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7334Y1 - 철근 이음매부재 - Google Patents

철근 이음매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7334Y1
KR200207334Y1 KR2020000020914U KR20000020914U KR200207334Y1 KR 200207334 Y1 KR200207334 Y1 KR 200207334Y1 KR 2020000020914 U KR2020000020914 U KR 2020000020914U KR 20000020914 U KR20000020914 U KR 20000020914U KR 200207334 Y1 KR200207334 Y1 KR 20020733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ve
wedge
reinforcing bar
diameter portion
reinfor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091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대희
이춘근
Original Assignee
보람엔지니어링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보람엔지니어링주식회사 filed Critical 보람엔지니어링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0002091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733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733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7334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2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 E04C5/163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the reinforcements running in one single direction
    • E04C5/165Coaxial connection by means of slee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FWORKING OR PROCESSING OF METAL WIRE
    • B21F15/00Connecting wire to wire or other metallic material or objects; Connecting parts by means of wire
    • B21F15/02Connecting wire to wire or other metallic material or objects; Connecting parts by means of wire wire with wire
    • B21F15/06Connecting wire to wire or other metallic material or objects; Connecting parts by means of wire wire with wire with additional connecting elements or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콘크리트 구조물 보강으로서 타설콘크리트 내에 매설되는 철근 이음매부재에 관한 것으로서, 단면이 긴 원형을 이루는 슬리브와, 상기 슬리브의 짧은 지름부의 대략 중앙부분을 가로방향으로부터 관통하게 설치한 원형 구멍에 끼워지는 쐐기조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슬리브는 접속하는 철근 2개를 가로로 나란히 삽입할 수 있는 긴 지름부와, 상기 철근에 따른 짧은 지름부로 이루어지는 편평한 원통형상의 관체(管體)로 구성되고, 또한 슬리브에 삽입된 2개의 철근 사이에 슬리브의 대략 중앙부를 관통하는 원형구멍으로부터 삽입되는 쐐기조각은 헤드부의 지름과 끝단의 폭의 치수가 동일하고, 또한 끝단을 향하여 점차로 끝이 가늘어지는 경사진 테이퍼면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슬리브를 사용하는 철근의 이음매부의 결합구조보다 간단하고 더욱 정확하면서도 견고한 기계적인 것을 얻을 수 있는 등의 뛰어난 이점을 가지는 것이다.

