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6636Y1 - 무빙 워크의 벨트장력 조정장치 - Google Patents

무빙 워크의 벨트장력 조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6636Y1
KR200206636Y1 KR2019970045082U KR19970045082U KR200206636Y1 KR 200206636 Y1 KR200206636 Y1 KR 200206636Y1 KR 2019970045082 U KR2019970045082 U KR 2019970045082U KR 19970045082 U KR19970045082 U KR 19970045082U KR 200206636 Y1 KR200206636 Y1 KR 20020663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sion
belt
screw
adjusting device
end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450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2326U (ko
Inventor
이준섭
Original Assignee
백영문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영문,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백영문
Priority to KR20199700450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6636Y1/ko
Publication of KR1999003232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232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663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6636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2007/0876Control or adjustment of actu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Conveying Motion By Means Of Endless Flexible Memb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무빙 워크의 벨트장력 조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무빙 워크의 벨트가 드럼의 구동에 따라 운행할 때 늘어짐의 발생이 없이 적정한 장력을 받으면서 탑승객을 안전하게 수송할 수 있도록 한 무빙 워크의 벨트장력 조정장치를 제공하기 위하여 구동기를 통하여 발생된 동력이 풀리에 전달되고, 상기 풀리의 외면에 취부된 벨트가 이동하면서 승강구를 통하여 상기 벨트에 탑승한 승객을 자동적으로 이동시키고, 스프링을 통하여 상기 벨트의 장력을 조정하는 무빙 워크의 벨트장력 조정장치에 있어서, 측면에서 보아 'ㄷ'자 형상으로 절곡되고, 일측 외면 중앙부에는 소정의 치수를 갖는 자(102)가 고착되는 텐션 사이드(100)와, 장방 형태로서 좌우 양단에는 좌·우측 업라이드 채널(50)(50')에 결합되기 위한 볼트구멍(112)(122)이 각각 형성되고, 그 일측면 중앙부는 상기 텐션 사이드(100)의 배면에서 소정 거리 이격, 고착되는 제 1, 제 2브라켓트(110)(120)와, 그 좌우 양단이 상기 제 2브라켓트(120)의 보강판(122)에 형성된 관통공(122a)과 연통되어 볼트고정되는 슬라이드 엔드 플레이트(130)와, 상기 슬라이드 엔드 플레이트(130)의 외면에서 볼트고정되는 로드 셀(140)과, 그 상단으로부터 내면을 향하여 상기 자(102)의 눈금을 읽는 게이지 포인터(152)가 체결되는 나사구멍(150a)이 형성되고, 좌우 양단에서 내면을 향하여 'ㄷ'자 형상의 가공부(150b)가 형성되며, 상기 가공부(150b) 사이에는 소정 직경의 스크류 체결공(150c)이 횡방향으로 연통되는 슬라이드 블록(150)과, 상기 로드 셀(140)과 슬라이드 엔드 플레이트(130)를 관통하여 상기 슬라이드 블록(150)의 스크류 체결공(150c)을 통해 취부되는 텐션 스크류(16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무빙 워크의 벨트장력 조정장치
본 고안은 무빙 워크의 벨트장력 조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항(空港)등에서 탑승객을 선 채로 이동시키는 무빙 워크의 장력 조정장치를 변경하여 장력조정을 손쉽게 하고, 정확한 장력 조정을 하도록 하며, 설치 및 보수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무빙 워크의 벨트장력 조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무빙 워크(moving walk)란 일명 움직이는 보도(步道)를 말하는 것으로서, 사람이 서 있기만 하면 도로가 움직여서 전차의 홈에서 개찰구까지, 또는 공항의 개찰구에서 비행기의 발착 지점까지 콘베이어 같이 연속적으로 사람을 운반하는 것으로서, 1950년대 초 미국 뉴 저지의 한 지하 주차장에 처음 설치된 이래 특히 공항등에서 이용객을 다량으로 수송하는 데 편리하게 사용되고 있으며, 주로 횡방향의 비교적 단거리의 연속 대량 수송기관으로서 역, 공항, 박람회장, 쇼핑 빌딩등 폭넓은 분야에 보급되고 있다.
상기 움직이는 보도는 사람이 타는 이동 발판으로 분류하면, 팔레트식과 벨트식으로 분류할 수 있다.
