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1797B1 - 음식물 쓰레기 수분 배출 병마개 - Google Patents

음식물 쓰레기 수분 배출 병마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1797B1
KR101211797B1 KR1020100110967A KR20100110967A KR101211797B1 KR 101211797 B1 KR101211797 B1 KR 101211797B1 KR 1020100110967 A KR1020100110967 A KR 1020100110967A KR 20100110967 A KR20100110967 A KR 20100110967A KR 101211797 B1 KR101211797 B1 KR 1012117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ttle
water discharge
food waste
stopper body
delete del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09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49619A (ko
Inventor
백상훈
Original Assignee
백상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상훈 filed Critical 백상훈
Priority to KR10201001109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1797B1/ko
Publication of KR201200496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96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17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17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6Lid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31/00Means for facilitating the complete expelling of the contents
    • B65D2231/02Precut holes or weakened zones
    • B65D2231/025Precut holes or weakened zones for draining or discharging the liquid contents, e.g. soup, mil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32Drain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병입구에 체결되어 병을 뒤집어 엎었을 때에 고형의 음식물 쓰레기는 걸러내고 수분만 중력에 의하여 밑으로 빠져나가도록 하는 음식물 쓰레기 수분 배출 병마개로서, 윗단은 상기 병입구에 체결되도록 개방되고 밑단은 막혀있는 마개몸체(10); 및 마개몸체(10)의 윗단이 상기 병입구에 체결될 때에 상기 병에 삽입되어 들어가도록 마개 몸체(10)의 밑단에 수직하게 세워지며 내부는 비어 있으며 측벽에 복수개의 수분배출홀이 형성되는 수분배출관(120); 을 포함하며, 마개몸체(10)가 상기 병입구에 체결되었을 수분배출관(120)의 내부가 상기 병의 외부공간과 연통되도록 수분배출관(120)의 밑단은 개방되어 마개몸체(10)의 밑단을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패트병을 일회용 음식물 쓰레기 용기로 재활용할 수 있으며, 패트병에 채워진 음식물 쓰레기를 음식물 쓰레기통에 버리러 가는 와중에도 휴지덩어리로 수분배출콕의 밑부분을 막기만 하면 악취나는 액체가 밑으로 떨어지는 것을 간단하게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수분배출콕만 수거해서 다시 재사용할 수 있으므로 비용 및 편리성 측면에서 매우 유용한다.

Description

음식물 쓰레기 수분 배출 병마개{Bottle cap for draining water of food waste}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 수분 배출 병마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일반 병마개 대용으로 체결되어 병을 뒤집어 엎었을 때에 고형의 음식물 쓰레기는 걸러내고 수분만 중력에 의하여 밑으로 빠져나오도록 하는 음식물 쓰레기 수분 배출 병마개에 관한 것이다.
일상생활에서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는 것은 매우 번거로운 일 중의 하나이다. 통상적으로, 가정의 경우는 가게에서 물건을 샀을 때 물건을 담도록 주는 검은 비닐봉지를 음식물 쓰레기 봉지로 용도 전환하여 사용한다. 이 때 음식물 쓰레기의 수분이 빠져나가도록 비닐봉지 밑의 꼭지점 부분을 조금 잘라내서 사용하는 융통성을 발휘하기도 한다.
특별히 음식물 쓰레기 전용 용기가 현재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기는 하다. 하나의 예로서, 비닐봉지의 측면부분에 복수개의 관통구멍을 형성하고 이러한 일회용 비닐봉지의 입구를 걸 수 있는 걸침대를 일회용 비닐봉지와 함께 판매하는 것을 들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음식물 쓰레기를 넣고 이를 위에서 눌러 강제 압착하여 수분을 배출시키는 음식물 쓰레기 탈수 용기를 들 수 있다.
