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8488Y1 - 물장화 - Google Patents

물장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8488Y1
KR200208488Y1 KR2020000020663U KR20000020663U KR200208488Y1 KR 200208488 Y1 KR200208488 Y1 KR 200208488Y1 KR 2020000020663 U KR2020000020663 U KR 2020000020663U KR 20000020663 U KR20000020663 U KR 20000020663U KR 200208488 Y1 KR200208488 Y1 KR 20020848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king
water
boots
mud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06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문철
Original Assignee
정문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문철 filed Critical 정문철
Priority to KR20200000206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848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848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8488Y1/ko

Links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주로 갯벌이나 논, 밭 등에서 사용하는 물장화에 관한 것으로서, 기존의 물장화에 비하여 보행시 발바닥에 가해지는 통증을 대폭 완화시킬 수 있으며, 논슬립(non-slip) 기능 강화 및 착화 및 탈화상의 편의성 향상, 지압기능 등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개량된 물장화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즉,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물장화(1)는 하측 내면부에 공기유로(5)를 형성하여 땀 등의 분비물 발생을 억제하여 착화 및 탈화가 극히 용이하고 갯벌 등에서 보행시에 분리가 용이하여 보행상의 편익도 동시에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바닥면(2)에 형성된 다수개의 돌부(3) 및 이음돌부(4)에 의해 보행시 돌 등으로 인한 발바닥의 통증유발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고, 보행시 발바닥의 주요 경혈(經穴)을 자극하여 지압효과도 득할 수 있으며, 갯벌이나 진흙탕 등 표면장력이 높은 작업현장 등에서 보행할 시에 쉽게 물장화(1)가 분리되어 보행상의 편익제공과 함께 보행시 논슬립 효과도 제공하게 되는 것이며, 염가공급이 가능하면서도 물장화(1)의 바닥면(2) 내구성은 일층 증대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물장화{Water proof-boots for the farm}
본 고안의 주로 갯벌이나 논, 밭 등에서 사용하는 물장화에 관한 것으로서, 기존의 물장화에 비하여 보행시 발바닥에 가해지는 통증을 대폭 완화시킬 수 있으며, 논슬립(non-slip) 기능 강화 및 착화 및 탈화상의 편의성 향상, 지압기능 등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개량된 물장화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통상적으로 갯벌과 같은 진흙탕, 논, 밭 등에서 사용되고 있는 물장화는 착용자의 발바닥이 연접하는 바닥면의 두께가 상당히 얇아 사용자가 다수의 불편을 감수해야 했었다.
즉, 보행시 바닥면에 돌 등이 있을 경우 착용자의 발바닥에 통증이 그대로 가해져 심한 통증을 유발하는 경우가 많았고, 발바닥부가 찢어지는 등의 손상이 빈번하였던 것이다.
그리고 갯벌 등과 같은 진흙 속에서 물장화를 착용한 채 보행을 하려고 하면 표면장력이 높은 갯벌 등과 물장화가 밀착상태를 유지하여 물장화가 갯벌 등에서 쉽게 분리되지 않아 보행 등을 함에 있어서 상당한 어려움이 있었으며, 또한 바닥면이 평활면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보행시 슬립되는 폐단도 빈번한 문제점이 있고, 물장화의 발목부분은 통상 발목과 조임이 강하도록 제조되고 있으나, 이는 보행시에는 유리한 이점이 있는 반면에 물장화를 탈화 시에는 발이 쉽게 분리되지 않아 탈화 시에 특히 상당한 애로가 있었던 것이다.
상기한 종래의 물장화가 갖는 보행시 발바닥 통증유발과 같은 문제점, 착화 및 탈화상의 문제점, 보행상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바닥부에 다양한 형상의 요철 등을 형성하고자 하는 당해 업계의 상당한 노력이 있었으나, 물장화 성형시 요철을 형성할 경우 기포현상이 심하게 발생하여 양질의 제품이 제조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고, 또한 두께의 부분편차 등이 심하게 발생하고, 물장화 성형을 위한 코어를 금형으로부터 탈형하기 위한 장치상의 제반 문제점, 그리고 물장화를 성형하기 위한 재료인 라텍스 등과 같은 합성고무 및 제품의 이젝팅을 용이하게 수행하기 위한 약품 배합상의 문제점 및 금형에도 요철을 형성하기 위한 대응 요철을 형성하여야 하는 등의 금형 구조상의 문제점도 원가앙등의 요인으로 작용하였으며, 또한 물장화 성형 후 건조시 온도변화 등에 따른 수축률 등을 종합적으로 감안하여야 하기 때문에 물장화의 기능 향상은 아직까지도 당해업계에서는 요원한 실정이었던 것이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기존의 물장화가 갖는 제반 문제점, 즉 물장화의 바닥면 두께가 얇아서 발바닥의 통증유발 및 제품의 내구성 저하 및 착화 및 탈화상의 문제점, 그리고 보행상의 불편 등을 동시에 해결하고 더불어 지압기능 등도 부여하며, 염가로 제조될 수 있는 물장화를 제공함에 고안의 기술적 과제를 두고 본 고안을 완성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요부를 발췌한 단면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의 요부를 발췌한 확대 단면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
