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5845B1 - 보조렌즈나쌍안경식소형확대경등을안경에부착하기위한고정조립체 - Google Patents

보조렌즈나쌍안경식소형확대경등을안경에부착하기위한고정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5845B1
KR100395845B1 KR1019970705214A KR19970705214A KR100395845B1 KR 100395845 B1 KR100395845 B1 KR 100395845B1 KR 1019970705214 A KR1019970705214 A KR 1019970705214A KR 19970705214 A KR19970705214 A KR 19970705214A KR 100395845 B1 KR100395845 B1 KR 1003958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ip
arm
magnifying glass
assembly
le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7052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카리 울비오
Original Assignee
카리 울비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FI950333A external-priority patent/FI101650B1/fi
Priority claimed from FI952285A external-priority patent/FI104656B/fi
Application filed by 카리 울비오 filed Critical 카리 울비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58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58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9/00Attaching auxiliary optical parts
    • G02C9/04Attaching auxiliary optical parts by fitting over or clamping 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5/00Eyepieces; Magnifying glasses
    • G02B25/002Magnifying glasses
    • G02B25/004Magnifying glasses having binocular arrangemen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02Mounting on the human body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8Auxiliary lenses; Arrangements for varying focal length
    • G02C7/088Lens systems mounted to spectacl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9/00Attaching auxiliary optical part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9/00Attaching auxiliary optical parts
    • G02C9/02Attaching auxiliary optical parts by hing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elescopes (AREA)
  • Lenses (AREA)
  • Eyeglasses (AREA)
  • Eye Examination Apparatu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조 렌즈나 쌍안경식 소형 확대경을 안경에 부착시키기 위한 고정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고정 조립체는 코를 가로지르며 양쪽 렌즈의 가장자리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3)와 결합되도록 스크류(7)에 의해 조여질 수 있는 클립(6)을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클립(6)은 연결부(3)의 둘레를 둘러싸는 고리를 구성하는 고정 고리부(10)를 포함하고 있는데, 이러한 고리부의 양단부는 클립 몸체(8, 9; 6b)를 관통하는 구멍(11a, 11b) 내에 수용되며, 고리부의 양단부의 치수는 스크류(7)의 나선이 고정 고리부(10)와 결합될 수 있는 크기로 정해진다. 부착물(4, 18)은 얇은 아암(5; 20 내지 26)을 통해서 클립(10)에 고정되며, 요오크 형태의 보유부(14)가 스냅식 끼움 결합에 의해 클립에 고정될 수 있다.

Description

보조 렌즈나 쌍안경식 소형 확대경 등을 안경에 부착하기 위한 고정 조립체{FIXING ASSEMBLAGE FOR FIXING ADDITIONAL LENSES, BINOCULAR LOUPES AND THE LIKE WITH SPECTACLES}
예를 들어, 치과 의사는 자외선 치료 기구로부터의 방사가 눈에 직접적으로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반드시 보호용 차폐물을 착용해야 할 필요가 있다. 치과용 보조물에 의해 고정되는 자외선 보호용 차페물은 사용이 불편하다. 이러한 자외선 방사 외에도, 안과학적으로 해로운 방사에 대하여 보호가 이루어져야 한다. 더욱이, 이러한 별도의 보조 렌즈는 어떤 물체를 보다 선명하게 검출할 수 있는 필터로서도 작용할 수가 있다.
한편, 수시로 확대를 요하는 정밀 작업에 사용될 수 있도록 확대된 부속 영역을 안경에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목적으로 제조되는 특수한 2중 초점식(bifocal) 렌즈는 고가이다.
본 발명의 고정 조립체는 쌍안경식 소형 확대경(binocular loupes)을 안경에 고정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고정 조립체는 부착 프레임과 2개의 소형 확대경을 포함하고 있고, 각각의 소형 확대경에는 적어도 2개의 렌즈가 각각 제공되어 있으며, 2개의 렌즈 중에서 눈에 더 근접하게 배열된 접안 렌즈가 바깥쪽의 대물 렌즈 보다 작다.
