수납부가 매달려서 바닥으로부터 이격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열전달을 차단하기 위한 별도의 받침대가 필요없는 받침대 겸용 가열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1은 본고안 받침대 겸용 가열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2는 본고안 받침대 겸용 가열기를 나타내는 분해 단면도
도3은 본고안을 가열기로 사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4는 본고안을 받침대로 사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받침판부 11:통공 12:지지돌기
13:꽃잎 14:꽃받침 15:결합플랜지
16:결합돌기 20:연료수납부 21:공기구멍
30:지지다리부 40:손잡이부 50:음식물용기
60:다리미
이하, 본고안의 기술적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고안의 받침대 겸용 가열기는 얇은 판형태로 만들어지며 그 가운데 적절한 직경을 가지는 통공(11)이 뚫려지며 그 상면에 일정위치마다 지지돌기(12)들이 돌출형성되는 받침판부(10)와, 상기 받침판부(10)의 통공(11) 직하부에 설치되는 연료수납부(20)와, 상기 받침판부(10)의 테두리 직하부에 일정위치마다 설치되는 지지다리부(30)와, 상기 받침판부(10)의 테두리에 형성되는 손잡이부(40)로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는 종래의 기술적 개념과 별다를 바가 없다.
다만, 본고안은 상기 받침판부(10)의 하측에 연료수납부(20) 및 지지다리부(30)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여 결합시에는 받침판부(10)상에 음식물을 올려놓고 데워주는데 사용하며, 분리시에는 냄비 등의 뜨거운 물건을 받쳐주는데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여기에서, 상기 연료수납부(20)는 받침판부(10)의 통공(11) 직하부에 나사결합시키되 통공(11) 직하부에 형성되는 결합플랜지(15) 내주면에 암나사를 형성하고 연료수납부(20) 상부 외주면에 수나사를 형성하여 나사결합이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지지다리부(30)는 상기 받침판부(10)의 테두리하부에 형성되는 결합돌기(16)에 나사결합이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연료수납부(20) 및 지지다리부(30)는 받침판부(10)의 하면에 나사결합되므로 분리 및 결합이 용이하다.
이하, 첨부도면들에 도시되는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고안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고안의 실시예로서 도1 및 도2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얇은 판형태로 만들어지며 그 가운데 적절한 직경을 가지는 통공(11)이 뚫려지며 그 상면에 일정위치마다 지지돌기(12)들이 돌출형성되는 받침판부(10)와, 상기 받침판부(10)의 통공(11) 직하부에 설치되는 연료수납부(20)와, 상기 받침판부(10)의 테두리 직하부에 설치되는 지지다리부(30)와, 상기 받침판부(10)의 테두리에 형성되는 손잡이부(40)로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부(10)의 하측에 연료수납부(20) 및 지지다리부(30)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한다는 점에서는 본고안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것이다.
상기 받침판부(10)는 음식물용기 또는 다리미 등을 올려놓고 받쳐주는 구조부로서, 도1 및 도2에서와 같이, 얇은 판형태로 만들어지며 그 가운데 적절한 직경을 가지는 통공(11)이 뚫려지며 그 상면에 일정위치마다 지지돌기(12)들이 돌출 형성된다.
여기에서, 받침판부의 가운데 통공(11)이 뚫려지는 이유는 통공 직하면에 연료수납부(20)를 결합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연료수납부(20)에 연료를 넣어서 불을 붙이면 불꽃이 통공(11)을 통하여 상부로 올라와서 음식물용기를 데워주게 된다.
또한, 받침판부(10)의 상면에 일정위치마다 지지돌기(12)들이 돌출 형성되는 이유는 도3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음식물용기(50)를 받침판부(10)의 상면에 올려 놓았을 때 지지돌기(12)에 얹혀지게 하여 간격을 형성시켜 주기 위함이다. 이 간격을 통하여 공기가 유입되어 불꽃이 상부로 발산하게 된다.
한편, 도1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받침판부(10)의 장식적인 효과를 증대시기기 위하여 받침판부의 상면 통공(11) 주변에 꽃잎(13)들이 새겨지고 테두리변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꽃받침(14)들이 형성되는 꽃무늬 형상을 새겨 넣고 있음을 보여준다.
따라서, 본고안은 받침판부(10)가 꽃무늬 형상으로 만들어지므로 이를 사용하게 되는 레스토랑등의 품격을 한층 더 높혀주어 고급스러운 느낌을 주는 장식적인 효과를 증대시켜 준다.
상기 연료수납부(20)는 받침판부(10)의 통공(11) 직하부에 설치되는 되는 용기로서 그 내부에 연료를 담을 수 있는 구조부이다. 이때 연료는 알콜 등의 액체연료 또는 양초 등의 고체연료를 넣어서 불을 붙여준다.
