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7789Y1 - 수족관 - Google Patents

수족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7789Y1
KR200207789Y1 KR2020000018669U KR20000018669U KR200207789Y1 KR 200207789 Y1 KR200207789 Y1 KR 200207789Y1 KR 2020000018669 U KR2020000018669 U KR 2020000018669U KR 20000018669 U KR20000018669 U KR 20000018669U KR 200207789 Y1 KR200207789 Y1 KR 20020778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quarium
opening
fish tank
air pump
bubble gen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86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중학
Original Assignee
김중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중학 filed Critical 김중학
Priority to KR20200000186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778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778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778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42Introducing gases into the water, e.g. aerators, air pump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6Arrangements for heating or lighting in, or attach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족관을 구성하는 어항 내에 차수구를 구성하고 이 차수구에 배출공을 더 통공함으로써, 기포발생기에서 나오는 기포가 이 배출공을 통해서 배출될 때에 기포의 크기가 달라지도록 유도하여 수족관이 갖는 단순함에서 탈피하고, 상기 수족관의 에어펌프와 조명수단이 내장된 수용부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개폐되는 개폐구를 더 구성하여 에어펌프의 고장이나 조명수단을 교체할 경우 수월하게 작업할 수 있는 수족관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으로, 부재(11)가 입설되어 구성된 어항(10)과, 상기 어항내부에 어항을 이루는 부재(11)와 부재(11)간에 접합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출공(21)을 갖는 차수구(20)와, 상기 어항의 상부를 덮고 손잡이(32)가 상단면에 구성된 덮개(30)와, 상기 어항의 내부 바닥면에 설치되는 기포발생기(40)와, 상기 어항의 하부에 구성된 수용부(50)와, 이 수용부 내에 상기 기포발생기에 에어호스(41)를 연결하여 공기를 전달하는 에어펌프(51)와 그리고 어항내부의 조명을 밝히는 조명수단(52)이 내장되어 이루어진 것과 또한, 상기 수용부(50)내에 구성된 에어펌프(51)와 조명수단(52)을 일측의 안치부(61)에 구성하고 타측에는 손잡이가 형성된 개폐문(62)을 갖는 개폐구(60)가 상기 수용부와 슬라이드 개폐 가능토록 수용부의 일측에 더 구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수족관{AQUARIUM}
본 고안은 수족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수족관의 어항 내에 물의 흐름을 달리하는 차수구를 설치하여 물의 흐름을 다르게 유도하고, 이 차수구에 형성된 배출공에 의해 기포발생기에서 1차적으로 발생되는 기포의 크기를 다르게 함으로써 수족관의 인테리어 적인 감각을 부가할 뿐만 아니라, 에어펌프와 조명수단이 내장된 수용부 내에 슬라이드 방식의 개폐구를 구성하여 수리나 기타의 작업을 수월하게 할 수 있도록 한 수족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수족관은, 측면과 전 후면이 투명재로 이루어진 어항이 형성되고 이 어항의 상부가 개구되거나 아니면 그 상부에 뚜껑을 형성하고 상기 뚜껑내부에 조명등을 설치하여 어항 속을 밝히도록 구성하며, 상기 어항의 내부에는 돌이나 기타 조형물과 수초로 꾸미고 이 어항내부를 일정한 높이의 물로 채운 후 관상어를 넣어 관상어의 유영과 어항 내에 꾸며진 조형물이나 수초 등을 관상하는 것이 보통이다.
상기와 같이 단순하게 구성된 수족관은 보면 볼수록 심미감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수족관 내부의 인조조경들이 주는 느낌이 삭막하여 꾸며진 수족관의 내부를 자주 바꾸어 주거나 하여 수족관의 단순한 구성에서 오는 지루함을 달래곤 하였는바, 이 단순함이 주는 느낌을 크게 벗어날 수는 없는 실정이고, 점차 고도로 발달하고 있는 산업문화에 따라 일반수요자들은 새로운 것을 찾게 되는바, 상기와 같은 수족관의 구성으로는 수요자들의 욕구를 충족시켜 주지는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출원인은 다양한 인테리어기능을 갖는 수족관을 안출한 바 있으며, 또한 실용화하고는 있지만 점차적으로 새로움을 추구하는 수요자들의 욕구를 충족시켜 주기에는 역부족이었다.
