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9438Y1 - 바닥부가 개방되는 쓰레기통 - Google Patents

바닥부가 개방되는 쓰레기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9438Y1
KR200209438Y1 KR2020000021956U KR20000021956U KR200209438Y1 KR 200209438 Y1 KR200209438 Y1 KR 200209438Y1 KR 2020000021956 U KR2020000021956 U KR 2020000021956U KR 20000021956 U KR20000021956 U KR 20000021956U KR 200209438 Y1 KR200209438 Y1 KR 20020943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trash
garbage
bag
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19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아련
Original Assignee
최아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아련 filed Critical 최아련
Priority to KR20200000219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943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943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9438Y1/ko

Links

Landscapes

  • Refuse Recepta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쓰레기통에 관한 것이며, 상하 개방된 통형의 본체(10), 상기 본체(10)의 상측 개방부(11)에 끼워맞춤되는 뚜껑(20), 및 상기 본체(10)의 하측 개방부(12)에 끼워맞춤되는 받침부(30)로 구성된 쓰레기통(1)이 개시되어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본체(10), 또는 상기 본체(10)와 상기 받침부(30)는 상측보다 하측이 넓은 상협하광의 형상으로 되어 있고 상기 본체(10)와 상기 받침부(30)의 결합부위에는 상기 본체(10)와 상기 받침부(30)가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록킹장치(40)가 설치되어 있다.

