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8302Y1 - 음료의 냉각 및 가열장치 - Google Patents

음료의 냉각 및 가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8302Y1
KR200208302Y1 KR2020000020268U KR20000020268U KR200208302Y1 KR 200208302 Y1 KR200208302 Y1 KR 200208302Y1 KR 2020000020268 U KR2020000020268 U KR 2020000020268U KR 20000020268 U KR20000020268 U KR 20000020268U KR 200208302 Y1 KR200208302 Y1 KR 20020830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verage
beverage container
cooling
rotor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026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순용
Original Assignee
정순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순용 filed Critical 정순용
Priority to KR202000002026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830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830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8302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1/00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 F25D31/006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oling receptacles, e.g. tanks
    • F25D31/007Bottles or c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25D11/04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deep-frozen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금속캔이나 유리병등의 음료용기에 담겨 있는 음료를 용기와 함께 급속히 냉각시키거나 가열시키도록 하는 음료의 냉각 및 가열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펠티어 효과(Peltier effect)를 이용한 써모모듈(Thermoelectric module)을 음료용기 외측에 다수개를 다단으로 밀착시키고, 상기 음료용기를 회전시킴으로써 써모모듈과 음료용기 사이의 열전도로 인하여 내부음료가 냉각되거나 가온되게 한 것으로, 빠른시간에 음료의 냉각이나 가온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음료의 냉각 및 가열장치{Cooling and heating equipment of a beverage}
본 고안은 금속캔이나 유리병등의 음료용기에 담겨 있는 음료를 용기와 함께 급속히 냉각시키거나 가열시키도록 하는 음료의 냉각 및 가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음료용기에 담긴 음료는 음료의 종류나 상황에 따라서 차갑게 하거나 뜨겁게 하여 마시는 경우가 많으며, 이를 위하여 음료를 냉장고나 온장고에 넣어 보관하고 있다.
그러나 냉장고나 온장고가 준비되어 있지 않거나 준비는 되어 있더라도 음료를 넣어 놓지 않았을 경우 단시간에 차갑거나 뜨거운 음료를 마실 수 없는 것이었다.
즉 냉장고나 온장고는 음료온도를 낮추거나 높힐 수는 있으나 원하는 온도까지 낮추거나 올리기 위해서는 상당한 시간이 걸리게 되므로 미리 준비해 놓지 않고는 단시간에 원하는 온도로 음료를 마실 수 없다.
본 고안은 금속캔이나 유리병 등의 음료용기에 담긴 음료를 음료용기와 함께 급속히 냉각시키거나 가온시켜 단시간에 원하는 온도의 음료를 마실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본 고안은 펠티어 효과(Peltier effect)를 이용한 써모모듈(Thermoelectric module)을 음료용기 외측에 다수개를 다단으로 밀착시키고, 상기 음료용기를 회전시킴으로써 써모모듈과 음료용기 사이의 열전도로 인하여 내부음료가 냉각되거나 가온되게 한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의 실시예 평면도
도 2 는 본 고안의 회전자 회전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3 은 본 고안의 회전자 일부절결 평면도
도 4 는 본 고안의 실시예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회전판 2 : 홀더 3 : 음료용기
4 : 고정판 5 : 전자석 10 : 회전자
11 : 회전축 12 : 영구자석 13 : 써모모듈
14 : 힌지
본 고안은 음료용기(3)가 놓여져 홀더(2)로 고정되고 도시되지 아니한 동력발생원으로부터 동력을 전달 받아 회전하는 회전판(1)과, 상기 회전판(1)외측의 고정판(4)에 회전축(11)으로 결합되고 음료용기(3)에 외접되게 설치되는 회전자(10)와, 상기 회전자(10)의 선단에 결합되고 음료용기(3)와 밀착되며 전류공급 방향에 따라 열을 발생하거나 흡수하는 써모모듈(13)과, 상기 회전자(10)의 타측 선단에 고정된 영구자석(12)을 당기거나 밀어주는 전자석(5)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회전자(10)의 선단 일측에 음료용기(3)와 접촉되게 설치된 써모모듈(13)은 두 종류의 금속이나 반도체를 접속하여 전류의 흐름을 변화시킴에 따라 접합부에서 열을 흡수나 발생이 일어나게 되는 펠티에 효과를 이용하게 된다.
회전자(10)는 중간에 힌지(14)를 설치하여 써모모듈(13)이 도 3 의 화살표방향으로 회전되게 한다.
영구자석(12)은 전자석(5)의 극성에 따라 서로 반발력이 생기거나 인력이 발생되어 회전축(11)을 중심으로 써모모듈(13)이 음료용기(3)와 접촉되게 하거나 떨어지게 한다.
상기 회전자(10)는 고정판(4)에 수개를 설치하되 상하방향으로도 수개를 설치하여 음료용기(3)에 닿는 써모모듈(13)의 숫자를 눌려주며, 써모모듈(13)의 갯수에 따라 냉각 또는 가열시간이 변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의 본 고안에서 음료용기(3)와 음료를 냉각시키는 과정을 살펴본다.
냉각을 위해서는 써모모듈(13)이 음료용기(3)와 접촉하는 부분에서 열의 흡수가 이루어지도록 써모모듈(13)에 공급되는 전류의 방향을 설정하여야 한다.
그리고 전자석(5)을 작동시켜 전자석(5)의 극성이 영구자석(12)의 극성과 동일하게 하면 영구자석(12)과 전자석(5)사이는 반발력이 작용하게 되고 이에 따라 회전자(10)는 회전축(11)을 중심으로 써모모듈(13)이 음료용기(3)와 멀어지는 쪽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상태에서 음료용기(3)를 회전판(1)위의 홀더(2)에 끼워주고, 전자석(5)의 극성을 변화시키면 영구자석(12)과 전자석(5)사이는 흡인력이 발생하고 이에 따라 회전자(10)가 회전하여 음료용기(3)의 외측에 써모모듈(13)을 접촉시키게 된다.
이때 음료용기(3)의 곡면진 부분에서는 써모모듈(13)이 잘 밀착되지 않으므로 힌지(14)를 이용하여 약간 회전시킴으로써 써모모듈(13)이 음료용기(3)와 밀착되게 한다.
그리고 회전판(1)을 회전시키면 음료용기(3)는 수개의 써모모듈(13)이 외측에 접촉되어진 채로 회전하게 되고, 써모모듈(13)의 접촉면에서 음료용기(3)의 열을 빼앗아가게 되므로 음료용기(3)와 내장된 음료는 급속도로 냉각되게 된다.
음료용기(3)의 냉각이 아닌 가열을 원할 경우는 써모모듈(13)에 인가되는 전류의 방향을 반대로 하여 음료용기(3)와 접촉하는 써모모듈(13)의 접촉면에서 열이 발생하도록 하면 된다.
음료용기(3)와 음료의 온도가 충분히 냉각되면 회전판(1)의 회전을 정지시키고 전자석(5)에 인가되는 전류의 방향을 바꾸어 전자석(5)의 극성을 영구자석(12)과 같게 하여 회전자(10)를 회전시킴으로써 써모모듈(13)이 음료용기(3)와 떨어지게 한다.
그리고 음료용기(3)를 꺼내어 마시면 된다.
본 고안은 음료용기에 담긴 음료를 단시간에 차갑게 하거나 데워줄 수 있어 찬음료나 더운음료를 준비 해 놓지 않고도 차갑거나 뜨거운 음료를 마실 수 있다.
특히 본 고안은 써모모듈에 인가되는 전류의 방향을 전환시킴에 따라 음료를 차갑게 하거나 뜨겁게 할 수 있다.
그리고 다수개의 써모모듈이 다층을 이루며 음료용기에 접촉되어 열의 전도가 빠르게 이루어지므로 찬음료와 더운음료를 효과적으로 마실 수 있다.