안경에 부착되는 이와 같은 쌍안경식 소형 확대경은 치과 의사 또는 정밀 기계기사의 작업과 같이 정밀한 작업을 편리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종래 기술의 쌍안경식 소형 확대경의 결점은, 소형 확대경으로 인한 제한된 시계(field of vision)는 물론이고, 복잡한 형상 및 과잉의 무게를 포함하고 있다는 점이다.
미국 특허 제 5,182,588호는 안경 렌즈의 제한된 부속 영역에서 이러한 렌즈의 표면에 보호용 코팅을 부착하는 것을 고려하였다. 이러한 얇은 표면 코팅은 제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안경을 영구적으로 변화시키며, 따라서 이러한 해결책은 각각의 사람의 눈에 대해서 조절되는 여러 가지 안경에는 적합하지 못하다. 더욱이, 얇은 층에 의해 형성된 코팅은 선명한 투명도가 동시에 요구되는 경우에는 충분한 보호 효과를 제공하기가 어렵다. 이러한 코팅은 단지 보호를 위한 것이지 확대경이나 쌍안경식 소형 확대경을 동시에 또는 선택적으로 사용할 가능성을 제공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 4,647,165호 및 제 3,446,548호는 기계적으로 조절가능한 아암에 의해 렌즈의 부속 영역에 여러 가지 보조 렌즈를 설치하는 구성을 개시하였다. 이들 종래 기술의 방법은 보조 렌즈에 대한 신뢰성 있는 부착물을제공하지 못하며, 이러한 부착물의 배열은 모든 형태의 안경에 적합하지는 못하다. 통상적으로 부착물은 특수하게 고안된 안경을 제조함으로써 고정되는데, 이는 상당한 비용을 초래한다. 기계식 부착 아암에 근거한 종래 기술의 부착 기구의 가장 일반적인 결점은, 이러한 부착 조립체가 시계를 가려서 방해한다는 점이다.
본 발명은 렌즈의 제한된 부속 영역에서 필터나 보호용 차폐물 또는 확대경으로 작용하는 보조 렌즈를 안경에 부착시킬 수 있는 고정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고정 조립체는 보조 렌즈를 위치시키고 정렬시키며 이러한 정렬을 유지시킬 수 있는 기계적인 보유부를 포함한다.
도 1은 보조 렌즈를 안경에 부착시키기 위한 본 발명의 고정 조립체를 정면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보조 렌즈와 그 보유 아암 사이의 부착 상태를 도시한 확대 사시도이다.
도 3은 보조 렌즈 부착 클립 및 안경의 렌즈에 대하여 위치가 설정된 보조 렌즈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으로서, 동일한 금속재 클립에 의해 별도의 확대경이 부착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고정 조립체에 포함되어 있는 금속재 클립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선 Ⅴ-Ⅴ를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선 Ⅵ-Ⅵ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7은 소형 확대경을 안경에 부착시키기 위한 본 발명의 고정 조립체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쌍안경식 소형 확대경의 정면도이다.
도 9는 도 7에 도시된 쌍안경식 소형 확대경의 측면도이다.