상기 팔레트식(pallet type)은 에스컬레이터(escalator)의 스텝에 해당하는 알루미늄 다이캐스팅제나 스테인레스 강판으로 성형한 판모양의 팔레트가 체인이나 링크에 연결되고, 움직이는 보도의 끝 부분 또는 중간 부분에 설치된 구동 장치에서 오는 동력으로 체인이나 링크를 구동한다.
상기 팔레트식은 견고하고 중부하에도 견딜 수 있으며, 승차감도 좋은 특징을 갖는다. 그 시방으로서는 교류 1단 속도방식의 구동 방식을 갖고 가역 운전식 조작 방식을 가지며, 속도는 30~40m/min, 난간 폭은 900mm~1,200mm, 발판 폭은 670mm~1,015mm, 수송 능력은 6,000~9000人/h, 경사각은 0~12°, 60~250m의 최대 기장을 갖는다.
한편, 상기 벨트식은 크리트가 달린 고무 시트를 강대, 와이어, 또는 가로 방향으로 동선 등을 넣어 보강한 것으로 비교적 경부하용이며, 그 시방으로서는 상기 팔레트식과 마찬가지로 교류 1단 속도방식의 구동 방식과 가역 운전식 조작 방식을 갖고, 속도는 27~40m/min, 그 난간 폭은 800mm~1,200mm, 발판 폭은 600mm~1,000mm, 수송 능력은 4,800~10,800人/h, 경사각은 0~15°를 갖는다.
도 1은 종래 벨트식 무빙 워크의 구동구조를 나타내는 측면개략도로서, 구동기(10)를 통하여 발생된 동력이 풀리(pulley)(12)에 전달되고, 상기 풀리(12)의 외면에 취부된 벨트(belt)(14)가 이동하면서 승강구(16)를 통하여 상기 벨트(14)에 탑승한 승객을 자동적으로 이동시키게 되며 미설명 부호 18은 벨트 롤러(belt roller)이다.
이때, 상기 벨트식 무빙 워크의 구동구조에서는 벨트(14)의 장기간 운행시 상부로부터 받게 되는 하중에 의하여 상기 벨트(14)의 늘어짐 발생에 따라 그 운행속도에 문제가 발생되고 이에 따라 벨트(14)와 드럼(도시 않됨)에 무리를 주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상기 벨트(14)의 장력 조정을 스프링을 사용하여 조정하고 있었으나 벨트(14)의 운행시 그 상부로부터 받게 되는 힘을 지탱하려면 스프링의 크기가 커져야 되므로 무빙 워크 장치의 내부 공간이 넓어져야 되는 것은 물론, 정확한 텐션 조정이 어렵고 스프링 운동에 따른 출렁거림 현상의 발생으로 승차감의 저하가 초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무빙 워크의 벨트가 드럼의 구동에 따라 운행할 때 늘어짐의 발생이 없이 적정한 장력을 받으면서 탑승객을 안전하게 수송할 수 있도록 한 무빙 워크의 벨트장력 조정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구동기를 통하여 발생된 동력이 풀리에 전달되고, 상기 풀리의 외면에 취부된 벨트가 이동하면서 승강구를 통하여 상기 벨트에 탑승한 승객을 자동적으로 이동시키고, 스프링을 통하여 상기 벨트의 장력을 조정하는 무빙 워크의 벨트장력 조정장치에 있어서, 측면에서 보아 'ㄷ'자 형상으로 절곡되고, 일측 외면 중앙부에는 소정의 치수를 갖는 자가 고착되는 텐션 사이드와, 장방 형태로서 좌우 양단에는 좌·우측 업라이드 채널에 결합되기 위한 볼트구멍이 각각 형성되고, 그 일측면 중앙부는 상기 텐션 사이드의 배면에서 소정 거리 이격, 고착되는 제 1, 제 2브라켓트와, 그 좌우 양단이 상기 제 2브라켓트의 보강판에 형성된 관통공과 연통되어 볼트고정되는 슬라이드 엔드 플레이트와, 상기 슬라이드 엔드 플레이트의 외면에서 볼트고정되는 로드 셀과, 그 상단으로부터 내면을 향하여 상기 자의 눈금을 읽는 게이지 포인터가 체결되는 나사구멍이 형성되고, 좌우 양단에서 내면을 향하여 'ㄷ'자 형상의 가공부가 형성되며, 상기 가공부 사이에는 소정 직경의 스크류 체결공이 횡방향으로 연통되는 슬라이드 블록과, 상기 로드 셀과 슬라이드 엔드 플레이트를 관통하여 상기 슬라이드 블록의 스크류 체결공을 통해 취부되는 텐션 스크류를 포함하여 구성된 무빙 워크의 벨트장력 조정장치가 제공된다.
