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0571B1 - 철근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철근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0571B1
KR102090571B1 KR1020200000905A KR20200000905A KR102090571B1 KR 102090571 B1 KR102090571 B1 KR 102090571B1 KR 1020200000905 A KR1020200000905 A KR 1020200000905A KR 20200000905 A KR20200000905 A KR 20200000905A KR 102090571 B1 KR102090571 B1 KR 1020905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ing bar
fixing member
circular ring
fixing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09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선호
Original Assignee
정선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선호 filed Critical 정선호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05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05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2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 E04C5/163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the reinforcements running in one single direction
    • E04C5/165Coaxial connection by means of slee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철근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철근의 직경보다 큰 직경의 중공부를 갖는 원통체로 이루어지고, 양단 내측에 각각 체결고정부재가 체결되도록 나사부가 형성된 철근연결부재; 상기 철근의 이탈 및 분리가 이루어지지 않도록 상기 철근에 탄성력을 부여하도록 상기 철근연결부재의 중공부 내에 끼워져 결합되는 스프링부재; 상기 스프링부재의 일면에 면 접촉되게 결합되고, 상기 철근의 외면에 돌출된 돌기부에 억지끼움으로 결합되도록 다수개로 분할되게 형성된 테이퍼고정부재; 상기 테이퍼고정부재의 확관을 방지하도록 상기 테이퍼고정부재의 외면에 결합되는 원형링 고정부재; 상기 원형링 고정부재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상기 원형링 고정부재의 일면에 면 접촉되게 설치되며, 상기 철근의 이탈 및 분리되지 않도록 상기 철근연결부재의 나사부에 체결되는 체결고정부재;를 마련하여 철근을 철근연결부재에 밀어 넣음으로써 철근을 간편하게 연결 및 결속시킬 수 있고, 테이퍼지게 형성된 테이퍼고정부재에 의해 철근을 강제 압입시켜 연결시킬 수 있으며, 체결고정부재에 의해 원형링 고정부재를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Description

철근 연결장치{Rebar Connecting Device}
본 발명은 철근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을 건축할 때 사용되는 철근의 길이를 연장시키면서 연결하고자 하는 각 철근의 양측 끝단 부분이 연결구에 원활하게 삽입 체결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연결구의 양측 끝단부분이 철근의 외주연 부분을 긴밀하게 조여주는 방식에 의해 외부의 진동이 발생하더라도 연결구로부터 철근이 느순하게 풀어지는 것을 방지 철근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멘트몰탈을 이용해 주조식으로 축조되는 콘크리트 건축 구조물은 그 구조물의 보강을 위해 막대 모양의 철재인 이형철근들을 매설시키고 있는데, 그러한 콘크리트 구조물은 콘크리트와 철근 각각의 장점과 단점을 서로 보완되게 일체시켜 압축응력에 대한 저항력 및 압축강도에 비해 인장응력에 대한 저항력을 보강하게 된다.
콘크리트 구조물은 콘크리트의 단점을 보강하기 위해 콘크리트의 인장응력이 작용하는 부분에 철근을 배치하여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에 콘크리트에는 압축응력을, 철근에는 인장응력을 각각 부담시켜 서로 협력하여 외력에 저항 할 수 있게 조성된 구조물이다.
이러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생산방식에 있어서 시공의 가장 기초공정이 되는 배근공정은 콘크리트의 수명과 안정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공정으로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대형화 및 고층화로 인하여 콘크리트 내부에 내입되는 철근의 길이도 연장 되는데, 이때 철근은 주로 기성품, 즉 일정길이의 규격품으로 그 길이가 한정되어 제작되기 때문에 그 철근들을 길이 방향에서 서로 연결시켜주는 이음구조가 필수적으로 적용되고 있다.
상기의 철근 이음방법은 주로 겹침이음 또는 가스압접이음 및 기계적 이음 등이 이용되며 특히, 철근의 형상에 기계적,물리적 변화를 주지않고 철근을 연결시키는 기계적 이음방법은 정하중과 동하중을 충분히 흡수하여 철근
이음부분의 내구성을 유지케해 콘크리트 구조물의 안정시공을 확보할 수 있는 철근 커플러이 제시되고 있다.
