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4783A - 목판용 실루엣 사진 촬영대 - Google Patents

목판용 실루엣 사진 촬영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4783A
KR20210054783A KR1020190140858A KR20190140858A KR20210054783A KR 20210054783 A KR20210054783 A KR 20210054783A KR 1020190140858 A KR1020190140858 A KR 1020190140858A KR 20190140858 A KR20190140858 A KR 20190140858A KR 20210054783 A KR20210054783 A KR 202100547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oden board
locking pieces
pair
motor
wood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08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92442B1 (ko
Inventor
조옥희
Original Assignee
조옥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옥희 filed Critical 조옥희
Priority to KR10201901408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2442B1/ko
Publication of KR202100547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47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24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24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목판 아카이브 구축에 있어서 최적의 실루엣 촬영을 가능하게 하는 목판용 사진 촬영대에 관한 것으로, 일정 거리를 두고 배치되는 걸림턱을 가지는 한 쌍의 걸림편과, 이들 상호간의 거리 조정이 가능하도록 두 개의 슬라이드봉을 가지는 이동대와, 상기 이동대를 회전가능하게 설치하는 회전판과, 상기 부품들을 지지하는 박스 형태의 받침대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목판용 사진 촬영대{Photo shooting table for xylograph}
본 발명은 목판용 사진 촬영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목판 아카이브 구축에 있어서 최적의 목판 실루엣 촬영을 가능하게 하는 목판용 사진 촬영대에 관한 것이다.
예로부터 우리 민족은 기록과 학문과 문화를 중요시하여 왔다. 몇 차례의 식민지배를 받던 시기에 상당량의 자료가 소실되었다고는 하지만, 역사서인 고려사절요, 조선왕조실록, 승정원일기나 각 성씨의 족보나 학자들의 불교/유교의 경전 해설서, 철학/과학 등 학문적 사상을 기록한 개인 소장품, 시, 서, 화 등의 문학적 문집이나 화첩, 전문서적인 허준의 동의보감, 정약용의 다양한 연구서적 등이 여전히 많이 남아 있어 기록의 민족으로서 충분히 증명되고 있다. 이들 기록물은 다른 민족이 거의 갖고 있지 않은 우리 민족만의 독특하고 소중한 기록의 중요성에 기초한 문화 DNA이다.
만약 6,400만자의 조선왕조실록, 2억 5천만자의 승정원일기를 '한 권'이라고 가정할 때, 우리는 33만권의 방대한 기록이 있다는 조사결과가 보고되기도 하였다. 후손은 이 기록물들을 문화적인 가치로 삼아 문화재로 지정하여 보존하고 있으며, 이러한 역사성을 가지는 대한민국의 문화 콘텐츠는 전 인류가 보호할만하다고 세계가 인정하고 주목하여 UNESCO '세계기록유산'으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다. 우리나라가 이렇게 기록문화유산이 많은 것은 예를들어 유교책판(儒敎冊版, Confucian Printing Woodblocks in Korea) 등과 같이, 한민족이 교육을 매우 중요시하여 인쇄매체를 통하여 후학을 교육하기 위한 자료의 필요성 및 기록의 숭상이 그 밑바탕을 이루고 있었기에 가능하였다.
목판(木版/木板)이란 나무에 글이나 그림 따위를 새긴 인쇄용 판(版)을 말한다(도 9 내지 도 11 참조). 뻘밭에서 3년간 묵히고 소금물에 삶아 진액을 뺀 나무를 인쇄하기에 적당한 크기로 자르고 다듬고 손질하여 마름질 또는 치목(治木, 판목 다듬기) 과정을 거쳐, 양 옆에 마구리, 즉 손잡이를 달고 필사본을 뒤집어 붙인 다음(글자 붙이기), 그 위에 들기름을 바르고 한 글자씩 글자 새기기 작업을 함으로써 완성된다.