도 10은 소형 확대경 부착 아암을 그 경첩부 및 조절 초점과 함께 도시한 확대 부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안경의) 렌즈2 : (가장자리의) 안경테
3 : 연결부4 : 보조 렌즈
5 : 아암6 : 클립
6a, 6b, 8, 9, : 클립 부재 또는 클립 몸체
7 : 스크류10 : (고정) 고리부
11a, 11b : 구멍14 : 보유부
15 : (보호 렌즈 지지용) 아암16 : 확대경 또는 보호용 렌즈
17 : 브라켓18 : (쌍안경식) 소형 확대경
19 : (소형 확대경의) 재킷20 : 교차 아암
21 : (교차 아암의) 경첩 지점22, 23 : (종방향 아암의) 경첩부
24, 26 : 종방향 아암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안경에 장착될 수 있는 부착물에 대한 고정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고정 조립체가 눈에 잘 띄지 않고 사용하기에 편리하며 가능한 한 저렴할 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부착물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용도가 다양하게 제공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부착물이 쌍안경식 소형 확대경인 경우에는, 고정 조립체와 소형 확대경이 가능한 한 시계를 차폐하지 못하도록 구성하여서, 시계가 용이하게 소형 확대경을 통과하여 이러한 소형 확대경에 의해 검사되고 확대되는 동일한 목표물에 직접 향해지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서로 다른 형태의 여러 안경에 사용하기 적합하게 구성되어 있는, 보조 렌즈나 쌍안경식 소형 확대경 등을 안경에 부착하기 위한 고정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첨부된 청구의 범위 중에서 독립항인 제 1 항에 청구된 특징에 근거하여 성취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여러 실시예들이 종속항인 제 2 항 내지 제 8 항에 청구되어 있다.
예를 들어서, 제 2 항에 기재된 탄성의 유연한 아암은 단단한 경첩식 프레임에 비해 훨씬 바람직한 잇점을 제공한다. 유연한 아암에 의해 지지된 렌즈는 용이하게 세척될 수가 있고 원래의 위치로 복귀될 수가 있다.
나머지 종속항들인 제 9 항 내지 제 13 항은 사용자의 눈의 틈새에 따라 정밀하게 소형 확대경을 설정하고 그로 인한 시계의 차단을 최소화시키도록 소형 확대경의 초점을 각각 조절하는 것을 보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청구한다.
이하, 다음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보조 렌즈를 부착하기 위한 고정 조립체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안경의 렌즈(1)의 내부면에는 각각 렌즈(1)의 하부 가장자리에 근접한 위치에 보조 렌즈(4)가 제공되어 있는데, 이러한 보조 렌즈(4)는 해로운 방사선으로부터 보호하는 보호 수단이나 확대경 또는 필터로서 작용한다. 보조 렌즈(4)의 부착은, 예를 들어 강선으로 이루어진 탄성의 유연한 아암(5)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러한 아암(5)의 하단부는 보조 렌즈(4)의 하부 가장자리에 형성된 슬롯 형태의 홈으로 접착제에 의해 고정된다. 아암(5)의 양쪽 상단부는 스크류(7)에 의해 조여질 수 있는 금속재 클립(6)에 고정된다. 이러한 금속재 클립(6)은, 코를 가로지르며 양쪽 렌즈(1)의 가장자리 또는 안경테(2)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3)와 결합된다.
금속재 클립(6)은 2개의 몸체 부재(8, 9)를 포함하고 있는데, 이들 몸체 부재(8, 9)는 스크류(7)를 조임으로써 양쪽 아암(5)의 단부를 이들 몸체의 사이로 고정시키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어 은과 같이 유연하고 부드러운 금속으로 제조된 고정 고리부(10)가 연결부(3)의 둘레로 파지용 요오크(gripping yoke)를 제공한다. 이러한 고정 고리부(10)의 양단부는 몸체 부재(9, 8)를 관통하는 구멍(11a, 11b) 안에 수용되는데, 이들 구멍(11a, 11b)의 크기는 스크류(7)의 나선이 고정 고리부(10)의 재료와 결합할 수 있도록 스크류(7)에 치수에 따라 정해진다. 고정 고리부(10)에는 통상적인 방법으로 나선이 제공될 수 있으며, 또는 스크류 (7)를 절삭가공하여 이러한 나선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클립 조립체에서는, 클립(6)을 연결부(3)에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동시에 아암(5)을 클립(6)과 결합시키기 위하여 단일의 스크류(7)가 사용될 수 있다. 한쪽 몸체 부재(8)의 다른쪽 몸체 부재(9)와 마주하는 표면에는 아암(5)을 수용하도록 아암(5)의 직경 보다작은 깊이의 홈(12)이 제공되어 있다. 따라서, 아암(5)이 정렬될 수 있으며, 스크류(7)가 조여지기 전에 아암(5)을 몸체 부재(8, 9)의 사이에서 종방향으로 조정함으로써 아암(5)의 길이가 조절되므로, 보조 렌즈(4)를 적절한 위치로 설치할 수가 있다. 최종적으로, 아암(5)의 양쪽 상단부로부터 나머지 길이에 해당하는 부분을 절단할 수 있다. 아암(5)이 아래로부터 고정될 수 없는 경우에는, 클립(6)의 상부 가장자리로부터 연장하는 아암을 아래쪽으로 굽혀줌으로써 이러한 아암의 고정을 위로부터 수행할 수가 있다.
