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7173Y1 - 폐 아스콘 재생장치 - Google Patents

폐 아스콘 재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7173Y1
KR200207173Y1 KR2020000021319U KR20000021319U KR200207173Y1 KR 200207173 Y1 KR200207173 Y1 KR 200207173Y1 KR 2020000021319 U KR2020000021319 U KR 2020000021319U KR 20000021319 U KR20000021319 U KR 20000021319U KR 200207173 Y1 KR200207173 Y1 KR 20020717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 ascon
drum
particles
waste
asc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13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광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대산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대산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대산산업
Priority to KR20200000213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717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717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7173Y1/ko
Priority to US09/837,298 priority patent/US20020025030A1/en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9/00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 E01C19/02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for preparing the materials
    • E01C19/10Apparatus or plants for premixing or precoating aggregate or fillers with non-hydraulic binders, e.g. with bitumen, with resins, i.e. producing mixtures or coating aggregates otherwise than by penetrating or surface dressing; Apparatus for premixing non-hydraulic mixtures prior to placing or for reconditioning salvaged non-hydraulic compositions
    • E01C19/1004Reconditioning or reprocessing bituminous mixtures, e.g. salvaged paving, fresh patching mixtures grown unserviceable; Recycling salvaged bituminous mixtures; Apparatus for the in-plant recycling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195Arrangements for calling back a calling subscri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CPREPARING CLAY; PRODUCING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C5/00Apparatus or methods for producing mixtures of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e.g. slurries, mortars, porous or fibrous compositions
    • B28C5/46Arrangements for applying super- or sub-atmospheric pressure during mixing; Arrangements for cooling or heating during mixing, e.g. by introducing vapour
    • B28C5/466Heating, e.g. using ste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CPREPARING CLAY; PRODUCING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C7/00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pparatus for producing mixtures of clay or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Supplying or proportioning the ingredients for mixing clay or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Discharging the mixture
    • B28C7/0007Pretreatment of the ingredients, e.g. by heating, sorting, grading, drying, disintegrating; Preventing generation of dust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9/00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 E01C19/02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for preparing the materials
    • E01C19/08Apparatus for transporting and heating or melting asphalt, bitumen, tar,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42/00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 H04M2242/22Automatic class or number identification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025Calling or Called party identification service
    • H04M3/42034Calling party identification service
    • H04M3/42042Notifying the called party of information on the calling par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Machine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폐 아스콘을 표층과 기층, 보조 기층용으로 각각 구분하여 재생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폐 아스콘의 재생공정시 발생하는 유해성분을 습식에 의해 최대한 억제토록 한 폐 아스콘 재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폐 아스콘을 기층 및 표층, 보조기층으로 구분하여 재생할 수 있도록 한 폐 아스콘 재생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폐 아스콘의 재생시 발생하는 유분 및 분진등의 유해성분을 물 분사에 의해 억제토록 한 폐 아스콘 재생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한 본 고안은, 폐 아스콘이 저장되는 제 1 호퍼(10); 신골재가 저장되는 제 2 호퍼(20); 상기 제 1, 2 호퍼(10,20)로부터 이송되어온 폐 아스콘과 신골재가 혼입되며, 출구(41)측에는 입자의 크기에 따라 기층용과 표층용 입자로 분류하여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수단(40)을 갖는 드럼(50); 상기 드럼(50)내에 수용된 폐 아스콘과 신골재를 일정온도로 가열하는 가열수단(60); 상기 드럼(50)으로부터 배출되는 폐 아스콘과 신골재로 이루어진 혼합물 입자에 아스팔트유를 첨가하고 믹싱하여주는 믹서(70); 상기 혼합물 입자를 가열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유분 및 분진 등의 유해성분을 습식방식에 의해 억제하는 유해성분 억제수단(80)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폐 아스콘 재생장치{a recapped device of waste ascon}
본 고안은 폐 아스콘을 표층과 기층, 보조 기층용으로 각각 구분하여 재생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폐 아스콘의 재생공정시 발생하는 유해성분을 습식에 의해 최대한 억제토록 한 폐 아스콘 재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폐 아스콘(waste ascon)이라함은 아스팔트 폐기물을 지칭하는 것으로서, 최근 급격한 경제성장과 기간산업의 발달에 따라 기존 도로를 절단하여 재포장하는 작업과, 지하 매설물 공사등을 수시로 시행하고 있음에 따라 폐 아스콘의 발생량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하지만, 이러한 폐 아스콘의 적절한 재활용 방안이 강구되지 못하고 단순 매립에 의해 처리되고 있었으므로 자원과 예산의 낭비는 물론, 일부에서는 불법매립 및 무단투기 등의 부작용으로 인하여 환경오염원이 되고 있었다.