1:물장화 2:바닥면
3:돌부 4:이음돌부
5:공기유로
도 1은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개량된 물장화(1)의 전체구성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단면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의 요부를 확대한 발췌 단면도 등으로서, 이를 통하여 본 고안의 구성 등을 이하에 상세히 설명키로 한다.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물장화(1)는 라텍스 등과 같은 합성고무 또는 천연 생고무 등을 원재료로 하여 금형에서 코어와 함께 성형구성되는 것으로서, 본 고안의 물장화(1)는 바닥면(2)에 소정 간격으로 다수개의 돌부(3)를 형성한다.
상기 돌부(3)의 형상은 도시한 예에서는 반구형 등으로 예시하고 있으나, 이의 형상은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실시할 수 있는 것이며, 바닥면(2)의 길이방향으로 이웃하는 돌부(3) 상간에는 이음돌부(4)를 형성한다. 상기 돌부(3)의 높이는 바람직하기로는 약 10mm 정도로 한다.
그리고 물장화(1)의 하측 내면부에는 물장화(1)를 착탈시 편익을 제공하기 위하여 공기가 유통될 수 있는 공기유로(5)를 형성한다.
참고로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물장화(1)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라텍스(60% 고무, 40% 물)나 생고무(100% 고무) 등을 원재료로 하여 강화재로 사용되는 아연화, 그리고 유황, 가황촉진제, 분산제, 산도조절제, 색소, 계면활성제 등을 첨가하여 골고루 배합한 후 코어가 결합된 몰드에 주입하여 물장화를 성형하게 되는데,
본 고안의 경우 상기 다수개의 돌부(3)가 이음돌부(4)와 연결되어 있어 물장화 성형용 코어를 탈형 시에 기포현상 등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고, 더불어 바닥면(2)의 두께강화로 물장화(1)의 내구성이 대폭 증대된 물장화(1)를 제조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될 수 있는 본 고안의 물장화(1)는 우선 착화 및 탈화 시에 상당한 편익을 제공하게 되는데, 이는 물장화(1)의 측면부에 공기유로(5)가 형성되어 있어 보행시 상기 공기유로(5)가 신축작용을 하면서 물장화(1) 내에서 발생되는 땀 등의 분비물 생성을 억제하게 되어 착화 및 탈화 시의 편익을 제공하는 것이며, 특히 발목부위가 조임이 강하게 제조되는 물장화(1)를 탈화 시에 공기유로(5)로 공기가 일부만 유입되어도 탈화는 아주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공기유로(5)는 갯벌, 진흙탕 등에서 보행 시에는 공기유로(5)가 보행자의 유동에 따른 신축적인 탄력성을 갖고 유동함으로 인하여 갯벌 내에서 물장화(1)를 신고 보행코자 할 시에 갯벌과 물장화(1) 접촉면 상간에 공간을 자연스럽게 형성하여 물장화(1)를 신은 상태에서 갯벌 등에서 발의 분리가 용이하여 보행상의 편익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바닥면(2)에는 다양한 형상의 다수개의 돌부(3)가 이음돌부(4)와 함께 형성되어 있어 보행시 돌 등을 족답하게 되더라도 발바닥에 가해지는 통증을 대부분 완충할 수 있는 것이며, 발바닥의 주요 경혈(經穴)을 돌부(3)와 이음돌부(4)가 부드럽게 자극하여 지압효과를 득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갯벌이나 진흙탕 등 표면장력이 높은 작업현장 등에서 쉽게 물장화(1)가 분리되어 보행상의 편익제공과 더불어 바닥면(2)이 평탄면으로 구성되어 보행시 쉽게 슬립되는 폐단도 돌부(3)에 의해 최대한 방지되어 물장화(1)를 착용한 후 작업을 행할 시에 작업의 편의성도 일층 배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물장화(1)는 하측 내면부에 형성된 공기유로(5)에 의해 땀 등의 분비물 발생을 억제하여 착화 및 탈화가 극히 용이하고 갯벌 등에서 보행시에 분리가 용이하여 보행상의 편익도 동시에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바닥면(2)에 형성된 다수개의 돌부(3) 및 이음돌부(4)에 의해 보행시 돌 등으로 인한 발바닥의 통증유발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고, 보행시 발바닥의 주요 경혈(經穴)을 자극하여 지압효과도 득할 수 있으며, 갯벌이나 진흙탕 등 표면장력이 높은 작업현장 등에서 보행할 시에 쉽게 물장화(1)가 분리되어 보행상의 편익제공과 함께 보행시 논슬립 효과도 제공하게 되는 것이며, 염가공급이 가능하면서도 물장화(1)의 바닥면(2) 내구성은 일층 증대할 수 있는 등 그 기대되는 효과가 다대한 것이다.

