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6109Y1 - 헤어드라이어의 브러시헤드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헤어드라이어의 브러시헤드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6109Y1
KR200206109Y1 KR2020000018421U KR20000018421U KR200206109Y1 KR 200206109 Y1 KR200206109 Y1 KR 200206109Y1 KR 2020000018421 U KR2020000018421 U KR 2020000018421U KR 20000018421 U KR20000018421 U KR 20000018421U KR 200206109 Y1 KR200206109 Y1 KR 2002061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ush head
hair dryer
push button
hole
dry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84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충구
Original Assignee
유닉스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닉스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닉스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000184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610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61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610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0Hair dry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A45D20/04Hot-air producers
    • A45D20/08Hot-air producers heated electrically
    • A45D20/10Hand-held drying devices, e.g. air douches
    • A45D20/12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e.g. nozzles, stands

Landscapes

  • Cleaning And Drying Hai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더운 바람을 공급하여 젖은 머리 등을 말릴 수 있도록 하는 헤어드라이어에 있어서 몸체의 전방에 브러시헤드를 착탈이 자유롭게 설치하기 위한 헤어드라이어의 브러시헤드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 종래 구조는 걸림구를 승강시키는 누름버튼의 하부에 별도의 스프링을 설치하여야 하므로 브러시헤드의 내부에 누름버튼 및 스프링 지지공간이 많이 소요되고 돌출부위가 많아지게 되어 토출 바람의 원활한 흐름을 저해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을 뿐 아니라 브러시헤드의 내부에 설치되는 스프링을 통해 누름버튼을 탄성 지지시키고 누름버튼에 걸림구를 접속하는 조립작업이 번거롭게 되고 그에 소요되는 작업시간이 길게 되어 생산성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가 있었던 바, 헤어드라이어 몸체(10)의 토출구(11) 외주 양측에 걸림공 (12)과 걸림돌기(13)를 형성하고, 브러시헤드(20)의 결합측 외주 일측에 자체 탄성을 갖는 걸림구(30)를 설치하는 것 등을 특징으로 하는 본 고안에 의하면 자체 탄성으로 작동하는 누름구(30)를 통해 브러시헤드(20)를 고정하게 되므로 별도의 스프링을 사용할 필요가 없게 되어 보다 적은 수의 부품으로 간편하게 제작할 수 있게 되어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될 뿐 아니라 브러시헤드(20)의 내부나 헤어드라이어 몸체(10)의 내부에 돌출부위가 없게 되기 때문에 토출 바람을 보다 원활하게 브러시헤드(20)의 토출공(22)으로 유도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헤어드라이어의 브러시헤드 설치구조 { a structure setting up a brush head for a hair dryer }
본 고안은 더운 바람을 공급하여 젖은 머리 등을 말릴 수 있도록 하는 헤어드라이어에 있어서 몸체의 전방에 브러시헤드를 착탈이 자유롭게 설치하기 위한 헤어드라이어의 브러시헤드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 자세하게는 몸체에 브러시헤드를 보다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보다 손쉽게 분리할 수 있도록 개선한 것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더운 바람을 공급하여 젖은 머리를 말릴 수 있도록 하는 헤어드라이어(hair dryer)는 외부의 공기를 유입하여 생성한 바람을 전방으로 보낼 수 있도록 하는 구동모터와 구동팬을 구비하며, 구동팬의 전방에 전열체를 설치한 형태를 갖는 것이 보통이다.
이러한 통상의 헤어드라이어에 있어서는 구동모터와 구동팬 등이 내장되는 몸체의 일측에 마련되는 토출구의 전방에 토출바람을 안정적으로 유도할 수 있도록 하는 토출가이드나 외주 일측에 토출공과 브러시가 돌출 설치된 브러시헤드가 설치되기 마련인 바, 몸체의 토출구에 브러시헤드를 설치한 경우 브러시로 머리모양을 손질하면서 토출공으로 토출되는 바람으로 젖은 머리를 말릴 수 있게 되므로 편리하게 된다.
