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9003Y1 - 안경 - Google Patents

안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9003Y1
KR200209003Y1 KR2019980022179U KR19980022179U KR200209003Y1 KR 200209003 Y1 KR200209003 Y1 KR 200209003Y1 KR 2019980022179 U KR2019980022179 U KR 2019980022179U KR 19980022179 U KR19980022179 U KR 19980022179U KR 200209003 Y1 KR200209003 Y1 KR 20020900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es
lens
lens fixing
leg
spectac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21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8023U (ko
Inventor
장지문
Original Assignee
장지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지문 filed Critical 장지문
Priority to KR20199800221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9003Y1/ko
Priority to AU15104/99A priority patent/AU1510499A/en
Priority to PCT/KR1998/000416 priority patent/WO2000029897A1/en
Publication of KR1999000802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802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90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9003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22Hinges
    • G02C5/2209Pivot bearings and hinge bolts other than screw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22Hinges
    • G02C5/2218Resilient hinges
    • G02C5/2254Resilient hinges comprising elastic means other than coil spring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3/00Special supporting arrangements for lens assemblies or monocles
    • G02C3/04Arrangements for supporting by hand, e.g. lorgnette, Arrangements for supporting by articl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001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not fully classifiable according to technical characteristics, e.g. therapeutic glass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2200/00Generic mechanical aspects applicable to one or more of the groups G02C1/00 - G02C5/00 and G02C9/00 - G02C13/00 and their subgroups
    • G02C2200/10Frame or frame portions made from wir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시력교정과 보호 중에서 어느 하나의 용도로 사용되는 소정배율의 렌즈와, 상기 렌즈의 가장자리 둘레를 감싸고 고정하는 렌즈고정부를 갖는 안경에 관한 것이다. 본 안경은 상기 렌즈고정부를 착용하기 위하여 상기 렌즈고정부 가장자리의 소정영역에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되어 설치되는 안경다리와, 상기 안경다리와 상기 렌즈고정부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안경다리가 접히고 펼쳐지도록 회동하는 회동부와, 상기 회동부와 상기 렌즈고정부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회동부를 고정시키는 고정브라켓과, 상기 안경다리에 연결되어 상기 회동부의 회동이 유도되도록 가동하는 가동부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손가락의 사용이 부자연스러운 경우 상기 가동부에 구동력을 가하면 쉽게 상기 안경다리가 인출되므로 사용자의 안경착용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Description

안경
본 고안은 안경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손가락을 사용할 수 없는 경우 간편하게 안경다리를 인출할 수 있도록 한 안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안경은 시력이 좋지 않는 즉 근시, 원시 또는 난시 등의 시력을 보상하기 위한 것과, 너무 밝은 광의 눈부심으로부터 눈을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나눌 수 있다.
이와 같은 안경은 소정의 초점거리와 소정의 배율을 갖는 렌즈와, 상기 렌즈의 둘레를 감싸면서 렌즈를 고정하는 렌즈고정부를 갖는다. 렌즈고정부의 가장자리에는 안경착용을 위한 안경다리가 설치되어 있으며, 그 안경다리는 상기 렌즈고정부의 가장자리와 상기 안경다리 사이에 설치된 회동부에 의해서 접철되어진다. 즉, 상기 회동부는 안경다리를 회동시켜 보관상태로 접혀지도록 하거나 또는 팔을 펼친 상태와 같이 안경다리를 회동시켜 안경이 사용자의 귀에 착용되도록 한다. 이 때, 상기 회동부는 상기 안경다리의 가장자리에 적어도 하나가 소정의 길이로 연장된 고정브라켓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안경다리가 접쳐진 상태를 철회상태 또는 철회위치에 있다고 하고 안경다리가 펼쳐진 상태를 인출상태 또는 인출위치에 있다고 가정하면, 접쳐지는 동작을 철회동작 또는 복원동작이라하고, 펼쳐지는 동작을 인출동작이라고 할 수 있으며, 상기 철회동작과 인출동작을 회동이라고 할 수 있다.