Claims (1)

  1. 고무재로 이루어지는 통상의 물장화(1)에 있어서;
    상기 물장화(1)의 바닥면(2)에는 다수개의 돌부(3)와, 상기 이웃하여 형성되는 돌부(3) 상간에는 이음돌부(4)가 형성되며;
    상기 물장화(1)의 하측 발목부가 위치하는 내면부에는 공기유로(5)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장화.
KR2020000020663U 2000-07-19 2000-07-19 물장화 KR20020848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0663U KR200208488Y1 (ko) 2000-07-19 2000-07-19 물장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0663U KR200208488Y1 (ko) 2000-07-19 2000-07-19 물장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8488Y1 true KR200208488Y1 (ko) 2001-01-15

Family

ID=730861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0663U KR200208488Y1 (ko) 2000-07-19 2000-07-19 물장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848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757774A (en) Massage sandal
US9038201B2 (en) Non-slip footwear
US20080184592A1 (en) Adaptable Shoe Cover
US1560995A (en) Sole
ATE106682T1 (de) Innensohle für einen schuh.
KR200208488Y1 (ko) 물장화
KR20110004572A (ko) 건강을 위한 신발 밑창
CN203986370U (zh) 一种新型驾车鞋
TWM526299U (zh) 襪鞋
CN206333447U (zh) 一种防滑按摩型错齿凸纹鞋底
CN106579653A (zh) 一种tpu弹性体与pu混合体制成的保健按摩鞋垫
CN205321229U (zh) 一种袜身长度可变的袜子
ITPD20010167A1 (it) Metodo di fabbricazione di una calzatura sportiva del tipo a tacchetti e calzatura cosi' ottenuta.
RU55258U1 (ru) Открытая обувь
CN212678491U (zh) 一种防水防滑活扣收紧的鞋子
RU2320247C2 (ru) Открытая обувь
CN212036280U (zh) 一种轻便防滑鞋底
CN204969727U (zh) 多色多硬度一次成型发泡鞋底
KR200362938Y1 (ko) 다용도 신발
CN220088710U (zh) 一种超轻柔软橡胶鞋底
TWI302444B (ko)
KR200351287Y1 (ko) 길이 조절이 가능한 신발창
CN219270273U (zh) 一种舒适度高的胶鞋
CN210130402U (zh) 一种防护雨靴
CN210672268U (zh) 一种儿童鞋底易弯折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