이러한 목판은 우리 민족의 소중한 문화유산이므로 현재 한국국학진흥원에서 철저하게 보존/관리하고 있으며, 소장하고 있는 목판 한 장 한 장에 대한 서지 및 해제, 종류 및 문중, 지역 등에 따른 분류체계를 적용하여 목판에 대한 다양한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125개 문중을 소개하고 있다. 또 이 원에서는 소장하고 있는 목판에 대한 지속적인 DB화의 결과물로 구축된 콘텐츠를 누구나 이용할 수 있도록 '목판 아카이브' 웹사이트(http://mokpan.ugyo.net/)를 운영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에 『훈민정음 해례본 상주본』이 화재로 인하여 원본이 훼손되는 사건이 발생하는 등 화재나 자연재해 등으로 문화재가 소실될 것에 대비하여 원본을 디지탈화하여 보존하지 않으면 안되는 상황이 대두되었다. 나아가 목판 내용의 보존 목적뿐만 아니라 여러가지 학술비교 연구, 데이터베이스화를 통하여 얻어지는 부가적 이익, 즉 학문 연구의 빠른 검색, 역사적 공통점 비교, 사이버 상의 VR 체험 등의 이익도 있어, 목판을 디지털 이미지로 촬영/보관하는 것과 이를 집대성하여 디지털 목판 아카이브를 구축/운영하는 것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일을 추진하는 데 기초가 되는 작업은 역사성을 지닌 문화유산으로서의 목판을 사진촬영하는 것에서부터 시작되기 마련이다. 문화유산 사진촬영의 가장 기본사항은 문화유산과의 접촉회수를 최소화하고 접촉시간을 최대한 단축하며 촬영용 조명에 노출되는 시간을 최대한 단축함으로써 문화유산이 훼손되는 위험으로부터 문화유산을 보호하는 것, 즉 원형보존이다. 이를 위해서는 문화유산의 유형별 특성에 특화된 전용 촬영 보조기구를 개발하는 것이 최선의 방법이다. 목판 유형 문화유산 촬영의 특성 내지 요건은 목판 1개별로 6면을 모두 그리고 각각 정확한 앵글로 신속하게 고정함으로써 신속하게 촬영할 수 있어야 한다는 점이다. 만약에 촬영대를 사용하지 않고 촬영을 경험적으로, 매번 인위적으로 또 어림잡아 하게 된다면 목판에 접촉하는 횟수와 시간, 조명 광원에 접촉하는 시간이 늘어나 원본을 훼손하는 요인의 증가는 피할 수 없게 된다. 이는 후손들이 조상의 문화적 유산을 망실, 부주의하여 생기는 훼손 행위로서, 문화재를 보존하고자 하는 본래의 촬영 목적에 반하여 오히려 문화유산 원형 보존을 어렵게 만드는 잘못된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다량의 문화유산을 촬영하는 데 있어서 목판이라고 하는 대상물의 물품 특성상 촬영한 결과물의 품질이 늘 일정하기 위한 '항상성 유지'가 매우 중요한 기술로 인식되고 있다. 항상성 유지를 위하여 사진 장비와 조명 기구의 다양한 기술력이 동원된다. 촬영대는 이러한 항상성 유지를 위한 필요성에서 발명된 것이다. 동일한 촬영작업을 장기간, 연속적으로 수행하다 보면 작업 참여자 개인이라는 변수에 따라 촬영 완성품의 품질 편차가 있게 마련이다. 이러한 촬영 관계자 및 보조자의 변수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촬영대는 문화재 촬영에 있어서 필수 요소이며, 대상물이 처음부터 끝까지 동일한 각도와 방향으로 동일한 조명에 노출되기 위해서도 촬영대가 필요하며, 모든 작업 과정의 변수를 차단하고 표준화하기 위해서도 촬영대가 필요하다.
한국의 대표적인 목판 아카이브를 구축/운영하고 있는 한국국학진흥원에서도 목판의 훼손을 최소화하고 촬영된 사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목적으로 사진촬영의 기준이 되는 촬영방법을 제시하고 있는데, 핵심 개념은 실루엣 촬영(사진 분야에서는 이를 흔히 '누끼' 촬영이라고도 부름)이다. 이는 사진 촬영 대상물이 다르더라도 동일한 배경으로 촬영되도록 사진 촬영 대상물을 균질한 색감(주로 흰색이나 회색)을 가진 배경지 위에 위치시킨 후 촬영하는 방법이다.
이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목판의 촬영 결과물이 실루엣 방식으로 촬영된 것이어야 하고, 목판 1매당 6면의 사진을 촬영해야 하며, 목판의 전체적인 윤곽과 글씨를 잘 파악할 수 있도록 촬영하고, 목판의 전후좌우면 및 상하면을 포함하는 총 6면을 촬영하며, 배경은 흰색으로 처리(Remove background, 누끼)한다는 사항, 그리고 촬영 작업 시의 여러가지 준수사항 및 문화재 보존과 보호에 대한 기본적인 협의가 이루어진 후에 작업하는 사항 등이 주요 지침으로 규정되어 있다.
