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7216Y1 - 자세 교정용 의자 - Google Patents

자세 교정용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7216Y1
KR200207216Y1 KR2020000004852U KR20000004852U KR200207216Y1 KR 200207216 Y1 KR200207216 Y1 KR 200207216Y1 KR 2020000004852 U KR2020000004852 U KR 2020000004852U KR 20000004852 U KR20000004852 U KR 20000004852U KR 200207216 Y1 KR200207216 Y1 KR 20020721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shion
support
chair
knee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48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창옥
Original Assignee
안창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창옥 filed Critical 안창옥
Priority to KR20200000048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721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721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721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9/00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 A47C9/002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with exercising means or having special therapeutic or ergonomic effects
    • A47C9/005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with exercising means or having special therapeutic or ergonomic effects with forwardly inclined seat, e.g. with a knee-suppor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3/00Combinations comprising two or more pieces of furniture of different kinds
    • A47B83/02Tables combined with sea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02Chair or stool bases
    • A47C7/006Chair or stool bases with cast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14Seat parts of adjustable shape; elastically mounted ; adaptable to a user contour or ergonomic seating 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50Supports for the feet or the legs coupled to fixed parts of the chair
    • A47C7/506Supports for the feet or the legs coupled to fixed parts of the chair of adjustable ty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54Supports for the arm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35Tables or desks with features relating to adjustability or folding
    • A47B2200/004Top adjustment
    • A47B2200/0043Inclination adjustable work top

Landscapes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세 교정용 의자에 관한 것으로, 전방에는 상방향으로 연장된 무릎쿠션지지대(14)가 형성되고, 무릎쿠션지지대(14)와 소정의 거리를 두고 후방에는 상방향으로 연장된 히프쿠션지지대(16)가 형성되며, 바닥에는 일측방향으로 넘어지지 않도록 복수의 지지다리(12)가 형성된 본체(10)와, 무릎쿠션지지대(14)의 상단에 고정되되, 후반부가 수평선에 대해 하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기울어지도록 설치된 무릎쿠션(20)과, 히프쿠션지지대(16)의 상단에 고정되되, 전반부가 수평선에 대해 하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기울어지도록 설치된 히프쿠션(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 본 고안은 사용자가 의자에 앉기만 하면 히프쿠션과 무릎쿠션의 기울어진 각도에 의해 자세가 올바르게 세워지게 되고, 자동적으로 허리가 곧게 펴지므로 척추 측만증을 미연에 방지하게 되고 초기의 척추 측만증을 간단하게 치료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자세 교정용 의자{Chair for posture correction}
본 고안은 의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의자에 앉아 있는 자세를 올바르게 교정하여 척추 측만증을 예방 및 조기 치료할 수 있도록 구성된 자세 교정용 의자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공부 및 업무 또는 개인적으로 컴퓨터를 사용하는 시간이 증가됨에 따라 의자에 장시간 앉아 있는 학생 또는 직장인들이 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기존 의자에 장시간 앉아 근무를 하다 보면 몸이 비스듬하거나 한 쪽으로 기울어지는 등의 자세 불안정으로 인해 척주가 심하게 휘는 증세 즉, 척주 측만증이라는 병을 앓게 되는 사례가 빈번하게 발생되었다.
특히, 성장하는 초,중,고등학교 학생들이 척주 측만증이라는 증세를 않게 되면 심한 통증은 물론 성장하는데 많은 영향을 받게 되어 발육이 저해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제반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의자에 않아 있는 사용자의 자세를 항상 올바르게 잡아 주어 척추 측만증을 사전 예방 또는 초기 치료할 수 있도록 한 자세 교정용 의자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의자에 앉아서 피로회복을 위해 윗몸일으키기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전방에는 상방향으로 연장된 무릎쿠션지지대가 형성되고, 무릎쿠션지지대와 소정의 거리를 두고 후방에는 상방향으로 연장된 히프쿠션지지대가 형성되며, 바닥에는 일측방향으로 넘어지지 않도록 복수의 지지다리가 형성된 본체와, 무릎쿠션지지대의 상단에 고정되되, 후반부가 수평선에 대해 하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기울어지도록 설치된 무릎쿠션과, 히프쿠션지지대의 상단에 고정되되, 전반부가 수평선에 대해 하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기울어지도록 설치된 히프쿠션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 교정용 의자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고안인 자세 교정용 의자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인 자세 교정용 의자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자세 교정용 의자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자세 교정용 의자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자세 교정용 의자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자세 교정용 의자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본체 12: 지지다리
14: 무릎쿠션지지대 16: 히프쿠션지지대
18: 책상지지대 20: 무릎쿠션
22: 무릎쿠션받침판 30: 히프쿠션
32: 히프쿠션받침판 40: 조절구
42: 고정구 50: 책상판
60: 등받이 70: 팔걸이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과 도 2은 본 고안에 따른 자세 교정용 의자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및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이를 참조하면, 본체(10)의 전방에는 상방향으로 연장되는 무릎쿠션지지대(14)가 형성되고, 이 무릎쿠션지지대(14)와 소정의 거리를 두고 후방에도 상방향으로 연장되는 히프쿠션지지대(16)가 형성된다. 그리고, 본체(10)의 바닥에는 본체(10)가 일측방향으로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복수의 지지다리(12)가 형성된다.