Description

바닥부가 개방되는 쓰레기통{Wastebin Having bottom To Be Opened}
(기술분야)
본 고안은 쓰레기통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개방되는 바닥을 구비하여 쓰레기봉투의 반출이 편리한 쓰레기통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가정이나 학교 등에서 음식물, 폐지, 먼지 등 각종 쓰레기를 담기 위해 사용하는 쓰레기통(100)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쓰레기가 투입되는 통(110: 본체)과 상기 통(110)의 개방된 입구를 덮는 뚜껑(120)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뚜껑(120)에는 간단히 손으로 열 수 있는 도어(121)가 설치된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종량제 쓰레기 수거제도가 실시됨에 따라 모든 쓰레기는 공인된 쓰레기봉투에 담아 벼려야 하는 바, 쓰레기봉투를 상기 통(110) 내에 벌려 넣고 그 위에 뚜껑(120)을 덮어서 고정시킨 상태로 쓰레기를 버리고 쓰레기가 다 차게 되면 뚜껑(120)을 열고 쓰레기가 담긴 쓰레기봉투를 꺼내어 버리는 방식이 일상생활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종래의 쓰레기통들(100)은 쓰레기를 넣기 편하도록 위쪽이 넓고 아래쪽이 좁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쓰레기봉투의 아래쪽까지 충분하게 쓰레기가 채워지지 않은 채로 버려지는 경우가 흔하게 발생한다. 또한 쓰레기봉투에 쓰레기가 채워진 후에 쓰레기봉투를 쓰레기통(100)에서 꺼낼 때 쓰레기봉투에 쓰레기가 가득 채워진 경우에는 쓰레기봉투가 잘 빠지지 않기 때문에 한손으로 통(110)을 잡고 다른 손으로 쓰레기봉투를 꺼내야하는 불편도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전술한 바와 같이 쓰레기봉투를 사용할 경우에 종래의 쓰레기통이 지니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쓰레기가 충전된 쓰레기봉투를 반출하기 편리한 쓰레기통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예시적인 쓰레기통의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예시적인 쓰레기통의 분해사시도,
도3은 쓰레기봉투를 처리하는 본 고안에 따른 쓰레기통의 사용상태도,
도4는 종래 쓰레기통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본 고안의 쓰레기통
10: 본체
11: 상측개방부
12: 하측개방부
20: 뚜껑
21: 도어
30: 받침부
40: 록킹장치
본 고안에 따라, 상하 개방된 통형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측 개방부에 끼워맞춤되는 뚜껑과, 상기 본체의 하측 개방부에 끼워맞춤되는 받침부를 포함하는 밑부분이 분리될 수 있는 쓰레기통이 제공된다.
쓰레기봉투는 상기 본체와 상기 받침부가 형성하는 내부공간에 넣어진 상태에서 상기 뚜껑에 의해 상기 본체의 상측 개방부 둘레에 고정되며, 쓰레기봉투에 쓰레기가 채워지면 상기 본체를 상기 받침부로부터 위쪽으로 분리한 후에 바로 쓰레기봉투를 받침부로부터 들어내어 버리면 된다.
상기 본체 또는 상기 본체와 받침부를 전체적으로 위쪽보다 아래쪽의 단면면적이 넓도록 형성하는 것이, 동일 규격의 쓰레기봉투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많은 쓰레기를 충전할 수 있고 쓰레기봉투에 쓰레기가 채워진 상태에서 상기 본체를 상기 받침부로부터 위쪽으로 분리하기 용이하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쓰레기통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구체예는 본 고안에 따른 쓰레기통을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일 뿐, 본 고안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아니한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예시적인 쓰레기통의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예시적인 쓰레기통의 분해사시도, 도3은 쓰레기봉투를 처리하는 본 고안에 따른 쓰레기통의 사용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쓰레기통(1)은 전체적인 외형 형상은 일반적인 종래의 쓰레기통과 유사하지만, 종래와 같이 본체와 뚜껑의 2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기본적으로 본체(10), 뚜껑(20) 및 받침부(30)의 3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본체(10)는 상하 양쪽이 모두 개방된 통형(예, 단면사각, 단면원형)으로 되어 있으며, 위쪽이 아래쪽 보다 약간 좁은 상협하광의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이 이후에 설명하는 바와 같은 이유로 바람직하다.
본체(10)의 상측 개방부(11)에는 뚜껑(20)이 개폐 가능하게 끼워맞춤된다. 이와 같은 본체(10)와 뚜껑(20)의 끼워맞춤 구조는 기존의 통상적인 본체와 뚜껑의 끼워맞춤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예를 들어, 본체(10)의 상측 개방부(11)의 둘레 크기를 뚜껑(20) 아래의 둘레 크게 보다 약간 작게 형성하여 상호 꼭맞게 끼워지도록 하면 된다.
본체(10)와 뚜껑(20)의 끼워맞춤 틈새에는, 쓰레기봉투(2)의 상단 둘레가 벌어진 상태로 끼워짐으로써 쓰레기봉투(2)가 쓰레기통(1)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통상의 뚜껑과 마찬가지로 본 고안 쓰레기통(1)의 뚜껑(20)에도 손으로 밀어 열 수 있는 도어(21)가 장착된 뚜껑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체(10)의 하측 개방부(12)에는 받침부(30)가 끼워맞춤된다. 본 받침부(30)는 쓰레기통(1) 내의 쓰레기봉투(2)에 쓰레기가 가득 찬 상태에서 쓰레기봉투(2)를 밖으로 꺼내기 위한 구조이다. 즉, 전술한 종래의 쓰레기통(100)에서 쓰레기봉투를 꺼내기 위해서는 뚜껑(120)을 열고 위쪽으로 들어 올려 쓰레기봉투를 꺼내어야 하고 이 경우 쓰레기봉투가 본체(110)의 내벽에 걸려 잘 빠지지 않고 경우에 따라서는 쓰레기봉투가 찢어지는 문제가 있었는바, 본 고안의 쓰레기통(1)은 쓰레기봉투(2)를 꺼낼 때 본체(10)를 받침부(30) 위로 들어 분리시킨 후 쓰레기봉투(2)를 받침부(30)에서 들어내면 됨으로 매우 용이하게 쓰레기봉투(2)를 쓰레기통(1)으로부터 꺼낼 수 있다.
본체(10)와 받침부(30)의 끼워맞춤에도 전술한 본체(10)와 뚜껑(20)의 끼워맞춤 구조를 그대로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체(10)의 하측 개방부(12)의 둘레 크기를 받침부(30)의 상단 둘레 크게 보다 약간 작게 형성하여 상호 꼭맞게 끼워지도록 하면 된다. 본체(10)의 하측 개방부(12)가 받침부(30)의 밖으로 끼워지는 것도 배제되지는 않지만, 이 경우에는 쓰레기로부터 흐른 물이 쓰레기통(1) 밖으로 새어나올 염려가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파손된 쓰레기봉투(2)로부터 흐른 물은 받침부(30)의 안에 고여 있게 됨으로 받침부(30)만을 씻어내면 흘러내린 물을 처리할 수 있다.
본체(10)와 받침부(30)는 단지 끼워맞춤하는 것으로만 결합시키는 것으로 충분하지만,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와 받침부(30)의 결합부위에 록킹장치(40)를 장착하여 상기 록킹장치(40)를 풀지 않으면 본체(10)와 받침부(30)가 분리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전체 쓰레기통(1)에서 차지하는 본체(10)와 받침부(30)의 높이 비율은, 받침부(30)에 고인 물이 넘치게 않는 범위 내에서 본체(10)가 받침부(30)보다 충분히 높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쓰레기봉투(2)를 꺼내는 데 지장이 없는 범위라면 그 비율이 특히 제한되지 아니한다.
본 고안의 쓰레기통(1)에는 본체(10)와 받침부(30)가 형성하는 공간 내에 쓰레기봉투(2)를 펼쳐 넣고 본체(10)에 뚜껑(20)을 덮되 쓰레기봉투(2)의 상단 둘레가 본체(10)와 뚜껑(20)의 끼워맞춤 부위에 끼워져 고정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쓰레기봉투(2)를 장착한다.
그리고, 쓰레기는 뚜껑(20)의 도어(21)를 통해 투입하여 버리고, 쓰레기봉투(2) 내에 쓰레기가 완전히 차면 뚜껑(20)을 열고 쓰레기봉투(2)의 상단을 묶은 후에 본체(10)를 받침부(30)로부터 들어낸 다음 쓰레기봉투(2)를 버리면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체(10) 또는 본체(10)와 받침부(30)는 전체적으로 위쪽보다 아래쪽의 넓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쓰레기통(1)의 전체 형상을 상협하광의 형상(종단면이 이등변 사다리꼴인 형상)이 되게 형성하면, 쓰레기가 아래로부터 차례로 쌓이게 되어 동일 규격의 쓰레기봉투(2)에 대해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쓰레기를 차곡차곡 채울 수 있고, 또한 쓰레기봉투(2) 내에 쓰레기가 가득 찬 상태에서 본체(10)를 받침부(30)로부터 분리할 때 본체(10)가 쓰레기봉투(2)에 걸리지 않고 잘 빠지게 됨으로 쓰레기봉투(2)가 본체(10)에 걸려 찢어질 염려가 거의 없게 된다.
본 고안 쓰레기통(1)의 규격은 특히 제한이 없으나 공인된 쓰레기봉투(2)를 장착하기 적당한 규격으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플라스틱 합성수지를 성형하여 만들 수 있다. 설명되지 않은 도면부호 13은 받침부(30)로부터 본체(10)를 들어올리거나 쓰레기통(1)을 옮길 때 사용하는 손잡이를 나타낸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에 따른 쓰레기통(1)은 본체(10)의 아래쪽이 별도의 부재인 받침부(30)로 되어 있어 상호 분리할 수 있도록 되어 있음으로, 쓰레기가 찬 쓰레기봉투(2)를 찢어짐 없이 쓰레기통(1)으로부터 안전하게 꺼낼 수 있고, 특히 본체(10) 또는 본체(10)와 받침부(30)를 위쪽이 좁고 아래쪽이 넓은 형상으로 하면 쓰레기 충전량을 늘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쓰레기통(1)으로부터 쓰레기봉투(2)를 더욱 안전하고 용이하게 꺼낼 수 있다. 또한, 쓰레기봉투가 찢어져 물이 흐르는 경우에는 흐른 물이 받침부(30)에 고이게 됨으로 간단히 받침부(30)만을 세척하면 청결하게 사용할 수 있다.