그러한 철근 커플러들은 현재까지 여러가지가 제공되고 있는데, 그 일례를 들어 보면 양분되어 좌우 한 쌍으로 이루고 내주연에 철근의 마디와 대응하는 다수 마디홈들과 외주연으로는 숫나사를 형성시킨 결속구와, 이 결속구 양측 외주연에 나사체결로 결합되도록 내주연에 암나사를 형성시키고 중앙부에 관통공을 형성시킨 슬리브커플링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철근 커플러는 외주연에 다수개의 마디돌기를 형성시킨 양 철근을 상호 연접시킨 다음 이음부분이 결속구의 내주연 중앙부분에 위치되도록 하여 마디홈에 철근의 마디돌기가 끼워 질수 있도록 한 쌍의 결속구를 철근에 가결합 시킨 후 경속구의 양단 측에서 슬리브커플링을 나사 체결로 결합하여 철근과 가결합된 한 쌍의 결속구를 일체로 고정하여 철근을 이음결합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커플러는 결속구를 철근에 결합 후 양단의 슬리브커플링을 나사조임식으로 결합하는 작업에 많은 수공과 시간이 소요되고 있으며, 또 이음 결합되는 철근의 압축응력.인장응력에 대한 저항력이 저조한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상기에서와 같은 문제점은 이음 결합되는 철근의 강성이 악화됨에 따라 철근 콘크리트구조물의 압축 및 굽힘 대한 강성 및 변형률 감소로 철근 콘크리트구조물의 내진성 악화는 물론 내구성이 저조한 등의 많은 문제점이 따
르고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에는 '철근 커플러'가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1에 따른 철근 커플러는 주벽에 마디들을 등간격으로 가지며, 일정 길이로 제공되는 철근들을 가로 또는 세로방향으로 교차되게 엮어 이루는 조립식 구조물에서 상기 철근들을 길이방향에서 연이음하는 커플로서, 다음을 포함하는 것, 몸체가 양분되어 상기 철근의 연이음부에서 내면은 상기 마디와 형합되고 외면은 경사면을 가지는 한 쌍의 결속요소들, 일정길이를 가지고 상기 결속요소들 둘레에 간격을 유지해 감싸는 중공관형의 하우징 및 상기 결속요소들과 상기 하우징의 사이에 압입되는 것으로 상기 결속요소들을 가압하여 상기 철근을 결속시키게 하는 제1 및 제2쐐기를 갖고, 상기 제1쐐기는 결속구조를 이용해 상기 하우징 내에 삽입 완료와 동시 하우징내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고정된다.
하기 특허문헌 2에는 '철근 연결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2에 따른 철근 연결장치는 양측에 각각 원통 형상으로 함몰 형성되며 철근이 삽입되는 철근삽입홈(12)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철근삽입홈의 내부에 철근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연결몸체와, 상기 연결몸체의 양단 상부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하부면에 원호 형상으로 함몰 형성되는 상부가압부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가압부의 하부면에 다수개의 톱니가 형성되어 상기 철근의 상부면을 클램프하여 상기 철근의 상부면을 가압 고정하는 상부가압클램프를 구비한다.
상기 연결몸체의 양단 하부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하부면에 원호 형상으로 함몰 형성되는 하부가압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가압부의 상부면에 다수개의 톱니가 형성되어 상기 철근의 하부면을 클램프하여 상기 철근의 하부면을 가압 고정하는 하부가압클램프와, 상기 상부가압클램프 또는 상기 하부가압클램프의 일단에 전후로 관통 형성되는 고정핀삽입홀과, 상기 고정핀삽입홀의 내부에 삽입 고정되며, 양단부는 상기 연결몸체의 내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상부가압클램프 또는 상기 하부가압클램프의 회동을 안내하는 고정핀과, 상기 연결몸체의 양측 상단 일부분이 절개되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상부가압클램프의 철근 고정 시 상기 상부가압클램프가 하부방향으로 회동되어 상기 연결몸체의 내측방향으로 수용되도록 안내하는 상부클램프수용부와, 상기 연결몸체의 양측 하단 일부분이 절개되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하부가압클램프의 철근 고정시 상기 하부가압클램프가 상부방향으로 회동되어 상기 연결몸체의 내측방향으로 수용되도록 안내하는 하부클램프수용부를 구비한다.