여기에서, 무릎쿠션지지대(14)와 히프쿠션지지대(16)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경사지게 형성되며, 무릎쿠션지지대(14)의 상단에는 무릎쿠션받침판(22)이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고정되고, 그 상면에는 무릎쿠션(20)이 부착되며, 히프쿠션지지대(16)의 상단에는 히프쿠션받침판(32)이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고정되고, 그 상면에는 히프쿠션(30)이 부착된다.
본 고안에서 기술적으로 가장 중요한 부분은 무릎쿠션(20)과 히프쿠션(30)을 의자의 본체(10)에 고정하는데 있어서 그 경사 각도라 할 수 있다. 즉, 무릎쿠션(20)과 히프쿠션(30)이 고정되는 경사 각도는 사용자가 의자에 앉으면 가장 바람직한 자세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그러므로, 무릎쿠션(20)의 각도(θ1)는 후반부가 수평선에 대해 하방향으로 대략 20∼35°정도로 기울어지게 고정함이 적당하며, 최적각도는 30°정도로 함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히프쿠션(30)의 각도(θ2)는 전반부가 수평선에 대해 하방향으로 대략 10∼25°정도로 기울어지게 고정함이 적당하며, 최적각도는 13∼18°정도로 함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사용자가 의자에 앉을 때 무릎이 무릎쿠션(20)에 밀착되도록 앉는다.
그러면, 히프쿠션(30)과 무릎쿠션(20)의 기울어진 각도에 의해 사용자의 자세가 올바르게 세워지게 되고, 따라서 자연스럽게 허리가 곧게 펴지므로 척추 측만증을 미연에 방지하게 되고 초기의 척추 측만증은 간단하게 치료가 가능하다.
또한, 사용자가 공부나 업무를 위해 의자에 장시간 앉아 있으면 피곤함을 느끼게 되는데, 이 때는 사용자가 무릎쿠션(20)으로 내려 앉은 상태에서 다리를 펴고 등이 히프쿠션(30)에 닿을 정도로 윗몸일으키기 운동을 하면 피로를 풀 수 있게 된다.
도 3과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들이 도시되어 있으며, 이를 참조하여 각각의 실시예들을 상기 일실시예와 비교하여 상이한 점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일실시예에서 본체(10)를 전방으로 더 연장하고, 그 단부에는 상방향으로 연장되는 책상지지대(18)를 형성하고, 이 책상지지대(18)의 상단에 책상(50)이 수평하게 또는 소정의 각도를 갖도록 설치된다.
또한, 무릎쿠션(20)과 히프쿠션(30) 및 책상(50)은 조절구(40)에 의해 각도를 일정 범위내에서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였다.
