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9602Y1 - 고추씨 분리장치 - Google Patents

고추씨 분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9602Y1
KR200209602Y1 KR2020000022658U KR20000022658U KR200209602Y1 KR 200209602 Y1 KR200209602 Y1 KR 200209602Y1 KR 2020000022658 U KR2020000022658 U KR 2020000022658U KR 20000022658 U KR20000022658 U KR 20000022658U KR 200209602 Y1 KR200209602 Y1 KR 20020960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pper
crushing chamber
transfer pipe
inlet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26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수모
Original Assignee
안수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수모 filed Critical 안수모
Priority to KR20200000226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960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960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9602Y1/ko

Links

Landscapes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고추를 절단, 이송하여 고추피와 고추씨를 분리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투입호퍼(12)를 설치한 파쇄실(20)의 입구에 모우터(80)의 동력으로 회전하는 인입로울러(30)(31)를 설치하되 상부로울러(30)의 축(30a)에 설치된 높이조절볼트(33)를 측벽(22)의 돌출판(22b)에 끼워서 높이조절볼트(33)와 결합되는 돌출판(22b) 상부의 너트(35)로 상부로울러 축(30a)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한 투입부(A)와, 인입로울러(30)(31) 가까이에 고정칼날(40)을 설치하고 본체(10) 상부에 설치된 파쇄실(20)의 내부에는 고추의 투입방향과 직각을 이루도록 칼날(52)이 설치된 회전칼날(50)을 모우터(80)에 의해 회전하도록 설치하고 회전칼날(50)의 상부에는 파쇄실(20)의 뒷벽(24)까지 이어진 칸막이(26)를 설치하여서 된 파쇄부(B)와, 파쇄실(20) 하부에 파쇄실(20)과 연결된 이송관(60)을 설치하되 이송관(60)의 내부에는 모우터(80)의 동력으로 회전하는 이송스크류(62)가 설치되고 이송관(60)의 저면에는 교체가 가능한 선별망(64)이 설치되어 그 선별망(64)의 하부에는 고추씨받이함(70)이 본체(10)에 수납되어 있으며 이송관(60)의 일측 단부에는 배출구(66)를 형성한 선별부(C)로 구성되어 고추의 건조상태에 관계없이 고추를 절단파쇄하여 고추피와 고추씨를 분리, 선별할 수 있으므로 고추의 건조에 필요한 시간이나 비용을 줄일 수 있을 뿐 만 아니라 고추씨의 분리작업을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고추씨 분리장치{Red pepper seed separator}
본 고안은 고추를 절단, 이송하여 고추피와 고추씨를 분리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투입호퍼로 공급된 고추를 인입로울러를 이용하여 파쇄실 내부로 강제 투입하여 고추의 투입방향과 직각을 이루는 회전칼날로 잘게 절단한 후 절단된 고추는 회전칼날의 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풍력에 의해 파쇄실 내벽에 부딪힌 후 선별망이 설치된 이송관으로 공급되게하여 이송스크류에 의해 절단된 고추가 이송되면서 고추씨는 이송관 하부의 선별망을 통해 배출되고 절단된 고추는 이송관 일측 단부의 배출부를 통해 배출되도록 하므로서 고추피와 고추피의 분리가 보다 정확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종래의 고추씨분리기는 본체의 상부에 호퍼를 설치하고 그 하부에는 외주면에 칼날을 설치한 한 쌍의 파쇄드럼이 