도 1은 종래 벨트식 무빙 워크의 구동구조를 나타내는 측면개략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무빙 워크의 벨트장력 조정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3은 도 2의 P부 확대도,
도 4는 도 3의 A-A선에서 본 평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무빙 워크의 벨트장력 조정장치의 일구성품 나타내는 개략도 및 부분확대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무빙 워크의 벨트장력 조정장치의 일구성품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50,50':좌·우측 업라이트 채널, 60:텐션 드럼,
100:텐션 사이드, 102:자,
110:제 1브라켓트, 120:제 2브라켓트,
112,122:보강판, 130:슬라이드 엔드 플레이트,
140:로드 셀, 150:슬라이드 블록,
152:게이지 포인터, 154:서포트,
156:끼움편, 160:텐션 스크류.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무빙 워크의 벨트장력 조정장치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무빙 워크의 벨트장력 조정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이에 따른 무빙 워크의 벨트장력 조정장치는 구동기를 통하여 발생된 동력이 풀리에 전달되고, 상기 풀리의 외면에 취부된 벨트가 이동하면서 승강구를 통하여 상기 벨트에 탑승한 승객을 자동적으로 이동시키고, 스프링을 통하여 상기 벨트의 장력을 조정하는 무빙 워크의 벨트장력 조정장치에 있어서, 측면에서 보아 'ㄷ'자 형상으로 절곡되고, 일측 외면 중앙부에는 소정의 치수를 갖는 자(102)가 고착되는 텐션 사이드(tension side)(100)와, 장방 형태로서 좌우 양단에는 좌·우측 업라이드 채널(50)(50')에 결합되기 위한 볼트구멍(112)(122)이 각각 형성되고, 그 일측면 중앙부는 상기 텐션 사이드(100)의 배면에서 소정 거리 이격, 고착되는 제 1, 제 2브라켓트(bracket)(110)(120)와, 그 좌우 양단이 상기 제 2브라켓트(120)의 보강판(122)에 형성된 관통공(122a)과 연통되어 볼트고정되는 슬라이드 엔드 플레이트(slide end plate)(130)와, 상기 슬라이드 엔드 플레이트(130)의 외면에서 볼트고정되는 로드 셀(load cell)(140)과, 그 상단으로부터 내면을 향하여 상기 자(102)의 눈금을 읽는 게이지 포인터(gauge pointer)(152)가 체결되는 나사구멍(150a)이 형성되고, 좌우 양단에서 내면을 향하여 'ㄷ'자 형상의 가공부(150b)가 형성되며, 상기 가공부(150b) 사이에는 소정 직경의 스크류 체결공(150c)이 횡방향으로 연통되는 슬라이드 블록(slide block)(150)과, 상기 로드 셀(140)과 슬라이드 엔드 플레이트(130)를 관통하여 상기 슬라이드 블록(150)의 스크류 체결공(150c)을 통해 취부되는 텐션 스크류(tension screw)(16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다.
상기 텐션 사이드(100)는 소정의 두께로서 가로, 세로 일정 길이를 갖고, 그 일끝단에는 'ㄴ'자 형상의 절곡부가 형성된다.
상기 제 1브라켓트(110)의 일측 좌우 양단에서 상기 텐션 사이드(100)의 측면과 접촉되는 부위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각삼각형 형상을 갖는 보강판(112)이 각각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제 2브라켓트(120)는 상기 제 1브라켓트(110)와 동일한 형상을 갖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일측 좌우 양단에서 텐션 사이드(100)의 일끝단 측면과 접촉되는 부위에 그 모서리부가 대략 45°각도로 가공되고 내면에는 소정 직경의 관통공(122a)이 형성된 보강판(122)이 각각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텐션 사이드(100)는 좌·우측 업라이트 채널(50)(50')에 소정의 경사 각도를 가지고 결합되어진다.