회동부는 상기 안경다리를 철회위치에서 인출위치로 반복되게 회동하는 것으로, 안경다리가 인출위치로 회동되면 자동적으로 철회되도록 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회동부는 회전축을 수용하는 축수용부가 상기 고정브라켓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축은 상기 안경다리에 형성되어 있다. 축수용부는 상기 회전축이 측면으로부터 끼워져 상기 안경다리가 대략 90°정도의 회전각을 이루도록 한 회동홈을 가지고 있다. 이 때, 상기 회동홈은 회동방향으로 삼각형에 가까운 사다리꼴모양이 형성되어 있고, 철회위치에서 인출위치로 회동될수록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진 한 쌍의 경사면이 상측과 하측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회동축은 상측과 하측을 향하여 팽창되는 탄성력을 가지고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회동축이 상기 회동홈에 수용되어 인출위치로 회동될 경우, 그 회동축은 탄성력에 의해 상기 경사면으로 슬라이딩되어 자동적으로 철회위치로 회동된다. 결국, 안경다리는 상기 회동축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항상 접쳐져 있도록 한 회전력을 갖는다.
그런데, 이와 같은 안경은 손가락을 사용하기 불편한 사용자가 이용할 경우 안경다리가 항상 접쳐져 있기 때문에 착용할 때마다 반복적으로 안경다리를 펼쳐야 하는 가중된 불편함을 제공하고 있으며, 근본적으로 안경다리를 잡고 펼치기 어렵기 때문에 안경의 착용에 대한 거부반응으로 유발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한 것으로써, 손가락의 사용이 곤란한 사용자가 간편하게 안경의 다리를 인출, 철회하여 착용할 수 있도록 한 안경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안경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회동부를 나타낸 상세도이고,
도 3은 도 2의 축수용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가동부를 다르게 표현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안경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시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구동부를 상세하게 나타낸 상세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안경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가동부를 다르게 표현한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렌즈 2 ; 렌즈고정부
3 ; 고정브라켓 4 ; 안경다리
5 ; 회동부 6 ; 가동부
7 ; 굴곡부 8 ; 회동축
9 ; 축수용부 10 ; 수용홀
11 ; 회동가이드 12 ; 이탈방지턱
13 ; 경사부 14 ; 연장지지부
15 ; 구동부 16 ; 축부
17 ; 파지부 18 ; 파지부재
19 ; 파지안내부재 20 ; 축수용홀
21 ; 파지가이드 22 ; 걸림부
23 ; 걸림안내부재 24 ; 걸림가이드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시력교정과 보호 중에서 어느 하나의 용도로 사용되는 소정배율의 렌즈와, 상기 렌즈의 가장자리 둘레를 감싸고 고정하는 렌즈고정부를 갖는 안경에 있어서, 상기 렌즈고정부를 착용하기 위하여 상기 렌즈고정부 가장자리의 소정영역에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되어 설치되는 안경다리와, 상기 안경다리와 상기 렌즈고정부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안경다리가 접히고 펼쳐지도록 회동하는 회동부와, 상기 회동부와 상기 렌즈고정부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회동부를 고정시키는 고정브라켓과, 상기 안경다리에 연결되어 상기 회동부의 회동이 유도되도록 가동하는 가동부를 포함하는 안경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회동부는 상기 안경다리에 형성되어 상측과 하측을 향하여 탄성을 갖는 한 쌍의 회동축과, 상기 회동축이 측면으로부터 회동가능하게 끼워져 80°에서 95°로 회동을 안내하는 사다리꼴모양의 회동홈과 상기 회동홈의 개구 가장자리에 상기 안경다리의 펼친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이탈방지턱이 형성되어 있는 원통형 축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동부의 소정부분에는 가동력의 발생을 위하여 파지 가능한 파지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파지부는 원통형상이고, 합성수지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안경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안경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회동부를 나타낸 상세도이고, 도 3은 도 2의 축수용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가동부를 다르게 표현한 사시도이다.