이에 따라 정부차원에서 폐 아스콘을 재활용 하기 위한 정책이 강구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인식도 점차 고조되고 있는 실정에 있다.
이러한 폐 아스콘을 재활용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폐 아스콘 재생장치가 개발되었다.
종래의 폐 아스콘 재생장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모터동력에 의해 자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폐 아스콘이 수용되는 원통형의 드럼과, 상기 드럼 내에 수용된 폐 아스콘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수단으로 크게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폐 아스콘을 재생할 때는 적정크기의 폐 아스콘을 드럼내부로 넣은 후, 드럼을 회전시켜가면서 가열수단에 의해 폐 아스콘을 일정시간동안 일정온도로 가열하므로써 아스팔트를 재생하게 된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폐 아스콘 재생장치는 드럼이 소용량이므로 한 번에 재생할 수 있는 아스팔트의 양이 제한적이기 때문에 대형 보수공사시에는 부적절한 문제점이 있다.
즉, 대형 보수공사시에는 폐 아스콘의 재생작업을 수 회에 걸쳐 반복적으로 진행해야 하기 때문에 재생시간이 오래 걸릴 뿐만 아니라, 공사의 연속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재생용 첨가제(recycling agents)(골재, 아스팔트유)를 투입하는 장치가 별도로 마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대개는 재생용 첨가제를 투입하지 않거나, 투입하더라도 폐 아스콘의 양에 비례하여 투입되어야 함을 감안할 때 첨가제의 정확한 투입량의 설정이 어려워 설정량 보다 많이 또는 적게 투입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는 재생 아스콘의 질적 저하를 가져오는 후속 문제점으로 이어진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이송이 가능하면서도 폐 아스콘을 대량으로 재생할 수 있는 장치가 개발되었는데(출원번호 10-2000-0027796) , 이 재생장치는 기층전용으로 제작된 장치이므로 활용범위가 제한적인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폐 아스콘을 기층 및 표층, 보조기층으로 구분하여 재생할 수 있도록 한 폐 아스콘 재생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폐 아스콘의 재생시 발생하는 유분 및 분진등의 유해성분을 물 분사에 의해 억제토록 한 폐 아스콘 재생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폐 아스콘 재생장치의 전체 구성도
도 2는 도 1을 A방향에서 본 도면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드럼의 요부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드럼을 B방향에서 본 도면
도 5a는 본 고안에 따른 배출방지부재의 제 1 실시예
도 5b는 본 고안에 따른 배출방지부재의 제 2 실시예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유해성분 억제수단의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제 1 호퍼 20 : 제 2 호퍼
30 : 컨베이어 40 : 배출수단
41 : 메시 42 : 안내받이
50 : 드럼 51 : 출구
60 : 가열수단 70 : 믹서
80 : 유해성분 억제수단 81 : 연통
81a : 유로 82 : 급수구
83 : 배수구 84 : 배관
84a : 출구 85 : 펌프