더욱이,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수족관은 전원부나 기포발생기가 고장날 경우 또는 조명수단을 교체할 경우에 어항내의 물을 모두 비운 후, 조명수단의 교체작업 등과 같은 수리작업을 해야만 하기 때문에 매우 불편하였다.
이외에, 상기와 같은 수족관이 갖는 단순한 구성을 탈피하기 위해 여러 가지 고안들이 안출되고는 있으나 그다지 큰 효과는 거두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며 가격 역시 고가이기 때문에 널리 실용화 되지 못하는 결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수족관이 갖는 여러가지 제반사항을 일시에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수족관을 구성하는 어항 내에 차수구를 구성하여 물의 흐름과, 기포발생기에서 나오는 기포의 상승됨을 다르게 할뿐만 아니라, 이 차수구에 배출공을 더 통공함으로써, 기포발생기에서 나오는 기포가 이 배출공을 통해서 배출될 때에 기포의 크기가 달라지도록 유도하여 종래의 수족관이 갖는 단순함에서 탈피하는 수족관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 수족관의 구성 중 필수요소인 에어펌프와 조명수단이 내장된 수용부에 슬라이드방식으로 개폐되는 개폐구를 더 구성하여 에어펌프의 고장이나 조명수단을 교체할 경우 수월하게 작업할 수 있는 수족관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수족관의 전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수족관의 구성 및 작용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수족관의 구성요부를 나타낸 일부 생략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수족관의 구성요부 중 차수구의 작용을 나타낸 일부 생략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수족관의 구성요소인 차수구의 전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수족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수족관의 구성요소인 기포발생기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수족관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작용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어항 20 : 차수구(遮水具)
30 : 덮개 40 ; 기포발생기
50 : 수용부 60 : 개폐구
상기와 같은 특징을 지닌 본 고안에 따른 수족관은,
사방면이 투명 재질로 이루어진 어항과;
상기 어항내부에 어항을 이루는 부재와 부재간에 접합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출공을 갖는 차수구와;
상기 어항의 상단 개구부를 덮고 손잡이가 상단면에 구성된 덮개와;
상기 어항의 내부 바닥면에 설치되는 기포발생기와;
상기 어항의 하부에 구성된 수용부 내에, 상기 기포발생기에 에어호스를 연결하여 공기를 전달하는 에어펌프와 그리고 어항내부의 조명을 밝히는 조명수단이 내장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용부 내에 구성된 에어펌프와 조명수단을 타측의 안치부에 구성하고 일측에는 손잡이가 형성된 개폐문을 갖는 개폐구가 상기 수용부와 슬라이드 개폐 가능토록 수용부의 일측에 더 구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포발생기는, 다수개의 배출홈이 형성된 간막들이 밀접되게 순차적으로 몸체내에 인입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지닌 본 고안에 따른 수족관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수족관의 전체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수족관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수족관의 구성요부를 나타낸 일부 생략 확대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수족관은, 사방면이 투명재질로 이루어진 부재(11)가 입설되어 이루어진 어항(10)과, 이 어항(10)을 이루는 부재(11)와 부재(11)간의 내부면에 배출공(21)이 통공된 차수구(20)가 적어도 하나 이상 접합되어 구성되고, 상기 어항(10)의 상단 개구부에는 일측 상단면에 손잡이(32)를 갖는 덮개(30)가 구성되며, 상기 어항(10)의 하부에는 조명수단(52)과 에어펌프(51)가 내장된 수용부(50)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어항(10)의 내부 바닥에는 상기 에어펌프(51)에서 공급되는 공기가, 이 에어펌프(51)와 연결된 에어호스(41)를 통해 공급되어 기포를 발생하는 기포발생기(40)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수용부(50)에는 양측부에 끼움돌기(63)가 형성된 안치부(61)와 타측에 개폐문이 돌출된 개폐구(60)가 더 구성되고, 상기 수용부(50)내의 하부 양측에는 상기 안치부(61)의 양측에 형성된 끼움돌기(63)와 대응되는 위치에 오도록 끼움부(55)가 더 구성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인 수족관의 작용을 설명한다.
