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6235Y1 - 컴파운드 주입기 - Google Patents

컴파운드 주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6235Y1
KR200206235Y1 KR2020000017611U KR20000017611U KR200206235Y1 KR 200206235 Y1 KR200206235 Y1 KR 200206235Y1 KR 2020000017611 U KR2020000017611 U KR 2020000017611U KR 20000017611 U KR20000017611 U KR 20000017611U KR 200206235 Y1 KR200206235 Y1 KR 20020623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und
cylindrical cylinder
screw
stopper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76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인섭
오수영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20200000176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623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62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6235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1/00Implemen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21/165Implemen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for finishing joints, e.g. implements for raking or filling joints, join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7/00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 B05C17/005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for discharging material from a reservoir or container located in or on the hand tool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without using surface contacting members like pads or brushes
    • B05C17/01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for discharging material from a reservoir or container located in or on the hand tool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without using surface contacting members like pads or brushes with manually mechanically or electrically actuated piston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컴파운드주입기에 관한 것으로, 길이방향의 일측선단에 컴파운드가 방출되는 주입관(11)이 구비되고, 다른 일측선단에는 나사관통홀(12)이 형성된 마개(13)가 결합된 원통형실린더(10)와, 일측선단에 원통형실린더(10)의 내부를 슬라이드 이동하는 가압피스톤(21)이 구비되고, 외주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마개(13)의 나사관통홀(12)과 나사결합되며, 다른 일측선단에는 회전식손잡이(22)가 설치된 이송봉(20)으로 이루어져, 컴파운드의 주입시 힘이 적게 들어 용이하게 작업할 수 있고, 일회용컴파운드의 사용을 줄이고 컴파운드를 충진해서 사용할 수 있어 컴파운드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컴파운드 주입기{ Compound injector }
본 고안은 컴파운드를 담아 특정한 곳에 주입하는 기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컴파운드를 피스톤으로 밀어 내어 주입하는 컴파운드주입기에 관한 것이다.
컴파운드주입기는 송전선로에 있어서 전력선간 및 전력선과 금구류의 접속에 사용되는 압축인류클램프,직선슬리브의 압축작업시 전력선에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막고 전도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점성이 있는 화학제품인 콤파운드를 접속금속구에 주입시키는 기구이다.
도 1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종래의 컴파운드주입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종래의 컴파운드주입기는 입구에 주입관(110)이 구비되고 컴파운드가 내장된 컴파운드실린더(100)와, 상기 컴파운드실린더(100)의 후방에서 컴파운드를 밀어 내는 피스톤(210)과, 상기 피스톤(210)의 후방에 스프링(220)과 함께 연결되는 가압봉(200) 및, 상기 가압봉(200)에 삽입되어 상기 피스톤(210)이 컴파운드실린더(100)에서 탈거되지 않도록 하는 방지편(310), 탈착손잡이(320)가 구비된 몸체(300)로 이루어진 구조이다.
상기의 구조로 이루어진 종래의 컴파운드주입기는 상기 가압봉(200)을 손으로 밀어 피스톤(210)을 이동시켜 컴파운드를 방출시키는 것이다.
상기 컴파운드실린더(100)는 일회용으로 사용되고, 상기 몸체(300)에 탈착이 가능하도록 된 것이다.
상기 컴파운드실린더(100)의 탈착은 상기 탈착손잡이(320)를 잡아당겨 방지편(310)을 느슨하게 하고 가압봉을 컴파운드실린더(100)의 후방으로 후퇴시켜 컴파운드실린더(100)가 탈착될 수 있는 여유공간을 마련하여 탈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인력으로 가압봉(200)과 평행한 방향으로 힘을 가해야 하므로 컴파운드를 방출시킬 때 힘이 많이 필요하다.
또한, 전기클램프와 슬리브에 컴파운드를 주입할 때에는 컴파운드를 전력선 접속부에 조밀하게 주입하기 위해서는 강한 방출압력이 요구되어 힘이 많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송전선로에서의 작업은 작업자의 움직임이 부자연스럽고 손으로 힘을 자유스럽게 가할 수 없어 무리하게 가압봉(200)에 힘을 가하려고 할 경우 작업자의 안전을 위협받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기 컴파운드실린더(100)는 일회용으로 사용되고, 컴파운드실린더(100)에 남아 있는 컴파운드의 잔류액까지 사용할 수 없어 자원의 낭비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의 제반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회전식으로 피스톤을 이동시켜 용이하게 컴파운드를 주입할 수 있는 컴파운드주입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길이방향의 일측선단에 컴파운드가 방출되는 주입관(11)이 구비되고, 다른 일측선단에는 나사관통홀(12)이 형성된 마개(13)가 결합된 원통형실린더(10)와, 일측선단에 원통형실린더(10)의 내부를 슬라이드 이동하는 가압피스톤(21)이 구비되고, 외주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마개(13)의 나사관통홀(12)과 나사결합되며, 다른 일측선단에는 회전식손잡이(22)가 설치된 이송봉(20)으로 이루어진 구조이다.
