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8650Y1 - 사진 촬영대 - Google Patents

사진 촬영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8650Y1
KR200208650Y1 KR2020000018868U KR20000018868U KR200208650Y1 KR 200208650 Y1 KR200208650 Y1 KR 200208650Y1 KR 2020000018868 U KR2020000018868 U KR 2020000018868U KR 20000018868 U KR20000018868 U KR 20000018868U KR 200208650 Y1 KR200208650 Y1 KR 2002086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light
subject
top plate
lumina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886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홍
Original Assignee
김태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홍 filed Critical 김태홍
Priority to KR202000001886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865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86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8650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1Support related camera accessori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15/08Trick photography
    • G03B15/10Trick photography using back-projection, i.e. blending artificial background with real foregrou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Cameras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Photographic Or Optical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투명 소재의 상부판, 빛의 방향이 상향인 조명기구, 조명기구의 빛에 의한 반사를 막기 위한 반투명 소재의 전면판, 및 상부판을 지지하는 지지대로 구성되어 있는 사진 촬영대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의 사진 촬영대에 피사체를 올려놓고 촬영을 하게 되면 피사체가 공중에 떠있는 모습의 사진이 만들어지므로, 다양한 배경 설정이 가능하고 얻어진 사진을 바탕으로 컴퓨터를 사용한 편집이 더욱 용이한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사진 촬영대 {Photographic Stand}
본 고안은 피사체를 올려놓고 사진을 촬영할 수 있는 사진 촬영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부판이 투명한 소재로 되어있고 내부에 조명기구를 설치하여 피사체가 공중으로 떠있는 형상으로 사진이 촬영될 수 있는 촬영대를 내용으로 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진을 촬영하는 방법으로는 일상의 모습을 자연배경 및 조명하에서 스냅사진 형식으로 찍는 경우와 사진관과 같은 특정한 촬영장소에서 인위적인 배경과 조명하에 찍는 경우 등이 있다.
자연조건하에서의 스냅사진과는 달리 인위적인 배경과 조명하에서 촬영하는 경우('세트 촬영')는, 피사체인 인물(들)의 특정한 날을 기념하거나 피사체인 사물을 특수 촬영할 때 많이 사용된다. 인물을 대상으로 한 세트 촬영은 예를 들어, 유아의 돌 사진, 가족 사진, 결혼 사진, 모임 사진 등을 찍고자 할 때 사용되며, 사물을 대상으로 한 세트 촬영은 예를 들어, 팜플렛 제조용 제품사진, 의장도면 사진 등에 사용된다.
세트 촬영은 배경과 조명의 설정이 중요한데, 특히 배경은 피사체가 특정한 장소에 가지 않더라도 원하는 환경을 제공하고 배경의 인위적인 조작을 통해 이상적인 환경이 설정될 수 있다는 점에서 세트 촬영만의 독특한 잇점을 제공한다.
그러나, 종래의 세트 촬영은 피사체를 일정한 공간상에 위치시키고 인위적인 배경을 설정하여 촬영하므로 인간의 전신 촬영이나 물품 전체의 형상을 촬영할 때 피사체가 위치하는 바닥면이 함께 촬영되는 한계가 있었다. 세트의 바닥면을 흰색 또는 검은색으로 하여 사진 전체에 미치는 영향을 극소화하는 방법이 사용되고는 있으나 역시 피사체가 위치하는 곳이 사진속에 남게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제약은 배경의 설정을 한정시킬 수밖에 없고, 다양한 연출을 제한하는 요소이다.
한편, 컴퓨터와 같은 전자기기의 발달은 사진속의 배경 선택의 폭을 더욱 넓혀 놓았다. 즉, 기존의 카메라(일명, '아날로그 카메라')로 촬영한 사진을 스캐닝한 후에 컴퓨터를 사용하여 편집하거나, 또는 디지털 카메라로 촬영한 사진을 파일로 저장한 후 이를 컴퓨터에서 편집하여 용지에 인쇄하는 기술이 개발되면서 사용자가 원하는 배경을 자유롭게 창조해 가는 경향이 많아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자유로운 편집 작업이 아직 일반인들에게 보편화되어 있지는 않으며, 특히 컴퓨터 등을 이용한 이러한 편집 작업은 기본적으로 피사체의 완벽한 촬영을 요구하므로 피사체에 대한 양질의 촬영은 역시 필요하다. 또한, 컴퓨터 편집 작업에 의해 인물 전신 또는 물건 전체를 배경과 합성할 때, 피사체 이외에 나머지 부분이 여백으로 존재하지 않는다면 편집에 어려움이 많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일거에 해결하고 과거로부터 요청되어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피사체를 올려놓은 새로운 사진 촬영대에 의해, 인물 전신 또는 물건 전체의 형상을 촬영함에 있어서 인물 또는 물건의 피사체가 완전히 공간상에 떠있는 형상을 창출하여 배경 세트의 자유로운 합성 및 컴퓨터 편집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a 내지 1c는 본 고안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사진 촬영대의 사시도, 배면도 및 평면도이고;
도 2a 내지 2c는 본 고안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사진 촬영대의 사시도, 배면도 및 측면 투영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사진 촬영대의 측면 투영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사진 촬영대 20 : 상부판
21 : 곡선형 단부 30 : 전면판
40 : 배면판 50 : 하부판
51 : 바퀴 60 : 조명기구
61 : 콘트롤러 70 : 측면판
