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5934Y1 - 블라인드 어저스터의 스프링 - Google Patents

블라인드 어저스터의 스프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5934Y1
KR200205934Y1 KR2020000020035U KR20000020035U KR200205934Y1 KR 200205934 Y1 KR200205934 Y1 KR 200205934Y1 KR 2020000020035 U KR2020000020035 U KR 2020000020035U KR 20000020035 U KR20000020035 U KR 20000020035U KR 200205934 Y1 KR200205934 Y1 KR 20020593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ve
spring
rotating body
adjuster
fo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00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재석
Original Assignee
곽재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곽재석 filed Critical 곽재석
Priority to KR20200000200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593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593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5934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40Roller blinds
    • E06B9/42Parts or details of roller blinds, e.g. suspension devices, blind box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블라인드 어저스터의 스프링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블라인드 어저스터의 회전체와 슬리브가 스프링의 걸림편에 탄지될 때, 상기 걸림편의 면적을 넓게 하여, 회전체나 슬리브에서 스프링에 힘이 가해질 경우, 상기 힘을 견고하게 극복하여 회전체의 회전은 방해하지 않고 슬리브의 회전은 완벽하게 제지하도록 하며, 걸림편이 회전체나 슬리브의 내부로 파고 들어가는 현상도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블라인드 어저스터의 스프링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어저스터의 고정축에 끼워져 슬리브의 공회전을 방지하는 스프링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의 양측에 돌출 형성되어 회전체와 슬리브를 탄지하는 걸림편을 내측으로 절곡하여, 탄지되는 면적이 넓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상기 회전체 및 슬리브를 고른 힘으로 견고하게 탄지할 수 있어 제품의 작동에 신뢰를 할 수 있고, 스프링의 탄지력보다 더 큰 힘이 가해져도 상기 걸림편이 회전체나 슬리브의 내부로 파고 들어가 상기 회전체나 슬리브를 손상시키는 등의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 고안이다.