즉, 상기 이송봉(20)은 볼트의 역할을 하게 되고 상기 원통형실린더(10)의 마개(13)의 중앙에 구비된 나사관통홀(12)은 이송봉(20)을 이동시키는 너트의 역할을 하여 가압피스톤(21)을 슬라이딩시키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컴파운드 주입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은 본 고안에 따른 컴파운드 주입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컴파운드 주입기의 구조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컴파운드 주입기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컴파운드 주입기를 이용하여 송전선로에서 작업하는 사용예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원통형실린더 11 : 주입관
12 : 나사관통홀 13 : 마개
14 : 연장관
20 : 이송봉 21 : 가압피스톤
22 : 회전식손잡이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은 본 고안에 따른 컴파운드 주입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컴파운드 주입기의 구조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다.
상기한 도면에 의한 본 고안은, 길이방향의 일측선단에 컴파운드가 방출되는 주입관(11)이 구비되고, 다른 일측선단에는 나사관통홀(12)이 형성된 마개(13)가 결합된 원통형실린더(10)와, 일측선단에 원통형실린더(10)의 내부를 슬라이드 이동하는 가압피스톤(21)이 구비되고, 외주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마개(13)의 나사관통홀(12)과 나사결합되며, 다른 일측선단에는 회전식손잡이(22)가 설치된 이송봉(20)으로 이루어진 구조이다.
본 고안은 상기의 구조로 되어 회전식손잡이(22)로써 이송봉(20)을 회전시키면 마개(13)에 나사결합된 이송봉(20)은 회전하면서 전진이동하고, 이에 따라 이송봉(20) 선단에 구비된 가압피스톤(21)도 전진이동하면서 원통형실린더(10)의 내부에 담겨진(충전된) 컴파운드를 가압하여 주입관(11)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시킨다.
본 고안의 특징은 이송봉(20)의 외주에 나사산을 형성한 것에 있는 바, 상기 이송봉(20)은 볼트의 역할을 하게 되고 상기 원통형실린더(10)의 마개(13)의 중앙에 구비된 나사관통홀(12)은 이송봉(20)을 이동시키는 너트의 역할을 하여 가압피스톤(21)을 슬라이딩시키게 된다.
상기 원통형실린더(10)는 내부가 비어 컴파운드가 채워지고, 일측은 컴파운드가 방출되는 주입관(11)이 형성되어 있으며, 다른 일측은 개방되어 있어 상기 피스톤이 삽입되어 슬라이딩이동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원통형실린더(10)의 크기는 일회용 컴파운드주입기와는 달리 크기를 작업의 용도에 따라 임으로 성형할 수 있어 한번에 많은 양을 충진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이송봉(20)이 전진함에 따라 가압피스톤(21)이 원통형실린더(10)의 내부에 담겨진 컴파운드를 밀어 내게 되고 이 때 컴파운드를 압축하게 되어 원통형실린더(10)의 내벽에 반력이 발생한다.
여기서, 원통형실린더(10)의 내벽에 발생하는 반력이 피스톤에 작용하여 상기 이송봉(20)과 결합된 마개(13)를 후방으로 밀어내는 힘이 발생한다.
따라서, 상기 원통형실린더(10)와 마개(13)의 결합력이 상기의 반력보다 커야하므로 마개(13)의 결합을 볼트결합으로 하였으나, 상기의 반력을 견딜 수 있는 다른 결합수단도 가능하다.
상기 회전식손잡이(22)는 손으로 파지하는 부분이 회전하도록 하여 회전식손잡이(22)를 손으로 돌리게 되면 상기 이송봉(20)이 회전하며 이동하게 된다.
