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7235U - 목걸이용 소형 선풍기 - Google Patents

목걸이용 소형 선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7235U
KR19990037235U KR2019980002868U KR19980002868U KR19990037235U KR 19990037235 U KR19990037235 U KR 19990037235U KR 2019980002868 U KR2019980002868 U KR 2019980002868U KR 19980002868 U KR19980002868 U KR 19980002868U KR 19990037235 U KR19990037235 U KR 1999003723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ece
motor
hole
coupling member
fit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286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염돈우
Original Assignee
염돈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염돈우 filed Critical 염돈우
Priority to KR2019980002868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37235U/ko
Publication of KR1999003723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7235U/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목걸이용 소형 선풍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송풍팬(120)이 축착된 모터(140)의 단자편(142)을 건전지(270)(271)의 일측면에 직접 접속되도록 하고, 파지부(210)의 노브공(231)에 끼워진 작동노브(250)의 접속홈(252)에 제 2접속스프링(241)의 접속편(241a)을 고정하여 작동노브(250)의 내측에 구비된 작동부(253)의 회전에 의해 제 2접속스프링(241)의 접속편(241a)이 제 1접속스프링(240)에 접속되게하여 전원을 인가시켜 송풍팬(120)을 회전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파지부(210)의 누름착탈편(221)에 의해 모터하우징(100)과 본체(200)의 분해만으로 건전지(270)(271)의 교환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므로 구조가 간단하여 소형제작이 가능하고 제작비가 적게들며, 또한 결합부재(130)의 측판(131)에 형성된 걸이편(132)의 끈공(132a)에 걸이끈(260)을 연결설치하여 목에 걸고 다니면서 사용할 수 있어서 소형이지만 목과 얼굴 가까이 고정할 수 있어서 효율이 높으며 분실을 방지할 수 있는 사용상의 편리한 효과가 있는 고안이다.

Description

목걸이용 소형 선풍기
본 고안은 목걸이용 소형 선풍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송풍팬이 축착된 모터의 단자편을 건전지에 직접 접속되도록 하고 작동노브의 작동부 회전에 의해 제 2접속스프링의 접속편이 제 1접속스프링에 접속되어 전원이 인가되도록 하며, 파지부의 누름착탈편에 의해 모터하우징을 본체로부터 분해하는 것만으로 건전지를 교환할 수 있도록 한 간단한 구조의 선풍기를 제공함으로서 목에 걸고 다니면서 사용할 수 있을 정도로 소형 제작이 가능하고 분실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목걸이용 소형 선풍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더운 여름철에는 인공적으로 바람을 발생시켜 사람이나 실내를 시원하게 유지시키는 선풍기가 사용되고, 이러한 선풍기는 사용목적에 따라 가정용, 휴대용등으로 나누어져 있다.