이러한 연료수납부는 도1 및 도2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받침판부(10)의 통공(11) 직하부에 나사결합시키되 통공(11) 직하부에 형성되는 결합플랜지(15) 내주면에 암나사를 형성하고 연료수납부(20) 상부 외주면에 수나사를 형성하여 결합됨을 보여준다.
따라서, 연료수납부(20)를 결합플랜지(15)에 나사결합시키므로 분리 및 결합이 용이하며 음식물을 데워줄 경우에는 도3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지지다리부(30)와 함께 결합하여 연료를 넣고 불을 붙여서 음식물용기(50)를 데울 수 있게 되는데, 상기 연료수납부는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면서 받침판부(10)에 매달리는 구조의 형태를 갖는다.
이와 같이 받침판부(10)에 연료수납부(20)가 매달리는 근본적인 이유는 연료수납부에서 전달되는 열을 자연적으로 바닥과 차단시켜 주는 역할을 하기 때문이며, 또한 별도의 바닥받침대가 필요없게 하기 위해서이다.
반대로, 받침대로 사용할 경우에는 도4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지지다리부(30)와 함께 분리하여 다리미(60) 또는 뜨거운 국냄비 등을 받쳐 주는데 사용할 수 있다.
이때 도4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받침대로 사용할 경우에는 결합돌기(16)들에 의해서 바닥에 지지되고 결합플랜지(15)는 바닥에서 이격됨을 보여준다.
한편, 도1 및 도2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료수납부(20)의 측벽상부에 공기들이 통기될 수 있도록 공기구멍(21)들이 뚫려진다. 이는 공기구멍(21)들을 통하여 산소가 유입되므로 불꽃을 더욱 강하게 발산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공기구멍들은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연료수납부의 측벽상부에 일정간격의 힘살부를 두면서 타원형의 긴 장공으로도 형성될 수도 있음을 밝혀 둔다.
또한, 연료수납부(20)는 용기형상을 가지며 상부가 넓고 하부가 좁게 형성되므로 양초 등의 연료를 넣거나 뺄 때 편리하다.
상기 지지다리부(30)는 받침판부(10)의 테두리 직하부에 일정위치마다 설치되어 받침판부(10)를 지지시켜 주는 구조부이다. 이때 지지다리부(30)는 도2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받침판부(10)의 테두리하부에 형성되는 결합돌기(16)에 나사결합된다. 이와 같이 지지다리부(30)를 결합돌기(16)에 나사결합시키므로 분리 및 결합이 용이하다.
한편, 도3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지지다리부(30)는 받침판부(10)를 지지시키기 위해 최소한 3개이상이 필요하며, 연료수납부(20)가 바닥으로부터 일정거리(d)가 이격되도록 충분한 높이를 가지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도3 및 도4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료수납부(20) 및 지지다리부를 결합하여 음식물을 데워줄 경우에는 받침판상에 얹혀진 음식물용기(50)를 데우는데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부페식으로 비치된 음식물용기를 계속적으로 가열시켜 주는데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한편, 연료수납부 및 지지다리부를 분해하여 받침대로 사용할 경우에는 연료수납부(20)와 함께 분리하여 다리미(60) 또는 뜨거운 국냄비 등을 받쳐 주는데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40)는 도1 및 도2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받침판부(10)의 일측 테두리에 일체로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손잡이부(40)를 잡을 때 손이 데지 않도록 열전달이 잘 되지 않는 비금속재로 만든 손잡이커버 등을 별도로 부착시켜 덮어씌워 둘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고안은 종래에 연료수납부 및 지지다리부들이 분리가 불가능하게 만들어짐으로써 단일한 목적에만 사용될 뿐만 아니라, 보관시에 부피를 많이 차지하여 보관이 불편하였던 것과는 달리, 연료수납부(20)가 받침판부(10)의 통공(11) 직하부에 형성된 결합플랜지(15)에 나사결합되고, 지지다리부(30)가 받침판부(10)의 테두리 직하면에 형성된 결합돌기(16)들에 각기 나사결합됨으로써,
첫째, 음식물을 데우는데 사용될 경우에는 연료수납부(20) 및 지지다리부(30)들을 결합하여 가열기로 사용할 수 있고, 국냄비 또는 다리미 등의 뜨거운 물건을 받쳐줄 경우에는 연료수납부(20) 및 지지다리부(30)들을 분리해 내어 받침대로 사용하는 다목적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보관할 경우에 연료수납부(20) 및 지지다리부(30)들을 분리하여 별도로 보관하게 됨으로 부피를 대폭적으로 축소할 수 있으므로 간편하게 보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종전의 신선로를 사용하여 가열하는 경우에 바닥으로의 열전달을 차단하기 위하여 별도의 접시로서 받쳐 주어야만 했던 불편한 점과 달리, 받침판부에 연료수납부가 매달려 있기 때문에 바닥으로부터 이격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열전달을 차단하기 위한 별도의 받침대가 필요없게 되는 잇점을 갖고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고안의 받침대 겸용 가열기는 연료수납부 및 지지다리부들을 받침판부에 분리가능한 구조로 결합시킴으로써 필요에 따라 받침대 또는 가열기 등 다목적용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보관시에는 연료수납부 및 지지다리부들을 분리할 수 있게 되어 보관이 간편한 매우 유용한 것이다.