원형 링 형상을 가지며, 상기 상부가압클램프와 상기 연결몸체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상기 상부가압클램프를 상기 연결몸체에 고정함과 동시에 상기 상부가압클램프를 하부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탄성부재와, 상기 연결몸체 및 상,하부가압클램프의 외측에 원호 형상으로 함몰 형성되며, 상기 가압탄성부재의 일부분이 수용되어 고정되는 고정링수용홈을 포함한다.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10-0086268호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16-0139303호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15-0104855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철근을 양측에서 각각 가압하여 끼워줌으로써 2개의 철근을 간편하게 결합시켜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하는 철근 연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결합된 철근이 내부에 삽입된 스프링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가압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철근의 이탈 또는 분리가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는 철근 연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철근 연결장치는 철근의 직경보다 큰 직경의 중공부를 갖는 원통체로 이루어지고, 양단 내측에 각각 체결고정부재가 체결되도록 나사부가 형성된 철근연결부재; 상기 철근의 이탈 및 분리가 이루어지지 않도록 테이퍼고정부재에 탄성력을 부여하도록 상기 철근연결부재의 중공부 내에 끼워져 결합되는 스프링부재; 상기 스프링부재의 일면에 면 접촉되게 결합되고, 상기 철근의 외면에 돌출된 돌기부에 억지끼움으로 결합되도록 다수개로 분할되게 형성된 테이퍼고정부재; 상기 테이퍼고정부재의 확관을 방지하도록 상기 테이퍼고정부재의 외면에 결합되는 원형링 고정부재; 상기 원형링 고정부재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상기 원형링 고정부재의 일면에 면 접촉되게 설치되며, 상기 철근의 이탈 및 분리되지 않도록 상기 철근연결부재의 나사부에 체결되는 체결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철근연결부재는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는 철근연결본체; 상기 스프링부재, 상기 테이퍼고정부재, 상기 원형링 고정부재 및 상기 체결고정부재가 내부에 삽입되도록 소정의 직경으로 상기 철근연결본체의 양측에 형성되는 중공부; 상기 체결고정부재가 체결되도록 상기 중공부의 내면에 형성되는 나사부; 상기 철근연결본체의 중앙에 고정핀이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관통구멍; 상기 스프링부재가 안정되게 안착되도록 상기 관통구멍에 설치되는 고정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테이퍼고정부재는 상기 철근이 끼워짐에 따라 외측으로 확관이 이루어지도록 다수개로 분할되게 형성되는 테이퍼고정본체; 상기 테이퍼고정본체가 상기 원형링 고정부재의 내면에 밀착되도록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면; 상기 스프링부재에 안착되도록 상기 테이퍼고정본체의 일면에 형성되는 받침면; 상기 철근의 외면에 압착되어 상기 철근의 이탈 및 분리가 방지되도록 상기 테이퍼고정본체의 내면에 형성되는 고정톱날부; 원기둥 형상으로 테이퍼고정부재에 결합되어 테이퍼고정부재의 내부 일측을 밀폐시키고, 철근과 밀착되는 부분은 평평한 면을 이루며, 상기 철근을 철근연결부재의 중공부에 끼워 밀어넣음에 따라 테이퍼고정부재의 안쪽(내부)에 밀착되어 있다가 스프링부재(10)의 안쪽으로 밀려나며 고정핀 방향으로 이동 고정핀에 밀착되어 철근의 삽입을 제한시키고, 상기 철근이 철근연결부재의 내측에 안정되게 지지되도록 구비되는 받침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원형링 고정부재는 상기 테이퍼고정부재가 내면에 슬라이딩 되어 결합되도록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는 원형링 고정본체; 상기 철근이 압입되도록 상기 원형링 고정본체의 내면에 상기 테이퍼고정부재의 경사면과 동일한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슬라이딩면; 상기 체결고정부재가 밀착되도록 상기 슬라이딩면의 일측에 소정의 두께로 형성되는 지지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체결고정부재는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며, 상기 철근이 관통되게 중공으로 형성되는 체결고정본체; 상기 체결고정본체가 상기 철근연결부재의 상기 나사부에 체결되도록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는 나사부; 상기 체결고정본체가 상기 철근연결부재의 선단에 밀착되도록 상기 나사부로부터 연장되게 형성되는 