전자의 경우는 일회용이기 때문에 한번 쓰고 버려야 하므로 소비자 측에서 볼 때에는 비용면에서 아깝다는 생각이 들어 차라리 서두에 밝힌 바와 같은 가게에서 물건을 살 때 주는 검은 비닐봉지에 구멍을 뚫어 사용하는 것이 더 일반적이며, 측면에 복수개의 구멍이 뚫려 있기 때문에 일회용 비닐봉지를 음식물 쓰레기통에 운반하는 동안에 국물이 떨어져 고약한 악취발생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후자의 경우는 일회용이 아니기 때문에 자주 씻어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음식물 쓰레기통에 음식물 쓰레기를 버린 다음에 다시 회수하여 가져와야 하는 번거로움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패트병에 일반 병마개 대용으로 체결하여 다 쓴 패트병을 일회용 음식물 쓰레기 용기로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 수분 배출 병마개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수분 배출 병마개는,
병의 입구에 체결되는 마개몸체;
상기 마개몸체가 상기 병의 입구에 체결될 때에 상기 병에 삽입되어 들어가도록 상기 마개몸체의 가운데 부분에 수직하게 연결 설치되며, 내부는 비어 있고 측벽에는 복수개의 수분배출홀이 형성되는 수분배출관; 및
상기 병을 뒤집어 바닥에 세웠을 때에 상기 마개몸체가 상기 바닥에서 들뜨는 부위를 가지도록 상기 마개몸체에 형성되는 지지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병을 뒤집어 상기 바닥에 세웠을 때에 상기 병 내부에 있는 고형의 음식물 쓰레기는 걸러내고 수분만 상기 수분배출관의 수분배출홀을 통하여 중력에 의하여 상기 마개몸체의 밑으로 빠져나오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병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도록 상기 마개몸체에 복수개의 수분배출홀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병을 뒤집어 상기 바닥에 세웠을 때에 아래로 갈수록 벌어지는 나팔지지대 형태를 할 수 있으며, 상기 나팔지지대의 측벽에는 복수개의 수분배출홀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병을 뒤집어 상기 바닥에 세웠을 때에 바깥쪽으로 벌어지면서 아래로 돌출되는 돌출지지대가 복수개 형성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복수개의 돌출 지지대 사이에는 틈이 존재한다.
상기 수분배출관의 밑단에 악취차단마개가 삽입되어 끼워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병을 뒤집어 상기 바닥에 세웠을 때에 상기 수분배출홀이 있는 상기 마개몸체의 면이 상기 마개몸체에서 분리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마개몸체는 상기 병을 뒤집어 상기 바닥에 세웠을 때에 윗면에서 밑면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원뿔대 형상을 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윗면이 상기 병의 입구에 삽입되도록 설치된다.
이 경우 상기 마개몸체는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마개몸체의 가운데 부분에서 측면쪽을 향하도록 상기 마개몸체의 바닥면 외측에 고랑이 형성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랑은 방사상 형태로 복수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의하면, 패트병을 일회용 음식물 쓰레기 용기로 재활용할 수 있어 매우 유용하다. 또한 패트병에 채워진 음식물 쓰레기를 음식물 쓰레기통에 버리러 가는 와중에도 휴지덩어리로 마개몸체의 밑부분을 막기만 하면 악취나는 액체가 밑으로 떨어지는 것을 간단하게 방지할 수 있고,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병마개만을 수거해서 다시 재사용할 수 있으므로 비용 및 편리성 측면에서 매우 유용한다. 또한 다양한 크기의 병입구에도 체결가능하므로 모든 패트병의 재활용에 적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편리성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 분리수거 문화도 더욱 많이 지켜질 것이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수분 배출 병마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수분 배출 병마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수분 배출 병마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제시된 것일 뿐이며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돼서는 안 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를 나타내며 이에 대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실시예 1]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수분 배출 병마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수분 배출 병마개는, 마개몸체(10)와 수분배출판(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마개몸체(10)는 윗단과 밑단이 모두 개방되고 상기 윗단이 병입구에 체결되도록 내측벽에 나사골(12)이 형성된다. 마개몸체(10)의 밑단에는 마개몸체(10)가 더 이상 병입구에 삽입되어 들어가지 않도록 병입구에 걸리는 환형의 걸림턱(11)이 형성된다. 복수개의 수분배출홀(20a)이 형성된 수분배출판(20)이 환형의 걸림턱(11) 사이의 개방부에 설치된다.