전원을 인가받은 에어펌프(51)로 부터 공급되는 공기가 에어호스(41)를 통해 충수된 어항(10)의 내부 바닥면에 구성된 기포발생기(40)에 공급되어 기포가 발생하고 이 기포발생기(40)에 의해 발생되는 기포는 충수된 어항내부로 상승한다.
상기 기포가 상승할 때에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수구(20)가 설치된 부위에 기포가 상승하면, 이 기포들은 더 이상 상승하지 못하고 상기 차수구(20)의 바닥면에 맺히게 되는 바, 이 맺힌 기포들은 상기 차수구(20)에 통공된 배출공(21)으로 모이게 되고, 배출공(21)으로 모인 기포들은 다시 배출공(21)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의 기포로 뭉치게 되어 이 배출공(21)을 통해 어항내부로 상승한다.
따라서, 상기 기포의 크기가 기포발생기에서 나온 기포의 크기보다 큰 직경의 기포로 형성되어 상승하기 때문에, 어항내부의 기포들은 적은 직경의 기포와 비교적 큰 직경의 기포들이 서로 어우러져 상승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수족관은 그 어항내부에서 유영하는 관상어의 유영과 각기 다른 직경의 기포들의 상승이 서로 어우러져 연출됨으로써 동일직경의 기포들의 상승됨에 따라 오는 종래의 수족관이 갖는 단순함을 일시에 해소한다.
상기 어항(10)내부의 측판부재(11)와 측판부재(11)간에 접합된 차수구(20)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앙부에 배출공(21)이 적어도 하나이상으로 통공됨으로써 상기와 같은 기포의 연출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으로, 이 배출공(21)의 갯수는 하나 이상으로 통공된 것이면 그 어느것도 가능하고, 상기 차수구(20)에 총공되는 배출공(21)의 갯수는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차수구(20)가 어항(10)의 내부에 설치됨에 있어서, 그 형상을 다르게 하여도 동일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바, 상기 기포발생기(40)에서 나오는 기포가 하부에 맺히는 형상이면 이 차수구(20)의 형상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며, 또한, 상기 수용부(50)내에 구성된 조명수단의 상부에 모터(54)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투명재질 또는 색채를 입힌 아크릴로 이루어진 회전원반(53)을 구성하게 되면, 상기 조명수단에 의해 어항내부로 조사되는 빛은, 조명수단의 상단에 구성된 회전원반을 통과하여 다양한 빛깔이 순차적으로 조사되기 때문에 기포의 연출과 관상어의 유영 및 조사되는 빛의 색깔에 의해 미려한 인테리어 효과를 기대한다.
상기 설명에서 조명수단으로는 널리 사용되는 전구나 형광등과 같은 빛을 발산하는 조명수단은 모두 이에 적용된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수족관의 필수요소인 기포발생기(40)를 나타낸 것으로, 이 기포발생기(40)는 작은 기포를 대량으로 발생함으로써, 마치 연무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으로, 종래의 기포발생기는 원형상으로 이루어진 몸체에 다수개의 기포공이 통공되거나 또는, 장방형의 파이프 형상의 몸체부에 다수개의 기포공이 통공된 것으로, 이와 같은 기포발생기는 기포를 대량으로 발생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상기 기포공에 이물질이 끼일 경우, 끼인 이물질을 제거하기가 매우 어려워 장기간 사용하기에는 역 부족이다. 그러나, 본 고안인 수족관을 구성하는 어항의 내부 바닥면에 구성된 기포발생기(40)는, 사각틀로 이루어진 몸체내에 다수개의 배출홈(42a)이 형성된 간막(42)들을 순차적으로 인입하되 서로 밀접되도록 구성하기 때문에, 이물질이 끼일 염려(공기의 압에 의해 배출홈에 끼인 이물질이 나옴)가 없고, 또한 장기간 사용해도 상기 간막(42)들이 몸체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다.
