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8153Y1 - 광차전차의 원격운전시스템 - Google Patents

광차전차의 원격운전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8153Y1
KR200208153Y1 KR2020000021927U KR20000021927U KR200208153Y1 KR 200208153 Y1 KR200208153 Y1 KR 200208153Y1 KR 2020000021927 U KR2020000021927 U KR 2020000021927U KR 20000021927 U KR20000021927 U KR 20000021927U KR 200208153 Y1 KR200208153 Y1 KR 20020815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terminal
microprocessor
unit
relay
tr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19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만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경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경동 filed Critical 주식회사경동
Priority to KR20200000219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815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815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815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3/00Other railway systems
    • B61B13/10Tunnel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광산용 전차의 전차공이 리모콘으로 직접 전차를 운전할 수 있도록 하여 운전조작에 필요한 인력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광차전차의 원격운전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는 광차운전시 광차전차 운전용 전차공과 다른 칸의 연결분리 작업을 하는 조수 등 2인이 탑승하도록 이루어져 불필요한 인력낭비가 있었다.
본 고안은 마이크로프로세서(11)의 일측 입력단에는 키신호제어부(12)를 매개로 운전에 필요한 각종 스위치를 구비하고 있는 스위치부(13)가 연결됨과 아울러 다른 입력단에는 인식신호발생부(14)와 발진부(15)가 각각 연결되고,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0)의 출력단에는 통신인터페이스부(16)를 매개로 RF송신부(17)가 연결되어 이루어진 원격송신제어장치(10); 마이크로프로세서(21)의 일측 입력단에는 통신인터페이스부(22)를 매개로 RF송신부(23)가 연결됨과 아울러 다른 입력단에는 인식신호발생부(24)와 발진부(25)가 각각 연결되고,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21)의 출력단에는 제어신호출력부(26)를 매개로 광차전차 조작에 필요한 각종 계전기를 구비하고 있는 계전기구동부(27)가 연결되어 이루어진 원격수신제어장치(20)로 이루어져 광차전차를 근거리 무선으로 운전할 수 있도록 된 고안임.