Description

블라인드 어저스터의 스프링 {Adjust spring of blind}
본 고안은 블라인드 어저스터의 스프링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스프링에 탄지되는 회전체와 슬리브가 상기 스프링의 양측에 돌출 형성된 걸림편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넓은 면적으로 회전체와 슬리브를 지지하도록 하여 어저스터의 작동에 신뢰를 주는 스프링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블라인드는 창문이나 현관 등 건물의 실내로 햇빛이 들어오는 부분에 설치하여 상기 햇빛을 차단하고 실내의 미관을 수려하게 할 목적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롤 스크린식 블라인드, 베네시안식 블라인드, 버티컬 블라인드, 로만쉐이드 블라인드 등 그 형태와 방식에 있어서 다양한 종류가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여러 종류의 블라인드 중 롤 스크린식 블라인드와 로만쉐이드식 블라인드는 그 개폐가 어저스터에 의해 이루어지는데, 이와 같은 어저스터는 첨부한 도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다.
즉, 햇빛을 차단하는 롤 스크린 또는 로만쉐이드가 파이프(8)에 결합 고정되고, 이 파이프(8)의 양측 선단에는 어저스터(1)와 권취롤러가 각각 설치되는데, 상기 어저스터(1) 및 권취롤러는 천장 또는 창의 상측에 고정 설치된다.
이와 같은 어저스터(1)는 고정축(3)에 볼체인 가이드(2)와 회전체(5) 및 스프링(6), 슬리브(7) 등이 차례로 끼워지고, 회전체(5)에는 단부가 없는 무한궤도 형상의 볼체인(4)이 설치되어 이루어 졌으며, 이와 같은 어저스터(1)의 슬리브(7)에 롤 스크린 또는 로만쉐이드가 결합된 파이프(8)가 끼워져 고정 설치된 것이다.
상기에 있어서, 스프링(6)은 양측 선단에 걸림편(6a)이 돌출 형성되었는데, 스프링(6)이 고정축(3)에 끼워지면 이 걸림편(6a)은 회전체(5)의 단부(5a)와 슬리브(7)의 걸림턱(7a)을 탄지하며, 회전체(5)의 회전은 방해하지 않고 슬리브(7)는 회전되지 못하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즉, 회전체(5)가 회전할 때에는 상기 회전체(5)의 단부(5a)가 걸림편(6a)을 스프링(6)이 권취된 역방향으로 밀어 스프링(6)의 내경이 벌어지도록 하므로써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고, 상기 회전체(5)의 회전이 멈춘 상태에서는 롤 스크린 또는 로만쉐이드의 자체 하중에 의해 슬리브(7)가 회전하려 하나, 이때 작용하는 힘이 걸림턱(7a)에 걸려 있는 걸림편(6a)을 스프링(6)이 권취된 방향으로 밀어 상기 스프링(6)의 내경이 더욱 좁아지게 한다.
따라서, 스프링(6)이 고정축(3)을 압착하는 결과가 되어 슬리브(7)가 회전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스프링(6)은 양측 선단에 형성한 걸림편(6a)의 폭이 좁고 날카로와 회천체(5)의 회전을 멈추게 하거나, 심한 경우 회전체(5)와 슬리브(7)에 손상을 가하게 되는 등 제 기능을 원활히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어 왔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이 걸림편(6a)의 폭이 좁고 날카롭기 때문에 회전체(5)의 단부(5a)나 슬리브(7)의 걸림턱(7a)에 닿는 면적이 매우 좁아 하나의 점에 불과한 상태가 된다.
따라서, 걸림편(6a)은 회전체(5)의 단부(5a)나 슬리브(7)의 걸림턱(7a)을 안정적으로 탄지하지 못해 슬리브(7)의 회전을 완벽하게 제지하지 못하고, 심한 경우에는 상기 회전체(5)나 슬리브(7)가 걸림편(6a)을 미는 힘을 이 걸림편(6a)이 극복하지 못하여 회전체(5)나 슬리브(7)의 내부로 파고 들어가게 되어 상기 회전체(5)나 슬리브(7)의 내부에 손상을 가하게 되는 등의 문제가 있어 왔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블라인드 어저스터의 회전체와 슬리브가 스프링의 걸림편에 탄지될 때, 상기 걸림편의 면적을 넓게 하여, 회전체나 슬리브에서 스프링에 힘이 가해질 경우, 상기 힘을 견고하게 극복하여 회전체의 회전은 방해하지 않고 슬리브의 회전은 완벽하게 제지하도록 하며, 걸림편이 회전체나 슬리브의 내부로 파고 들어가는 현상도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블라인드 어저스터의 스프링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어저스터의 고정축에 끼워져 슬리브의 공회전을 방지하는 스프링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의 양측에 돌출 형성되어 회전체와 슬리브를 탄지하는 걸림편을 내측으로 절곡하여, 탄지되는 면적이 넓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어저스터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어저스터의 분해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어저스터 11 : 볼체인 가이드 12 : 고정축
13 : 볼체인 14 : 회전체 15 : 단부
16 : 스프링 17 : 걸림편 18 : 슬리브
19 : 걸림턱 20 : 파이프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어저스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상기 도면에서와 같이 어저스터(10)는 고정축(12)에 볼체인 가이드(11), 회전체(14), 스프링(16), 슬리브(18)를 차례로 끼워 형성하는데, 그 순서는 우선 고정축(12)에 볼체인 가이드(11)와 회전체(14)를 차례로 끼운다.