상기 간막(42)들의 재질로는, 간막과 간막 간의 긴밀한 밀폐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합성수지재로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배출홈(42a)의 형상 또한, 일자형 이외에 빗살형상 또는 격자형상 등 다양하게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수족관은, 그 하부에 구성된 수용부(50)내에 양측에 끼움돌기(63)가 형성된 안치부(61)와 타측에 개폐문이 일체로 이루어진 개폐구(60)를, 상기 수용부(50)와 슬라이딩 가능토록 구성함으로써, 조명수단의 교체나 또는 에어펌프의 고장에 의한 교체 또는 수리를 요할 경우에 그 작업을 수월하게 할 수 있는 바, 이는 상기 개폐구(60)의 안치부(61) 상단면에 조명수단과 에어펌프등을 설치하여, 조명수단 또는 에어펌프의 고장에 의해 수리를 요할 경우, 어항내의 물을 뺄 필요없이 개폐구의 타측에 돌설된 개폐문을 잡아당기면, 상기 개폐구(60)의 일측 안치부(61) 상단에 구성된 조명수단 및 에어펌프가 이 개폐구(60)와 같이 밖으로 나오기 때문에 작업을 하기가 쉽다.
상기 개폐구(60)가 수용부(50)로 부터 슬라이딩 개폐가 가능한 것은, 수용부(50)의 양측면에 홈이 형성된 끼움부(55)를 구성하고, 이 끼움부(55)에 형성된 홈에 끼움 결합되도록 상기 끼움부(55)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안치부(61)의 양측에 끼움돌기(63)가 형성됨으로써 가능하며, 또한, 상기 수용부(50)내에 형성된 끼움부(55)와 개폐구(60)의 양측에 형성된 끼움돌기(63)를 형성하지 아니하고 수용부의 바닥면과 상기 개폐구의 안치부가 서로 슬라이딩 하여도 된다.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수족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어항(10)내에 접합되어 구성되는 상기 차수구(20)의 길이를 달리하고 그 구성 또한 다르게 함으로써 물의 흐름 및 기포의 상승을 다르게 할 수 있다. 즉, 도시한 바와 같이 길이가 다른 차수구(20)를 동일선상이 아닌 다른 선상에 위치토록 하면 상기 기포발생기(40)로 부터 나오는 기포가 차수구(20)에 의해 1차적으로 차단되고, 이 차단된 기포는 다시 상승되면서 그 위에 구성된 차수구(20)에 의해 다시 차단되고, 차단된 기포는 다시 차수구를 피해 상승되기 때문에, 상기 기포발생기로 부터 상승되는 기포는 어항내부에서 마치 춤을 추듯이 상승되어 더욱 아름다운 기포의 연출효과를 기대한다. 그리고, 상기 차수구(20)를 일직선상으로 형성하지 아니하고, 어항의 바닥면을 중심으로 각지게 형성할 경우에는 기포와 물이 차수구를 중심으로 미끄러져 상승하기 때문에 또 다른 연출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어항의 상부를 덮고있는 덮개내에 별도의 조명수단을 더 구성함으로써 어항내부의 인테리어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으며, 상기 수용부내에 구성되어 기포발생기에 공기를 공급하는 수단인 에어펌프에, 일정시간 가동하고 일정시간 정지하는 콘트롤 장치를 부가할 경우 더욱 미려한 어항내부의 효과를 감상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수족관은, 종래의 수족관이 지닌 단순함을 완전히 탈피한 것으로, 기포발생기에서 나오는 기포의 연무현상과 차수구에 의해 만들어진 직경이 다른 기포가 상승됨에 따라 종래의 수족관이 갖는 무료함을 일시에 해소할 뿐만 아니라, 상기 차수구의 구성을 동일선상에 하지 아니하고 그 위치를 달리할 경우 기포가 마치 춤을 추듯이 상승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또한 수용부내에 구성된 조명수단과 에어펌프의 고장에 의한 교체 또는 수리작업시에 간단하게 빼내어 작업할 수 있으며, 더욱이 기포발생기의 구성을 다르게 함으로써 장기간 사용할 수 있는 등의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3)

  1. 사방면이 투명 재질로 이루어진 부재(11)가 입설되어 구성된 어항(10)과;