설치되어 호퍼를 통해 고추를 투입하면 고추가 자연낙하하면서 한 쌍의 파쇄드럼 사이로 공급되어 파쇄드럼에 설치된 칼날에 의해 파쇄된 후 파쇄드럼 하부에 설치된 이송관으로 떨어지면 이송관 내부에 설치된 이송스크류에 의해 파쇄된 고추가 이송되면서 크기가 작은 고추씨는 이송관에 설치된 다공판을 통해 배출되고 크기가 큰 고추피는 이송관의 일측 단부까지 이송되어 배출부를 통해 배출되므로서 고추피와 고추씨의 분리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이러한 종래의 고추씨분리기는 호퍼로 투입된 고추가 칼날이 설치된 한 쌍의 파쇄드럼 사이를 통과하면서 칼날에 의해 파쇄되기때문에 고추의 건조상태에 따라서 파쇄되는 정도가 달라지게되는데 고추가 바싹 건조되어 수분이 거의 없는 상태에서는 고추가 파쇄가 양호하게 이루어지지만 고추의 건조가 부족하여 고추 자체에 수분이 다소 남아있는 눅눅한 상태인 경우 고추가 어느정도의 탄력성을 유지하기때문에 자연낙하한 고추를 파쇄드럼이 파쇄하고자 할때는 고추가 칼날에 의해 쉽게 파쇄되지 않고 고추피에 칼날에 의한 상처만 생긴채로 파쇄드럼을 통과하는 경우가 많아지므로서 고추피와 고추씨의 분리작업이 제대로 이루어지지않고 이러한 고추들은 재차, 3차에 걸쳐서 고추씨 분리기에 재통과 시켜야 하기 때문에 작업시간이 이중, 삼중으로 길어지게되기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해선 고추를 반드시 바싹 말려야 하므로서 고추 건조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추가될 뿐 만 아니라 고추의 건조작업으로 인하여 고추씨의 분리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위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투입호퍼가 설치된 파쇄실의 입구에 모우터에 의해 회전하는 인입로울러를 설치하여 고추의 강제투입이 가능케 하고 파쇄실 내부에는 회전칼날과 고정칼날을 각각 설치하여 고추의 정확한 절단파쇄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뿐 만 아니라 절단된 고추는 고속으로 회전하는 회전칼날의 회전력에 의해 파쇄실의 내벽에 부딪히게 하여 그 충격으로 절단된 고추 내부에 채워져 있던 고추씨가 쉽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단면 예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정면 예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배면 예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인입로울러의 동력전달부를 나타낸 확대단면 예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투입부 B : 파쇄부
C : 선별부 10 : 본체
12 : 투입호퍼 20 : 파쇄실
22 : 측벽 22a : 장공
22b : 돌출판 24 : 뒷벽
26 : 칸막이 30,31 : 인입로울러
30a : 축 33 : 높이조절볼트
35 : 너트 40 : 고정칼날
50 : 회전칼날 52 : 칼날
60 : 이송관 62 : 이송스크류
62a : 구동풀리 62b : 기어박스
64 : 선별망 66 : 배출구
70 : 고추씨받이함 72 : 고추피받이통
80 : 모우터
측면으로 투입호퍼(12)를 설치한 파쇄실(20)의 입구에 상·하 한 쌍으로 이루어져 모우터(80)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인입로울러(30)(31)를 설치하되 상부로울러(30)의 축(30a)은 파쇄실(20)의 측벽(22)에 형성된 장공(22a)에 끼우고 축(30a)에 설치된 높이조절볼트(33)는 측벽(22)의 돌출판(22b)에 끼워서 높이조절볼트(33)와 결합되는 돌출판(22b) 상부의 너트(35)로 상부로울러 축(30a)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한 투입부(A)와, 인입로울러(30)(31) 가까이에 고정칼날(40)을 설치하고 본체(10) 상부에 설치된 파쇄실(20)의 내부에는 고추의 투입방향과 직각을 이루도록 칼날(52)이 설치된 회전칼날(50)을 모우터(80)에 의해 회전하도록 설치하고 회전칼날(50)의 상부에는 파쇄실(20)의 뒷벽(24)까지 이어진 칸막이(26)를 설치하여서 된 파쇄부(B)와, 파쇄실(20) 하부에 파쇄실(20)과 연결된 이송관(60)을 설치하되 이송관(60)의 내부에는 모우터(80)의 동력을 회전칼날(50)의 풀리(50a)와 