이때, 상기 회전체(14)에는 후술하는 스프링(16)의 걸림편(17)에 탄지되는 단부(15)를 형성하여 고정축(12)에 끼운다.
또한, 회전체(14)에는 볼체인(13)을 설치하는데, 이 회전체(14)에 설치되는 볼체인(13)은 고정축(12)에 끼워져 회동자재하는 볼체인 가이드(11)에 안내되도록 한다.
이후, 상기 고정축(12)에 스프링(16)을 끼우되, 상기 스프링(16)의 양측 선단에는 걸림편(17)을 형성하여 스프링(16)이 고정축(12)에 끼워졌을 때, 이 스프링(16)은 고정축(12)과 회전체(14) 사이에 위치하며 걸림편(17)은 회전체(14)의 단부(15)에 닿을 수 있도록 한다.
상기에 있어서, 스프링(16)의 걸림편(17)은 내측으로 절곡하여 형성하는데, 양측 걸림편(17) 모두를 절곡하여 형성할 수도 있고, 양측 걸림편(17) 중 어느 한쪽만을 절곡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고정축(12)에 끼워진 회전체(14)에 슬리브(18)를 끼우는데, 상기 슬리브(18)의 일측은 내측으로 돌출되는 걸림턱(19)을 형성하여, 상기 슬리브(18)가 회전체(14)에 끼워질 때 걸림턱(19)은 회전체(14)의 단부(15) 사이로 삽입되도록 한다.
즉, 걸림턱(19)은 단부(15) 사이로 삽입되고, 상기 단부(15)와 걸림턱(19) 사이에는 걸림편(17)이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후, 고정축(12)의 선단에 스냅링을 끼워 상기 볼체인 가이드(11)와 회전체(14) 및 스프링(16), 슬리브(18)의 위치를 고정시키면 어저스터(10)의 형성이 완료되는 것이다.
도면의 부호 중 미설명 부호 20은 롤 스크린 또는 로만쉐이드가 설치된 파이프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브라켓(미도시)을 천장이나 창문의 상측에 설치하고, 이 브라켓에 상기 어저스터(10)를 체결 고정시킨 다음, 어저스터(10)의 슬리브(18)에 롤 스크린 또는 로만쉐이드가 설치된 파이프(20)의 일측을 끼운다.
상기 파이프(18)의 타측은 브라켓에 지지되는 권취롤러(미도시)에 끼워 블라인드를 설치한다.
상기와 같이 설치된 블라인드의 사용은 볼체인(13)에 의해 이루어지는데, 상기 볼체인(13)의 한쪽 선을 당기면 회전체(14)가 회전하며 슬리브(18)를 회전시킨다.
즉, 회전체(14)가 회전할 때 상기 회전체(14)의 단부(15)가 스프링(16)의 걸림편(17)을 밀게 되는데, 그 방향은 스프링(16)이 권취된 방향과는 반대방향이 된다.
따라서, 스프링(16)의 내경이 넓어지게되어 고정축(12)과 스프링(16) 사이에 간격이 넓어지므로, 스프링(16)은 회전체(14)와 함께 회전하게 되고, 상기 회전체(14)에 끼워진 슬리브(18)도 회전체(14)와 함께 회전하게 되어 파이프(20)를 회전시킨다.
이와 같이 파이프(20)가 회전함에 따라 롤 스크린 또는 로만쉐이드가 올라가거나 내려오게 되는 것이며, 상기 볼체인(13)을 더 이상 당기지 않으면 회전체(14) 및 슬리브(18), 파이프(20) 등은 그 상태에서 멈추며 더 이상 회전하지 않게 된다.
그러나 이 경우 롤 스크린 또는 로만쉐이드는 자체 하중으로 인해 내려가려는 힘이 발생하는데, 이 힘에 의해 파이프(20) 및 슬리브(18)가 회전하려 하고, 이와 같이 슬리브(18) 및 파이프(20)가 회전하려는 힘은 스프링(16)에 의해 억제된다.
즉, 슬리브(18)가 회전하려 할 때 걸림턱(19)이 스프링(16)의 걸림편(17)을 밀게 되는데, 이때 미는 방향은 스프링(16)이 권취된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밀게 된다.
따라서, 스프링(16)의 내경은 더욱 좁아져 고정축(12)에 완전 밀착된 상태가 되기 때문에 상기 스프링(16)은 회전하지 못하는 상태가 되고, 슬리브(18)의 걸림턱(19)은 스프링(16)의 걸림편(17)에 걸리기 때문에 상기 슬리브(18)도 회전하지 못하게 되며, 슬리브(18)가 회전하지 못하므로 파이프(20)도 회전하지 못하고 정지된 상태로 있게 된다.
상기에 있어서, 스프링(16)의 걸림편(17)은 내측으로 절곡 형성하여 결과적으로는 걸림편(17)의 면적이 커졌으므로, 회전체(14)의 단부(15) 및 슬리브(18)의 걸림턱(19)에 접하는 면적도 넓어져 고른 힘으로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으며, 회전체(14)나 슬리브(18)의 회전하는 힘이 스프링(16)의 탄발력보다 클 경우에는 상기 걸림편(17)이 회전체(14) 또는 슬리브(18)의 내측으로 파고 들어가 상기 회전체(14) 또는 슬리브(18)에 손상을 가하게 되나, 이와 같이 면적이 커짐으로 인해 상기와 같은 현상은 전혀 발생되지 않는다.
이후, 볼체인(13)의 선 중 또 다른 선 즉, 상기에서 당겼던 선이 아닌 다른 선을 당기면 회전체(14)가 상기와는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롤 스크린 또는 로만쉐이드가 올라갔을 경우에는 내려오고, 내려갔을 경우에는 올라가게 된다.
이 경우에도 그 작동원리는 상기한 바와 동일하고, 단지 그 방향만 다를 뿐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이 어저스터의 회전체 및 슬리브를 탄지하는 스프링의 걸림편을 내측으로 절곡하여 그 면적이 넓어지도록 형성한 것으로, 상기 회전체 및 슬리브를 고른 힘으로 견고하게 탄지할 수 있어 제품의 작동에 신뢰를 할 수 있고, 스프링의 탄지력보다 더 큰 힘이 가해져도 상기 걸림편이 회전체나 슬리브의 내부로 파고 들어가 상기 회전체나 슬리브를 손상시키는 등의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 고안이다.