플랜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철근 연결장치에 의하면, 철근을 철근연결부재에 밀어 넣음으로써 철근을 간편하게 연결 및 결속시킬 수 있고, 테이퍼지게 형성된 테이퍼고정부재에 의해 철근을 강제 압입시켜 연결시킬 수 있으며, 체결고정부재에 의해 원형링 고정부재를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철근 연결장치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철근 연결장치를 도시한 분해 분해 입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철근 연결장치를 도시한 분해 분해 입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철근 연결장치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철근 연결장치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철근 연결장치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철근 연결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철근 연결장치는 철근(1)의 직경보다 큰 직경의 중공부(12)를 갖는 원통체로 이루어지고, 양단 내측에 각각 체결고정부재(50)가 체결되도록 나사부(13)가 형성된 철근연결부재(10), 상기 철근(1)의 이탈 및 분리가 이루어지지 않도록 테이퍼고정부재(30)에 탄성력을 부여하도록 상기 철근연결부재(10)의 중공부(12) 내에 끼워져 결합되는 스프링부재(20), 상기 스프링부재(20)의 일면에 면 접촉되게 결합되고, 상기 철근(1)의 외면에 돌출된 돌기부(2)에 억지끼움으로 결합되도록 다수개로 분할되게 형성된 테이퍼고정부재(30), 상기 테이퍼고정부재(30)의 확관을 방지하도록 상기 테이퍼고정부재(30)의 외면에 결합되는 원형링 고정부재(40), 상기 원형링 고정부재(40)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상기 원형링 고정부재(40)의 일면에 면 접촉되게 설치되며, 상기 철근(1)의 이탈 및 분리되지 않도록 상기 철근연결부재(10)의 나사부(13)에 체결되는 체결고정부재(50)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철근 연결장치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철근 연결장치를 도시한 분해 분해 입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철근 연결장치를 도시한 분해 분해 입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철근 연경장치는 중공부(12)가 형성된 철근연결부재(10), 상기 철근연결부재(10)의 중공부(12) 내측에 끼워지는 스프링부재(20), 상기 철근연결부재(10)의 중공부(12) 내측에 확관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테이퍼고정부재(30), 상기 테이퍼고정부재(30)가 압입되게 설치되는 원형링 고정부재(40) 및 상기 스프링부재(20), 테이퍼고정부재(30)와 원형링 고정부재(40)가 철근연결부재(10)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체결되는 체결고정부재(50)로 이루어진다.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상기 철근연결부재(10)는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는 철근연결본체(11), 상기 스프링부재(20), 상기 테이퍼고정부재(30), 상기 원형링 고정부재(40) 및 상기 체결고정부재(50)가 내부에 삽입되도록 소정의 직경으로 상기 철근연결본체(11)의 양측에 형성되는 중공부(12), 상기 체결고정부재(50)가 체결되도록 상기 중공부(12)의 내면에 형성되는 나사부(13), 상기 철근연결본체(11)의 중앙에 고정핀(15)이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관통구멍(14), 상기 스프링부재(20)가 안정되게 안착되도록 상기 관통구멍(14)에 설치되는 고정핀(15)를 포함한다.
상기 철근연결본체(11)는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며, 상기 철근연결부재(11)의 길이는 연결시키고자 하는 철근(1)의 직경에 따라 달리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상기 철근연결본체(11)는 연결시키고자 하는 철근(1)의 직경이 큰 경우 철근연결본체(11)를 큰 직경으로 형성되고, 연결시키고자 하는 철근(11)의 직경이 작은 경우 철근연결본체(11)를 작은 직경으로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철근연결본체(11)는 연결시키고자 하는 철근(1)의 직경에 따라 적절한 직경으로 형성될 뿐만 아니라 철근(1)의 직경에 따라 철근연결본체(11)의 길이도 달라지게 된다.
한편 철근(1)은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콘크리트와의 결합력이 증대되도록 외면에 돌기부(2)가 형성된다. 상기 돌기부(2)는 철근(1)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됨과 함께 철근(1)의 외면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다.