기어박스(62b)를 통해 전달받은 구동풀리(62a)에의해 회전하는 이송스크류(62)가 설치되고 이송관(60)의 저면에는 교체가 가능한 선별망(64)이 설치되어 그 선별망 (64)의 하부에는 고추씨받이함(70)이 본체(10)에 수납되어 있으며 이송관 (60)의 일측 단부에는 배출구(66)를 형성한 선별부(C)로 이루어진 구조이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은 투입부(A)의 투입호퍼(12)를 통해 고추를 투입하면 투입호퍼(12)의 경사면를 따라서 투입된 고추가 파쇄실(20) 입구에 설치되어 모우터(80)의 동력을 전달받아서 회전하는 인입로울러(30)(31)에 의해 강제로 파쇄실(20) 내부로 투입되는데, 파쇄실(20)의 입구에 설치된 인입로울러(30)(31)는 상·하 한 쌍으로 이루어져 상부로울러(30)의 축(30a)이 파쇄실(20)의 측벽(22)에 형성된 장공(22a)에 끼워져 있으며 축(30a)에 베어링으로 설치된 높이조절볼트(33)는 측벽(22)에서 외부로 돌출된 돌출판(22b)에 끼워져 높이조절볼트(33)와 결합되는 돌출판(22b) 상부의 너트(35)로 축(30a)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하므로서 고추의 투입양이나 건조상태등 고추의 여러 상태에 따라서 상부로울러(30)의 위치를 조정하여 상·하 인입로울러(30)(31)의 간격을 조정하여 고추의 정확한 투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이렇게 인입로울러(30)(31)에 의해 투입된 고추는 파쇄실(20) 내부에 설치된 고정칼날(40)과 고추의 투입방향에 직각을 이루도록 칼날(52)이 설치된 회전칼날(50)에 의해 절단파쇄되면서 고속으로 회전하는 회전칼날(50)의 회전력에 의해서 발생한 바람에 의해 파쇄실(20)의 뒤쪽으로 날려지게되는데 파쇄실(20)의 뒷벽(24)쪽으로 날려진 고추파편은 파쇄실(20)의 뒷벽(24)에 부딪히면서 그 충격에 의해 고추피 내부에 채워져있던 고추씨들이 고추피에서 떨어지게되는데 회전칼날(50)의 상부에는 파쇄실(20)의 뒷벽(24)까지 이어진 칸막이(26)가 설치되어 있어서 파쇄실(20)의 뒷벽(24)에 부딪히면서 고추피와 분리된 고추씨들이 다른곳으로 튀는것을 방지할 뿐 만 아니라 회전칼날(50)에 의해 발생한 바람이 자연스럽게 이송관(60)쪽으로 불어지도록 하므로서 칼날에 의해 절단된 고추파편이 원활하게 이송관(60)쪽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하게된다.
위와 같이 파쇄실(20)에서 회전칼날(50)에 의해 절단파쇄된 후 파쇄실(20)의 뒷벽(24)과 부딪힌 고추파편은 파쇄실(20)과 연결된 이송관(60)의 일측단부로 떨어지게되는데 이송관(60)의 내부에는 모우터(80)의 동력을 회전칼날(50)의 풀리(50a)와 베벨기어등이 내장된 기어박스(62b)를 통해 구동풀리(62a)로 전달받아서 회전하는 이송스크류(62)가 설치되어 있어서 이송스크류(62)에 의해 고추피와 고추씨들이 이송관(60)의 타측 단부쪽으로 이송되게되는데 이송관(60)의 하부에는 고추씨보다는 크고 절단파쇄된 고추피보다는 작은 크기의 구멍을 가진 선별망(64)이 설치되어 있어서 이송스크류(62)에 의한 고추피와 고추씨의 이송과정에서 고추씨는 선별망(64)을 통과하여 아래로 떨어져 본체(10) 하부에 수납되는 고추씨받이함(70)에 담겨지게 되며 이송스크류(62)에의해 이송관(60)의 타측 단부로 계속 이송되어진 고추피는 이송관(60)의 타측 단부에 형성된 배출구(66)를 통해 배출되어 고추피받이통(72)에 담겨지므로서 고추피와 고추씨의 선별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고추의 건조상태에 관계없이 고추를 절단파쇄하여 고추피와 고추씨를 분리, 선별할 수 있으므로 고추의 건조에 필요한 시간이나 비용을 줄일 수 있을 뿐 만 아니라 절단파쇄작업이 고속으로 이루어지므로서 고추씨의 분리작업을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측면으로 투입호퍼(12)를 설치한 파쇄실(20)의 입구에 상·하 한 쌍으로 이루어져 모우터(80)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인입로울러(30)(31)를 설치하되 상부로울러(30)의 축(30a)은 파쇄실(20)의 측벽(22)에 형성된 장공(22a)에 끼우고 축(30a)에 설치된 높이조절볼트(33)는 측벽(22)의 돌출판(22b)에 끼워서 높이조절볼트(33)와 결합되는 돌출판(22b) 상부의 너트(35)로 상부로울러 