Claims (3)

  1. 상하 개방된 통형의 본체(10), 상기 본체(10)의 상측 개방부(11)에 끼워맞춤되는 뚜껑(20), 및 상기 본체(10)의 하측 개방부(12)에 끼워맞춤되는 받침부(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통.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 또는 상기 본체(10)와 상기 받침부(30)는 상측보다 하측이 넓은 상협하광의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통.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와 상기 받침부(30)의 결합부위에는 상기 본체(10)와 상기 받침부(30)가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록킹장치(40)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통.
KR2020000021956U 2000-08-01 2000-08-01 바닥부가 개방되는 쓰레기통 KR20020943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1956U KR200209438Y1 (ko) 2000-08-01 2000-08-01 바닥부가 개방되는 쓰레기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1956U KR200209438Y1 (ko) 2000-08-01 2000-08-01 바닥부가 개방되는 쓰레기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9438Y1 true KR200209438Y1 (ko) 2001-01-15

Family

ID=730570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1956U KR200209438Y1 (ko) 2000-08-01 2000-08-01 바닥부가 개방되는 쓰레기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943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50543B2 (en) Trash can assembly with locking lid
US5169012A (en) Combined waste paper and trash basket
US20100096389A1 (en) Sanitary trash receptacle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US4893719A (en) Compartmentalized separating container
SE9302292D0 (sv) Foervaringsenhet
KR100851111B1 (ko) 음식물 쓰레기통
KR200209438Y1 (ko) 바닥부가 개방되는 쓰레기통
KR200338125Y1 (ko) 자동 분리수거 기능을 갖는 쓰레기통
KR102241981B1 (ko) 실내용 쓰레기통
KR200337120Y1 (ko) 종량제봉투용 쓰레기통
KR20090116177A (ko) 뚜껑 조립체 및 이것을 이용한 쓰레기통
KR200443879Y1 (ko) 쓰레기 수거용기의 뚜껑 구조체
KR200290958Y1 (ko) 쓰레기통
CN215247161U (zh) 除臭分类垃圾桶
CN219097686U (zh) 一种分体式垃圾桶
KR101972117B1 (ko) 음식물쓰레기통
CN212100327U (zh) 一种便于垃圾分类的清理箱
CN215477333U (zh) 家用自净化分类垃圾桶
KR200362970Y1 (ko) 오물수거통
KR200268022Y1 (ko) 쓰레기통의 쓰레기 봉투 고정장치
US20060102627A1 (en) Refuse receptacle with hinged support
JPH1046644A (ja) シンクの排水口構造
KR200300357Y1 (ko) 쓰레기통
KR101211797B1 (ko) 음식물 쓰레기 수분 배출 병마개
KR200425994Y1 (ko) 바닥이 뚫려있는 쓰레기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