상기 슬라이드 블록(150)의 일측 하단에는 상기 'ㄷ'자 형상으로 절곡된 텐션 사이드(100)의 하단부 끝단과 접촉되면서 슬라이딩되는 서포트(154)가 용착되고, 그 상단에는 상기 텐션 사이드(100)의 절곡부에 삽입되는 끼움편(156)이 볼트고정된다.
이때, 상기 텐션 스크류(160)는 텐션 드럼(60)의 일측부에 가공된 탭(도시 않됨)에 취부하여 텐션 스크류(160)의 이동에 따라 상기 텐션 드럼(60)도 이동되어진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150d는 제 2관통공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무빙 워크의 벨트장력 조정장치의 조립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측 업라이트 채널(50)(50')에 상기 텐션 사이드(100)의 배면에서 고착된 제 1, 제 2브라켓트(110)(120)의 볼트구멍(110a)(120a)을 통하여 각각 볼트결합시키고, 상기 제 2브라켓트(120)의 보강판(122)에 형성된 관통공(122a)을 통하여 상기 슬라이드 엔드 플레이트(130)를 볼트결합시킨다.
이후, 상기 슬라이드 엔드 플레이트(130)의 외면에 로드 셀(140)을 취부하고 텐션 스크류(160)를 상기 로드 셀(140)과 슬라이드 엔드 플레이트(130)를 관통시켜서 텐션 사이드(100) 내에 취부되도록 한 후, 록크 너트(170)와 1개의 스크류 너트(180)를 상기 텐션 스크류(160)의 외면에 결합시킨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드 블록(150)을 텐션 사이드(100)의 내면에 미끄럽 삽입시킨 후, 다른 1개의 스크류 너트(180)를 상기 텐션 사이드(100)의 외면에 나삽하여 상기 스크류 너트(180)가 슬라이드 블록(150)의 일측 가공부(150b)내에서 체결시키고, 다른 스크류 너트(180)를 슬라이드 블록(150)의 타측 가공부(150b)내에서 체결시킨다.
이때, 상기 슬라이드 블록(150)의 상단에 볼트고정된 끼움편(156)은 상기 텐션 사이드(100)의 절곡부내에서 좌우 슬라이딩되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기 슬라이드 블록(150)의 일측 하단에서 용착된 서포트(154)는 상기 텐션 사이드(100)의 하단부 끝단과 접촉되면서 슬라이딩되어진다.
상기와 같이 조립된 본 고안에 따른 무빙 워크의 벨트장력 조정장치를 사용하여 벨트의 장기간 운행에 따른 늘어짐 발생으로 그 운행속도에 문제가 되어 벨트 장력을 타이트하게 조정하고자 할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구 등을 사용하여 상기 텐션 스크류(160)를 시계 방향으로 돌려서 조이면, 상기 텐션 드럼(60)이 후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소정의 경사각을 갖고 좌·우측 업라이트 채널(50)(50')에 결합된 텐션 사이드(100)의 후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벨트를 가압, 벨트에 장력이 가해지고, 반대로 벨트 장력을 느슨하게 조정하고자 할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텐션 스크류(160)를 반시계 방향으로 돌리면, 상기 텐션 드럼(60)이 전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텐션 사이드(100)의 전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벨트에 가해졌던 장력을 감소시킴에 의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R거리 만큼 벨트의 텐션을 조정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드 블록(150)의 상단에 취부된 게이지 포인터(152)를 통해 텐션 사이드(100)의 외면에 고착된 자(102)의 눈금을 읽어서 텐션 스크류(160)의 조정에 따른 텐션 드럼(60)의 이동량을 치수로 확인할 수 있으며, 조정된 텐션량을 상기 로드 셀(140)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무빙 워크의 벨트장력 조정장치에 의하면 벨트의 장기간 운행시 상부로부터 받게 되는 하중에 의하여 상기 벨트의 늘어짐 발생에 따라 그 운행속도에 문제가 발생되더라도 텐션 스크류를 조정하여 벨트의 장력을 손쉽게 조정하여 벨트의 늘어짐 발생이 없이 적정한 장력으로서 탑승객을 안전하게 수송하고, 그 크기가 커져야 하고 출렁거림을 유발하는 스프링의 사용이 필요없게 되므로 무빙 워크 장치의 내부 공간의 확보와 함께 승차감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구동기를 통하여 발생된 동력이 풀리에 전달되고, 상기 풀리의 외면에 취부된 벨트가 이동하면서 승강구를 통하여 상기 벨트에 탑승한 승객을 자동적으로 이동시키고, 스프링을 통하여 상기 벨트의 장력을 조정하는 무빙 워크의 벨트장력 조정장치에 있어서,
    측면에서 보아 'ㄷ'자 형상으로 절곡되고, 일측 외면 중앙부에는 소정의 치수를 갖는 자(102)가 고착되는 텐션 사이드(100)와,