상기 철근연결본체(11)에는 내부가 빈 중공의 형상을 갖도록 중공부(12)가 형성되며, 상기 중공부(12)는 철근연결본체(11)에 관통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중공부(12)에는 철근연결본체(11)의 양단으로부터 소정 깊이까지 나사부(13)가 형성된다. 즉, 상기 철근연결부재(11)의 양단에는 각각 체결고정부재(50)가 체결되도록 나사부(13)가 소정의 길이로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철근연결본체(11)의 중앙에는 양측에서 끼워지는 철근(1)의 삽입 깊이를 제한시킬 수 있도록 하는 고정핀(15)이 설치되도록 관통구멍(14)이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관통구멍(14)은 철근연결본체(11)를 관통하여 형성되며, 상기 관통구멍(14)에는 철근(1)이 적정 깊이로 삽입되게 고정핀(15)이 설치된다.
상기 철근(1)은 철근연결본체(11)의 중공부(12)에 끼워지는데, 상기 철근(1)이 탄력적으로 결합되도록 스프링부재(20)가 구비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철근 연결장치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철근 연결장치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테이퍼고정부재(30)는 상기 철근(1)이 끼워짐에 따라 외측으로 확관이 이루어지도록 다수개로 분할되게 형성되는 테이퍼고정본체(31), 상기 테이퍼고정본체(30)가 상기 원형링 고정부재(40)의 내면에 밀착되도록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면(32), 상기 스프링부재(20)에 안착되도록 상기 테이퍼고정본체(31)의 일면에 형성되는 받침면(33), 상기 철근(1)의 외면에 압착되어 상기 철근(1)의 이탈 및 분리가 방지되도록 상기 테이퍼고정본체(31)의 내면에 형성되는 고정톱날부(34), 원기둥 형상으로 테이퍼고정부재(30)에 결합되어 테이퍼고정부재(20)의 내부 일측을 밀폐시키고, 철근(1)과 밀착되는 부분은 평평한 면을 이루며, 상기 철근(1)을 철근연결부재(10)의 중공부에 끼워 밀어넣음에 따라 케이퍼고정부재(30)의 안쪽(내부)에 밀착되어 있다가 스프링부재(20)의 안쪽으로 밀려나며 고정핀(15) 방향으로 이동 고정핀(15)에 밀착되어 철근(1)의 삽입을 제한시키고, 상기 철근(1)이 철근연결부재(10)의 내측에 안정되게 지지되도록 구비되는 받침판(35)을 포함한다.
상기 테이퍼고정부재(30)는 중공부(12)의 내측에 설치된 상태에서 철근(1)이 끼워지게 되면 외측으로 확관되어 철근(1)을 보다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테이퍼고정부재(3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로 분할되게 형성된다.
이는 테이퍼고정부재(30)가 철근(1)의 외면과 중공부(12) 사이에 압입되어 결합되게 하며, 이와 같은 테이퍼고정부재(30)에 의해 철근(1)이 강제 압입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철근 연결장치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이다.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테이퍼고정부재(30)는 4개로 분할된 테이퍼고정본체(31)로 이루어진다. 상기 테이퍼고정본체(31)는 대략 원뿔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원형링 고정부재(40)의 내측에 밀착되게 결합되도록 소정의 각도로 경사진 경사면(32)이 형성된다.
이러한 경사면(32)은 슬라이딩이 원활하게 이루어짐은 물론 철근(1)의 압입이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대략 5~15°이내의 각도로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테이퍼고정본체(31)의 일면에는 스프링부재(20)에 밀착되도록 받침면(33)이 형성되고, 상기 테이퍼고정본체(31)의 내면에는 철근(1)의 돌기부(2)에 걸리는 고정톱날부(34)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톱날부(34)는 연속된 톱날 형상으로 이루어져 철근(1)이 외력에 의해 당겨지게 되면, 고정톱날부(34)가 철근(1)의 돌기부(2)에 걸려 철근(1)의 이탈 또는 분리를 방지하게 된다.
즉, 철근(1)은 테이퍼고정부재(30)의 압입 및 고정톱날부(34)의 걸림 현상에 의해 견고하게 결합된다.