이 지침은 다량의 목판을 촬영함에 있어서 시간사용의 효율을 극대화하고, 누락될 이미지에 대한 실수를 미연에 방지하여 효율성 있는 사진촬영을 도모하기 위함이다.
실루엣(silhouette)이란, 바탕의 윤곽만이 뚜렷한 형상, 그림자 그림, 윤곽을 뜻하는 영화 용어로서, 피사체를 역광으로 촬영하여 그 피사체의 형태만 검게 나오게 한 것을 말한다. 이 방법이 사진에 응용되어, 사진 용어로서는 촬영 대상물 이외에 영역은 색값을 가지지 않고 투명하게 처리되도록 촬영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이런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촬영 대상물에 사람의 시각이 집중할 수 있는 사진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광고물 제작, 인터넷이나 SNS의 홍보물 제작, 3D제작에 많이 활용하고 있다.
촬영 후에는 후보정 작업의 일환으로 이미지 가공용 소프트웨어 중 하나인 포토숍을 이용하여 배경과 대상을 분리한 후 배경의 색값을 255(투명)로 수정/설정함으로써 실루엣 촬영 이미지의 후보정 작업을 완료한다. 이 때 포토숍의 여러 기능, 즉 외곽선을 따는 기법, 균질한 화면을 선택하는 기법 등을 이용하게 되는데, 작업자가 얼마나 정밀하게 대상물의 이미지 영역을 취사선택하느냐에 따라 원본 이미지의 손실여부가 결정된다. 따라서 후보정 작업에서는 작업자의 인위적 행위에 의하여 원본 이미지의 일부가 손실될 수 있는 가능성이 존재하며, 촬영에서부터 최종 후보정 작업 완료에 이르는 모든 과정에서 촬영 대상물을 이미지 손실 없이 획득하려면 후보정 작업에서의 작업자의 인위적 행위를 최소화할 필요가 있다. 즉, 실루엣 촬영 방식에서는 후보정 작업을 통하여 배경의 색값을 255(투명)로 수정하는 것이 아니라, 촬영 결과물의 배경 색값이 255(투명)이 되도록 촬영함으로써 후보정 작업을 최소화 하는 것이 최선의 촬영 방법이며 이미지 관리 방법인 것이다. 이는 특히 문화유산의 사진촬영에서 원형보존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매우 중요한 문제다.
목판 사진 촬영에서는 촬영의 대상물이 세팅되는 각도가 조금만 달라져도 조명이 다르게 작용하기 때문에, 오랜 세월 변형된 목판을 같은 위치나 같은 각도로 놓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그런데 지금까지는 촬영자와 촬영 보조자의 촬영 당일의 컨디션에 따라 촬영 조건이 달라짐으로써 균일화된 촬영 결과물을 얻기 어렵고, 촬영 후 결과물에는 받침대의 미세한 검은 부분이나 촬영 장비의 그림자가 잔존하여, 후보정 작업이 필수적일 수밖에 없었고 비효율적이었다.
따라서 촬영자의 당일 기분에 따른 촬영이 아니라 이들 변수를 최소화하는 촬영대의 필요성은 업계의 오랜 숙원이었고,이를 통하여 촬영 세팅을 표준화하여 촬영자와 촬영 보조자에 의한 오차 변수를 최소화하고 항상성을 유지할 수 있게 하는 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판용 사진 촬영대는,
목판을 올려놓고 촬영하기 위하여, 좌우편으로 일정 거리를 두고 배치되는 걸림턱을 가지는 한 쌍의 걸림편과,
이 한 쌍의 걸림편을 다양한 크기의 목판에 대응하여 안정적으로 세우기 위하여, 이들 상호간의 거리 조정이 가능하도록 두 개의 슬라이드봉을 가지는 이동대와,
상기 이동대를 회전가능하게 설치하는 회전판과,
상기 부품들을 지지하는 박스 형태의 받침대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기본 구성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걸림편은, 최상의 실루엣 촬영이 가능한 투명한 재질인 것과, 최상의 실루엣 촬영이 가능한 투명한 아크릴재, 유리재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재질인 것과, 그 하부 측에 한 쌍의 연결 조정편이 고정되는 구성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이동대는, 상기 한 쌍의 걸림편 사이의 간격(폭)을 정확하게 설정하기 위한 눈금을 그 표면에 새기는 것이 좋고, 상기 회전판은, 상기 받침대에 대하여 이동대를 회전하기 위하여, 이동대 하부에 위치함과 동시에 상기 받침대의 상부에 노출되면서, 베어링과 이 베어링을 회전가능하게 받아들여서 지지하는 베어링홈을 가지는 것과 회전축을 가지는 모터에 의하여 회전력을 발생하여 상기 이동대를 90°또는 임의의 각도로 회전시켜 작동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목판용 사진 촬영대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다양한 형태의 목판에 최적화된 촬영대를 제공함으로써 다양한 크기의 목판에 대하여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촬영결과물을 얻게 한다.