축(30a)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한 투입부(A)와, 인입로울러(30)(31) 가까이에 고정칼날(40)을 설치하고 본체(10) 상부에 설치된 파쇄실(20)의 내부에는 고추의 투입방향과 직각을 이루도록 칼날(52)이 설치된 회전칼날(50)을 모우터(80)에 의해 회전하도록 설치하고 회전칼날(50)의 상부에는 파쇄실(20)의 뒷벽(24)까지 이어진 칸막이(26)를 설치하여서 된 파쇄부(B)와, 파쇄실(20) 하부에 파쇄실(20)과 연결된 이송관(60)을 설치하되 이송관(60)의 내부에는 모우터(80)의 회전칼날(50)의 풀리(50a)와 기어박스 (62b)를 통해 전달받은 구동풀리(62a)에의해 회전하는 이송스크류(62)가 설치되고 이송관(60)의 저면에는 교체가 가능한 선별망(64)이 설치되어 그 선별망(64)의 하부에는 고추씨받이함(70)이 본체(10)에 수납되어 있으며 이송관(60)의 일측 단부에는 배출구(66)를 형성한 선별부(C)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추씨 분리장치
KR2020000022658U 2000-08-09 2000-08-09 고추씨 분리장치 KR20020960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2658U KR200209602Y1 (ko) 2000-08-09 2000-08-09 고추씨 분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2658U KR200209602Y1 (ko) 2000-08-09 2000-08-09 고추씨 분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9602Y1 true KR200209602Y1 (ko) 2001-01-15

Family

ID=730572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2658U KR200209602Y1 (ko) 2000-08-09 2000-08-09 고추씨 분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960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52380A (zh) * 2017-09-01 2018-01-09 杨李益 机电一体全自动胡椒膜无损皮籽分离清洗机及分离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52380A (zh) * 2017-09-01 2018-01-09 杨李益 机电一体全自动胡椒膜无损皮籽分离清洗机及分离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87808A (en) High efficiency grinding apparatus
JP5576254B2 (ja) 破砕選別装置
KR101365155B1 (ko) 씽크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0461645Y1 (ko) 유기물쓰레기 분쇄 및 이물질 분리장치
KR200209602Y1 (ko) 고추씨 분리장치
KR101501452B1 (ko) 듀얼 파쇄식 이물질 제거장치
KR200433588Y1 (ko) 다용도 분쇄 장치
CN113695022A (zh) 一种自动破袋破碎分拣机
CN209697017U (zh) 一种地膜原料粉碎装置
CN204262044U (zh) 一种厨余垃圾破碎分选设备
CN216911494U (zh) 餐厨垃圾处理器用供料装置及应用其的餐厨垃圾处理器
CN205848061U (zh) 一种青绿秸秆打浆装置
CN111387519B (zh) 一种花生剥壳机
CN210545500U (zh) 一种筛选破碎机
NZ20299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inuting tree stumps
KR200407426Y1 (ko) 파쇄 선별기
US2963229A (en) Garbage grinder feeder
KR20140090389A (ko) 코팅연사에 의한 부하 없는 패각분쇄기
KR960007117Y1 (ko) 잔반 처리기
KR20080075242A (ko) 비중 차를 이용한 폐 플라스틱류 습식 선별방법
KR200179559Y1 (ko) 음식물찌꺼기 분산용 분산기
CN220239186U (zh) 一种餐厨垃圾分拣装置
KR101151386B1 (ko) 파쇄펌프
KR101138303B1 (ko) 퇴비파쇄장치
RU2041701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змельчения пищевых продукто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