여기에서, 조절구(40)는 무릎쿠션(20)과 히프쿠션(30) 및 책상(50)의 각도를 조절하고 조절된 각도에서 고정할 수 있다면 어느 방법이든 적용이 가능하며, 일예를 들면 통상의 볼트와 너트로 구성하여 볼트를 풀면 각도 조절이 되고 볼트를 조이면 조절된 각도에서 고정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조절구(40)에 의해 본 고안은 사용자의 신체에 맞게 무릎쿠션(20)과 히프쿠션(3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따라서 사용자는 각자의 체형에 맞는 가장 바람직한 자세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무릎쿠션(20)과 히프쿠션(30) 및 책상(50)은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도 3에서 도시된 확대도를 참조하여 무릎쿠션(20)의 높낮이 조절 구조를 설명하며, 이러한 구조는 히프쿠션(30) 및 책상(50)의 높낮이 조절 구조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무릎쿠션지지대(14)는 중공지지대(14a)와 중공지지대(14a)의 안내공(14c)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가변지지대(14b)로 구성된다. 중공지지대(14a)의 일측에는 가변지지대(14b)가 이동된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구(42)가 설치되며, 고정구(42)는 중공지지대(14a)에 나사결합되어, 고정구(42)를 풀면 가변지지대(14b)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고, 고정구(42)를 조이면 가변지지대(14b)를 가압하여 이동된 위치에서 고정되도록 한다. 그리고, 가변지지대(14b)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걸림홈(14d)을 형성하여 고정구(42)가 걸림홈(14d)에 삽입되어 걸린 상태로 가변지지대(14b)를 가압하도록 구성하면 더욱 견고하게 고정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는 도 3에서 설명한 실시예와 비교할 때 등받이(60)와 팔걸이(70) 및 캐스터(80)가 추가로 구비된 점이 상이하다.
등받이(60)는 히프쿠션지지대(16)에 고정되고 히프쿠션(30)의 후방으로 연장 설치되어 사용자의 등부분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팔걸이(70)는 히프쿠션(30)의 어느 일측에 한 개를 설치하거나 또는 양측에 각각 하나씩 두 개를 설치하여 사용자가 팔을 올려 놓을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캐스터(80)는 본체(10)를 지지하고 있는 복수의 지지다리(12)에 설치되어 자유롭게 이동가능하도록 한다.
도 5에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를 참조하면, 본 고안은 서로 힌지(4)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절첩되는 한 쌍의 링크(2,3)를 갖되, 하나의 링크(3)의 상단에는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지도록 히프쿠션(30)이 고정되고, 다른 링크(2)의 상단에는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지도록 무릎쿠션(20)이 고정된다. 여기에서, 무릎쿠션(20)과 히프쿠션(30)의 경사 각도는 상기 일실시예에서 설명한 동일한 각도를 갖도록 한다.
또한, 무릎쿠션(20)이 고정된 링크(2)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열되는 두 개의 링크가 연결되어 일체로 형성되고, 히프쿠션(30)이 고정된 링크(3)는 무릎쿠션(20)이 고정된 링크(2)의 사이에 끼워져 그 공간 내에서 힌지(4)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서로 절첩된다.
또한, 링크(2,3)의 하단에는 일측방향으로 넘어지지 않고 지지되도록 지지다리(6)가 형성되고, 힌지(4)와 근접한 부분에는 한 쌍의 링크(2,3)가 힌지(4)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설정된 위치에서 고정되도록 고정수단이 설치된다.
고정수단은 하나의 링크(3)에 회동가능하도록 고정된 고정대(8)와, 다른 링크(2)의 사이에 소정의 등간격을 두고 형성된 다수의 걸림봉(9)으로 이루어지며, 고정대(8)의 단부에는 걸림홈(8a)이 형성되어 이 걸림홈(8a)이 걸림봉(9)에 안착되어 의자의 각도를 정하게 된다.
즉, 고정대(8)의 걸림홈(8a)이 다수의 걸림봉(9) 중 안착되는 걸림봉(9)의 위치에 따라 링크(2,3)의 고정 각도가 변하게 되고, 무릎쿠션(20)과 히프쿠션(30)의 위치도 변하게 되며, 그 위치조절은 사용자의 체형에 따라 조절하면 된다.