2. 가볍게 회전하는 회전판의 사용으로 각 장면의 촬영 시에 대상물을 신속하게 각도 조정할 수 있어 촬영 시간을 단축시키고 양질의 결과물을 얻을 수 있다.
3. 투명한 재질의 목판 거치대인 걸림턱을 가지는 걸림편을 사용하여 목판이라고 하는 제품의 실루엣 촬영이 가능하므로 아카이브 작업이 매우 신속하게 이루어진다.
4. 한국국학진흥원 같은 목판 아카이브 보존/관리기관의 목판 사진촬영 지침을 준수하여 촬영 요건을 충족하고 항상성이 유지되는 촬영 환경에서 촬영을 진행하여 원본의 훼손없이 원하는 결과물을 얻을 수 있다.
5. 목판 촬영뿐만 아니라 액자, 편액, 현판 등의 6면 촬영, 책자, 도록, 양장본 등의 6면 촬영, 다양한 형태와 크기의 육면체 대상물(핸드폰, 모니터, 텔레비전 등)에 대한 6면 촬영에도 활용할 수 있는 다양성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목판용 사진 촬영대의 전체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목판용 사진 촬영대의 받침대 내에 내장되는 구동수단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목판용 사진 촬영대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목판용 사진 촬영대의 주요부품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목판용 사진 촬영대를 이용하여 목판의 정면을 촬영하는 일례를 나타내는 일부 생략 사시상태 설명도,
도 6은 본 발명의 목판용 사진 촬영대를 이용하여 목판의 측면을 촬영하는 일례를 나타내는 일부 생략 측면상태 설명도,
도 7은 본 발명의 목판용 사진 촬영대를 이용하여 목판을 촬영하는 일례를 나타내는 일부 생략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목판용 사진 촬영대, 카메라, 조명기구를 이용하여 목판을 촬영하는 일례를 나타내는 일부 생략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목판용 사진 촬영대를 이용하여 촬영한 결과물인 목판 일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목판용 사진 촬영대를 이용하여 촬영한 결과물의 6면 상태 목판을 나타내는 설명도로서,
(가)는 정면도,
(나)는 배면도,
(다)는 평면도,
(라)는 저면도,
(마)는 좌측면도,
(바)는 우측면도,
도 11은 일반적으로 보관 중인 여러 개의 목판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상기 종래의 목판 촬영에 있어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해결책을 제시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목판용 사진 촬영대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목판용 사진 촬영대의 전체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목판용 사진 촬영대의 받침대 내에 내장되는 구동수단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서 부호 10, 12는 좌우편으로 일정 거리를 두고 배치되는 투명한 한 쌍의 걸림편이다. 이 한 쌍의 걸림편(10),(12)은 장치 전방을 향하여 높이 방향의 소정 부위에, 후술하는 목판(100)을 올려놓고 촬영하기 위한 걸림턱(10a),(12a)을 가지고 있다. 이 걸림턱(10a),(12a)의 형성으로 상기 걸림편(10),(12)은 L자형을 이루는 것처럼 보인다. 또 이 걸림편(10),(12)은 대상물을 지지하는 기능을 하기 때문에 가장 중요한 부품으로서 기능하며, 아크릴 지지대(아크릴만으로 완성된 모델), 아크릴의 하부에 나무소재를 덧대어 지지력을 높인 모델, 나무만으로 완성된 모델 등 크기별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상기 걸림편(10),(12)을 투명한 재질로 선택하는 이유는 배경색을 밝게 하여 촬영했을 때 이 걸림편(10),(12) 자체도 무색이 되어 피사체만 공중에 뜬 것처럼 촬영됨으로써 후보정 작업이 거의 필요없거나 "매우" 간단하게 진행하기 위함이다.