또한, 클립(6)의 몸체 부재(8)는 별도의 확대경 또는 보호용 렌즈(16)를 지지하는 아암(15)의 기부에 장착되는 요오크 형태의 보유부(14)와 결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요오크 형태의 보유부(14)는, 이러한 보유부(14)의 내부면에 포함되어 있는 리브(rib)에 의해 몸체 부재(8)의 상부 상으로 위쪽으로부터 눌려지면서 홈(13)과 결합된다. 안경과 결합된 이와 같은 형태의 확대경(16)은 종래 기술에도 공지된 것이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이러한 확대경 또는 보호용 렌즈(16)가 요오크 형태의 보유부(14)에 의해서 새로운 방식으로 본 발명에 따른 클립(6)에 부착되는 것이다.
도 2는 이를 보다 상세히 도시하고 있는데, 보조 렌즈(4)의 하부에는 보호용 렌즈(4b)가 그리고 상부에는 확대경(4a)이 각각 포함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별도의 확대경(16)이 필요하지 않다. 이와는 다르게, 어느 하나의 확대경(4a, 16)이 필터나 또는 필터와 확대경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으로,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를설명하기로 한다.
쌍안경식 소형 확대경(18)이 브라켓(17)에 의해서 코를 가로지르면 연장한 안경의 연결부(3)에 각각 고정되어 있다. 각각의 소형 확대경(18)에는 적어도 2개의 렌즈가 각각 끼워져 있는데, 눈에 보다 근접해 있는 접안 렌즈가 바깥쪽의 대안 렌즈 보다 작은 크기로 구성된다. 소형 확대경(18)의 외부면 상에는 이들 2개의 렌즈를 서로 연결하는 재킷(19)이 제공되어 있고, 이러한 재킷(19)은 눈에서부터 접안 렌즈의 가장자리 까지의 각도와 일치하는 분할 각도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소형 확대경(18)으로 인한 시계의 제한이 최소화된다. 사용자는 시계와 머리를 약간만 돌림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소형 확대경을 통과하여 물체를 관찰할 수가 있다.