Claims (3)

  1. 얇은 판형태로 만들어지며 그 가운데 적절한 직경을 가지는 통공(11)이 뚫려지며 그 상면에 일정위치마다 지지돌기(12)들이 돌출형성되는 받침판부(10)와, 상기 받침판부(10)의 통공(11) 직하부에 설치되는 연료수납부(20)와, 상기 받침판부(10)의 테두리 직하부에 일정위치마다 설치되는 지지다리부(30)와, 상기 받침판부(10)의 테두리에 형성되는 손잡이부(40)로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부(10)의 하측에 연료수납부(20) 및 지지다리부(30)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여 결합시에는 받침판부(10)상에 음식물을 올려놓고 데워주는데 사용하며, 분리시에는 냄비 등의 뜨거운 물건을 받쳐주는데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받침대 겸용 가열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수납부(20)를 받침판부(10)의 통공(11) 직하부에 나사결합시키되 통공(11) 직하부에 형성되는 결합플랜지(15) 내주면에 암나사를 형성하고 연료수납부(20) 상부 외주면에 수나사를 형성하여 결합시키고, 상기 지지다리부(30)를 상기 받침판부(10)의 테두리하부에 형성되는 결합돌기(16)에 나사결합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받침대 겸용 가열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수납부(20)의 측벽상부에 공기들이 통기될 수 있도록 공기구멍(21)들이 뚫려지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받침대 겸용 가열기.
KR2019980017778U 1998-09-18 1998-09-18 받침대 겸용 가열기 KR20020963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7778U KR200209637Y1 (ko) 1998-09-18 1998-09-18 받침대 겸용 가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7778U KR200209637Y1 (ko) 1998-09-18 1998-09-18 받침대 겸용 가열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6601U KR20000006601U (ko) 2000-04-25
KR200209637Y1 true KR200209637Y1 (ko) 2001-01-15

Family

ID=695210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7778U KR200209637Y1 (ko) 1998-09-18 1998-09-18 받침대 겸용 가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9637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0035B1 (ko) * 2010-09-17 2013-03-06 임용관 조리기구용 안전선반
WO2016017981A1 (ko) * 2014-07-28 2016-02-04 임경모 보온 트레이
KR200487749Y1 (ko) * 2017-10-24 2018-10-29 (주)피스월드 언더렌지용 조리용기 지지기구
KR200496377Y1 (ko) * 2022-06-07 2023-01-18 대도공업 주식회사 유동방지용 불판 받침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6601U (ko) 2000-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03099B2 (en) Multifunction electrical cooking appliance
US20070119444A1 (en) Charcoal gas lighter
US6263787B1 (en) Thermal cooker
KR200209637Y1 (ko) 받침대 겸용 가열기
CN103070608A (zh) 一种三合一多用锅
WO2002012789A1 (en) Candle tin
US4996410A (en) Dual purpose chafing pot
US6227192B1 (en) Hot plate for cups and related items
US20050238775A1 (en) Butter melter and warmer
KR20150108510A (ko) 휴대가능한 아웃도어용 테이블 겸용 버너스탠드
EP0688177B1 (en) Heat distributing apparatus for gas barbecues
US4185614A (en) Heat-preserving appliance for cups or other vessels
KR200361110Y1 (ko) 다용도 조리기
US20050205078A1 (en) Bench top grill assembly
KR930001796Y1 (ko) 조리된 음식물 용기에 보존열을 공급해주는 열에너지 공급구조
US6369367B1 (en) Cooking apparatus
KR100843192B1 (ko) 음식물 접시용 가열 받침기
CN211512791U (zh) 壶具
KR200319760Y1 (ko) 도자기재 신선로
JP3080175U (ja) 固形燃料用卓上コンロ
KR890007321Y1 (ko) 다리미 받침대
KR200347666Y1 (ko) 고기구이용 받침대
KR200355866Y1 (ko) 압력불판
GB2240916A (en) A tabletop burner for warming food
KR870003920Y1 (ko) 솥전 받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0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