이 걸림편(10),(12)은 본 발명의 핵심기술과 관련하여 매우 중요하다. 즉, 촬영과 동시에 목판의 1차 촬영 결과물이 실루엣 촬영의 최종 목표 결과물에 근접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목판과 접촉하는 L자형 지지대인 걸림편(10),(12)을 투명 아크릴로 제작한다. 투명 아크릴은 적절한 조명을 입사하면 투명한 바탕(색값 255)으로 나타난다. 상기 걸림편(10),(12)의 걸림턱(10a),(12a)의 높이와 깊이는 촬영되는 목판(100)의 전체적인 크기를 미리 제공받아 평균적인 수치를 계산하여 만든다. 목판 크기 매우 다양하여 표준편차가 클 경우에는 다양한 크기의 한 쌍의 L자형 걸림편(10),(12)을 설계하고 제작한다
상기 걸림편(10),(12)의 하부에는 한 쌍의 연결 조정편(20),(22)이 고정구(20a),(22a)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고 이들 연결 조정편(20),(22)은 이들 상호간의 거리 조정이 가능하도록 하부에 설치되는 두 개의 슬라이드봉(42),(44)에 대하여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즉, 상기 연결 조정편(20),(22)의 하부에 한 쌍의 구멍을 형성하고 이 구멍을 통과하는 상기 슬라이드봉(42),(44)을 이동대(40)상에 고정설치하고 있다.
상기 걸림편(10),(12)의 하부에는 보강판 기능의 한 쌍의 연결 조정편(20),(22)이 이동대(40) 상에 좌우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므로 두 개의 걸림편(10),(12)의 폭을 조정할 수 있다. 이는 다양한 크기의 목판에 대응하여 안정적으로 세울 수 있음을 의미한다.
상기 이동대(40)는 상기 슬라이드봉(42),(44)을 고정하고 있고 상기 걸림편(10),(12)을 가지는 연결 조정편(20),(22)은 상기 슬라이드봉(42),(44)에 의하여 자신의 위치를 유지하면서 좌우로 폭 조절이 가능하게 되어 있으므로 어떤 규격의 목판(100)일지라도 촬영 전 고정(세팅)이 가능하다. 도 1 및 도 2에서 부호 50은 상기 이동대(40)를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하는 회전판, 60은 상기 부품들을 지지하고 방향조정용 모터(M)를 내장하는 박스 형태의 받침대이다. 이 받침대(60)는 촬영 대상물의 크기에 의하여 결정되는 촬영 높이에 맞추어 제작되고 바닥 네군데에 볼트와 너트로 구성되는 수평 조절구를 포함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목판용 사진 촬영대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목판용 사진 촬영대의 주요부품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3에서 부호 44는 상기 한 쌍의 걸림편(10),(12) 사이의 간격(폭)을 정확하게 설정하기 위한 눈금이다. 상기 슬라이드봉(42),(44)이 설치되는 이동대(40) 상면에 눈금(46)을 새기고 아라비아 숫자를 새겨서 걸림편(10),(12) 및 연결 조정편(20),(22)의 좌우의 균형 이동을 돕는다.
이 경우, 흔히 한 쌍의 이들 두 부품들이 눈금(46)의 가운데 0점을 기준으로 좌우로 균등하게 이동하는 장치일 것이라고 생각하기 쉬우나, 본 발명에서는 이를 적용하지 않는다. 같은 이유로 모터(M)에 의한 자동각도 변환 장치를 상용(常用)하지도 않는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호 100, 110은 목판으로서, 보관된 하나의 목판(100)은 오른쪽으로, 다른 목판(110)은 왼쪽으로 휘어진 상태를 보여준다. 목판마다 그 제작시기, 보존 환경, 유지 보수의 정도 등에 따라 변형과 훼손 정도가 각각이다. 이러한 목판(100),(110)의 변형은 촬영의 항상성에 장애가 되는 요인이 된다. 원목의 목판은 제작 당시 제작자의 정밀도 방심에서 오는 오차와, 오랜 세월을 거치는 동안 원목의 자체 특성에 따라 건조과정이 진행되면서 뒤틀림이 발생한다. 그 결과 목판은 정확한 직육면체가 아니라 뒤틀어지거나 기울어진 대상물이 더 많은 편이다. 또 건조 초기에 고르지 못한 수축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또는 횡단면으로, 표면으로, 내부 방향으로 갈라지는 할렬(割裂, drying checking) 현상이 오게 되어 목판 변형은 필연적인 상황이다. 이러한 여러가지 요인에 의하여 목판 하나하나의 변형 정도가 모두 다르기 때문에 이들이 촬영 변수로 작용하게 된다.