상기 브러시헤드는 머리를 손질하는 과정에서 그에 상당한 하중이 가해지기 때문에 일단 헤어드라이어 몸체에 설치된 후에 흔들림 없이 견고한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몸체에 설치된 브러시헤드를 다른 브러시헤드나 토출가이드로 교체 설치하기 위해서 몸체로부터 손쉽게 분리할 수 있게끔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래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헤드의 설치구조는 헤어드라이어 몸체의 결합측 외주 양측에 걸림공을 각각 형성하고, 브러시헤드의 결합측 내주 일측에 걸림돌기를 형성하는 동시에 결합측의 외주 타측에 스프링의 탄성이 작용하는 누름버튼을 통해 작동되는 걸림구를 설치하여 몸체의 각 걸림공에 브러시헤드의 걸림돌기 및 걸림구를 결합하는 형태의 것이 주로 사용되었던 바, 이와 같은 종래 구조는 걸림구를 승강시키는 누름버튼의 하부에 별도의 스프링을 설치하여야 하므로 브러시헤드의 내부에 누름버튼 및 스프링 지지공간이 많이 소요되고 돌출부위가 많아지게 되어 토출 바람의 원활한 흐름을 저해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을 뿐 아니라 브러시헤드의 내부에 설치되는 스프링을 통해 누름버튼을 탄성 지지시키고 누름버튼에 걸림구를 접속하는 조립작업이 번거롭게 되고 그에 소요되는 작업시간이 길게 되어 생산성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구조의 제결함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이며, 그 목적이 헤어드라이어 몸체의 토출구 전방에 브러시헤드를 보다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보다 간편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브러시헤드의 내부에서 토출 바람을 보다 원활하게 유도할 수 있도록 하고, 보다 적은 수의 부품으로 보다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헤어드라이어의 브러시헤드 설치구조를 제공하는 데에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한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동 실시예의 브러시헤드 결합상태의 요부 종단면도
도 3은 동 실시예의 브러시헤드 분리상태의 요부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헤어드라이어 몸체 11 : 토출구
12 : 걸림공 13 : 걸림돌기
14 : 셋팅돌기 20 : 브러시헤드
21 : 브러시 22 : 토출공
23 : 걸림공 24 : 셋팅홈
25 : 삽입공 26 : 지지돌기
27 : 결합공 30 : 걸림구
32 : 걸림돌기 36 : 끼움홈
37 : 결합돌기 38 : 경사부
39 : 누름버튼 40 : 덮개
41 : 누름버튼 돌출공
본 고안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헤어드라이어 몸체의 토출구 외주 양측에 걸림공과 걸림돌기를 형성하고, 브러시헤드의 결합측 외주 일측에 자체 탄성을 갖는 걸림구를 설치하는 것 등을 특징으로 하며, 이하 그 구체적인 기술내용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도 1에서 도 3까지에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는 바, 본 고안은 외주 일측에 토출공(22)이 형성된 외주 일측에 브러시(21)가 돌출 설치된 브러시헤드(20)를 헤어드라이어 몸체(10)의 토출구(11) 전방에 분해와 결합이 자유롭게 설치함에 있어서, 헤어드라이어 몸체(10)의 토출구(11) 외주 상부와 하부에 셋팅돌기(14)를 가로방향으로 형성하고, 토출구(11)의 외주 양측 전후방에 걸림공 (12)과 세로방향 걸림돌기(13)를 각각 형성하며, 브러시헤드(10)의 결합측 내주면 상부와 하부에 상기 헤어드라이어 몸체(10)의 셋팅돌기(14)와 대응되는 셋팅홈(24)을 가로방향으로 형성하고, 브러시헤드(20)의 내주면 일측에 상기 헤어드라이어 몸체(10)의 일측 걸림돌기(13)와 대응되는 걸림공(23)을 형성하는 한편, 브러시헤드 (20)의 내주면 타측에 삽입공(25)을 형성하고, 삽입공(25)의 일측에 세로방향 지지돌기(26)를 형성하며, 지지돌기(26)의 일측에 한 쌍의 결합공(27)을 형성하여 일측 후방에 상기 브러시헤드(20)의 삽입공(25) 및 헤어드라이어 몸체(10)의 일측 걸림공(12)에 결합되는 걸림돌기(32)가 형성되고 중앙 후방에 상기 지지돌기(26)에 결합되는 끼움홈(36)이 마련되며, 타측 후방에 상기 결합공(17)에 결합되는 한 쌍의 결합돌기(37)가 마련되는 동시에 전면 일측 상하부가 절제되고 절제측에 마련된 경사부(38)의 선단부에 누름버튼(39)이 설치된 걸림구(30)를 브러시헤드(20)의 외주면 일측에 결합하고, 걸림구(30)의 전방에 누름버튼 돌출공(41)을 갖는 덮개(40)를 설치하여서 되는 것이다.