소형 확대경의 재킷(19)은 얇은 벽 두께 및 분할 각도와 일치하는 원추형의 형상을 갖는 튜브 형태로 구성될 수가 있다. 이러한 재킷(19)은 금속이나 섬유보강 플래스틱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재킷(19)의 횡단면은 원형, 타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소형 확대경(18)은 경첩 지점(21)에서 굽혀질 수 있는 편평한 교차 아암(20) 상에 장착되어 있는데, 이러한 교차 아암(20)은 금속으로 제조되며 굽힘으로 인하여 변화되는 형상을 갖는다. 경첩 지점(21)은 교차 아암(20)과는 다른 재료로 제조될 수가 있는데, 예를 들어 가벼운 금속이나 섬유보강 플래스틱으로 제조된 교차 아암(20)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와이어 섬조(wire threads)로 제조될 수가 있다. 경첩 지점(21)의 축선 방향은 교차 아암(20)의 굽힘을 제어하도록 선택되는데, 즉 소형 확대경(18)의 여러 위치에서 이들 소형 확대경(18)의 중앙 축선들은 소형 확대경(18)으로부터 필히 동일한 거리에서 각각 서로 교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양쪽 소형 확대경(18) 사이의 거리가 양쪽 눈 사이의 거리에 따라 설정된다는 조건 하에 소형 확대경(18)이 항상 초점 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양쪽 경첩 지점(21) 사이의 중간 지점에서 2개의 교차 아암(20)은 종방향 아암(24)에 의해서 서로 연결되어 있는데, 이러한 종방향 아암(24)의 부착 지점에는 마찬가지로 탄성의 금속재로 제조된 경첩부(22)가 제공되어 있다. 종방향 아암(24)에는 종방향 슬롯(28)이 제공되어 있고, 또한 횡방향 슬롯(27)을 갖춘 종방향 아암(26)이 제공되어 있으며, 이들 종방향 아암(26, 24)이 스크류(25)에 의해 서로 부착되므로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의 조절이 모두 가능하다. 종방향 아암(26)은 경첩부(23)에 의해 요오크 형태의 클립 부재(6a)에 연결되는데, 이러한 클립 부재(6a)는 금속재 클립 몸체(6b) 상에 위쪽으로부터 장착될 수가 있으며, 클립 몸체(6b)의 측면에는 그루우브 형태의 홈(6c)이 제공되어 있는 반면에 클립 부재(6a)의 내부면은 이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는 클립 부재(6a)와 클립 몸체(6b)가 함께 부착용 클립(6)을 형성하는 것이다. 이러한 스냅식 끼움 결합에 의해서, 쌍안경식 소형 확대경이 용이하게 제거되어 대체될 수가 있다. 크기가 작고 눈에 잘 띄지 않는 클립 몸체(6b)는 안경의 연결부(3)에 영구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클립 몸체(6b)는 연결부(3)의 둘레를 둘러싸는 고리를 형성하도록 연한 금속으로 제조되는 고정 고리부(10)를 사용하여 거의 모든 형태의 안경에 고정될 수가 있으며, 이러한 고정 고리부(10)의 단부는 클립 몸체(6b)를 관통하는 구멍으로서 도 6에 도시된 클립 몸체(8)에 형성된 구멍과 동일한 크기의 구멍 내에 수용되는데, 즉 이러한 구멍의 크기는 스크류(7)의 나선이 고정 고리부(10)의 나선과 결합할 수 있도록 정해진다. 이와 같은 클립은, 크기가 작고, 눈에 잘 띄지 않으며, 견고할 뿐만 아니라 거의 모든 형태의 안경에 적합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고정 조립체와 소형 확대경이 가벼울 뿐만 아니라 시계의 작은 부분만을 차단한다는 점이다. 이러한 특징은 작은 크기의 접안 렌즈에 의해 덮여지는 시계의 분할 각도에 맞게 얇은 벽의 소형 확대경 재킷을 설계함으로써 바람직하게 이루어질 수가 있다. 또한, 아암의 편평한 형상과 위치는 시계의 방해를 최소화시키도록 선택된다. 동시에, 이러한 아암은 그 경첩 지점에 의해서 양쪽 눈 사이의 거리에 맞게 조절되어 설치될 수가 있으며, 이는 소형 확대경이 항상 일정하게 고정된 초점을 갖도록 한다. 소형 확대경은 약 20 내지 30 mm 정도의 길이와 약 10 mm 정도의 직경을 갖도록 구성할 수가 있다. 접안 렌즈가 안경의 렌즈에 매우 근접하게 위치될 경우에는, 눈에서 접안 렌즈 까지의 거리를 약 20 mm 정도로 구성한다. 대안 렌즈는 분할 각도 및 소형 확대경의 길이에 의해 결정되는 직경을 갖는다.