상기와 같은 선풍기중 휴대용 선풍기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종래의 선풍기는 외주면 일측에 작동스위치가 부설된 몸체 내부에 수납실을 형성하고 이 수납실에 스프링과 건전지를 설치하며 상기 건전지의 일단에는 송풍팬이 축착된 모터를 설치하고 상기 모터의 일단에는 상기 몸체와 결합되는 덮개로 구성되어 있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선풍기는 모터와 건전지를 연결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부품을 사용하여 전원을 인가시켜야 하고, 소모된 건전지를 교환하고자 할 경우에는 본체에 결합된 덮개를 이탈시킨 후 송풍팬이 축착된 모터를 빼낸다음 건전지를 교환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고, 또한 부피가 비교적 커서 휴대하기가 곤란하고 분실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송풍팬이 축착된 모터의 단자편을 건전지에 직접 접속되도록 하고 작동노브의 작동부 회전에 의해 제 2접속스프링의 접속편이 제 1접속스프링에 접속되어 전원이 인가되도록 하며, 파지부의 누름착탈편에 의해 모터하우징을 본체로부터 분해하는 것만으로 건전지를 교환할 수 있도록 한 간단한 구조의 선풍기를 제공함으로서 목에 걸고 다니면서 사용할 수 있을 정도로 소형 제작이 가능하고 목과 얼굴에 가까이 고정하여 사용되므로 소형이지만 효율이 높으며 분실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목걸이용 소형 선풍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외측둘레에 복수개의 걸이편을 가지는 측판을 형성하고 상기 측판의 내측에는 중앙에 관통공을 형성한 전면지지판을 상기 측판과 리브로 결합하며 상기 전면지지판의 후방으로 복수개의 조립공을 형성한 걸림편을 설치한 결합부재와, 상기 결합부재의 후방에서 상기 결합부재의 관통공에 삽입되어 전방에 설치되는 송풍팬의 삽입공에 끼워지는 회전축을 일측에 형성하고 타측에는 복수개의 단자편을 돌출형성한 모터와,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끼워진 송풍팬의 전방에 설치되는 안전커버와, 상기 모터의 후방에 설치되고 상기 모터의 단자편이 끼워지는 단자공을 복수개 형성하고 그 후방에 지지돌기를 형성한 격판으로 이루어진 모터하우징과; 상기 결합부재의 전면지지판이 전면에 밀착되는 개방부를 형성하고 그 개방부의 후방 외측으로 상기 결합부재의 걸림편에 형성한 조립공에 끼워지는 걸림턱을 선단에 가지는 누름착탈편을 형성하며 후단면에는 양측에 결합홈을 갖는 노브공을 형성하고 내측에 상기 격판의 단자공을 통하여 돌출되어 선단이 절곡된 모터의 단자편이 각각 접속되는 건전지가 설치되는 파지부와, 상기 파지부의 내측에는 선단이 상기 일측 건전지의 타측면에 접속되고 타단이 후단면에 지지되는 제 1접속스프링과, 상기 제 1접속스프링의 일측에는 선단이 상기 타측 건전지의 타측면에 접속되고 타단에는 접속편을 연장 형성한 제 2접속스프링과, 상기 파지부의 노브공에 끼워지고 상기 제 2접속스프링의 접속편을 고정하는 접속홈을 가지는 접속돌기를 일측면에 형성하고 타측면에는 상기 제 2접속스프링의 접속편을 제 1접속스프링에 접속시킬 수 있도록 작동부를 구비한 작동노브로 이루어진 본체와; 상기 결합부재의 걸이편 끈공을 통해 연결 설치되는 걸이끈으로 구성된 목걸이용 소형 선풍기에 의하여 달성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작동노브에 의해 접속스프링이 작동되는 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에 있어서, 건전지를 교환하기 위해 모터하우징을 몸체에서 분해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5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모터하우징 110 : 안전커버
120 : 송풍팬 130 : 결합부재
131 : 측판 132 : 걸이편
132a : 끈공 136 : 조립공
136a : 걸림편 140 : 모터
141 : 회전축 142 : 단자편
150 : 격판 151 : 단자공
200 : 본체 210 : 파지부
221 : 누름착탈편 221a : 걸림턱
231 : 노브공 231a : 결합홈
240,241 : 제 1,2접속스프링 241a : 접속편
250 : 작동노브 260 : 걸이끈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둘레에 복수개의 걸이편(132)을 가지는 측판(131)을 형성하고 상기 측판(131)의 내측에는 중앙에 관통공(133)을 형성한 전면지지판(134)을 상기 측판(131)과 리브(135)로 결합하며 상기 전면지지판(134)의 후방으로 복수개의 조립공(136a)을 형성한 걸림편(136)을 설치한 결합부재(130)와, 상기 결합부재(130)의 후방에서 상기 결합부재(130)의 관통공(133)에 삽입되어 전방에 설치되는 송풍팬(120)의 삽입공(121)에 끼워지는 회전축(141)을 일측에 형성하고 타측에는 복수개의 단자편(142)을 