물론, 무릎쿠션(20)과 히프쿠션(30)에도 각각의 조절구를 설치하여 사용자의 체형에 맞게 설정된 범위 내에서 무릎쿠션(20)과 히프쿠션(3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한 실시예들에 본 고안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의자에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의 사무용 의자에 무릎쿠션(20)과 히프쿠션(30)을 설치하고 그 각도는 상기의 일실시예와 동일한 각도로 고정하여 사용자가 의자에 앉으면 자동적으로 올바른 자세가 취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흔들의자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사용자가 의자에 앉기만 하면 히프쿠션과 무릎쿠션의 기울어진 각도에 의해 자세가 올바르게 세워지게 되고, 자동적으로 허리가 곧게 펴지므로 척추 측만증을 미연에 방지하게 되고 초기의 척추 측만증을 간단하게 치료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7)

  1. 전방에는 상방향으로 연장된 무릎쿠션지지대(14)가 형성되고, 무릎쿠션지지대(14)와 소정의 거리를 두고 후방에는 상방향으로 연장된 히프쿠션지지대(16)가 형성되며, 바닥에는 일측방향으로 넘어지지 않도록 복수의 지지다리(12)가 형성된 본체(10)와,
    상기 무릎쿠션지지대(14)의 상단에 고정되되, 후반부가 수평선에 대해 하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기울어지도록 설치된 무릎쿠션(20)과,
    상기 히프쿠션지지대(16)의 상단에 고정되되, 전반부가 수평선에 대해 하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기울어지도록 설치된 히프쿠션(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 교정용 의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릎쿠션(20)의 각도는 20∼35°정도로 기울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 교정용 의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히프쿠션(30)의 각도는 10∼25°정도로 기울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 교정용 의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의 전방을 연장하여 그 단부에는 상방향으로 연장되는 책상지지대(18)를 형성하고, 이 책상지지대(18)의 상단에 책상(50)이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자세 교정용 의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히프쿠션(30)의 후방에는 히프쿠션지지대(16)에 고정되는 등받이(60)가 설치되고, 히프쿠션(30)의 일측 또는 양측에 팔걸이(7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 교정용 의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다리(12)에 캐스터(8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 교정용 의자.
  7.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히프쿠션(30)과 무릎쿠션(20) 및 책상(50)의 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각각의 지지대에 조절구(4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 교정용 의자.
KR2020000004852U 2000-02-22 2000-02-22 자세 교정용 의자 KR20020721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4852U KR200207216Y1 (ko) 2000-02-22 2000-02-22 자세 교정용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4852U KR200207216Y1 (ko) 2000-02-22 2000-02-22 자세 교정용 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7216Y1 true KR200207216Y1 (ko) 2000-12-15

Family

ID=196433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4852U KR200207216Y1 (ko) 2000-02-22 2000-02-22 자세 교정용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721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5528B1 (ko) 2006-06-26 2008-01-17 주식회사 엔에이치에스 척추 교정용 의자
KR20180082900A (ko) * 2017-01-11 2018-07-19 이정원 자세 교정용 의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5528B1 (ko) 2006-06-26 2008-01-17 주식회사 엔에이치에스 척추 교정용 의자
KR20180082900A (ko) * 2017-01-11 2018-07-19 이정원 자세 교정용 의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89699A (en) Sit-kneel chair
US5330254A (en) Workplace chair
US7040703B2 (en) Health chair a dynamically balanced task chair
KR101348803B1 (ko) 척추 및 허리 보호를 위한 의자
US6655731B2 (en) Therapeutic chair
US11166564B2 (en) Ergonomically configured muscle release office chair
KR102250315B1 (ko) 무브 체어
KR200207216Y1 (ko) 자세 교정용 의자
KR20190048682A (ko) 자세 교정용 의자
KR100512607B1 (ko) 상판 일체형 교구 의자
KR200298198Y1 (ko) 허리 받침대를 갖는 의자
KR200302824Y1 (ko) 상판 일체형 교구 의자
KR200207265Y1 (ko) 척추 교정용 의자
KR101165345B1 (ko) 무릎지지대가 구비된 교구용 책상
KR20100007999U (ko) 경사조절이 가능한 의자
RU2292830C1 (ru) Комплект функциональной ортопедической ученической мебели, кресло комплекта (варианты)
KR920005135Y1 (ko) 의자의 좌판 경사조절장치
KR102628170B1 (ko) 경사형 등받이와 수직형 등받이가 결합 된 등받이가 이중 구조된 의자
KR102574254B1 (ko) 탄력적인 입체 지지구조의 요추받침구가 구비된 의자용 등받이 프레임
CN215820293U (zh) 一种可保持坐姿笔挺的椅子
EP1164896B1 (en) A chair with an elastic, counter-reacting, reclining seat back
JPH0268054A (ja) 多目的椅子
KR101945833B1 (ko) 특발성 척추 옆굽음증용 의자
KR200283593Y1 (ko) 의자
KR100731804B1 (ko) 흔들의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00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