Description

철근 이음매부재{A STEEL JOINT MEMBER}
본 고안은 콘크리트 구조물 보강으로서 타설콘크리트 내에 매설되는 철근 이음매부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철근결합은 철근과 콘크리트의 부착력에 기대한 중첩이음매 또는 용접가공에 의한 것인데, 모두 작업의 번잡성과 강도면에서, 또한 설비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이러한 결함을 제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철근 상호의 맞댐부분이나 중첩부분에 슬리브를 끼우고 이 슬리브의 압축이나 슬리브를 개재한 접착에 의한 이음매가 사용되고 있고, 나아가서는 슬리브의 양쪽 대향 평면을 관통하여 철근 상호간에 쐐기조각을 압입하는 것이 제공되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슬리브와 쐐기조각의 개량에 따라 결합강도, 작업의 간이화를 도모하고, 또한 상기의 제공되어 온 철근 이음매부의 결합결과를 더욱 높일 수 있는 철근 이음매부재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철근의 결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2 내지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쐐기조각의 설명도로서, 도 2는 정면도, 도 3은 측면도, 도 4는 끝단에서 본 평면도, 도 5는 사시도,
도 6 내지 8은 본 고안에 의한 결합구조의 설명도로서, 도 6은 슬리브에 압입한 쐐기조각 헤드부로부터의 종단면도, 도 7은 도 6의 A-A 단면도, 도 8은 도 6의 반대쪽에서 본 쐐기조각 끝단부의 종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슬리브 3, 4 : 동일한 지름의 원형구멍
5 : 쐐기조각 6 : 쐐기조각의 헤드부
7 : 쐐기조각의 끝단 9, 9' : 쐐기조각의 두께의 테이퍼
10, 10' : 모따기 11 : 철근
12, 13 : 철근의 중첩된 양 끝단부 H : 쐐기조각 헤드부의 지름
H' : 쐐기조각 끝단의 폭 치수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철근 이음매부재는 단면이 긴 원형을 이루는 슬리브와, 상기 슬리브의 짧은 지름부의 대략 중앙부분을 가로방향으로부터 관통하게 설치한 원형 구멍에 끼워지는 쐐기조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슬리브는 접속하는 철근 2개를 가로로 나란히 삽입할 수 있는 긴 지름부와, 상기 철근에 따른 짧은 지름부로 이루어지는 편평한 원통형상의 관체(管體)로 구성되고, 또한 슬리브에 삽입된 2개의 철근 사이에 슬리브의 대략 중앙부를 관통하는 원형구멍으로부터 삽입되는 쐐기조각은 헤드부의 지름과 끝단의 폭의 치수가 동일하고, 또한 끝단을 향하여 점차로 끝이 가늘어지는 경사진 테이퍼면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을 설명하면,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면이 긴 원형인 슬리브(1)는 소요 길이의 강관으로 형성되고, 그 서로 대향하는 짧은 지름부인 양쪽 평면(2)의 중앙부에는 동일한 지름의 원형구멍(3, 4)이 뚫려 있다.
한편, 상기 원형구멍(3, 4)에 삽입되는 쐐기조각(5)은 다시 도 2 내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강철막대로 제조되며, 베이스끝단의 원형 헤드부(6)의 지름과 끝단(7)의 폭의 치수가 동일하고, 또한 끝단(7)은 상기 헤드부(6)의 길이방향의 중심선(8)을 따라 점차로 끝이 가늘어지는 두께가 되도록 좌우가 균등하게 테이퍼면(9, 9')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끝단(7)의 양쪽 끝단을 2차 테이퍼로 하여 모따기(10, 10')하고 있다. 부호 11은 접속되어야 할 2개의 철근이고, 도 1의 11'는 헐겁게 끼워진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다음으로 상기 슬리브(1)의 긴 지름부를 도 6 내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철근(11)에 끼우게 하고, 이어서 상기 철근(11)의 한쪽 끝단부(12)와, 상기 끝단부(12)와 결합하는 다른쪽 끝단부(13)의 양 끝단부, 즉 12, 13의 양 끝단부 중첩부분에 슬리브(1)를 이동시켜서 끼운다.
다음으로, 상기 슬리브(1)의 서로 대향하는 양쪽 평면의 동일한 위치에 뚫은 원형구멍(3, 4)에 상기 쐐기조각(5)을 압입하여 관통시킴으로써, 쐐기조각(5)은 상기 철근(11)의 양 끝단부(12, 13)의 중첩부분 사이에 압입된다.
이 때, 쐐기조각(5)의 삽입은 슬리브(1)에 뚫린 구멍(3, 4)이 원형이기 때문에, 쐐기조각(5)의 끝단(7)을 슬리브(1)에 끼워져 있는 철근(11)의 양 끝단부(12, 13)의 중첩부분에 삽입자세를 고려하지 않고 삽입하는 것만으로, 슬리브(1)의 쐐기삽입구멍의 형상에 조금도 구속받지 않고 쐐기조각(5)은 원활하고도 확실하게 삽입된다.
또, 한쪽의 원형구멍(3)으로 삽입하여 철근(11)의 양 끝단부(12, 13) 중첩부분 사이를 통과한 쐐기조각(5)의 끝단(7)은 그 폭방향의 양 끝단이 상기와 같이 10, 10'으로서 모따기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다른쪽의 원형구멍(4)의 가장자리와 부딪쳐서 접촉하지 않고 용이하게 삽입하여 양 원형구멍(3, 4)을 관통하기 때문에, 작업이 용이하면서도 확실하게 결합된다.
또한, 슬리브(1)의 원형구멍(3, 4) 서로에 걸쳐서 상기 철근(11)의 양 끝단부(12, 13) 중첩부분 사이에 압입된 쐐기조각(5)의 두께를 이루는 끝이 가느다란 형상의 테이퍼면(9, 9')은 쐐기 본래의 작용에 의하여 상기 철근(11)의 양 끝단(12, 13)의 각각, 외주쪽을 단면이 긴 원형으로 이루어지는 슬리브내의 양 반원 둘레벽으로 누르기 때문에, 철근(11)의 양 끝단 중첩부분(12, 13)과 슬리브(1)와 쐐기조각(5)은 일체가 되어 단단히 결합된다.
본 고안은 이상과 같이 슬리브에 철근의 양 끝단부를 삽입하여 중첩부분을 형성하고 상기 중첩부분에 슬리브를 삽입시켜 쐐기조각을 압입하는 것인데, 상기한바와 같이 슬리브의 양쪽 평면에 뚫은 쐐기조각(5) 관통구멍을 원형구멍(3, 4)으로 형성하였기 때문에 쐐기조각의 삽입 및 관통은 뚫은 구멍의 형상에 좌우되지 않고 용이하면서도 확실하게 이루어진다.
뿐만 아니라 원형구멍으로 함으로써 사각형의 구멍과 달리 쐐기조각을 압입하더라도 강도가 크고, 구멍 가장자리에 금이나 균열 등을 생기게 하는 일은 없다.
또, 원형구멍이기 때문에 천공가공도 용이하다.
또한, 쐐기조각(5)의 두께는 상부로부터 끝단으로의 중심선을 따라 좌우가 동일한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철근의 양 끝단, 중첩부분 사이에 압입하더라도 그 누르는 힘은 한쪽으로 치우치는 일 없이 슬리브내의 양 반원둘레벽으로 누른다.
또한, 쐐기조각(5)의 성형시에는 상부의 원형 헤드부(6)의 지름(H)과, 끝단(7)의 폭 치수(H')가 동일해지도록 경사의 두께를 미리 선정해 두고 강철막대를 단압(鍛壓) 가공하면 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의하면 슬리브를 사용하는 철근의 이음매부의 결합구조보다 간단하고 더욱 정확하면서도 견고한 기계적인 것을 얻을 수 있는 등의 뛰어난 이점을 가지는 것이다.