도 1에서는 마개몸체(10)와 수분배출판(20)이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것이 도시되었으나 도 4에서와 같이 분리가능하게 설치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수분배출판(20)의 테두리에는 병입구에 걸리는 환형 테두리(21)가 형성되며, 수분배출판(20)의 환형 테두리(21)가 마개몸체(10) 안쪽에서 걸림턱(11)에 분리가능하게 걸쳐지도록 설치된다.
도 1 및 도 4의 구성은 병을 거꾸로 뒤집어 공간상의 거치대에 거치할 경우에는 별 문제가 안되지만, 지면에 병을 직접 거꾸로 세웠을 때에는 수분배출판(20)이 지면에 닿아 수분배출홀(20a)이 막히는 결과가 되어 수분 배출이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도 2에서와 같이 마개몸체(10)의 밑단에 아래로 갈수록 벌어지며 측벽에 수분배출홀(30a)이 형성된 나팔지지대(30)가 설치된다. 수분배출판(20)의 수분배출홀(20a)에 의하여 병의 내부와 나팔지지대(30)의 내부가 연통되므로 병 내부의 수분은 최종적으로 나팔지지대(30)의 수분배출홀(30a)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나팔지지대(30)를 아래와 같이 벌어지도록 하는 병을 거꾸로 뒤집어 세웠을 때에 병이 옆으로 넘어질 염려가 없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나팔지지대(30)에 의하여 수분배출판(20)이 지면상에서 떨어지게 되므로 도 1 및 도 4의 단점을 극복할 수 있다.
나팔지지대(30)의 경우 최종 밑단 측벽(A)이 막혀 있으므로 이 부분이 수분배출의 장애물로 작용할 수 있으므로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도 3에서와 같이 마개몸체(10)의 밑단에 돌출지지대(40)가 복수개 설치될 수도 있다. 돌출지지대(40)의 경우도 병이 넘어지지 않도록 바깥쪽으로 벌어지면서 아래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도 2의 수분배출 병마개가 패트병(100)에 체결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나팔지지대(30)의 수분배출홀(30a)을 통하여 수분이 외부로 배출되지만, 음식물 쓰레기가 수분배출판(20)의 수분배출홀(20a)을 막아서 수분배출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을 수는 있다.
[실시예 2]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수분 배출 병마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5에서와 같이 수분배출판(20)의 수분배출홀(20a)이 음식물 쓰레기에 의하여 막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수분배출관(120)을 더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수분배출관(120)은 속이 비어 있는 관형상을 하며 측벽에는 복수개의 수분배출홀(120a)이 형성된다. 수분배출관(120)은 밑단이 개방되어 있으며 개방된 밑단이 수분배출판(20)을 관통하도록 수분배출판(20)에 수직하게 연결된다. 따라서 음식물 쓰레기가 채워져도 수분배출관(120)의 수분배출홀(120a)을 통하여 수분이 원활히 배출된다. 이렇게 수분배출관(120)이 설치되는 경우에는 수분배출판(20)에 수분배출홀(20a)이 형성되어 있지 않아도 무방할 것이나 신속한 수분배출을 위하여 이 경우에도 수분배출판(20)에 수분배출홀(20a)을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의 경우에도 마개몸체(10)의 밑단에 도 2의 나팔지지대(30)나 도 3의 돌출지지대(4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음식물의 악취가 수분배출관(120)의 개방된 밑단을 통하여 빠져나가지 않도록 수분배출관(120)의 개방된 밑단에 삽입되어 끼워지는 악취차단마개(미도시)가 더 설치된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분배출관(120)이 마개몸체(10)와 별도로 설치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마개몸체(10)는 윗단과 밑단이 모두 개방되며, 상기 윗단은 상기 병입구에 체결되고 상기 밑단은 안쪽으로 돌출되는 환형의 걸림턱(11)이 형성된다. 수분배출판(20)의 테두리에는 병입구에 걸리는 환형 테두리(21)가 설치되며, 수분배출판(20)의 환형 테두리(21)가 마개몸체(10) 안쪽에서 걸림턱(11)에 분리가능하게 걸쳐지도록 설치된다.