목판(100)의 앞면과 뒷면이 정확히 카메라와 정면으로 마주 보도록 촬영 전 세팅을 하는 것은 전동장치의 회전 각도 조절만을 통해서는 달성하기 어렵다. 즉, 기계장치에 100% 의존하여 표준적이고 일관된 촬영 환경을 조성하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결국 실제 촬영 현장에서는 전동장치를 통해 90도 회전한 후, 촬영자가 카메라 렌즈를 통해 정면을 찾을 수밖에 없으며, 이를 위해서 촬영 보조자는 촬영자가 정면을 찾을 수 있도록 수동으로 미세하게 각도를 회전/조정하면서 최종적으로 정면을 찾게 된다.
따라서 각각 고유의 변수를 가지는 목판을 신속하게 초점거리를 맞추고 조도를 확보하는 것이 목판 촬영의 품질을 높이는 관건이 되는데, 눈금(46)에만 의존하여 걸림편(10),(12)을 조정하게 되면 목판의 좌우 균형이 정확하지 않아 촬영 결과물의 후보정 작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자동 세팅보다는 효율 좋은 수동 세팅을 권장하고 있다.
도 4를 참조한다. 상기 회전판(50)은 베어링(52)과 이 베어링(52)을 회전가능하게 받아들여서 지지하는 베어링홈(54)을 가지며, 테이블 기능을 하는 상기 받침대(60)의 상부에 노출되고 상기 이동대(40) 하부에 위치하여 받침대(60)에 대하여 이동대(40)를 회전시킨다. 이 회전은 인위적인 힘(수동)으로 할 수도 있고 상기 회전판(50)의 중앙에 모터(M)를 장착하고 모터 샤프트인 회전축(56)을 상기 이동대(40)의 하부에 고정하여 모터(M)의 회전력에 의하여 이동대(40)를 90°또는 임의의 각도로 회전시켜 작동할 수도 있다. 상기 베어링(52)을 가지는 회전판(50)은 인위적인 수동회전 방식(제 1실시예)과 모터(M) 장착의 전동회전 방식(제 2실시예)에서, 그 회전력을 회전판(50) 상부에 설치된 이동대(40)에 전달함으로써 걸림편(10),(12)이 회전하는 것이다. 따라서, 작업자는 목판(100)의 균일성과 작업 환경에 따라 무동력의 수동방식 또는 동력의 전동방식을 선택 적용하면 된다.
목판 촬영과 같은 문화유산 촬영은 수장고 공간에 근접하면서도 별도의 공간으로 조성된 촬영 스튜디오 공간에서 진행되는 것이 문화유산 보존 및 사진촬영 효율성 측면에서 타당하다. 그러나 국내의 대부분의 기관은 이런 별도의 촬영용 공간을 구비하고 있지 못하며, 문화유산 보존공간인 수장고(收藏庫)의 일부를 활용한다. 따라서 면적이 충분치 않으며 최소한의 면적 내에서 쵤영을 진행해야 한다. 본 발명의 목판 사진 촬영대는 이러한 국내 현실에 비추어 협소한 공간에서 신속하게 고품질 사진촬영을 완료해야 하는 필요성에 부합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목판용 사진 촬영대를 이용하여 목판의 정면을 촬영하는 일례를 나타내는 일부 생략 사시상태 설명도이다. 이 도면에서 목판(100)은 상기 한 쌍의 걸림편(10),(12)의 걸림턱(10a),(12a) 상에 걸려 있다. 이는 미리 파악한 목판(100)의 높이와 길이의 크기에 따라 상기 걸림편(10),(12)의 폭을 정하고, 목판(100)이 걸림턱(10a),(12a) 상에 놓여질 때에 상기 목판(100)의 경사도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깊이를 가지는 걸림턱(10a),(12a)을 선정하고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목판용 사진 촬영대를 이용하여 목판의 측면을 촬영하는 일례를 나타내는 일부 생략 측면상태 설명도이다. 여기에서는 상기 걸림편(10),(12)의 상면에 단순하게 목판(100)을 올려놓고 평면이나 배면을 촬영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이 경우, 투명한 걸림편(10),(12)은 촬영이 되지 않음으로써(색값 255), 후보정 작업이 불필요해지며 따라서 양질의 결과물을 신속하게 생산할 수 있도록 해준다.