Claims (2)

  1. 음료용기(3)가 놓여지고 회전하는 회전판(1)과,
    회전판(1)에 설치되어 음료용기(3)의 하측면을 잡아주는 홀더(2)와,
    상기 회전판(1)의 외측에 고정된 고정판(4)이 회전축(11)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일측이 음료용기(3)에 다단으로 밀착되는 다수개의 회전자(10)와,
    상기 회전자(10)의 선단에 고정되어 음료용기(3)와 밀착되고 전류방향에 따라 열을 흡수 또는 방열시키는 써모모듈(13)과,
    상기 회전자(10)의 타측에 고정된 영구자석(12)을 당기거나 밀어주는 전자석(5)을 구비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의 냉각 및 가열장치.
  2. 제 1 항에서, 회전자(10)의 써모모듈(13)이 설치된 부분은 회전자(10)와 힌지(14)로 결합되어 좌,우방향의 회전이 가능하게 구성한 음료의 냉각 및 가열장치.
KR2020000020268U 2000-07-14 2000-07-14 음료의 냉각 및 가열장치 KR20020830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0268U KR200208302Y1 (ko) 2000-07-14 2000-07-14 음료의 냉각 및 가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0268U KR200208302Y1 (ko) 2000-07-14 2000-07-14 음료의 냉각 및 가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8302Y1 true KR200208302Y1 (ko) 2000-12-15

Family

ID=196650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0268U KR200208302Y1 (ko) 2000-07-14 2000-07-14 음료의 냉각 및 가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830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3371B1 (ko) * 2012-02-06 2013-11-28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급속 캔 냉각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3371B1 (ko) * 2012-02-06 2013-11-28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급속 캔 냉각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76161B1 (ko) 열전소자를 이용한 저장고
EP2327944B1 (en) Packaged beverage temperature adjustment device
WO2006064432A1 (en) A thermoelectric cooling/heating appliance
EP1166641B1 (en) Ice cream machine
CN105241177A (zh) 饮料速冷装置
WO2016029284A1 (pt) Dispositivo térmico para produtos sólidos e líquidos
KR200208302Y1 (ko) 음료의 냉각 및 가열장치
CN210383677U (zh) 一种温差发电芯片的控温装置、液体容器及导散热装置
KR20100009599U (ko) 휴대용 쿨링 및 히팅 장치
US20050274119A1 (en) Thermoelectric chiller/warmer of contained substance
KR20080057837A (ko) 음료용기의 급속냉각장치
CN210383678U (zh) 一种可位移的热传导装置及使用其的液体容器
JPH05161546A (ja) 電気ポット
JP3154096U (ja) 容器入り飲料温度調節装置
GB9909216D0 (en) A trim cooler
CN215383033U (zh) 冷热杯座
KR101590312B1 (ko) 열전소자를 이용한 냉온 보온용기용 회전식 스위치 장치
KR200381100Y1 (ko) 음료 공급기
JP3246488U (ja) 急速冷却器
KR20190036884A (ko) 컵 가열냉각장치
KR950005863Y1 (ko) 음료수 용기 온 · 냉각기
KR100614532B1 (ko) 음료 공급기
KR200159204Y1 (ko) 펠티어 소자를 이용한 아이스크림 제조기
US20210180858A1 (en) Cooling Assembly for Drink Container
JPH0814725A (ja) 車両用冷温蔵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1012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