수분배출관(120)은 개방된 밑단이 수분배출판(20)을 관통하여 수직하게 세워진다. 수분배출판(20)을 병 입구에 걸치고 마개몸체(10)를 체결하면 수분배출관(20)은 병의 내부로 삽입되어 들어간 상태가 되며 수분배출관(20)의 내부공간의 병의 외부공간과 연통된다.
도 8은 도 7의 수분배출 병마개가 패트병(100)에 체결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수분배출판(20)이 막히더라도 수분배출관(120)을 통하여 수분이 외부로 배출되므로 수분배출이 제대로 이루어지며 수분배출관(120)의 개방된 밑단이 작으므로 그 개방된 밑단만 상기 악취차단마개로 삽입하여 끼워 막음으로써 음식물 쓰레기의 악취를 차단할 수도 있다. 패트병(100)의 윗부분은 절개되며 그 절개된 부분을 통하여 음식물 쓰레기가 투여되는데, 음식물 쓰레기를 투여한 다음에는 절개된 윗부분을 뚜껑으로 사용하여 찌그려 강제로 아랫부분에 끼움으로써 악취가 위로 올라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 3]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수분 배출 병마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 내지 도 8은 마개몸체(10)의 크기가 결정되어 있기 때문에 병입구의 크기에 유연하게 대응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병입구의 크기가 차이가 나더라도 이에 제한을 받지 않고 사용할 수 있는 마개몸체(200)를 채용하는 것이 특징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마개몸체(200)는 윗면에서 밑면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원뿔대 형상을 하며, 수분배출관(120)이 마개몸체(200)의 윗면에서 밑면으로 관통하도록 삽입되며 수분배출관(120)의 삽입단부는 개방된다. 이때 마개몸체(200)는 그 윗면이 병입구에 삽입되어 들어가면서 끼워지도록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마개몸체(200)의 밑단은 지면에 닿았을 때에 수분이 밖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수분배출관(120)이 삽입되어 들어간 삽입부로부터 측면쪽으로 고랑(200a)이 형성된다. 마개몸체(200)는 원뿔대 형상이므로 패트병(100)이 균형있게 지지되며, 마개몸체(200)의 밑면이 지면에 닿더라도 고랑(200a)을 통해서 수분이 외부로 배출된다. 이 경우에도 수분배출관(120)의 개방된 밑단을 막는 악취차단마개(미도시)가 구비되면 바람직한 것은 물론이다. 고랑(200a)은 수분배출관(120)이 삽입되어 들어간 삽입부로부터 측면쪽으로 방사상형태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패트병을 일회용 음식물 쓰레기 용기로 재활용할 수 있어 매우 유용하다. 또한 패트병에 채워진 음식물 쓰레기를 음식물 쓰레기통에 버리러 가는 와중에도 휴지덩어리로 마개몸체(10, 200)의 밑부분을 막기만 하면 악취나는 액체가 밑으로 떨어지는 것을 간단하게 방지할 수 있고,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병마개만을 수거해서 다시 재사용할 수 있으므로 비용 및 편리성 측면에서 매우 유용한다.