    상기 어항내부에, 이 어항을 이루는 부재(11)와 부재(11)간에 접합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출공(21)을 갖는 차수구(20)와;
    상기 어항의 상부를 덮고 손잡이(32)가 상단면에 구성된 덮개(30)와;
    상기 어항의 내부 바닥면에 설치되는 기포발생기(40)와;
    상기 어항의 하부에 구성된 수용부(50)와, 이 수용부내에 상기 기포발생기에 에어호스(41)를 연결하여 공기를 전달하는 에어펌프(51) 및 어항내부의 조명을 밝히는 조명수단(52)이 내장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50)내에 구성된 에어펌프(51)와 조명수단(52)이 일측 안치부(61)에 상단에 구성되고, 손잡이가 형성된 개폐문(62)을 갖는 개폐구(60)가 상기 수용부와 슬라이드 개폐 가능토록 구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포발생기(40)는, 몸체내에 다수개의 배출홈(42a)이 형성된 간막(42)들이 서로 밀접되게 순차적으로 인입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
KR2020000018669U 2000-06-29 2000-06-29 수족관 KR20020778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8669U KR200207789Y1 (ko) 2000-06-29 2000-06-29 수족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8669U KR200207789Y1 (ko) 2000-06-29 2000-06-29 수족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7789Y1 true KR200207789Y1 (ko) 2000-12-15

Family

ID=196631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8669U KR200207789Y1 (ko) 2000-06-29 2000-06-29 수족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778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0562B1 (ko) * 2002-07-27 2005-02-21 우성필 다용도 수족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0562B1 (ko) * 2002-07-27 2005-02-21 우성필 다용도 수족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26243A (en) Aquariums
WO2018039921A1 (zh) 桌面型智能花箱
US6447137B1 (en) Illuminated waterfall lamp
US7544290B2 (en) Aquarium
KR200207789Y1 (ko) 수족관
KR101598150B1 (ko) 어항 분리형 구조를 갖춘 수족관
EP3330546B1 (en) A pump unit
CN208186171U (zh) 喷泉漂浮灯系统
KR200385767Y1 (ko) 조명등이 구비된 분수노즐
KR101150540B1 (ko) 장식기능을 갖는 수중 기포발생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EP1897624B1 (en) Garden device
KR20050030945A (ko) 조명등이 구비된 분수노즐
KR101263833B1 (ko) 다용도 수족관
US20050011966A1 (en) Decorative fountain
KR200460352Y1 (ko) 장식용 분수대
JP2009296976A (ja) 水槽
KR200386972Y1 (ko) 장식용 인조 수중생물체 및 그 수족관
KR102530538B1 (ko) 종교 상징물이 가변 설치되는 장식용 양초
KR20090006869U (ko) 방향제 기능을 갖는 장식용 조명구
JP7492312B2 (ja) 薬液供給装置
KR200230511Y1 (ko) 수족관용 유동 장식 구조물
EP1334777B2 (en) Garden arrangement
KR100934301B1 (ko) 공기방울 유도관을 형성한 수족관
KR101888522B1 (ko) 수증기 분수장치
KR200212124Y1 (ko) 셋트 분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