도 7은 본 발명의 목판용 사진 촬영대를 이용하여 목판을 촬영하는 일례를 나타내는 일부 생략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목판용 사진 촬영대, 카메라, 조명기구를 이용하여 목판을 촬영하는 일례를 나타내는 일부 생략 사시도이다. 도 7은 수동식 방향전환 방식과는 다른 모터(M)를 사용하는 자동방식의 제 2실시예로서, 부호 30은 모터(M)를 설치한 방식의 촬영대에서 상기 걸림편(10),(12)의 각도 조정(회전방향 통제) 또는 모터의 속도를 조정하기 위한 컨트롤러이다. 이 컨트롤러(30)의 조정에 의하여 상기 이동대(40)가 회전하게 되고 이 이동대(40) 상의 슬라이드봉(42),(44)에 고정설치된 상기 연결 조정편(20),(22)이 회전하면 이 연결 조정편(20),(22)은 걸림편(10),(12)을 고정하고 있으므로 걸림편(10),(12)이 원하는 각도로 일방향으로 회전하고 컨트롤러(30)의 멈춤 조작에 의하여 90°또는 180°회전한 후 정지한다. 이 정지 상태에서 촬영이 이루어짐은 물론이고 이 자동 세팅은 비교적 가지런하게 만들어진 표준화된 목판(100)일 경우에 효율적임은 물론이다. 도 8에서 부호 70은 일반적인 기능의 카메라, 80은 조명기구이다.
이와 같이 상기 걸림편(10),(12)의 각도는 모터(M)에 의하여 조정되고, 각도 조정이란 예를들면 정면 촬영상태에서 좌(우)측면 촬영상태로의 변환, 또는 그 역(逆)을 의미하며, 제 2실시예에서의 모터(M)는 속도조절 모터(Speed Control Motor) 또는 소형 기어드 모터(Gear Head Motor)를 채택하였고, 콘트롤러를 통해 회전속도, 회전방향(시계, 반시계 방향), 정지기능, on/off 기능 등을 조작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일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 할 것이고, 발명의 상세한 설명 중 특정하지 않은 기술내용들은 청구의 범위에 포함시켜도 무방한 것으로 간주해야 할 것이다.
10,12 : 걸림편 100 : 목판
10a,12a : 걸림턱 20,22 : 연결 조정편
20a,22a : 고정구 30 : 컨트롤러
40 : 이동대 42,44 : 슬라이드봉
46 : 눈금 50 : 회전판
52 : 베어링 54 : 베어링홈
60 : 받침대 70 : 카메라
80 : 조명기구

Claims (9)

  1. 목판(100)을 올려놓고 촬영하기 위하여, 좌우편으로 일정 거리를 두고 배치되는 걸림턱(10a),(12a)을 가지는 한 쌍의 걸림편(10),(12)과,
    이 한 쌍의 걸림편(10),(12)을 다양한 크기의 목판에 대응하여 안정적으로 세우기 위하여, 이들 상호간의 거리 조정이 가능하도록 두 개의 슬라이드봉(42),(44)을 가지는 이동대(40)와,
    상기 이동대(40)를 회전가능하게 설치하는 회전판(50)과,
    상기 부품들을 지지하는 박스 형태의 받침대(6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판용 사진 촬영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걸림편(10),(12)은, 최상의 실루엣 촬영이 가능한 투명한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판용 사진 촬영대.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걸림편(10),(12)은, 최상의 실루엣 촬영이 가능한 투명한 아크릴재, 유리재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판용 사진 촬영대.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걸림편(10),(12)은, 그 하부 측에 한 쌍의 연결 조정편(20),(22)이 고정되는 구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판용 사진 촬영대.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대(40)는, 상기 한 쌍의 걸림편(10),(12) 사이의 간격(폭)을 정확하게 설정하기 위한 눈금(46)을 그 표면에 새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판용 사진 촬영대.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50)은, 상기 받침대(60)에 대하여 이동대(40)를 회전하기 위하여, 이동대(40) 하부에 위치함과 동시에 상기 받침대(60)의 상부에 노출되면서, 베어링(52)과 이 베어링(52)을 회전가능하게 받아들여서 지지하는 베어링홈(54)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판용 사진 촬영대.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50)은 회전축(56)을 가지는 모터(M)에 의하여 회전력을 발생하여 상기 이동대(40)를 90°또는 임의의 각도로 회전시켜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판용 사진 촬영대.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모터(M)는, 상기 걸림편(10),(12)의 각도 조정(회전방향 통제) 또는 모터의 속도를 조정하기 위한 컨트롤러(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판용 사진 촬영대.