본 안경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근시, 원시, 난시 등의 시력을 보상, 교정 및 보호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소정의 배율을 갖는 한 쌍의 렌즈(1)와, 상기 렌즈(1) 연부의 둘레를 감싸고 렌즈(1)의 사용용도에 알맞게 적용되도록 고정하는 한 쌍의 렌즈고정부(2)를 갖는다. 한 쌍의 렌즈고정부(2) 사이에는 이들간을 일체화시키기 위한 연결브라켓(2a)이 시각적으로 굴곡을 이루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결브라켓(2a)에 의해 연결된 상기 한 쌍의 렌즈고정부(2)의 연부에는 상호 대향되게 형성되고 사용자의 코에 위치하는 안착부(2b)가 마련되어 있다.
렌즈(1) 또는 렌즈고정부(2) 중 어느 하나의 연부로서, 상기 연결브라켓(2a)과 거의 대칭되는 한 쌍의 소정영역에는 렌즈의 초점방향을 향하도록 하는 고정브라켓(3)이 소정의 길이만큼 굴곡되게 형성되어 있다. 안착부(2b)에 의해 상기 렌즈고정부(2)의 착용을 유도하기 위하여 고정브라켓(3)의 종단으로부터 연장된 안경다리(4)가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상기 안경다리(4)를 귀에 걸어놓게 되면, 상기 안착부(2b)는 상기 렌즈고정부(2)를 받치게되고, 이에 따라 상기 렌즈고정부(2)와 사용자의 시야가 거의 일직선으로 되어 피사체를 보는 사용자의 시력이 보정할 수 있다.
고정브라켓(3)의 종단영역 즉 안경다리(4)와 고정브라켓(3) 사이에는 상기 안경다리(4)가 소정의 원주 각 만큼에 해당하는 회동을 하도록 한 회동부(5)가 설치되어 있으며, 회동부(5)는 상기 회동방향에 따라 상기 안경다리(4)를 인출하고 철회동작을 수행한다. 즉, 회동부(5)의 동작에 의해서 상기 안경다리(4)는 상기 렌즈고정부(2)와 인접하게 접혀져 회동이 철회되어 있는데, 사용자가 안경을 착용하기 위하여 접혀진 철회상태에서 팔을 벌린 것과 같은 펼친상태 즉 인출상태로 회동된다.
이와 같은 상기 안경다리(4)의 회동동작을 보조하기 위하여 상기 안경다리(4)와 상기 회동부(5) 중 어느 일측으로부터 돌출된 가동부(6)가 파지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안경다리(4)를 인출하여 안경을 착용할 수 없는 경우에는 가동부(6)를 구동하여 상기 안경다리(4)를 인출하고 철회할 수 있다.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회동부(5)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과 타측이 축방향의 일직선상에 위치한 상태에서 일측이 상측을 향하고 타측이 하측을 향하여 형성된 한 쌍의 굴곡부(7)가 상호 소정의 이격거리를 갖는 회동축(8)과, 상기 고정브라켓(3)의 단부에 형성된 원통형상을 가지며, 상기 원통형상의 내측과 외측이 관통되게 상기 굴곡부(7)를 수용하여 인출위치와 철회위치 간의 회동을 안내하는 축수용부(9)를 갖는다. 이 때, 상기 굴곡부(7)는 상기 안경다리에 연결되어 외측의 축방향을 향한 소정의 탄성력을 가지며, 이에 따라 축수용부(9)에 수용된 상태를 유지한다. 여기서, 가동부(6)는 상기 굴곡부(7)와 연결되어 있다.