Description

광차전차의 원격운전시스템{Remote Control System of Electric Car used in Mine Field}
본 고안은 광산에서 광부와 광물의 주요 운반수단으로 사용되며 전기적 수단으로 작동되는 광차전차의 원격으로 제어하도록 하는 광차전차의 원격운전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운전수가 리모콘으로 직접 광차전차를 운전할 수 있도록 하여 운전조작에 필요한 인력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광차전차의 원격운전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광산이나 탄광에서는 광석, 석탄, 폐석 등이나 사람을 운반하기 위하여 케이지, 스타 등을 로우프에 매어 놓고 그 로우프의 다른 한쪽 끝을 드럼에 감고 그 드럼을 회전시켜서 로우프를 감았다 풀었다함으로서 케이지, 스타 등의 상하운동 혹은 광차열차의 왕복운동을 통해 운반의 목적을 달성하는 권양기를 사용하거나, 전기적 동력으로 작동되는 광차전차를 사용하게 된다.
광차전차는 전기적 동력으로 작동되는 것으로, 종래의 광차전차는 전차공과 조수가 2인 1조가 되어 광차전차를 운전하게 되는데, 전차공은 주로 광차전차를 운전(전,후진, 정지, 속도 증감)하는 역할을 하고 조수는 광차전차의 뒷단에 다음 칸을 연결하거나 분리하는 등의 업무를 수행하는 분업화된 업무를 수행하고 있기 때문에 반드시 2명이 탑승하여 운전 및 기능조작을 하도록 되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광차전차의 운전수가 광차전차를 원격으로 조정으로 운전하면서 후단의 광차전차를 연결 및 분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광차전차의 연결 및 분리를 위해 필요하던 조수가 불필요하게 되어 인력을 절감할 수 있도록 된 광차전차의 원격운전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함에 고안의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원격송신제어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원격수신제어장치의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원격송신제어장치, 11 -- 마이크로프로세서,
12 -- 키신호제어부, 13 -- 스위치부,
14 -- 인식신호발생부, 15 -- 발진부,
16 -- 통신 인터페이스, 17 -- RF송신부,
18 -- 램프, 19 -- 충전부,
20 -- 원격수신제어부, 21 -- 마이크로프로세서,
22 -- 통신 인터페이스, 23 -- RF수신부,
24 -- 인식신호발생부, 25 -- 발진부,
26 -- 제어신호출력부, 27 -- 계전기구동부.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마이크로프로세서(11)의 일측 입력단에는 키신호제어부(12)를 매개로 전진스위치(SW1), 후진스위치(SW2), 중립스위치(SW3), 속도설정스위치(SW4) 및 전원스위치(SW5)를 구비하고 있는 스위치부(13)가 연결됨과 아울러 다른 입력단에는 인식신호발생부(14)와 발진부(15)가 각각 연결되고,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0)의 출력단에는 통신인터페이스부(16)를 매개로 RF송신부(17)가 연결되어 이루어진 원격송신제어장치(10); 마이크로프로세서(21)의 일측 입력단에는 통신인터페이스부(22)를 매개로 RF송신부(23)가 연결됨과 아울러 다른 입력단에는 인식신호발생부(24)와 발진부(25)가 각각 연결되고,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21)의 출력단에는 제어신호출력부(26)를 매개로 전진용 계전기(RY1), 후진용 계전기(RY2), 중립용 계전기(RY3), 1단속도설용 계전기(RY4), 2단속도설용 계전기(RY5), 3단속도설용 계전기(RY6), 4단속도설용 계전기(RY7)를 구비하고 있는 계전기구동부(27)가 연결되어 이루어진 원격수신제어장치(20)로 이루어져 있다.
이하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원격송신제어장치의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원격송신제어장치(10)는 전차공이 휴대하여 원격으로 광차전차를 운전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여기서, 마이크로프로세서(11)의 일측 입력단에 키신호제어부(12)를 매개로 연결되어 있는 스위치부(13)는 광차전차를 전진준비상태로 전환시키기 위한 전진스위치(SW1), 광차전차를 후진준비상태로 전환시키기 위한 후진스위치(SW2), 광차전차를 전진 또는 후진 준비상태에서 정지상태로 설정하기 위한 중립스위치(SW3), 광차전차를 전진 또는 후진준비 상태에서 스위치를 누를 때마다 속도를 단계별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속도설정스위치(SW4) 및 원격송신제어장치(10) 전체의 작동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는 전원스위치(SW5)로 이루어져 있다.
키신호제어부(12)는 비트 오아회로로 구성되어 스위치부(13)의 각 키신호를 구분하여 마이크로프로세서(11)로 전달한다.
마이크로프로세서(11)의 다른 입력단에는 인식신호발생부(14)와 발진부(15)가 연결되어 있는데, 인식신호발생부(14)는 당해 원격송신제어장치(10)와 대응되는 원격수신제어장치(20)만이 서로 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게 하기 위하여 원격송신제어신호에 고유인식신호를 포함시키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마이크로프로세서(11)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는 원격제어하고자 하는 키신호와 함께 고유 인식신호가 포함되어 전송된다. 이는 후술되는 바와 같이 상기 고유 인식신호와 일치되는 고유인식번호를 갖고 있는 원격수신제어장치(20)만이 상기 원격제어신호에 대응되어 동작되도록 하고 또다른 원격송신제어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원결제어신호에 의거 오작동이 일어나지 않게 하기 위함이다.
발진부(15)는 마이크로프로세서(11)에서 동기를 취하기 위하여 사용될 주기적인 작동신호를 발생시켜 마이크로프로세서(11)로 입력시키는 작용을 한다.
위와 같은 작용으로, 마이크로프로세서(11)에서 출력되는 고유 인식신호가 포함된 키신호는 통신 인터페이스(16)를 매개로 RF전송신부(17)로 출력되어 RF신호로써 무선송출된다. 여기서 통신 인터페이스(16)는 예컨대, 데이터단말장치와 모뎀이나 데이터 집선장치와 같은 데이터 회선 종단 장치를 서로 접속하기 위한 전기규격으로서 중앙처리기구와 주변 장치와의 사이에서 제어신호나 데이터의 상호 통신을 위한 표준 인터페이스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RS-232 회로이다.
키신호제어부(12)에 연결되어 있는 램프(18)는 키조작 상태와 충전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것으로, 키조작시 적색으로 점멸하는 한편 충전부(19)가 충전중인 경우에는 황색으로 점등되고 충전완료후에는 녹색으로 점등되도록 이루어진 것이다.
한편, 충전부(19)는 외부로 부터 직류전압을 공급받아 자체의 배터리에 충전함과 아울러 충전전원을 원격송신제어장치(10) 전체에 작동전원으로서 공급하는 작용을 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원격수신제어장치의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원격수신제어장치(20)는 원격송신제어장치(10)에서 무선송출되는 RF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RF수신부(23)가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RF수신부(23)에서 수신되는 원격제어신호는 예컨대 RS-232 회로로 이루어진 통신 인터페이스(22)를 통해 디지탈신호로서 마이크로프로세서(21)로 입력된다.
마이크로프로세서(21)는 수신된 원격제어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고유 인식신호와 자체의 한 입력단에 연결되어 있는 인식신호발생부(24)로부터 입력되는 고유 인식신호를 비교하여 일치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의 판단결과 고유 인식신호가 일치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신호출력부(26)를 통해 계전기구동부(27)로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그 제어신호에 해당되는 계전기를 작동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작동되는 원격송신제어장치(10)와 원격수신제어장치(20)의 작동상 안전을 위한 장치로서, 전진 및 후진신호는 전진스위치((SW1) 또는 후진스위치(SW2)를 한번 누를때마다 발생되어 원격수신제어장치(20)로 전송되고 이에 따라 속도가 1단에서부터 서행으로 출발하여 4단으로 점차적으로 증가하도록 구성함으로써 급발진에 따른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원격수신제어장치(20)에서는 원격송신제어장치(10)의 전원스위치(SW5)가 오프된 것으로 판단되면 광차전차를 정지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게 되며, 광차전차와 원격송신제어장치(10)가 원거리에 있어 전파가 미약하면 광차전차를 정지시키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이와 더불어 광차전차를 운전중에 원격송신제어장치(10)의 주파수가 아닌 방해전파 또는 혼신등의 영향을 받으면 광차전차를 정지시키도록 제어한다.
미설명된 램프(28)는 원격수신제어장치(20)가 원격송신제어장치(10)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계전기구동신호를 출력할 때마다 점등되어 이의 작동상태를 표시하도록 이루어진 것이고, 정전압전원부(29)는 외부로부터 직류전압을 공급받아 원격수신제어장치(20)의 구동에 필요한 정전압을 발생시키는 정전압전원부(29)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전차공이 원격송신제어장치(10)를 휴대하여 광차전차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광차전차의 운전과 동시에 뒷칸을 연결하거나 분리할 수 있게 되어 별도의 조수가 탑승하지 않아도 됨에 따라 인력을 절감할 수 있고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1)