상기 테이퍼고정부재(30)는 소정의 직경을 갖는 받침판(35)이 구비되며, 상기 받침판(35)은 원기둥 형상으로 테이퍼고정부재(30)에 결합되어 테이퍼고정부재(20)의 내부 일측을 밀폐시키고, 철근(1)과 밀착되는 부분은 평평한 면을 이루며, 상기 철근(1)을 철근연결부재(10)의 중공부에 끼워 밀어넣음에 따라 케이퍼고정부재(30)의 안쪽(내부)에 밀착되어 있다가 스프링부재(20)의 안쪽으로 밀려나며 고정핀(15) 방향으로 이동 고정핀(15)에 밀착되어 철근(1)의 삽입을 제한시키고, 상기 철근(1)이 철근연결부재(10)의 내측에 안정되게 지지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원형링 고정부재(40)는 상기 테이퍼고정부재(30)가 내면에 슬라이딩 되어 결합되도록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는 원형링 고정본체(41), 상기 철근(1)이 압입되도록 상기 원형링 고정본체(41)의 내면에 상기 테이퍼고정부재(30)의 경사면(32)과 동일한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슬라이딩면(42), 상기 체결고정부재(50)가 밀착되도록 상기 슬라이딩면(42)의 일측에 소정의 두께로 형성되는 지지면(43)을 포함한다.
상기 원형링 고정부재(40)는 테이퍼고정부재(30)가 확관되면서 결합됨에 따라 철근연결부재(10)와 테이퍼고정부재(30) 사이에 압입되는 것으로, 원형링 고정부재40)가 강제압입 결합되어 철근(1)의 이탈 및 분리를 방지할 뿐만 아니라 철근(1)을 보다 견고하게 결합시키게 된다.
상기 원형링 고정부재(40)의 원형링 고정본체(41)는 테이퍼고정부재(30)가 내면에 결합되도록 상기 테이퍼고정부재(30)의 외경보다 큰 내경으로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원형링 고정본체(41)의 내면에는 테이퍼고정부재(30)와의 결합이 용이하고 간편하게 이루어지도록 테이퍼고정부재(30)의 경사면(32)과 동일한 각도로 슬라이딩면(42)이 형성된다.
또 상기 원형링 고정본체(41)의 일면, 즉 체결고정부재(50)와 맞닿는 면에는 지지면(43)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고정부재(50)는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며, 상기 철근(1)이 관통되게 중공으로 형성되는 체결고정본체(51), 상기 체결고정본체(51)가 상기 철근연결부재(10)의 상기 나사부(13)에 체결되도록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는 나사부(52), 상기 체결고정본체(51)가 상기 철근연결부재(10)의 선단에 밀착되도록 상기 나사부(52)로부터 연장되게 형성되는 플랜지부(53)를 포함한다.
상기 체결고정부재(50)는 철근연결부재(10)의 나사부(13)에 체결되는 것으로, 상기 체결고정부재(50)는 철근(1)에 인장력이 가해지게 되더라도 철근(1)이 이탈되거나 분리되지 않도록 나사부(13)에 체결된다.
즉, 상기 체결고정본체(51)는 철근(1)이 끼워지도록 중공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체결고정본체(51)의 외면에는 나사부(13)에 체결되도록 나사부(52)가 형성된다.
또 상기 체결고정본체(51)의 타측에는 철근연결부재(10)의 삽입 깊이, 즉 체결고정부재(50)가 철근연결부재(10)에 밀착되는 플랜지부(53)가 형성된다. 상기 플랜지부(53)는 철근연결부재(10)의 선단에 밀착되게 체결된다.
다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철근 연결장치의 결합관계를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철근 연결장치는 철근연결부재(10)의 중공부(12) 내측에 스프링부재(20) 및 테이퍼고정부재(30), 원형링 고정부재(40)를 끼워 결합한다.
아울러 상기 체결고정부재(50)는 철근(1)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체결고정부재(50)는 철근(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비교적 헐겁게 결합된다.
이와 같이 상기 체결고정부재(50)가 철근(1)에 끼워진 상태에서 철근(10)은 철근연결부재(10)의 중공부(12)에 끼워지게 된다.
이에 작업자는 상기 철근(1)을 철근연결부재(10)의 양단에서 중앙을 향해 밀어넣게 되고, 상기 철근(1)은 고정핀(15)까지 이동되면서 테이퍼고정부재(30)를 확관시키게 되고, 상기 확관되는 테이퍼고정부재(30)의 경사면(32)은 원형링 고정부재(40)의 슬라이딩면(42)을 따라 슬라이딩 되면서 상기 철근(1)을 강제 압입시키게 된다.