축수용부(9)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굴곡부(7)를 수용하는 수용홀(10)과, 상기 수용홀(10)의 소정 내경면에 외측을 향하여 사다리꼴모양의 회동홈(12a)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철회위치에서 상기 인출위치로 회동될수록 상기 회동홈(12a)이 상대방을 향하여 근접되어 있는 회동가이드(11)를 가지고 있다. 즉, 회동가이드(11)는 상기 철회위치 또는 상기 회동위치에서 상기 안경다리(4)가 고정되어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턱(12)과, 상기 철회위치와 상기 인출위치 사이에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회동축의 탄성작용에 의해 상기 안경다리(4)를 철회동작으로 안내하는 경사부(13)를 갖는다.
가동부(6)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동축(8)의 일측과 타측 중 어느 하나의 굴곡부(7)에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상기 일측 또는 타측의 굴곡부(7)로부터 소정 굴곡 및 연장되어 있는 연장지지부(14)와, 상기 연장지지부(14)의 소정의 영역에 형성되어 상기 안경다리(4)에 회동을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15)를 포함한다. 여기서, 구동부(15)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합성수지의 플라스틱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미적 감각이 돋보이게 하는 디자인을 갖는다.
한편, 가동부(6)의 다른 실시예는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안경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시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구동부를 상세하게 나타낸 상세도이다.
가동부(6)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회동부(5)와 거의 동일한 구조 즉 회동부(5)를 이중으로 연결한 모양으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15)가 이중으로 연결된 회동부의 기능을 갖는다.
즉, 구동부(15)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과 타측이 회전축방향의 일직선상에 위치한 상태에서 일측이 상측을 향하고 타측이 하측을 향하여 형성된 한 쌍의 축부(16)와 상기 축부와 연결되어 상기 안경다리(4)의 회동을 구동하기 위한 파지부(17)를 갖는 파지부재(18)와, 원통형상으로서 상기 축부(16)를 수용하여 상기 파지부재(18)의 인출과 철회로 회동 안내하는 파지안내부재(19)를 갖는다. 이 때, 상기 축부(16)는 상기 안내파지부재(18) 내에서는 소정의 팽창력을 가지고 있다.
파지안내부재(19)는 상기 안경다리(4)와 연결된 상기 회동축(8)의 굴곡부(7)와 연장되어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축부(16)을 수용하는 축수용홀(20)과, 상기 축부(16)의 팽창에 의해 파지부가 철회위치로 회동되도록 회전을 안내하는 파지가이드(21)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본 안경의 다른 실시예는 다음과 같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안경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가동부를 다르게 표현한 사시도이다.
다른 실시분야에 따른 안경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근시, 원시, 난시 등의 시력을 보상, 교정 및 보호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소정의 배율을 갖는 한 쌍의 렌즈(1)와, 상기 렌즈(1) 연부의 둘레를 감싸고 렌즈(1)의 사용용도에 알맞게 적용되도록 수용하는 한 쌍의 렌즈고정부(2)를 갖는다. 한 쌍의 렌즈고정부(2) 사이에는 이들간을 일체화시키기 위한 연결브라켓(2a)이 시각적으로 굴곡을 이루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결브라켓(2a)에 의해 연결된 상기 한 쌍의 렌즈고정부(2)의 연부에는 상호 대향되게 형성되고 사용자의 코에 위치하는 안착부(2b)가 마련되어 있다.
렌즈(1) 또는 렌즈고정부(2) 중 어느 하나의 연부로서, 상기 연결브라켓(2a)과 거의 대칭되는 한 쌍의 소정영역에는 렌즈의 초점방향을 향하도록 하는 고정브라켓(3)이 소정의 길이만큼 형성되어 있다. 안착부(2b)에 의해 상기 렌즈고정부(2)의 착용을 유도하기 위하여 고정브라켓(3)의 종단으로부터 연장된 안경다리(4)가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상기 안경다리(4)를 귀에 걸어놓게 되면, 상기 안착부(2b)는 상기 렌즈고정부(2)를 받치게되고, 이에 따라 상기 렌즈고정부(2)와 사용자의 시야가 거의 일직선으로 되어 피사체를 향하는 사용자의 시력이 보정된다.