Claims (14)

  1. 보조 렌즈(4)나 쌍안경식 소형 확대경(18) 등의 부착물을 안경에 부착시키기 위한 고정 조립체로서,
    코를 가로질러 렌즈(1)의 가장자리를 연결하는 다리부(3)와 결합되도록 스크류(7)에 의해 조여질 수 있는 클립(6)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부착물(4; 18)이 얇은 아암(5; 20 내지 26)을 통해서 상기 클립(6)에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고정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클립(6)이 상기 다리부(3)의 둘레로 조여지는 고정 고리부(10)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고리부(10)의 단부가 클립 몸체(8, 9; 6b)를 관통하는 구멍(11a, 11b) 내에 수용되며, 상기 고리부(10)의 단부의 치수는 상기 스크류(7)의 나선이 상기 고정 고리부(10)와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스크류(7)에 치수에 따라 정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보조 렌조를 부착하기 위해서, 상기 아암(5)이 유연한 탄성 재료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5)의 하단부가 상기 보조 렌즈(4)의 가장자리에 부착되고, 상기 아암(5)의 상단부는 상기 클립(6)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체.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6)이 금속으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체.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6)이 2개의 부재로 이루어진 클립 몸체(8, 9)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아암(5)의 양단부가 상기 클립 몸체(8, 9)의 사이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체.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 몸체(9)와 마주하게 놓여져 있는 하나의 클립 몸체(8)의 표면에는 적어도 상기 아암(5)을 수용하도록 상기 아암(5)의 직경 보다 작은 깊이의 홈(12)이 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체.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 몸체(8, 9)가 별도의 확대경, 보호경또는 양자중의 하나를 지지하는 아암(15)의 기부 상에 장착된 요오크 형태의 보유부(14)와 결합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체.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렌즈(4)가 상기 렌즈(1)의 하부 가장자리에 근접하게 상기 렌즈(1)의 내부면 상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체.
  9. 제 1 항에 있어서, 쌍안경식 소형 확대경(18)을 안경에 부착하기 위해서, 상기 쌍안경식 소형 확대경(18)이 2개의 소형 확대경(18)을 포함하며, 각각의 상기 소형 확대경(18)이 눈에 더 근접해 있는 접안 렌즈가 바깥쪽의 대물 렌즈 보다 작은 2개 이상의 렌즈를 포함함에 있어,
    상기 렌즈를 연결하는 소형 확대경 재킷(19)의 외부면은 상기 대물 렌즈로부터 상기 접안 렌즈의 가장자리 까지 연장하는 각도와 반드시 일치하는 분할 각도로 분기되어 있고, 상기 소형 확대경(18)의 상기 부착 아암(20 내지 26)은 시계에 어떠한 방해물도 형성하지 않도록 시계 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편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체.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소형 확대경 재킷(19)이 얇은 벽 두께 및 상기 분할 각도와 일치하는 원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소형 확대경(18)은 굽힘 변형이 가능한 금속재로 제조된 경첩 지점(21)에서 굽혀질 수 있도록 교차 아암(20)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체.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소형 확대경(18)의 여러 지점에서 상기 경첩 지점(21)의 중심 축선들이 상기 소형 확대경(18)으로부터 거의 동일한 거리에서 서로 교차하도록 상기 경첩 지점(21)이 상기 아암(20)의 굽힘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조립체.
  12.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교차 아암(20)이 그 연결 지점에서 굽힘가능한 경첩부(22, 23)와 종방향 조절부(28, 25)가 제공되는 중앙의 종방향 아암(24, 26)과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조립체.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 아암(26)의 자유 단부가 안경 프레임의 상기 다리부(3)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부착 몸체(6b)에 대한 스냅식 결합을 제공하는 요오크 형태의 클립 부재(6a)를 갖추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조립체.