86 : 필터 87 : 개폐창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폐 아스콘이 저장되는 제 1 호퍼; 신골재가 저장되는 제 2 호퍼; 상기 제 1, 2 호퍼로부터 이송되어온 폐 아스콘과 신골재가 혼입되며, 출구측에는 입자의 크기에 따라 기층용과 표층용 입자로 분류하여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수단을 갖는 드럼; 상기 드럼내에 수용된 폐 아스콘과 신골재를 일정온도로 가열하는 가열수단; 상기 드럼으로부터 배출되는 폐 아스콘과 신골재로 이루어진 혼합물 입자에 아스팔트유를 첨가하고 믹싱하여주는 믹서; 상기 혼합물 입자를 가열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유분 및 분진 등의 유해성분을 습식방식에 의해 억제하는 유해성분 억제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폐 아스콘 재생장치의 전체 구성도이며, 도 2는 도 1을 A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면에 따르면, 본 고안에 따른 폐 아스콘 재생장치는 약 100mm 이하의 직경으로 분쇄된 폐 아스콘이 투입되는 제 1 호퍼(10)와; 상기 제 1 호퍼(10)와 근접 설치되어 신골재(자갈)가 투입되는 제 2 호퍼(20)와; 상기 각 호퍼(10,20)로부터 컨베이어(30)를 통해 이송되어온 폐 아스콘과 신골재가 혼입되는 드럼(50)과; 상기 드럼(50)의 출구측에 설치되어 드럼내의 폐 아스콘 및 신골재가 혼합되도록 적정온도로 가열하여 주는 가열수단(60)과; 상기 드럼(50)으로부터 배출되는 폐 아스콘에 아스팔트유를 첨가하고 믹싱하여 주는 믹서(70)와; 상기 폐 아스콘을 가열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유해성분(유분 및 분진)을 습식에 의해 억제하는 유해성분 억제수단(80)으로 구성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드럼의 요부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드럼을 B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면에 따르면, 본 고안의 드럼(50)은 원통형상으로 되어 회전수단(미도시)에 의해 자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아울러, 상기 드럼(50)의 출구(51)측에는 폐 아스콘과 신골재의 혼합물 입자(이하 '입자'이라 함)의 크기에 따라 기층용(크기가 25mm 이하)과 표층용(크기가 13mm 이하)으로 분류하여 배출되도록 한 배출수단(40)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배출수단(40)은 상기 드럼(50)의 출구(51)측 외주에 표층용 입자와 기층용 입자가 구분되어 배출되도록 설치된 서로 다른 조밀도를 갖는 복수개의 메시(mesh)(41), 상기 각 메시(41)의 하부에는 각 메시를 통해 배출되는 표층용 입자와 기층용 입자를 받아서 믹서(70)로 안내하는 안내받이(42)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각 메시(41)는 사선형으로 구성하여, 혼합물의 배출이 용이토록 하였다. 이는 드럼(50)을 통과하는 입자가 드럼(50)의 회전력에 의해 드럼(50)의 정축방향으로 토출되지 않고 사선방향으로 토출되는데 기인한 것이다.
또한, 상기 드럼(50)내의 출구(51)와 메시(41) 사이에는 도 5a 및 도 5b에서와 같이 기층용 또는 표층용 입자가 출구(41)로 배출됨을 제한하는 배출방지부재(90)가 구비된다.
상기 배출방지부재(90)는 환형물(링 형상)을 상기 드럼(50)내의 출구(51)와 메시(41) 사이에 결합하여 구성하거나(도 5a참조), 상기 드럼(50)의 출구(51)와 메시(41) 사이부분을 내측으로 돌출 성형하여 구성하여도 무방하다(도 5b참조).
이러한 배출방지부재(90)는 입자크기가 작은 표층용 및 기층용 입자가 메시(41)를 통해 배출되지 않고 바로 출구(51)를 통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배출방지부재(90)의 실시예로 들은 환형물을 드럼(50)내에 결합하거나 또는 드럼(50) 내주면을 환형으로 돌출 성형하는 형태로 인하여 표층용 및 기층용 입자는 이를 넘지 못하고 메시(41) 부근에서 정체상태가 되므로 자연적으로 메시(41)를 통해 배출될 수 밖에 없다.
반면, 보조기층용 입자(크기가 40mm 이하)는 표층용 및 기층용 입자에 비해 크기가 크므로 배출방지부재(90)를 넘어서 출구(51)로 배출된다.
이를 위해, 상기 배출방지부재(90)의 단면높이(h)는 25mm내외에서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 하다. 이는 표층용을 포함하여 기층용 입자의 최대 크기가 25mm 임을 감안한 높이 설정이다.
반면, 40mm 이하인 보조기층용 입자는 배출방지부재(90)의 단면높이(h)보다 크므로 배출방지부재(90)에 걸리지 않고, 드럼(50)의 출구(51)를 통해 원활한 배출이 가능하게 된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유해성분 억제수단의 구성도이다.