돌출형성한 모터(140)와, 상기 모터(140)의 회전축(141)에 끼워진 송풍팬(120)의 전방에 설치되는 안전커버(110)와, 상기 모터(140)의 후방에 설치되고 상기 모터(140)의 단자편(142)이 끼워지는 단자공(151)을 복수개 형성하고 그 후방에 지지돌기(152)를 형성한 격판(150)으로 이루어진 모터하우징(100)과; 상기 결합부재(130)의 전면지지판(134)이 전면이 밀착되는 개방부(220)를 형성하고 그 개방부(220)의 후방 외측으로 상기 결합부재(130)의 걸림편(136)에 형성한 조립공(136a)에 끼워지는 걸림턱(221a)을 선단에 가지는 누름착탈편(221)을 형성하며 후단면(230)에는 양측에 결합홈(231a)을 갖는 노부공(231)을 형성하고 내측에 상기 격판(150)의 단자공(151)을 통하여 돌출되어 선단이 절곡된 모터(140)의 단자편(142)이 각각 접속되는 건전지(270)(271)가 설치되는 파지부(210)와, 상기 파지부(210)의 내측에는 선단이 상기 일측 건전지(270)의 타측면에 접속되고 타단이 후단면에 지지되는 제 1접속스프링(240)과, 상기 제 1접속스프링(240)의 일측에는 선단이 상기 타측 건전지(271)의 타측면에 접속되고 타단에는 접속편(241a)을 연장 형성한 제 2접속스프링(241)과, 상기 파지부(210)의 노브공(231)에 끼워지고 상기 제 2접속스프링(241)의 접속편(241a)을 고정하는 접속홈(252)을 가지는 접속돌기(251)를 일측면에 형성하고 타측면에는 상기 제 2접속스프링(241)의 접속편(241a)을 제 1접속스프링(240)에 접속시킬 수 있도록 작동부(253)를 구비한 작동노브(250)로 이루어진 본체(200)와; 상기 결합부재(130)의 걸이편(132) 끈공(132a)을 통해 연결 설치되는 걸이끈(260)으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 안전커버(110)는 중앙에 풍향공(111)을 형성하도록 다수개의 풍향편(112)과 직경이 다른 림(113)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풍향편(112)에 설치된 최외각 림(113)에는 상기 송풍팬(120)의 전방에 위치하여 상기 결합부재(130)에 고정될 수 있도록 단턱(11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모터(140)의 일측면에 돌출 형성된 단자편(142)의 내측으로는 고정편(143)이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격판(150)에 형성된 단자공(151)의 내측으로는 상기 모터(140)의 고정편(143)이 끼워질 수 있도록 고정공(153)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격판(150)의 후방에 설치된 지지돌기(152)는 상기 파지부(210)에 삽입된 건전지(270)(271)의 유동을 방지시켜 준다.
상기 파지부(210)의 누름착탈편(221) 양측에는 상기 모터하우징(100)의 착탈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절결부(221b)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 목걸이용 소형 선풍기를 결합하기 위해서는 먼저, 격판(150)의 단자공(151)과 고정공(153)에 모터(140)의 타측에 돌출형성된 단자편(142)과 고정편(143)을 끼운 다음, 상기 격판(150)에 끼워진 모터(140)를 상기 결합부재(130)의 후방에서 상기 결합부재(130)의 관통공(133)으로 모터(140)를 삽입한다. 이때, 상기 모터(140)의 단자편(142)이 상기 격판(150)의 단자공(151)에 끼워지면 그 단자편(142)을 외측으로 절곡 형성시킨다.
상기 결합부재(130)의 관통공(133)에 상기 모터(140)가 삽입되면 상기 모터(140)의 일측에 형성된 회전축(141)을 상기 결합부재(130)의 전방에 위치하는 송풍팬(120)의 삽입공(121)에 끼운다. 이후, 상기 모터(140)의 회전축(141)이 끼워진 송풍팬(120)의 전방에 안전커버(110)를 설치하되 상기 안전커버(110)의 최외각 림(113)에 형성된 단턱(114)이 상기 결합부재(130)의 전방에 설치되도록 고정시켜 모터하우징(100)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모터하우징(100)을 형성한 후에는 상기 파지부(210)의 개방부(220)를 통해 상기 파지부(210)의 후단면(230) 내측으로 상기 제 1접속스프링(240)과 제 2접속스프링(241)을 삽입 설치한 다음, 상기 제 2접속스프링(241)의 접속편(241a) 상기 작동노브(250)의 접속홈(252)에 고정시킨다.