고정브라켓(3)의 종단영역 즉 안경다리(4)와 고정브라켓(3) 사이에는 상기 안경다리(4)가 소정의 원주 각 만큼에 해당하는 회동을 하도록 한 회동부(5)가 설치되어 있으며, 회동부(5)는 상기 회동방향에 따라 상기 안경다리(4)를 인출하고 철회동작을 수행한다. 즉, 상기 안경다리(4)는 상기 렌즈고정부(2)와 인접하게 접혀져 회동이 철회되어 있는데, 사용자가 안경을 착용하기 위하여 접혀진 철회상태에서 팔을 벌린 것과 같은 상태 즉 인출상태로 회동된다.
이와 같은 상기 안경다리(4)의 회동동작을 보조하기 위하여 상기 안경다리(4)의 소정영역에는 걸림부(22)가 외측의 인출방향을 향하여 소정 길이만큼 돌출되어 있다. 걸림부(22)는 상기 회동동작을 위하여 구동을 가하므로 기능적으로 도 6과 같은 파지부재(18)와 거의 같은 기능을 갖는다.
따라서, 본 안경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과 타측이 회전축방향의 일직선상에 위치한 상태에서 일측이 상측을 향하고 타측이 하측을 향하여 형성된 한 쌍의 축부(16)와 상기 축부와 연결되어 상기 안경다리(4)의 회동을 구동하기 위한 파지부(17)를 갖는 걸림부(22)와, 상기 걸림부(22)와 상기 안경다리(4) 사이에 상기 걸림부(22)를 소정의 회전각도 만큼 회동되도록 인출 및 철회를 안내하는 걸림안내부재(23)가 마련되어 있다. 걸림안내부재(23)는 상기 축부를 수용하는 축수용홀(20)과, 상기 축부(16)의 팽창에 의해 파지부(17)가 철회위치로 회동되도록 안내하는 걸림가이드(24)를 갖는다.
상술한 바와 같은 안경은 손가락을 사용에 불편한 경우에 걸림부와 가동부 등으로 안경다리를 쉽게 인출하여 간편하게 착용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손가락의 사용이 부자연스러운 경우 상기 가동부에 구동력을 가하면 쉽게 상기 안경다리가 인출되므로 사용자의 안경착용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손가락 사용에 장애가 있는 사용자일 경우 정상적인 사람과 거의 동일하게 안경을 착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시력교정과 보호 중에서 어느 하나의 용도로 사용되는 소정배율의 렌즈와, 상기 렌즈의 가장자리 둘레를 감싸고 고정하는 렌즈고정부를 갖는 안경에 있어서;
    상기 렌즈고정부를 착용하기 위하여 상기 렌즈고정부 가장자리의 소정영역에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되어 설치되는 안경다리와;
    상기 안경다리와 상기 렌즈고정부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안경다리가 접히고 펼쳐지도록 회동하는 회동부와;
    상기 회동부와 상기 렌즈고정부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회동부를 고정시키는 고정브라켓과;
    상기 안경다리에 연결되어 상기 회동부의 회동이 유도되도록 가동하는 가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는,
    상기 안경다리에 형성되어 상측과 하측을 향하여 탄성을 갖는 한 쌍의 회동축과;
    상기 회동축이 측면으로부터 회동가능하게 끼워져 80°에서 95°로 회동을 안내하는 사다리꼴모양의 회동홈과 상기 회동홈의 개구 가장자리에 상기 안경다리의 펼친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이탈방지턱이 형성되어 있는 원통형 축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의 소정부분에는 가동력의 발생을 위하여 파지 가능한 파지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는 원통형상이고, 합성수지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KR2019980022179U 1998-11-14 1998-11-14 안경 KR200209003Y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2179U KR200209003Y1 (ko) 1998-11-14 1998-11-14 안경
AU15104/99A AU1510499A (en) 1998-11-14 1998-12-08 Glasses
PCT/KR1998/000416 WO2000029897A1 (en) 1998-11-14 1998-12-08 Glass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2179U KR200209003Y1 (ko) 1998-11-14 1998-11-14 안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8023U KR19990008023U (ko) 1999-02-25
KR200209003Y1 true KR200209003Y1 (ko) 2001-02-01

Family