    장방 형태로서 좌우 양단에는 좌·우측 업라이드 채널(50)(50')에 결합되기 위한 볼트구멍(112)(122)이 각각 형성되고, 그 일측면 중앙부는 상기 텐션 사이드(100)의 배면에서 소정 거리 이격, 고착되는 제 1, 제 2브라켓트(110)(120)와,
    그 좌우 양단이 상기 제 2브라켓트(120)의 보강판(122)에 형성된 관통공(122a)과 연통되어 볼트고정되는 슬라이드 엔드 플레이트(130)와,
    상기 슬라이드 엔드 플레이트(130)의 외면에서 볼트고정되는 로드 셀(140)과,
    그 상단으로부터 내면을 향하여 상기 자(102)의 눈금을 읽는 게이지 포인터(152)가 체결되는 나사구멍(150a)이 형성되고, 좌우 양단에서 내면을 향하여 'ㄷ'자 형상의 가공부(150b)가 형성되며, 상기 가공부(150b) 사이에는 소정 직경의 스크류 체결공(150c)이 횡방향으로 연통되는 슬라이드 블록(150)과,
    상기 로드 셀(140)과 슬라이드 엔드 플레이트(130)를 관통하여 상기 슬라이드 블록(150)의 스크류 체결공(150c)을 통해 취부되는 텐션 스크류(16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빙 워크의 벨트장력 조정장치.
KR2019970045082U 1997-12-31 1997-12-31 무빙 워크의 벨트장력 조정장치 KR20020663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5082U KR200206636Y1 (ko) 1997-12-31 1997-12-31 무빙 워크의 벨트장력 조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5082U KR200206636Y1 (ko) 1997-12-31 1997-12-31 무빙 워크의 벨트장력 조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2326U KR19990032326U (ko) 1999-07-26
KR200206636Y1 true KR200206636Y1 (ko) 2001-03-02

Family

ID=538966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45082U KR200206636Y1 (ko) 1997-12-31 1997-12-31 무빙 워크의 벨트장력 조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663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2326U (ko) 1999-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55043C (en) Escalator
KR101320972B1 (ko) 승객 수송기용 트러스 구조물
CA1220750A (en) Passenger conveyor
JP4015718B2 (ja) 転送装置およびその装置に適合するコンベヤ
US6957736B2 (en) Conveyor for transporting load carriers
SK5098A3 (en) Pallet body for moving pavements
US4244457A (en) Plate conveyor, especially for transporting individuals
US10850947B2 (en) Misalignment monitoring in a people conveyor
US7581631B2 (en) Travelator, moving ramp or escalator
EP1706350A2 (en) Travelator, moving ramp or escalator
KR200206636Y1 (ko) 무빙 워크의 벨트장력 조정장치
CA1218026A (en) Transportation apparatus having a moving handrail
US10046951B2 (en) Fixing modules and pallets for a pallet conveyor
JPH07157260A (ja) エスカレータおよびそのステップチェーン支持装置
EP3569555B1 (en) People conveyor drive and people conveyor
GB2158799A (en) Installation for conveying passengers
US20190112161A1 (en) People conveyor and method of determining power for driving a handrail element of a people conveyor
US7628263B2 (en) Step mechanism of transport device
US5647474A (en) Structure for preventing position deviation of a truck loaded on a traverser
EP3521233B1 (en) Escalator comprising handrail belt tension device
EP1187787B1 (en) Lift apparatus for stairs
JP2000255954A (ja) マンコンベアのトラス支持装置
KR200178816Y1 (ko) 에스컬레이터의 스텝 주행장치
JP3944293B2 (ja) 乗客コンベアの支持体
CN211919832U (zh) 一种用于激光拼板的自动进料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