상기 작동노브(250)의 접속홈(252)에 상기 제 2접속스프링(241)의 접속편(241a)을 고정시킨 후에는, 상기 작동노브(250)를 상기 파지부(210)의 후단면(230)에 형성된 노브공(231)으로 끼워 본체(200)를 형성한다. 이때, 상기 작동노브(250)가 노브공(231)으로 끼워질 때 상기 작동노브(250)의 일측면에 접속홈(252)을 가지는 접속돌기(251)가 상기 노브공(231)의 양측에 형성된 결합홈(231a)을 통해 끼워지도록 한다.
상기 모터하우징(100)과 본체(200)로 형성한 후에는, 상기 본체(200)의 파지부(210) 전단면에 형성된 개방부(220)를 통해 건전지(270)(271)를 삽입하되 상기 건전지(270)(271)의 타측면이 상기 제 1접속스프링(240)과 제 2접속스프링(241)에 각각 접속되도록 한다. 그리고 나서, 상기 본체(200)의 파지부(210) 전단에 형성된 개방부(220)에 상기 모터하우징(100)의 결합부재(130) 전면지지판(134)이 밀착되도록 한다. 그러면, 상기 파지부(210)의 전단면에 형성된 개방부(220)에 누름착탈편(221)이 형성되고 그 누름착탈편(221)의 선단에 돌출 형성된 걸림턱(221a)이 상기 결합부재(130)의 걸림편(136)에 형성한 조립공(136a)에 끼워 고정되며, 동시에 상기 건저지(270)(271)의 일측면이 상기 격판(150)의 단자공(151)을 통해 끼워진 상기 모터(140)의 단자편(142)에 접속된다.
상기 본체(200)를 모터하우징(100)에 결합시킨 후에는 상기 결합부재(130)의 측판(131)에 형성된 걸이편(132)의 끈공(132a)에 걸이끈(260)을 연결설치하면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결합된 선풍기를 목에 건 후, 본 고안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파지부(210)의 후단면(230)에 형성된 노브공(231)에 끼워진 작동노브(250)의 작동부(253)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작동노브(250)의 접속홈(252)에 끼워진 상기 제 2접속스프링(241)의 접속편(241a)이 상기 제 1접속스프링(240)에 접속하게 된다. 상기 제 2접속스프링(241)의 접속편(241a)이 제 1접속스프링(240)을 접속하게되면 상기 파지부(210)의 내측에 삽입된 건전지(270)(271)를 통하여 전원이 인가되어 상기 건전지(270)(271)의 일측면에 접속된 모터(140)의 단자편(142)을 통해 모터(140)를 작동시켜준다. 그러면 상기 모터(140)의 회전축(141)이 끼워진 송풍팬(120)이 회전하게 되어 외부로 송풍되는 것이다. 즉, 상기 송풍팬(120)이 축착된 모터(140)의 단자편(142)을 건전지(270)(271)의 일측면에 직접 접속되도록 하고, 상기 작동노브(250)의 작동부(253) 회전에 의해 상기 제 2접속스프링(241)의 접속편(241a)을 제 1접속스프링(240)에 접속시켜 전원을 인가시키도록 하여 전원이 모터(140)의 단자편(142)을 통해 상기 모터(140)를 작동시켜 송풍팬(120)을 회전시켜주는 것이다.
이와는 반대로 선풍기의 작동을 정지하고자 할 때는 상기 작동노브(250)의 작동부(253)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된다. 그러면 상기 제 1접속스프링(240)에 접속된 상기 제 2접속스프링(241)의 접속편(241a)이 단락되어 전원이 인가되지 않아 모터(140)의 회전이 정지되는 것이다.