71 : 조명 개구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사진 촬영대는 투명 소재의 상부판, 내부에 설치된 조명기구, 조명기구의 빛에 의한 반사를 막기 위한 반투명 소재의 전면판, 및 상부판을 지지하는 지지대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판은 상단부의 투명 부분과 조명기구의 빛에 의해 그 형상이 카메라에 도입되지 않으므로 상부판 상에 놓여있는 피사체가 허공상에 위치하는 것으로 인식된다. 상부판은 투명한 소재로서 피사체의 하중을 견딜 수 있는 것이라면 어느 것이라도 무방한바, 예를 들어 투명 아크릴과 같은 플라스틱판, 유리판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투명하고 내충격강도가 뛰어난 아크릴판이 사용된다. 상부판의 형상은 사각형, 원형, 마름모형, 각각의 꼭지 부분이 라운드된 형태 등 특별히 제한적이지 않다. 상부판의 두께로 인하여 카메라에 조사되는 어두운 선을 줄이기 위하여, 상부판의 전면 단부를 곡선 형상으로 하거나, 또는 전면 단부와 후면 단부를 곡선 형상으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곡선 형상부의 단부는 전면부와 맞다을 수도 있고, 전면부보다 튀어나올 수도 있다.
조명기구는 상기와 같이 빛을 발산하여 상부판의 형상이 인식되지 못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조명기구의 빛 조사 방향은 직접 상부판을 향할 수도 있고 전면판을 향하도록 하고 간접 조명빛이 상부판을 향하도록 할 수도 있다. 다만, 조명기구는 빛의 조사각도가 카메라의 렌즈에 전달되지 않도록 상부판으로부터 일정한 정도로 떨어져 있어야 한다. 그렇지 않을 경우 카메라 렌즈에 빛이 전달되어 피사체의 촬영을 어렵게 한다. 조명 기구는 필요에 따라 하나 또는 둘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광량 및/또는 광도는 촬영 목적에 따라 자유롭게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광량 및/또는 광도를 조절하기 위한 콘트롤러를 사진 촬영대의 배면판에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전면판은 상부판 하부에 위치한 조명기구의 빛이 카메라 렌즈에 도달하지 않도록 방지하는 역할을 하므로, 불투명한 소재라면 어느 것이라도 무방하다.
상기 지지대는 상부판을 지지하는 부재로서 상부판에 직접 체결되며, 하기 설명과 같이 양 측면판 및/또는 배면판이 별도로 설치되는 경우에는 이들이 지지대 역할을 대신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사진 촬영대는 카메라 방향의 전면 이외에 후면 및 양측면의 모두 또는 일부가 폐쇄된 형태일 수 있다. 후면 또는 측면을 통해 조사된 조명기구의 광량이 너무 많으면 배경 세트에 나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배면판과 양측면판을 반투명 또는 불투명 소재로 하는 것이 필요할 수 있다. 빛의 확산을 이용하여 촬영의 효과를 더욱 배가시키기 위하여, 상부판과 접하는 불투명 측면판의 높이의 1/3 내지 1/2에 해당하는 부위에 개부를 설치하거나, 또는 측면판을 반투명 소재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개부의 형상은 특별한 제한이 없어서, 예를 들어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원형 구멍, 사각형 구멍, 마름모형 구멍 등일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상부판과 접하는 부분을 양 단부로 한정하고 나머지 모든 부분을 개방시킬 수도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개부로부터 외부로 빠져나오는 광량을 조절하기 위한 광량 조절부재를 설치할 수도 있으며, 그러한 광량 조절부재는 건물에 설치하는 차양과 같은 구조를 대표적인 예로 들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양 측면판은 불투명 소재로 만들고 배면판은 반투명 소재로 만들어 조명기구로부터 발산된 빛이 배경 세트에 간접 조사되도록 하여 촬용효과를 배가시킬 수도 있다.
본 고안의 사진 촬영대는 일정한 위치에 고정하여 사용될 수도 있지만 필요에 따라 이동시켜 사용하고자 할 때는 상기 조명 기구의 하부에 하부판을 설치하고 여기에 굴림 부재를 설치할 수도 있다. 굴림 부재의 대표적인 예로는 바퀴가 있으며, 특정한 위치로 이동시킨 후 사진 촬영대의 더 이상의 이동을 막기 위하여 고정장치를 별도로 설치할 수 있다. 이러한 굴림 부재 및 고정장치 등은 이미 공지되어 있으므로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도면에 개시된 실시예들을 통해 본 고안의 내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지만 하기 실시예들에 의해 본 고안의 범주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a 내지 도 1c에는 상부판(20)이 사각형의 투명 아크릴판으로 되어있고, 전면판(30), 배면판(40), 하부판(50) 및 양 측면판(70)이 각각 불투명 플라스틱판 또는 나무판으로 되어있는 사진 촬영대(10)가 도시되어 있다. 측면판(10)의 상부에는 조명기구(60)로부터 조사된 빛이 외부로 빠져나오는 조명 개구(71)가 천공되어 있으며, 하부판(50)의 4각 꼭지부에는 바퀴(51)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사진 촬영대(10)의 내부를 보면, 하부판(50)상에 3개의 조명기구(60)가 상부판(20)을 향해 설치되어 있고 배면판(40)에는 조명기구(60)의 온/오프와 광량도를 조절하기 위한 콘트롤러(61)가 설치되어 있다.
도 2a 내지 도 2c에는 상부판(20)의 전면과 후면이 각각 곡선형 단부(21)로 되어있고 양측면판(70)에 사각형의 조명 개구(71)가 있고 3개의 조명기구(60)이 하부판(50) 상에 설치되어 있는 사진 촬영대(10)가 도시되어 있다. U자형의 측면판(70)은 양 단부만이 상부판(50)과 직접 접하므로, 상기 조명 개구(71)는 상부판(50)과 접하지 않는 측면판(70)의 상부에 자연스럽게 형성된다. 조명 개구(71)를 통해 조사된 빛은 배경 세트 등을 간접 조명하는 작용을 하므로 촬영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a 내지 2c는 상부판(20)의 곡선형 단부(21)가 전면판(30)과 배면판(40)의 단부 전체와 맞닿아있는 사진 촬영대(10)의 형상을 도시하고 있지만, 도 3은 상기 곡선형 단부(21)가 전면판(30)과 배면판(40)의 단부 일부와 맞닿아있는 사진 촬영대(10)의 또다른 형상을 도시하고 있다.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고안의 범주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본 고안의 사진 촬영대에 피사체를 올려놓고 촬영을 하게 되면 피사체가 공중에 떠있는 모습의 사진이 만들어지므로, 다양한 배경 설정이 가능하고 얻어진 사진을 바탕으로 컴퓨터를 사용한 편집이 더욱 용이한 효과를 갖는다.