ID=195393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2179U KR200209003Y1 (ko) 1998-11-14 1998-11-14 안경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0209003Y1 (ko)
AU (1) AU1510499A (ko)
WO (1) WO200002989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0295Y1 (ko) * 2010-03-12 2012-05-15 메이-위예 호우 안경 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7180U1 (de) * 2002-05-07 2002-07-25 Uvex Arbeitsschutz Gmbh Brille, insbesondere Schutzbrille
WO2004074906A1 (en) * 2003-02-24 2004-09-02 Safilo Societa'azionaria Fabbrica Italiana Lavorazione Occhiali S.P.A. A hinge device for connecting side arms to the front of spectacle frames
EP1962126A3 (de) * 2003-12-31 2009-11-11 Markus Temming Brill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62805A (en) * 1969-04-15 1973-10-02 T Lyons Pressure means for use with eyeglass frames
JPH0542419Y2 (ko) * 1988-04-27 1993-10-26
DE19537884C2 (de) * 1995-10-11 1997-07-24 Owp Brillen Gmbh Federscharnier, insbesondere für einen Brillenbügel
DE19542662A1 (de) * 1995-11-15 1997-05-22 Bernhard Tesch Brillengestell mit gelenkig mit der Fassung für die Brillengläser verbundenen Haltebügel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0295Y1 (ko) * 2010-03-12 2012-05-15 메이-위예 호우 안경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1510499A (en) 2000-06-05
WO2000029897A1 (en) 2000-05-25
KR19990008023U (ko) 1999-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217398A1 (en) Nose-separation earpiece unit, eyeglass frame having the same, and eyeglasses having the same
US20110255049A1 (en) Eye Glass Attachable Hearing Protection
JP2010204684A (ja) 回転可能なテンプルを有する眼鏡フレーム
US4676609A (en) Adjustable bows for loupe frame
KR200209003Y1 (ko) 안경
US11215843B2 (en) Spinnable frames for spectacles
EP1166168A1 (en) Makeup eyeglasses
KR100395845B1 (ko) 보조렌즈나쌍안경식소형확대경등을안경에부착하기위한고정조립체
KR101757351B1 (ko) 비이격귀걸이 유닛, 이를 구비한 안경테 및 이를 구비한 안경
US20130001008A1 (en) Hearing Protection Device For Removable Mounting to Eyeglass Frames
CN106773113A (zh) 镜腿折叠式眼镜
JP2004280046A (ja) 2つのレンズおよび2つの後方に延在するテンプル部材を含むアイウェア製品
JP4436299B2 (ja) 一眼眼鏡
KR100922012B1 (ko) 보조안경 유니트
KR20160072679A (ko) 안경용 부력체
KR101582845B1 (ko) 시야외귀걸이 유닛, 이를 구비한 안경테 및 이를 구비한 안경
CN212781527U (zh) 一种用于眼镜的铰接限位结构及折叠眼镜
CN217718307U (zh) 一种镜架及眼镜
JPH08190059A (ja) 接眼レンズ保護キャップ及びそれを用いた光学機器
KR102028272B1 (ko) 렌즈 보호 기능을 가지는 안경
JP7233090B2 (ja) 双眼ルーペ
KR20160043886A (ko) 시야외귀걸이 유닛, 이를 구비한 안경테 및 이를 구비한 착용 위치 조절이 가능한 안경
CA3007845A1 (en) Portable eyeglass case
KR200350074Y1 (ko) 자석을 갖는 보안경 커버
JP2002125997A (ja) 防塵眼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02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