한편, 건전지(270)(271)의 수명이 다해 새 건전지(270)(271)로 교환하고자 할 경우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을 목에서 이탈 시킨 다음, 상기 파지부(210)의 누름착탈편(221)을 눌러주면 상기 누름착탈편(221)의 선단에 돌출 형성된 걸림턱(221a)이 상기 결합부재(130)의 걸림편(136)에 형성한 조립공(136a)으로부터 이탈하게 된다. 즉, 상기 본체(200)의 파지부(210) 전단에 형성된 개방부(220)로부터 상기 모터하우징(100)의 결합부재(130) 전면지지판(134)이 이탈된다. 그러면, 상기 파지부(210)의 전단면에 형성된 개방부(220)에 누름착탈편(221)이 형성되고 그 누름착탈편(221)의 선단에 돌출 형성된 걸림턱(221a)이 상기 결합부재(130)의 걸림편(136)에 형성한 조립공(136a)으로부터 이탈되며, 동시에 상기 격판(150)의 단자공(151)을 통해 끼워진 상기 모터(140)의 단자편(142)이 건전지(270)(271)의 일측면에서 이탈되는 것이다.
상기 모터하우징(100)과 본체(200)를 이탈시킨 후에는, 상기 파지부(210)의 내측에 삽입된 건전지(270)(271)를 새로운 건전지(270)(271)로 교환한 후 다시 상기에 서술한 바와 같이 결합하면되는 것이다. 즉, 건전지(270)(271) 교환시 모터하우징(100)을 본체(200)의 파지부(210) 전단면에 형성된 개방부(220)부터 분해할 수 있어 건전지(270)(271)의 교환을 쉽고 간단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 목걸이용 소형 선풍기에 따르면, 송풍팬이 축착된 모터의 단자편을 건전지의 일측면에 직접 접속되도록 하고, 파지부의 노브공에 끼워진 작동노브의 접속홈에 제 2접속스프링의 접속편을 고정하여 작동노브의 작동부 회전에 의해 제 2접속스프링의 접속편이 제 1접속스프링에 접속되게 하여 전원을 인가시켜 송풍팬을 회전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파지부의 누름착탈편에 의해 모터하우징과 본체의 분해만으로 건전지의 교환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므로 소형제작이 가능하고, 또한 결합부재의 측판에 형성된 걸이편의 끈공에 걸이끈을 연결설치하여 목에 걸고 다니면서 사용할 수 있어서 소형이지만 목과얼굴 가까이 고정할 수 있어 효율이 높으며 분실을 방지할 수 있는 사용상의 편리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외측둘레에 복수개의 걸이편(132)을 가지는 측판(131)을 형성하고 상기 측판(131)의 내측에는 중앙에 관통공(133)을 형성한 전면지지판(134)을 상기 측판(131)과 리브(135)로 결합하며 상기 전면지지판(134)의 후방으로 복수개의 조립공(136a)을 형성한 걸림편(136)을 설치한 결합부재(130)와, 상기 결합부재(130)의 후방에서 상기 결합부재(130)의 관통공(133)에 삽입되어 전방에 설치되는 송풍팬(120)의 삽입공(121)에 끼워지는 회전축(141)을 일측에 형성하고 타측에는 복수개의 단자편(142)을 돌출형성한 모터(140)와, 상기 모터(140)의 회전축(141)에 끼워진 송풍팬(120)의 전방에 설치되는 안전커버(110)와, 상기 모터(140)의 후방에 설치되고 상기 모터(140)의 단자편(142)이 끼워지는 단자공(151)을 복수개 형성하고 그 후방에 지지돌기(152)를 형성한 격판(150)으로 이루어진 모터하우징(100)과; 상기 결합부재(130)의 전면지지판(134)이 전면에 밀착되는 개방부(220)를 형성하고 그 개방부(220)의 후방 외측으로 상기 결합부재(130)의 걸림편(136)에 형성한 조립공(136a)에 끼워지는 걸림턱(221a)을 선단에 가지는 누름착탈편(221)을 형성하며 후단면(230)에는 양측에 결합홈(231a)을 갖는 노브공(231)을 형성하고 내측에 상기 격판(150)의 단자공(151)을 통하여 돌출되어 선단이 절곡된 모터(140)의 단자편(142)이 각각 접속되는 건전지(270)(271)가 설치되는 파지부(210)와, 상기 파지부(210)의 내측에는 선단이 상기 일측 건전지(270)의 타측면에 접속되고 타단이 후단면에 지지되는 제 1접속스프링(240)과, 상기 제 1접속스프링(240)의 일측에는 선단이 상기 타측 건전지(271)의 타측면에 접속되고 타단에는 접속편(241a)을 연장 형성한 제 2 접속스프링(241)과, 상기 파지부(210)의 노브공(231)에 끼워지고 상기 제 2접속스프링(241)의 접속편(241a)을 고정하는 접속홈(252)을 가지는 접속돌기(251)를 일측면에 형성하고 타측면에는 상기 제 2접속스프링(241)의 접속편(241a)을 제 1접속스프링(240)에 접속시킬 수 있도록 작동부(253)를 구비한 작동노브(250)로 이루어진 본체(200)와; 상기 결합부재(130)의 걸이편(132) 끈공(132a)을 통해 연결 설치되는 걸이끈(26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걸이용 소형 선풍기.