Claims (5)

  1. 투명 소재의 상부판, 내부에 설치된 조명기구, 조명기구의 빛에 의한 반사를 막기 위한 반투명 소재의 전면판, 및 상부판을 지지하는 지지대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사진 촬영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판의 전면 단부가 곡선 형상이거나, 또는 전면 단부와 후면 단부가 곡선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 촬영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기구의 광량 및/또는 광도를 조절하기 위한 콘트롤러가 배면판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 촬영대.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가 반투명 또는 불투명 소재의 양측면판 및 배면판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 촬영대.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양 측면판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개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 촬영대.
KR2020000018868U 2000-07-01 2000-07-01 사진 촬영대 KR2002086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8868U KR200208650Y1 (ko) 2000-07-01 2000-07-01 사진 촬영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8868U KR200208650Y1 (ko) 2000-07-01 2000-07-01 사진 촬영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8650Y1 true KR200208650Y1 (ko) 2001-01-15

Family

ID=730858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8868U KR200208650Y1 (ko) 2000-07-01 2000-07-01 사진 촬영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865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1928B1 (ko) 2010-04-16 2012-08-08 (주)시공산업 유물 부감 촬영대
KR20210054783A (ko) 2019-11-06 2021-05-14 조옥희 목판용 실루엣 사진 촬영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1928B1 (ko) 2010-04-16 2012-08-08 (주)시공산업 유물 부감 촬영대
KR20210054783A (ko) 2019-11-06 2021-05-14 조옥희 목판용 실루엣 사진 촬영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643085A (en) Photographic light box
US20060023460A1 (en) Lamp having interchangeable decorative panels
US8408722B2 (en) Display stage for diffusely illuminating articles
US4066885A (en) Light extractor-diffuser
JP2004086199A (ja) 拡大鏡取付読書台
KR200208650Y1 (ko) 사진 촬영대
KR0147623B1 (ko) 실물화상기기
US4847663A (en) Appartus and method for reflection free photography
CN205809511U (zh) 一种多面手机外观拍摄箱
US10578951B1 (en) Apparatus that enables the photographing of highly reflective, objects without reflections
JP2002369729A (ja) 照明装置
CN207851477U (zh) 特效照相滤镜
CN217133514U (zh) 一种用于珠宝照相的调光盒
CN215372125U (zh) 一种大动态范围光源
CN209054383U (zh) 一种新型可调节感光台灯
CN207488680U (zh) 新型摄影箱
KR102538409B1 (ko) 배경조절 조명을 구비한 사진촬영부스
CN210222457U (zh) 一种多光位的微距摄影柔光罩
JP2017175396A (ja) 撮像装置スタンド、及び照明装置
JPH0414737Y2 (ko)
JP2006349919A (ja) 写真スタジオ装置
JPS5646263A (en) Original lighting device of electronic copying machine
JPH0532846Y2 (ko)
FR2552562A1 (fr) Dispositif pour la projection de decors pour prises de vues photographiques
JPH0646718Y2 (ja) ビュアライ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01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