상기 주입관(11)은 원통형실린더(10)의 일측면의 중앙에 형성되어 컴파운드가 방출되는 출구역할을 하고, 이 주입관(11)의 선단에 연결되는 연장관(14)이 별도로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연장관(14)은 컴파운드가 주입되는 곳이 깊거나 좁은 공간으로 되어 있을 경우 또는 컴파운드의 량이 소량으로 방출되도록 하여 작업해야 하는 경우에 사용되는 것으로 용도에 따라 다양한 종류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연장관(14)을 주입관(11)에 연결하는 수단은 주입관(11)을 통과해 방출되는 컴파운드의 압력에 의해 탈거되지 않고 결합이 용이하도록 볼트체결로 하였으나 이 밖의 다른 체결수단도 가능하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컴파운드 주입기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식손잡이(22)를 손으로 돌려 이송봉(20)을 회전시키게 되면 이송봉(20)이 상기 마개(13)의 중앙에 형성된 나사관통홀(12)의 나사산을 따라 이동하게 되어 상기 가압피스톤(21)이 원통형실린더(10)의 내부에서 슬라이딩하게 되며 상기 원통형실린더(10)내부에 내장된 컴파운드를 가압하여 밀어내게 된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컴파운드 주입기를 이용하여 송전선로에서 작업하는 사용예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는 송전선로의 위에서 회전식손잡이(22)를 회전하여 컴파운드를 원하는 곳에 방출시킴으로써 비교적 작은 힘으로 작업을 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송전선로위에서의 작업자의 무리한 동작에 의한 위험을 줄일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컴파운드주입기에 의하면, 컴파운드의 주입시 힘이 적게 들어 용이하게 작업할 수 있고, 일회용컴파운드의 사용을 줄이고 컴파운드를 충진해서 사용할 수 있어 컴파운드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길이방향의 일측선단에 컴파운드가 방출되는 주입관(11)이 구비되고, 다른 일측선단에는 나사관통홀(12)이 형성된 마개(13)가 결합된 원통형실린더(10)와;
    일측선단에 원통형실린더(10)의 내부를 슬라이드 이동하는 가압피스톤(21)이 구비되고, 외주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마개(13)의 나사관통홀(12)과 나사결합되며, 다른 일측선단에는 회전식손잡이(22)가 설치된 이송봉(20)으로 이루어진 컴파운드주입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관(11)의 선단에 설치되어 상기 주입관(11)을 연장하는 연장관(14)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파운드주입기.
KR2020000017611U 2000-06-21 2000-06-21 컴파운드 주입기 KR20020623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7611U KR200206235Y1 (ko) 2000-06-21 2000-06-21 컴파운드 주입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7611U KR200206235Y1 (ko) 2000-06-21 2000-06-21 컴파운드 주입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6235Y1 true KR200206235Y1 (ko) 2000-12-01

Family

ID=196617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7611U KR200206235Y1 (ko) 2000-06-21 2000-06-21 컴파운드 주입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623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17987B2 (en) Mixing hypodermic syringe
US7128728B2 (en) Device for administering an injectable product
WO1998028029A1 (en) Jet injector
US4738664A (en) Pistol grip syringe
TW349026B (en) Assembly for storing and injection a fluid and automatic injection device
PL330845A1 (en) Injection apparatus and principle of its operation
US6286718B1 (en) Dispensing gun
JP2003154300A (ja) 粘性流体化合物アプリケーター
CA2383984A1 (en) Retractable needle device
JO1946B1 (en) Syringe trigger device
NZ510883A (en) Hypodermic syringe having a selectively retractable needle, with catch to allow needle to move to retracted position
EP0651662A1 (en) Improvements relating to injection devices
CN101014379A (zh) 注射装置
US9724660B2 (en) Telescoping plunger assembly
IE902149A1 (en) A Syringe
WO2006135615A3 (en) Exchangeable safety needle assembly
KR200206235Y1 (ko) 컴파운드 주입기
US6848906B2 (en) Syringe for the metered delivery of dental materials
JP4020722B2 (ja) 充填装置
TWI637764B (zh) Injection unit for injection of bone filler
KR19980075314A (ko) 1회용주사기를 사용하는 연속주사장치
KR920000397Y1 (ko) 가스분사기
KR20110010937A (ko) 내용물을 배출하고 재충전할 수 있는 튜브와 이를 위한 건을 갖는 배출장치
KR0166458B1 (ko) 크랙보수용 주입기의 추가압력발생장치
KR19980043631U (ko) 수동 그리스 건의 충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930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