KR2019980002868U 1998-03-02 1998-03-02 목걸이용 소형 선풍기 KR1999003723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2868U KR19990037235U (ko) 1998-03-02 1998-03-02 목걸이용 소형 선풍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2868U KR19990037235U (ko) 1998-03-02 1998-03-02 목걸이용 소형 선풍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7235U true KR19990037235U (ko) 1999-10-05

Family

ID=697134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2868U KR19990037235U (ko) 1998-03-02 1998-03-02 목걸이용 소형 선풍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37235U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8503Y1 (ko) * 2018-06-01 2019-02-12 이영원 휴대용 선풍기 홀더.
WO2019078440A1 (ko) 2017-10-17 2019-04-25 박정규 넥밴드형 선풍기
KR102105850B1 (ko) 2019-07-23 2020-04-29 주식회사 엠씨엘코리아 휴대용 선풍기
KR200491653Y1 (ko) 2019-06-05 2020-05-14 이경노 송풍 각도 조절이 용이한 넥밴드형 선풍기
KR200491829Y1 (ko) 2019-11-26 2020-06-12 (주)티앤디 인터내셔날 넥밴드형 선풍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78440A1 (ko) 2017-10-17 2019-04-25 박정규 넥밴드형 선풍기
KR200488503Y1 (ko) * 2018-06-01 2019-02-12 이영원 휴대용 선풍기 홀더.
KR200491653Y1 (ko) 2019-06-05 2020-05-14 이경노 송풍 각도 조절이 용이한 넥밴드형 선풍기
KR102105850B1 (ko) 2019-07-23 2020-04-29 주식회사 엠씨엘코리아 휴대용 선풍기
KR200491829Y1 (ko) 2019-11-26 2020-06-12 (주)티앤디 인터내셔날 넥밴드형 선풍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37235U (ko) 목걸이용 소형 선풍기
CN107740784B (zh) 转轴安装结构及塔扇
CN217830902U (zh) 除尘机外壳及除尘机
CN114992840B (zh) 湿膜结构和空气调节装置
CN214386089U (zh) 一种具有锁扣机构的气雾发生装置
US5971497A (en) Vacuum cleaner having an apparatus for fixing wheels
CN210810891U (zh) 一种电动奶瓶刷
KR200181840Y1 (ko) 부착식 헤어 드라이어
CN220290991U (zh) 一种独立式带金属旋转扣的电池盖
CN219845427U (zh) 吹风设备
CN220607646U (zh) 一种便于组装的吹风机
CN215272454U (zh) 一种吸尘器
CN214420198U (zh) 一种车衣收纳装置
CN211324722U (zh) 吸尘器
CN215534159U (zh) 洗鞋设备
CN211449118U (zh) 一种迷你便携式手持座及其风扇
CN213711374U (zh) 吊扇
CN213428831U (zh) 一种轻巧便携的电吹风
CN210696408U (zh) 一种烫发器
CN219353767U (zh) 一种车载吸尘器
CN217401204U (zh) 一种便于清洁的便携式风扇
JP4488644B2 (ja) ランプソケット
CN214577818U (zh) 一种无叶挂脖风扇
CN214908514U (zh) 一种电动牙刷
CN214624848U (zh) 应用于操作面板的旋转按键及家用电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