Claims (1)

  1. 어저스터(10)의 고정축(12)에 끼워져 슬리브(18)의 공회전을 방지하는 스프링(16)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16)의 양측에 돌출 형성되어 회전체(14)와 슬리브(18)를 탄지하는 걸림편(17)을 내측으로 절곡 형성하여, 탄지되는 면적이 넓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 어저스터의 스프링.
KR2020000020035U 2000-07-13 2000-07-13 블라인드 어저스터의 스프링 KR20020593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0035U KR200205934Y1 (ko) 2000-07-13 2000-07-13 블라인드 어저스터의 스프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0035U KR200205934Y1 (ko) 2000-07-13 2000-07-13 블라인드 어저스터의 스프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5934Y1 true KR200205934Y1 (ko) 2000-12-01

Family

ID=196647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0035U KR200205934Y1 (ko) 2000-07-13 2000-07-13 블라인드 어저스터의 스프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593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03707B2 (en) Roller shade system and method
KR100669485B1 (ko) 롤블라인드
US7000670B2 (en) Blind and methods for operating thereof
EP0074397A1 (en) Bi-directional clutch
US10619414B2 (en) Pivot mount for roller shade
US5983972A (en) Bearing structure for vertical blinds and roller shades
WO2008124171A1 (en) Shade lifting mechanism
KR200205934Y1 (ko) 블라인드 어저스터의 스프링
AU2003201017B2 (en) Electric blind
AU2013317698B2 (en) A spool assembly
KR200245010Y1 (ko) 브라인드 어저스터의 스프링
KR100728938B1 (ko) 블라인드
KR200449680Y1 (ko) 롤 스크린의 스크린 회동장치
US20160090778A1 (en) Endless loop cord safety device
US20070277936A1 (en) Lift cord anchor clip for roman shade
KR200281210Y1 (ko) 로만쉐이드의 어저스터
CA2660914C (en) Roller clutch assembly
JPH069586U (ja) カーテン装置
US2982352A (en) Roll-up awning
KR200165635Y1 (ko) 블라인드 가이드
KR200187439Y1 (ko) 차단막의 권취자동 조정장치
KR200222378Y1 (ko) 블라인드의 어저스터
KR200310930Y1 (ko) 커튼 이동장치
EP0900315B1 (en) Locking device for curtains, awnings and the like
JPH0725437Y2 (ja) ロールブラインドの引出し長規制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62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