도시된 실시예는 브러시헤드(20)의 내주면 양측에 설치되는 보강리브(51)의 선단에 헤어드라이어 몸체(10)의 토출구(11) 선단부를 결합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지지홈(51a)을 마련한 형태를 갖으며, 도면부호중 미설명부호 28은 걸림구 (30)의 이탈방지돌기, 29는 덮개결합공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있어서는 헤어드라이어 몸체(10)의 토출구 (11)의 외주 상부와 하부에 형성된 셋팅돌기(14)의 선단부에 브러시헤드(20)의 내주 상부와 하부에 형성된 셋팅홈(24)의 선단부를 일치시킨 후 브러시헤드(20)를 헤어드라이어 몸체(10)쪽으로 밀면 간편하고도 견고하게 브러시헤드(20)를 헤어드라이어 몸체(10)에 결합할 수 있게 되고, 누름버튼(39)을 누른 후 브러시헤드(20)를 헤어드라이어 몸체(10) 반대쪽으로 당겨내면 손쉽게 브러시헤드(20)를 헤어드라이어 몸체(10)로부터 분리할 수 있게 되는 것인 바, 이하 그 구체적인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헤어드라이어 몸체(10)의 토출구(11)의 외주 상부와 하부에 형성된 셋팅돌기(14)의 선단부에 브러시헤드(20)의 내주 상부와 하부에 형성된 셋팅홈(24)의 선단부를 일치시킨 후 브러시헤드(20)를 헤어드라이어 몸체(10)쪽으로 밀어 넣게 되면 도 2와 같이 각 셋팅돌기(14)가 각 셋팅홈(24)에 결합되는 동시에 헤어드라이어 몸체(10)의 토출구(11) 일측에 마련된 걸림돌기(13)가 브러시헤드(20)의 걸림공 (23)에 삽입되고, 브러시헤드(20)의 삽입공(25)을 관통하여 브러시헤드(20)의 내부로 돌출되는 걸림구(30)의 걸림돌기(32)가 토출구(11)의 타측에 마련된 걸림공(12)에 삽입 결합되며, 헤어드라이어 몸체(10)의 토출구(11)의 양측 선단부위가 보강리브(51)의 선단에 마련된 지지홈(51a)에 삽입되어 견고한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헤어드라이어 몸체(10)에 결합된 브러시헤드(20)를 분리하고자 할 때는 덮개(40)의 돌출공(41)으로 돌출된 누름버튼(39)의 상단부위를 누르게 되면 도 3과 같이 고정구(30)의 경사부(38)가 하강하는 동시에 걸림돌기(32)가 상승하게 되어 헤어드라이어 몸체(10)의 걸림공(12)으로부터 이탈되므로 브러시헤드(20)를 헤어드라이어 몸체(10) 반대쪽으로 당겨내면 간편하게 브러시헤드(20)를 헤어드라이어 몸체(10)로부터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헤어드라이어 몸체(10)에 브러시헤드 (20)를 간편하게 결합하거나 분리할 수 있게 되는 것으로, 본 고안에 의하면 자체 탄성으로 작동하는 누름구(30)를 통해 브러시헤드(20)를 고정하게 되므로 별도의 스프링을 사용할 필요가 없게 되어 보다 적은 수의 부품으로 간편하게 제작할 수 있게 되어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될 뿐 아니라 브러시헤드(20)의 내부나 헤어드라이어 몸체(10)의 내부에 돌출부위가 없게 되기 때문에 토출 바람을 보다 원활하게 브러시헤드(20)의 토출공(22)으로 유도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Claims (1)

  1. 토출공(22)이 형성된 외주 일측에 브러시(21)가 돌출 설치된 브러시헤드(20)를 헤어드라이어 몸체(10)의 토출구(11) 전방에 분해와 결합이 자유롭게 결합되는 것에 있어서, 헤어드라이어 몸체(10)의 토출구(11) 외주 상부와 하부에 셋팅돌기 (14)를 가로방향으로 형성하고, 토출구(11)의 외주 양측 전후방에 걸림공(12)과 세로방향 걸림돌기(13)를 각각 형성하며, 브러시헤드(10)의 결합측 내주면 상부와 하부에 상기 헤어드라이어 몸체(10)의 셋팅돌기(14)와 대응되는 셋팅홈(24)을 가로방향으로 형성하고, 브러시헤드(20)의 내주면 일측에 상기 헤어드라이어 몸체(10)의 일측 걸림돌기(13)와 대응되는 걸림공(23)을 형성하는 한편, 브러시헤드(20)의 내주면 타측에 삽입공(25)을 형성하고, 삽입공(25)의 일측에 세로방향 지지돌기(26)를 형성하며, 지지돌기(26)의 일측에 한 쌍의 결합공(27)을 형성하여 일측 후방에 상기 브러시헤드(20)의 삽입공(25) 및 헤어드라이어 몸체(10)의 일측 걸림공(12)에 결합되는 걸림돌기(32)가 형성되고 중앙 후방에 상기 지지돌기(26)에 결합되는 끼움홈(36)이 마련되며, 타측 후방에 상기 결합공(17)에 결합되는 한 쌍의 결합돌기 (37)가 마련되는 동시에 전면 일측 상하부가 절제되고 절제측에 마련된 경사부(38)의 선단부에 누름버튼(39)이 설치된 걸림구(30)를 브러시헤드(20)의 외주면 일측에 결합하고, 걸림구(30)의 전방에 누름버튼 돌출공(41)을 갖는 덮개(40)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드라이어의 브러시헤드 설치구조.