  9. 청구항 7 또는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모터(M)는, 속도조절 모터, 소형 기어드 모터, 리버서블 모터, 브레이크 모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판용 사진 촬영대.
KR1020190140858A 2019-11-06 2019-11-06 목판용 실루엣 사진 촬영대 KR1022924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0858A KR102292442B1 (ko) 2019-11-06 2019-11-06 목판용 실루엣 사진 촬영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0858A KR102292442B1 (ko) 2019-11-06 2019-11-06 목판용 실루엣 사진 촬영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4783A true KR20210054783A (ko) 2021-05-14
KR102292442B1 KR102292442B1 (ko) 2021-08-24

Family

ID=759155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0858A KR102292442B1 (ko) 2019-11-06 2019-11-06 목판용 실루엣 사진 촬영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244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0940B1 (ko) 2021-08-23 2022-08-29 장선필 인쇄판 이미지 추출 방법
KR20240038228A (ko) 2022-09-16 2024-03-25 장선필 다색 광원을 이용한 인쇄판 이미지 추출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02927A (ja) * 1998-06-16 2000-01-07 Olympus Optical Co Ltd 自動雲台装置及びその支持構造体並びに撮影システム
KR200208650Y1 (ko) 2000-07-01 2001-01-15 김태홍 사진 촬영대
KR20120010706A (ko) * 2010-07-27 2012-02-06 김영기 전자기기의 거치대
KR20160025784A (ko) * 2014-08-28 2016-03-09 (주)이공감 입체 영상 촬영 장치
KR20180010170A (ko) * 2017-12-20 2018-01-30 한창엽 촬영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02927A (ja) * 1998-06-16 2000-01-07 Olympus Optical Co Ltd 自動雲台装置及びその支持構造体並びに撮影システム
KR200208650Y1 (ko) 2000-07-01 2001-01-15 김태홍 사진 촬영대
KR20120010706A (ko) * 2010-07-27 2012-02-06 김영기 전자기기의 거치대
KR20160025784A (ko) * 2014-08-28 2016-03-09 (주)이공감 입체 영상 촬영 장치
KR20180010170A (ko) * 2017-12-20 2018-01-30 한창엽 촬영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0940B1 (ko) 2021-08-23 2022-08-29 장선필 인쇄판 이미지 추출 방법
KR20240038228A (ko) 2022-09-16 2024-03-25 장선필 다색 광원을 이용한 인쇄판 이미지 추출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2442B1 (ko) 2021-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ohrer Photography and archaeology
KR20210054783A (ko) 목판용 실루엣 사진 촬영대
Walsh Rise and fall of the post-photographic museum: Technology and the transformation of art
Cosentino Macro photography for reflectance transformation imaging: A practical guide to the highlights method
Brusila Realismista fiktioon. Visuaalisuus ja suomalaiset aikakauslehdet.
Levine The template of photography in nineteenth-century architectural representation
Kohl Revisioning Art History: how a century of change in imaging technologies helped to shape a discipline
Schuman Construction Sight: How a Generation of Artists is Re-Ordering the Building Blocks of Photography
Diprose et al. An alternative method of very long-term conservation of digital images and their historical context for the archive, University College, Oxford
JP3181070U (ja) 紙書籍をページ撮影するための書籍載置台およびこれ用いた紙書籍撮影装置
Fessel The glass plates of Ludwig Bickell: Invaluable sources for art history and the history of photography, for conservation and cultural studies
Stigter Reflections on the Artist Interview and the Conservator’s Point of View by Example of Ger van Elk
Newhall PHOTOSCULPTURE.
Rebel The Technical gaze: the parallel world of Photography
Le Blanc The Reality of (Photographs of) Abstraction
CN2169151Y (zh) 立体彩色摄影放大机
Ide et al. Technology for digitalizing pictorial data of Japanese swords
Buddeus Enlarged Details and Close-up Views: Art Reproduction in 1930s Czechoslovakia
Piironen Poetry through pictures
Smith Collating Machine, Poor Man's, Mark VII
Keith Carel Fabritius’‘A View in Delft’: Some Observations on its Treatment and Display
RU2415633C1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фотографической репродукции экспоната
MacFarlane Pictures of an exhibition
Stirling Peter Le Neve Foster and photography
Edwards A Photo-pioneer in Batavi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