Claims (2)

  1. 단면이 긴 원형을 이루는 슬리브(1)와, 상기 슬리브(1)의 짧은 지름부의 대략 중앙부분을 가로방향으로부터 관통하게 설치한 원형구멍(3, 4)에 끼워지는 쐐기조각(5)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슬리브(1)는 접속하는 철근(11) 2개를 가로로 나란히 삽입할 수 있는 긴 지름부와, 상기 철근(11)에 따른 짧은 지름부로 이루어지는 편평한 평면(2)으로 이루어진 원통형상의 관체(管體)로 형성되고;
    상기 쐐기조각(5)은 슬리브(1)에 삽입된 2개의 철근(11) 사이에 슬리브(1)의 대략 중앙부를 관통하는 원형구멍(3,4)으로부터 삽입되도록 헤드부(6)의 지름(H)과 끝단(7)의 폭의 치수(H')가 동일하고, 상기 끝단(7)을 향하여 점차로 끝이 가늘어지는 경사진 테이퍼면(9.9')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이음매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쐐기조각(5)의 끝단(7) 폭방향의 양 끝이 모따기(10.10')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이음매부재.
KR2020000020914U 2000-07-21 2000-07-21 철근 이음매부재 KR20020733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0914U KR200207334Y1 (ko) 2000-07-21 2000-07-21 철근 이음매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0914U KR200207334Y1 (ko) 2000-07-21 2000-07-21 철근 이음매부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7334Y1 true KR200207334Y1 (ko) 2000-12-15

Family

ID=196657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0914U KR200207334Y1 (ko) 2000-07-21 2000-07-21 철근 이음매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733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3716B1 (ko) * 2005-10-24 2007-07-18 (주)핸스건설 철근 겹침 이음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3716B1 (ko) * 2005-10-24 2007-07-18 (주)핸스건설 철근 겹침 이음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75655B1 (ko) 철근 연결구
KR101132690B1 (ko) 철근 연결구
KR100240099B1 (ko) 철근 연결 구조
KR100584014B1 (ko) 철근 연결구
KR20190064240A (ko) 철근 연결용 커플링 및 그 철근 연결용 커플링을 이용한 연결방법
KR200207334Y1 (ko) 철근 이음매부재
JP3336430B2 (ja) 鋼管矢板等の縦継ぎ装置
KR100633313B1 (ko) 철근 연결구
KR200370224Y1 (ko) 철근 연결구
KR200415099Y1 (ko) 철근 연결구
WO2003087492A1 (en) Reinforcing bar coupler
KR200231250Y1 (ko) 철근 연결구
JPS5853880Y2 (ja) 鉄筋継手部材
KR100691756B1 (ko) 철근 연결구
KR100421198B1 (ko) 소켓식 강관파일의 이음시공방법
KR200308578Y1 (ko) 철근 연결구
KR101112313B1 (ko) 철근 연결구
KR200319675Y1 (ko) 철근 연결구
JP2001200596A (ja) 鋼管の接続装置
KR101132681B1 (ko) 철근 연결구
KR102090571B1 (ko) 철근 연결장치
KR200280065Y1 (ko) 철근 연결구
JPH10152941A (ja) 棒状体の継手
KR200286102Y1 (ko) 철근 연결장치
JP3218652U (ja) 鉄筋連結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