  14. 쌍안경식 소형 확대경(18)을 안경에 부착시키기 위한 고정 조립체로서,
    상기 쌍안경식 소형 확대경(18)이 2개의 소형 확대경(18)을 포함하며, 각각의 상기 소형 확대경(18)은 눈에 더 근접해 있는 접안 렌즈가 바깥쪽의 대물 렌즈 보다 작은 2개 이상의 렌즈를 각각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렌즈를 연결하는 소형 확대경 재킷(19)의 외부면이 상기 대물 렌즈로부터 상기 접안 렌즈의 가장자리 까지 연장하는 각도와 반드시 일치하는 분할 각도로 분기되어 있는 고정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소형 확대경(18)의 부착 아암(20 내지 26)이 시계에 어떠한 방해물도 형성하지 않도록 시계 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편평하며, 상기 부착 아암(20 내지 26)이 굽힘 변형이 가능한 금속재로 제조된 경첩 지점(21)에서 굽혀질 수 있도록 굽힘 변형이 가능한 금속재로 제조된 교차 아암(20)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조립체.
KR1019970705214A 1995-01-26 1996-01-26 보조렌즈나쌍안경식소형확대경등을안경에부착하기위한고정조립체 KR1003958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I950333 1995-01-26
FI950333A FI101650B1 (fi) 1995-01-26 1995-01-26 Silmälaseihin kiinnitettävät lisälinssit
FI952285 1995-05-11
FI952285A FI104656B (fi) 1995-05-11 1995-05-11 Silmälaseihin kiinnitettävät kiikarilupi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95845B1 true KR100395845B1 (ko) 2003-10-17

Family

ID=261598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705214A KR100395845B1 (ko) 1995-01-26 1996-01-26 보조렌즈나쌍안경식소형확대경등을안경에부착하기위한고정조립체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5923396A (ko)
EP (2) EP1312970B1 (ko)
JP (1) JP4057054B2 (ko)
KR (1) KR100395845B1 (ko)
AT (1) ATE240540T1 (ko)
AU (1) AU708966B2 (ko)
DE (1) DE69628199T2 (ko)
DK (2) DK1312970T3 (ko)
ES (1) ES2200050T3 (ko)
PL (1) PL179569B1 (ko)
WO (1) WO199602324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56400B1 (en) 2000-08-28 2002-03-12 Bausch & Lomb Incorporated Eyewear magnifying loupe
US6764176B1 (en) 2003-03-20 2004-07-20 Bausch & Lomb Incorporated Eyewear magnifying loupe
JP2005257802A (ja) * 2004-03-09 2005-09-22 Keeler & Wainaa:Kk ルーペ取付用支持体及びこの支持体を用いたルーペ
US7316478B2 (en) * 2004-07-15 2008-01-08 Parikumar Periasamy Dynamic multifocal spectacle frame
WO2006080569A1 (ja) * 2005-01-28 2006-08-03 Scalar Corporation ユニバーサルジョイントおよび画像表示装置
US7253952B2 (en) * 2005-09-16 2007-08-07 Sparrow Woods Company Handsfree fieldglasses having full field of view
DE102006001395A1 (de) * 2006-01-11 2007-07-12 Carl Zeiss Meditec Ag Korrekturvorsatz zur Aberrationskorrektur von Brillengläsern
US20100305436A1 (en) * 2007-09-14 2010-12-02 Light Sciences Oncology , Inc.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photoactive assisted resection
US8004769B2 (en) * 2009-03-05 2011-08-23 Nabes, Llc Binocular apparatus and system
JP5864832B2 (ja) * 2009-09-24 2016-02-17 キヤノン株式会社 双眼鏡
US20140218646A1 (en) * 2013-02-04 2014-08-07 Kerr Corporation Variable-Magnification Optical Loupe
US20150219900A1 (en) * 2011-07-20 2015-08-06 Google Inc. Adjustable Display Mounting
GB201113152D0 (en) * 2011-07-29 2011-09-14 Hyseni Elion The express add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2616A (en) * 1902-07-03 1902-11-04 Arnold H Strassburger Spectacles.
US1033119A (en) * 1912-02-17 1912-07-23 F A Hardy & Company Binocular-loop.