도면에 따르면, 본 고안에 따른 유해성분 억제수단(80)은 상기 드럼(50)과 연결되어 폐 아스콘을 재생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유분 및 분진 등이 배출되는 유로(81a)를 가지며, 일측에는 급수구(82)와 배수구(83)를 각각 가진 연통(81)과, 상기 연통(81) 상에 설치되어, 급수구(82)를 통해 저장된 물을 배관(84)을 통해 상부로 반복 펌핑하는 펌프(85); 상기 배관(84)의 출구(84a) 아래쪽에 설치되어 펌핑된 물이 분사되면서 연통(81)내의 유분 및 분진등을 머금은 물을 여과하여 주는 필터(8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연통(81)의 필터(86) 설치부 근방에는 필터(86)의 교체 시기를 확인할 수 있음과 아울러 필터(86)를 교환할 수 있도록 개폐 가능하고 투명한 개폐창(87)이 설치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폐 아스콘 재생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 1 호퍼(10)와 제 2 호퍼(20)에 100mm 이하의 폐 아스콘과 신골재를 각각 투입한 후, 폐 아스콘 재생장치를 가동시키게 되면, 제 1, 2 호퍼(10,20)로부터 일정량의 폐 아스콘과 신골재가 배출되고, 배출된 폐 아스콘과 신골재는 컨베이어(30)에 의해 드럼(50)의 내부로 혼입된다.
이때, 상기 드럼(50)은 입구측으로부터 출구를 향해 하향 경사져 있고, 구동수단(미도시)에 의해 자전되고 있는 상태이므로 자전력과 경사도에 의해 드럼(50) 내의 폐 아스콘과 신골재가 혼합됨과 함께 드럼(50)의 출구(51)측으로 이송된다.
이송되는 폐 아스콘과 신골재는 드럼(50)의 출구(51)측에 설치된 버너와 같은 가열수단(60)에 의해 가열되면서 일정크기의 입자상태로 응집된다.
이때, 응집된 입자는 그 크기가 일정치 않으므로 이를 표층용, 기층용, 보조기층용으로 각각 선별해야 하는데, 이를 드럼(50)의 출구(51)와, 복수개의 각 메시(41)가 담당하게 된다.
즉, 응집된 입자중 크기가 25mm 이하인 기층용 입자와, 13mm 이하인 표층용 입자는 이에 준하는 입도를 가진 각 메시(41)를 통해 선별 배출되고, 약 40mm 이하 또는 그 이상의 보조기층용 입자는 출구(51)를 통해 각각 배출된다.
한편, 상기 보조기층용 입자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의 기층용, 표층용 입자는 드럼(50)의 출구(51)와 메시(41) 사이에 구비된 또는 형성된 배출방지부재(90)에 의해 걸려 출구(51)로의 배출이 제한되므로 각 메시(41)를 통해 전량 배출이 가능하게 된다.
반면, 기층용, 표층용 입자에 비해 큰 크기의 보조기층용 입자는 25mm 내외의 두께를 가진 배출방지부재(90)에 걸리지 않고 드럼(50)의 출구(51)를 통해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 메시(41)중 기층용 또는 표층용으로 사용되는 메시중 어느 한 메시를 차폐하게 되면, 기층용 또는 표층용 입자만을 생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메시(41)는 사선형태를 이루고 있으므로 자전력에 의해 드럼(50)의 내면을 따라 출구(51)로 이송되는 입자를 효과적으로 배출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 드럼(50)의 내면을 따라 이송되는 알갱이는 드럼(50)의 자전력에 의해 정축방향으로 이송되지 않고 축방향으로부터 사선방향으로 이송된다.
때문에, 각 메시(41)를 사선방향으로 형성하게 되면, 메시(41)가 막히지 않고 입자가 용이하게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 생산된 각 입자들은 각 메시(41)의 외측 하방에 설치된 안내받이(42)에 의해 믹서(70)로 원활하게 안내된다. 만약 상기 안내받이(42)가 없다면, 메시(41)를 통해 배출되는 입자가 사방으로 분산되므로 믹서로 용이하게 투입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분 생산된 각 입자는 믹서(60)내에 투입되면 아스팔트유가 투입되면서 입자와 아스팔트유를 믹싱하여 주므로써 폐 아스콘의 재생작업이 완료된다.
한편, 상기 드럼(50)내의 알갱이들을 가열수단(60)에 의해 가열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유해요소인 유분 및 분진등은 유해성분 억제수단(80)에 의해 저감할 수 있다.