KR2020000018421U 2000-06-28 2000-06-28 헤어드라이어의 브러시헤드 설치구조 KR2002061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8421U KR200206109Y1 (ko) 2000-06-28 2000-06-28 헤어드라이어의 브러시헤드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8421U KR200206109Y1 (ko) 2000-06-28 2000-06-28 헤어드라이어의 브러시헤드 설치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6109Y1 true KR200206109Y1 (ko) 2000-12-01

Family

ID=196627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8421U KR200206109Y1 (ko) 2000-06-28 2000-06-28 헤어드라이어의 브러시헤드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610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0725Y1 (ko) * 2008-04-11 2010-10-26 (주) 케이.아이.씨.에이 헤어 드라이어 및 헤어 드라이어의 노즐
KR100998166B1 (ko) 2010-03-15 2010-12-03 윤근수 다기능 헤어 드라이어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0725Y1 (ko) * 2008-04-11 2010-10-26 (주) 케이.아이.씨.에이 헤어 드라이어 및 헤어 드라이어의 노즐
KR100998166B1 (ko) 2010-03-15 2010-12-03 윤근수 다기능 헤어 드라이어
WO2011115406A2 (ko) * 2010-03-15 2011-09-22 Yun Keun Soo 다기능 헤어 드라이어
WO2011115406A3 (ko) * 2010-03-15 2012-01-26 Yun Keun Soo 다기능 헤어 드라이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26078B1 (ko) 착탈성이 우수한 이동식 막사의 결합부재
US6807707B2 (en) Air exhaust structure for an upright-type vacuum cleaner
JP2009019811A (ja) 天井据付け型空気調和機のねじカバー装置
CN214300786U (zh) 一种除毛球机的可拆卸主机结构
KR200206109Y1 (ko) 헤어드라이어의 브러시헤드 설치구조
CN110464102B (zh) 手持式吹风机
CN113520221A (zh) 吸尘器的地刷及吸尘器
CN212213635U (zh) 一种吸尘器
CN217185964U (zh) 一种内置驱动式防卡死降温滚刷及清洁设备
KR100990207B1 (ko) 에어샤워실용 에어노즐
CN211381904U (zh) 一种电动牙刷
JP3174033U (ja) 扇風機のフロントカバー
CN220001071U (zh) 吹风机
CN212521650U (zh) 吸尘器
CN219835035U (zh) 一种便于拆装的宠物理毛器
CN212362446U (zh) 尾盖及吹风机
CN220777641U (zh) 用于护发器具的导风板
CN219845432U (zh) 吹风机附件及吹风机
CN219733696U (zh) 风扇
KR19990037235U (ko) 목걸이용 소형 선풍기
KR102611930B1 (ko) 설치 및 설치 해제가 용이한 환풍기
CN215333636U (zh) 一种出风面板易拆装的风机
CN220088823U (zh) 吹风机
CN218302837U (zh) 一种逗猫棒
CN212774946U (zh) 一种格栅与壳体的装配结构以及塔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90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