US2143431A (en) * 1936-03-31 1939-01-10 Benzinger Jacob Loupe
US2226941A (en) * 1939-06-27 1940-12-31 Montalvo-Guenard Jose Leandro Eyeglasses
US2326787A (en) * 1940-08-21 1943-08-17 Alvin I Lorig Detachable bifocals
US2599716A (en) * 1950-06-29 1952-06-10 Stuart L May Loupe
US3029696A (en) * 1957-08-09 1962-04-17 Arno G Schmidt Binocular loupe frame with sliding and pivotal adjustment of eye loupes
US3446548A (en) * 1965-03-26 1969-05-27 William David Rummel Supplemental lens attachment for spectacles
US4196966A (en) * 1978-05-01 1980-04-08 Malis Leonard I Binocular magnification system
US4647165A (en) * 1984-11-27 1987-03-03 Lewis Stanley P Optical viewing accessory
JPS645539A (en) * 1987-06-29 1989-01-10 Toshiro Wada Glasses equipped with magnetifying glass having automatic focusing function
US5182588A (en) * 1991-07-01 1993-01-26 Maurer Robert D Lens for filtering visible and ultraviolet electromagnetic waves during dental procedures
US5381263A (en) * 1993-07-19 1995-01-10 General Scientific Corporation Five-degree-of-freedom ocular mounting assembly
US5446507A (en) * 1993-12-03 1995-08-29 General Scientific Corporation Spectacle frame for telemicroscopes and the lik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200050T3 (es) 2004-03-01
PL179569B1 (pl) 2000-09-29
EP0871920B1 (en) 2003-05-14
EP0871920A1 (en) 1998-10-21
DK0871920T3 (da) 2003-08-04
DK1312970T3 (da) 2013-05-21
ATE240540T1 (de) 2003-05-15
EP1312970A2 (en) 2003-05-21
EP1312970A3 (en) 2003-09-10
DE69628199D1 (de) 2003-06-18
WO1996023242A1 (en) 1996-08-01
PL321570A1 (en) 1997-12-08
JPH11505033A (ja) 1999-05-11
JP4057054B2 (ja) 2008-03-05
AU4541196A (en) 1996-08-14
EP1312970B1 (en) 2013-03-13
US5923396A (en) 1999-07-13
AU708966B2 (en) 1999-08-19
DE69628199T2 (de) 2003-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34525A (en) Visual aid device
EP1950598B1 (en) Binocular loupes
KR100395845B1 (ko) 보조렌즈나쌍안경식소형확대경등을안경에부착하기위한고정조립체
US6667832B2 (en) Loupe hinge for magnification viewer
US5076682A (en) Telemicroscopic apparatus on spectacles
CN107924054B (zh) 双筒放大镜
KR100604152B1 (ko) 광학장치
US4936667A (en) Binocular microscope attachment for correction of ametropia
JP6274586B2 (ja) 双眼ルーペ
US6338557B1 (en) Spectacles with magnifying lenses
KR100797546B1 (ko) 쓰루더 렌즈 타입 의료용 루페장치
KR20110136348A (ko) 보조렌즈 부착을 위한 안경 구조물
CA2210740C (en) Fixing assembly for attaching supplemental lenses, binocular loupes and the like to spectacles
EP0178014B1 (en) Visual aid especially for weak-sighted persons
CN113448076B (zh) 双目放大镜
CA2547935C (en) Fixing assembly for fixing binocular loupes to spectacles
US6488373B1 (en) Clip-on pivoting telescope lens assembly having means for precise placement of the telescope lens in the operative position
AU716952B2 (en) Fixing assemblage for fixing binocular loupes with spectacles
FI104656B (fi) Silmälaseihin kiinnitettävät kiikarilupit
WO1997035222A1 (en) Parallax reduction device and method of use
US20040239871A1 (en) Proposal for Eyeview (previously named skyview)
Kozlowski et al. A simple, inexpensive method to improve low visual acuity of highly hypermetropic, aphakic patients
US20020126255A1 (en) Ergonomic frames for telescopic loup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71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