즉, 상기 테이퍼고정부재(30)는 철근(1)에 의해 확관되어 원형링 고정부재(40)의 내측에 압입되고, 상기 원형링 고정부재(40)는 테이퍼고정부재(30)의 확관에 의해 철근연결부재(10)의 중공부(12) 내면에 강제 압입된다.
한편 상기 테이퍼고정부재(30)의 고정톱날부(34)는 철근(1)의 외면에 밀착되는데, 상기 고정톱날부(34)는 철근(1)의 돌기부(2)에 걸려 철근(1)의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체결고정부재(50)는 철근연결부재(10)의 나사부(13)에 체결되어 테이퍼고정부재(30) 및 원형링 고정부재(40)의 이탈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상기 원형링 고정부재(40)를 압입시켜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 철근 2: 돌기부
10: 철근연결부재 11: 철근연결본체
12: 중공부 13: 나사부
14: 관통구멍 15: 고정핀
20: 스프링부재
30: 테이퍼고정부재 31: 테이퍼고정본체
32: 경사면 33: 받침면
34: 고정톱날부 35: 받침판
40: 원형링 고정부재 41: 원형링 고정본체
42: 슬라이딩면 43: 지지면
50: 체결고정부재 51: 체결고정본체
52: 나사부 53: 플랜지부

Claims (5)

  1. 철근(1)의 직경보다 큰 직경의 중공부(12)를 갖는 원통체로 이루어지고, 양단 내측에 각각 체결고정부재(50)가 체결되도록 나사부(13)가 형성된 철근연결부재(10);
    상기 철근(1)의 이탈 및 분리가 이루어지지 않도록 테이퍼고정부재(30)에 탄성력을 부여하도록 상기 철근연결부재(10)의 중공부(12) 내에 끼워져 결합되는 스프링부재(20);
    상기 스프링부재(20)의 일면에 면 접촉되게 결합되고, 상기 철근(1)의 외면에 돌출된 돌기부(2)에 억지끼움으로 결합되도록 다수개로 분할되게 형성된 테이퍼고정부재(30);
    상기 테이퍼고정부재(30)의 확관을 방지하도록 상기 테이퍼고정부재(30)의 외면에 결합되는 원형링 고정부재(40);
    상기 원형링 고정부재(40)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상기 원형링 고정부재(40)의 일면에 면 접촉되게 설치되며, 상기 철근(1)의 이탈 및 분리되지 않도록 상기 철근연결부재(10)의 나사부(13)에 체결되는 체결고정부재(50);를 포함하되,
    상기 철근연결부재(10)는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는 철근연결본체(11);
    상기 스프링부재(20), 상기 테이퍼고정부재(30), 상기 원형링 고정부재(40) 및 상기 체결고정부재(50)가 내부에 삽입되도록 소정의 직경으로 상기 철근연결본체(11)의 양측에 형성되는 중공부(12);
    상기 체결고정부재(50)가 체결되도록 상기 중공부(12)의 내면에 형성되는 나사부(13);
    상기 철근연결본체(11)의 중앙에 고정핀(15)이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관통구멍(14);
    상기 스프링부재(20)가 안정되게 안착되도록 상기 관통구멍(14)에 설치되는 고정핀(15);을 포함하며,
    상기 테이퍼고정부재(30)는
    상기 철근(1)이 끼워짐에 따라 외측으로 확관이 이루어지도록 다수개로 분할되게 형성되는 테이퍼고정본체(31);
    상기 테이퍼고정본체(31)가 상기 원형링 고정부재(40)의 내면에 밀착되도록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면(32);
    상기 스프링부재(20)에 안착되도록 상기 테이퍼고정본체(31)의 일면에 형성되는 받침면(33);
    상기 철근(1)의 외면에 압착되어 상기 철근(1)의 이탈 및 분리가 방지되도록 상기 테이퍼고정본체(31)의 내면에 형성되는 고정톱날부(34);
    원기둥 형상으로 테이퍼고정부재(30)에 결합되어 테이퍼고정부재(20)의 내부 일측을 밀폐시키고, 철근(1)과 밀착되는 부분은 평평한 면을 이루며, 상기 철근(1)을 철근연결부재(10)의 중공부에 끼워 밀어넣음에 따라 케이퍼고정부재(30)의 안쪽(내부)에 밀착되어 있다가 스프링부재(20)의 안쪽으로 밀려나며 고정핀(15) 방향으로 이동 고정핀(15)에 밀착되어 철근(1)의 삽입을 제한시키고, 상기 철근(1)이 철근연결부재(10)의 내측에 안정되게 지지되도록 구비되는 받침판(3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연결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형링 고정부재(40)는
    상기 테이퍼고정부재(30)가 내면에 슬라이딩 되어 결합되도록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는 원형링 고정본체(41);
    상기 철근(1)이 압입되도록 상기 원형링 고정본체(41)의 내면에 상기 테이퍼고정부재(30)의 경사면(32)과 동일한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슬라이딩면(42);
    상기 체결고정부재(50)가 밀착되도록 상기 슬라이딩면(42)의 일측에 소정의 두께로 형성되는 지지면(4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연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고정부재(50)는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며, 상기 철근(1)이 관통되게 중공으로 형성되는 체결고정본체(51);
    상기 체결고정본체(51)가 상기 철근연결부재(10)의 상기 나사부(13)에 체결되도록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는 나사부(52);
    상기 체결고정본체(51)가 상기 철근연결부재(10)의 선단에 밀착되도록 상기 나사부(52)로부터 연장되게 형성되는 플랜지부(5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연결장치.