즉, 유해성분이 발생하게 되면 이 유해성분은 연통(81)의 유로(81a)를 통해 배출되는데, 이는 급수구(82)를 통해 연통(81)으로 급수된 물을 펌프(85)에 의해 연통(81)의 상부로 펌핑 한 후, 이를 분사함에 따라 분사된 물에 의해 유해성분이 물과 응집되면서 배출이 억제된다.
이때, 유해성분을 머금은 물을 배관(84)의 출구(84a) 아래방향에 설치된 필터(86)를 통하면서 여과되어 다시 연통(81)의 아랫쪽으로 낙수되는데, 이러한 과정을 반복하면서 유해물질은 억제된다.
그리고, 필터(86)가 오염수준에 이르면, 연통(81)의 필터(86) 설치부위에 설치된 개폐창(87)을 개방하여 필터(86)를 교환할 수 있으며, 상기 개폐창(87)은 투명창이므로 평상시 필터(86)의 오염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하나의 폐 아스콘 재생장치에 의해 폐 아스콘을 기층, 표층, 보조기층으로 구분하여 재생할 수 있으므로 보다 효율적인 폐 아스콘 재생작업이 가능하다.
또한, 폐 아스콘의 재생시 발생하는 유해성분을 물분사(습식)에 의해 억제하므로써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Claims (8)

  1. 폐 아스콘이 저장되는 제 1 호퍼(10);
    신골재가 저장되는 제 2 호퍼(20);
    상기 제 1, 2 호퍼(10,20)로부터 이송되어온 폐 아스콘과 신골재가 혼입되며, 출구(51)측에는 입자의 크기에 따라 기층용과 표층용 입자로 분류하여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수단(40)을 갖는 드럼(50);
    상기 드럼(50)내에 수용된 폐 아스콘과 신골재를 일정온도로 가열하는 가열수단(60);
    상기 드럼(60)으로부터 배출되는 폐 아스콘과 신골재로 이루어진 혼합물 입자에 아스팔트유를 첨가하고 믹싱하여주는 믹서(70);
    상기 혼합물 입자를 가열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유분 및 분진 등의 유해성분을 습식방식에 의해 억제하는 유해성분 억제수단(80)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폐 아스콘 재생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수단(40)은,
    상기 드럼(50)의 출구(51)측 외주에 표층용 입자와 기층용 입자가 구분되어 배출되도록 설치된 서로 다른 조밀도를 가진 복수개의 메시(41);
    상기 각 메시(41)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메시(41)를 통해 배출되는 표층용 혼합물 입자와 기층용 혼합물 입자를 받아서 믹서(70)로 안내하는 안내받이(42)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폐 아스콘 재생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각 메시(41)는 사선형상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 아스콘 재생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50)내의 출구(51)와 메시(41) 사이에 기층용 또는 표층용 입자가 출구(51)로 배출됨을 제한하는 배출방지부재(9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 아스콘 재생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방지부재(90)는 환형으로 되어 상기 드럼(50)내의 출구(51)와 메시(42) 사이에 결합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폐 아스콘 재생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방지부재(90)는 상기 드럼(50)의 출구(51)와 메시(42) 사이부분을 내측으로 돌출 성형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폐 아스콘 재생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해성분 억제 수단(80)은,
    상기 드럼(50)으로부터 발생되는 유분 및 분진등의 유해성분이 배출되는 유로(81a)를 가지며, 일측에는 급수구(82)와 배수구(83)를 가진 연통(81);
    상기 연통(81) 상에 설치되며, 급수구(82)를 통해 저장된 물을 배관(84)을 통해 상부로 반복해서 펌핑하는 펌프(85);
    상기 배관(84)의 출구(84a) 아래쪽에 설치되어 펌핑된 물이 분사되면서 연통(81)내의 유분 및 분진등이 포함된 물을 여과하여 주는 필터(86)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폐 아스콘 재생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81)의 필터 설치부 근방에 필터(86)상태를 확인할 수 있음과 아울러 필터(86)를 교환할 수 있는 개폐 가능하고 투명한 개폐창(87)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 아스콘 재생장치.