10, 200: 마개몸체
11: 걸림턱
12: 나사골
20: 수분배출판
20a, 30a, 120a: 수분배출홀
21: 환형테두리
30: 나팔지지대
40: 돌출지지대
100: 패트병
120: 수분배출관
200a: 고랑

Claims (1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병의 입구에 체결되는 마개몸체;
    상기 마개몸체가 상기 병의 입구에 체결될 때에 상기 병에 삽입되어 들어가도록 상기 마개몸체의 가운데 부분에 수직하게 연결 설치되며, 내부는 비어 있고 측벽에는 복수개의 수분배출홀이 형성되는 수분배출관; 및
    상기 병을 뒤집어 바닥에 세웠을 때에 상기 마개몸체가 상기 바닥에서 들뜨는 부위를 가지도록 상기 마개몸체에 형성되는 지지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병을 뒤집어 상기 바닥에 세웠을 때에 상기 병 내부에 있는 고형의 음식물 쓰레기는 걸러내고 수분만 상기 수분배출관의 수분배출홀을 통하여 중력에 의하여 상기 마개몸체의 밑으로 빠져나오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수분 배출 병마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병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도록 상기 마개몸체에 복수개의 수분배출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수분 배출 병마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가 상기 병을 뒤집어 상기 바닥에 세웠을 때에 아래로 갈수록 벌어지는 나팔지지대 형태를 하며, 상기 나팔지지대의 측벽에는 복수개의 수분배출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수분 배출 병마개.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가 상기 병을 뒤집어 상기 바닥에 세웠을 때에 바깥쪽으로 벌어지면서 아래로 돌출되는 돌출지지대가 복수개 형성됨으로써 이루어지며, 상기 복수개의 돌출 지지대 사이에는 틈이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수분 배출 병마개.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배출관의 밑단에 삽입되어 끼워지는 악취차단마개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수분 배출 병마개.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병을 뒤집어 상기 바닥에 세웠을 때에 상기 수분배출홀이 있는 상기 마개몸체의 면이 상기 마개몸체에서 분리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수분 배출 병마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몸체가 상기 병을 뒤집어 상기 바닥에 세웠을 때에 윗면에서 밑면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원뿔대 형상을 하며 상기 윗면이 상기 병의 입구에 삽입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수분 배출 병마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몸체가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수분 배출 병마개.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가 상기 마개몸체의 가운데 부분에서 측면쪽을 향하도록 상기 마개몸체의 바닥면 외측에 고랑이 형성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수분 배출 병마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고랑은 방사상 형태로 복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수분 배출 병마개.
KR1020100110967A 2010-11-09 2010-11-09 음식물 쓰레기 수분 배출 병마개 KR1012117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0967A KR101211797B1 (ko) 2010-11-09 2010-11-09 음식물 쓰레기 수분 배출 병마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0967A KR101211797B1 (ko) 2010-11-09 2010-11-09 음식물 쓰레기 수분 배출 병마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9619A KR20120049619A (ko) 2012-05-17
KR101211797B1 true KR101211797B1 (ko) 2012-12-18

Family

ID=46267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0967A KR101211797B1 (ko) 2010-11-09 2010-11-09 음식물 쓰레기 수분 배출 병마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179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0727Y1 (ko) * 2006-08-31 2006-11-13 김세길 음식쓰레기 압축 보관통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0727Y1 (ko) * 2006-08-31 2006-11-13 김세길 음식쓰레기 압축 보관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9619A (ko) 2012-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53949B1 (en) Bottomless trash can system
US7204407B2 (en) Device for the collection of articles, such as waste, dirty laundry, and the like
KR101445128B1 (ko) 비닐봉투 파괴수단을 구비하는 음식물 쓰레기통
US9610374B2 (en) Combination air freshener, odor absorber and moisture absorber
KR101468721B1 (ko) 음식물 쓰레기 거름망
EP2964061B1 (en) An opening device of coffee capsules
US4458962A (en) Refuse bins
EP1158313A2 (en) Article handling system
KR101211797B1 (ko) 음식물 쓰레기 수분 배출 병마개
CN209275377U (zh) 内置垃圾袋的双层垃圾桶
KR101369625B1 (ko) 하부 배출도어를 갖는 싱크대 배수구용 거름망
KR20110018034A (ko) 음식물 찌꺼기용 운반용기
US8011528B2 (en) Laterally expandable receptacle
US20050000459A1 (en) Bird feed packaging with instant feeders
US5499666A (en) Sanitary meat purge eliminator
KR101232280B1 (ko) 음식물쓰레기통
KR200262596Y1 (ko) 침출수 분리가능한 음식물 쓰레기통
KR200343428Y1 (ko) 음식물쓰레기봉투용 깔때기
CN205675603U (zh) 一种防倾倒分类垃圾桶
US20160128907A1 (en) Disposable spittoon cover
KR200380871Y1 (ko) 음식물 쓰레기통
KR20120003780U (ko) 음식물 쓰레기통
KR200268022Y1 (ko) 쓰레기통의 쓰레기 봉투 고정장치
KR20120002919U (ko) 음식물 쓰레기 분리수거용기
CN210683628U (zh) 一种带内胆的堆肥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