KR1020200000905A 2019-04-11 2020-01-03 철근 연결장치 KR1020905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042558 2019-04-11
KR1020190042558 2019-04-1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0571B1 true KR102090571B1 (ko) 2020-05-15

Family

ID=706786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0905A KR102090571B1 (ko) 2019-04-11 2020-01-03 철근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0571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86268A (ko) 2009-01-22 2010-07-30 손철주 철근 커플러
KR101161357B1 (ko) * 2011-03-05 2012-07-02 미래테크(주) 철근 연결 장치
KR20150104855A (ko) 2014-03-06 2015-09-16 한국전력기술 주식회사 철근 연결장치
KR20160139303A (ko) 2015-05-27 2016-12-07 김인숙 철근 연결장치
KR101720515B1 (ko) * 2016-11-18 2017-03-28 거성 이.엔.지 주식회사 나사형 철근 커플러
KR101884919B1 (ko) * 2017-02-24 2018-08-03 최막례 철근 이음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86268A (ko) 2009-01-22 2010-07-30 손철주 철근 커플러
KR101161357B1 (ko) * 2011-03-05 2012-07-02 미래테크(주) 철근 연결 장치
KR20150104855A (ko) 2014-03-06 2015-09-16 한국전력기술 주식회사 철근 연결장치
KR20160139303A (ko) 2015-05-27 2016-12-07 김인숙 철근 연결장치
KR101720515B1 (ko) * 2016-11-18 2017-03-28 거성 이.엔.지 주식회사 나사형 철근 커플러
KR101884919B1 (ko) * 2017-02-24 2018-08-03 최막례 철근 이음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9076B1 (ko) 철근 커플러
KR200415715Y1 (ko) 철근 이음장치
KR101988611B1 (ko) 슬립 방지 철근 커플러
KR102062732B1 (ko) 나사체결 방식의 원터치형 철근 커플러
KR100584014B1 (ko) 철근 연결구
KR101285704B1 (ko) 철근 연결용 커넥터
KR102101699B1 (ko) 철근 연결용 커플링
KR102090571B1 (ko) 철근 연결장치
KR20060110610A (ko) 철근 연결부 구조 및 철근 연결방법
KR200286101Y1 (ko) 철근 연결장치
KR101858024B1 (ko) 철근이음장치
KR20090009578A (ko) 철근 연결장치
KR20150004637A (ko) 대구경 철근 이음구
KR100633313B1 (ko) 철근 연결구
KR101552321B1 (ko) 철근 커플러 및 이를 이용한 철근 이음방법
KR20030023318A (ko) 쐐기형 원터치 철근 연결 장치
KR101890678B1 (ko) 철근이음장치
KR100272745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철근 연결구
KR102163592B1 (ko) 철근 연결용 커플러
KR200341839Y1 (ko) 철근 이음장치
KR200257716Y1 (ko) 쐐기형 원터치 철근 연결 장치
KR101132681B1 (ko) 철근 연결구
KR20200081688A (ko) 초기슬립을 최소화한 초고장력 철근커플러
KR20200074743A (ko) 철근 연결구
KR200317137Y1 (ko) 이형철근 연결 커플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