KR2020000021319U 2000-04-20 2000-07-26 폐 아스콘 재생장치 KR200207173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1319U KR200207173Y1 (ko) 2000-07-26 2000-07-26 폐 아스콘 재생장치
US09/837,298 US20020025030A1 (en) 2000-04-20 2001-04-19 Method for identifying calling party number and calling back in switching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1319U KR200207173Y1 (ko) 2000-07-26 2000-07-26 폐 아스콘 재생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7173Y1 true KR200207173Y1 (ko) 2000-12-15

Family

ID=196661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1319U KR200207173Y1 (ko) 2000-04-20 2000-07-26 폐 아스콘 재생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020025030A1 (ko)
KR (1) KR200207173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77516A1 (en) * 2002-03-14 2003-09-18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Reversed call setup system and method
SE1251167A1 (sv) 2012-10-16 2014-02-11 Opticaller Software Ab Förbättrad återuppringningsfunktion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13035A (en) * 1980-01-18 1982-01-26 Bell Telephone Laboratories, Incorporated Method of providing person locator service
CA2137952C (en) * 1994-01-03 1998-09-22 John Arthur Karpicke Apparatus and method for accessing and maintaining a caller-id based telephone directory
US5764731A (en) * 1994-10-13 1998-06-09 Yablon; Jay R. Enhanced system for transferring, storing and using signaling information in a switched telephone network
US5692033A (en) * 1996-01-22 1997-11-25 Bell Atlantic Network Services, Inc. AIN queuing for call-back system
US6169786B1 (en) * 1997-02-28 2001-01-02 At&T Corp Method for accomplishing complete re-dial
JPH10290480A (ja) * 1997-04-15 1998-10-27 Konica Corp 通信制御装置
US6067349A (en) * 1997-12-31 2000-05-23 Estech Systems, Inc. Dialing using caller ID
US6173049B1 (en) * 1997-08-11 2001-01-09 Bellsouth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ed provision and customer selection of temporary caller identification services
US6138008A (en) * 1998-01-16 2000-10-24 At&T Corp. Wireless telephone menu system
US6169795B1 (en) * 1998-03-30 2001-01-0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Internet telephony callback system and method of operation
US6198812B1 (en) * 1998-09-23 2001-03-06 Effectrol Patent Trust Incoming telephone call filter utilizing a duplicitous caller-ID recognition method and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20025030A1 (en) 2002-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1644B1 (ko) 매립용 혼합 건설폐기물의 복합식 분리선별 장치 및 그 방법
KR200207173Y1 (ko) 폐 아스콘 재생장치
US4940334A (en) Reverse flow mixing method for direct-fired asphaltic concrete drum mixers
KR101251102B1 (ko) 폐아스콘 재생장치
KR20140105041A (ko) 폐기물의 파쇄 및 선별장치와 그 방법
JP2003261961A (ja) 土質改良システム
KR100696614B1 (ko) 고열 가열을 이용한 건설 폐기물의 고 순도 순환 골재 생산방법
KR100881217B1 (ko) 건설폐기물을 혼합하여 순환골재를 제조하는 장치
KR20040070362A (ko) 폐 콘크리트 폐기물 재활용 방법 및 그 장치
KR100436545B1 (ko) 건설폐기물에서의 재생골재 선별장치
KR100372870B1 (ko) 아스팔트 기층용 폐 아스콘 재생방법 및 그 재생장치
KR100703615B1 (ko) 폐아스콘 재생장치
KR20100008021A (ko) 폐아스콘 재생장치
KR100472078B1 (ko) 건설폐기물에 포함된 임목폐기물 재활용장치 및 그 방법
KR200303298Y1 (ko) 건축 폐기물을 이용한 재생모래 생산장치
KR200287401Y1 (ko) 재생골재의 미립분 제거 및 분류 장치
KR950014586B1 (ko) 마그네트론을 이용한 폐아스팔트 콘크리트 재생장치
KR200295234Y1 (ko) 소일시멘트 제조장치
KR100465891B1 (ko) 콘크리트용 혼화제 과투입 방지장치
KR20190099179A (ko) 폐흡착재를 이용한 기층 지반 대체재의 제조방법
KR100632786B1 (ko) 폐주물사와 폐골재를 이용한 아스콘 제조방법
JP2005087858A (ja) 汚泥処理システム
KR100632790B1 (ko) 폐주물사와 폐골재를 이용한 레미콘의 조성물
CN108547200A (zh) 沥青路面废料再生系统及再生方法
KR20040002813A (ko) 건설폐기물의 재생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00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