  1. 마이크로프로세서(11)의 일측 입력단에는 키신호제어부(12)를 매개로 전진스위치(SW1), 후진스위치(SW2), 중립스위치(SW3), 속도설정스위치(SW4) 및 전원스위치(SW5)를 구비하고 있는 스위치부(13)가 연결됨과 아울러 다른 입력단에는 인식신호발생부(14)와 발진부(15)가 각각 연결되고,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0)의 출력단에는 통신인터페이스부(16)를 매개로 RF송신부(17)가 연결되어 이루어진 원격송신제어장치(10); 마이크로프로세서(21)의 일측 입력단에는 통신인터페이스부(22)를 매개로 RF송신부(23)가 연결됨과 아울러 다른 입력단에는 인식신호발생부(24)와 발진부(25)가 각각 연결되고,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21)의 출력단에는 제어신호출력부(26)를 매개로 전진용 계전기(RY1), 후진용 계전기(RY2), 중립용 계전기(RY3), 1단속도설용 계전기(RY4), 2단속도설용 계전기(RY5), 3단속도설용 계전기(RY6), 4단속도설용 계전기(RY7)를 구비하고 있는 계전기구동부(27)가 연결되어 이루어진 원격수신제어장치(20)로 이루어져 광차전차를 근거리 무선으로 운전할 수 있도록 된 광차전차의 원격운전시스템.
KR2020000021927U 2000-08-01 2000-08-01 광차전차의 원격운전시스템 KR20020815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1927U KR200208153Y1 (ko) 2000-08-01 2000-08-01 광차전차의 원격운전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1927U KR200208153Y1 (ko) 2000-08-01 2000-08-01 광차전차의 원격운전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8153Y1 true KR200208153Y1 (ko) 2000-12-15

Family

ID=196667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1927U KR200208153Y1 (ko) 2000-08-01 2000-08-01 광차전차의 원격운전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815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6189B1 (ko) 2007-12-06 2009-07-03 (주)이건산전 전동차 냉각팬 모터 제어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6189B1 (ko) 2007-12-06 2009-07-03 (주)이건산전 전동차 냉각팬 모터 제어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12842A (en) Device for the control of rotary printing machines
US20100148567A1 (en) Temporary power equipment transport system for moving mining equipment and method of use
CN104085812B (zh) 矿用绳牵引运输设备综合电控系统
KR102481098B1 (ko) 자율주행제어시스템을 위한 오브젝트 컨트롤러 및 그 오브젝트 컨트롤러의 연동 제어 방법
JP2010259308A (ja) 電気自動車の充電装置
CN102407783A (zh) 车辆用通信系统
KR200208153Y1 (ko) 광차전차의 원격운전시스템
WO2019087754A1 (ja) 充電通信制御装置及び充電通信制御方法
CN211826929U (zh) 一种振动放矿电机的远程和就地控制系统
EP1927568B1 (en) Electric hoist with an improved functionality
CN201198575Y (zh) 遥控装载机
JP7054062B2 (ja) 車両の電源システム
CN211077485U (zh) 一种链板伸缩机的远程控制系统
SU1498401A3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телеуправлени
CN205440519U (zh) 一种转向助力系统及车载检查设备
RU2123595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онтроля и управления электроприводами забойных машин
KR102323478B1 (ko) 전자밸브의 원격 조작 장치
CN215237801U (zh) 一种混铁车车载自备电源加盖电气控制系统
KR200208152Y1 (ko) 권양기 원격 운전장치
CN105118270A (zh) 电机车遥控闭锁装置
KR19980039192A (ko) 열차자동정지장치 및 열차자동제어장치 겸용 지상장치
SU1694930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истанционного управлени рудничным электровозом в месте погрузки или разгрузки
GB2273149A (en) Light bar warning system for vehicles
KR20000047447A (ko) Dsrc 차량탑재기
KR100328561B1 (ko) 전동차의 직류,교류 구간 자동 전환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05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