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5702Y1 - Combined use bicycle for water and earth - Google Patents

Combined use bicycle for water and earth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5702Y1
KR200205702Y1 KR2020000011135U KR20000011135U KR200205702Y1 KR 200205702 Y1 KR200205702 Y1 KR 200205702Y1 KR 2020000011135 U KR2020000011135 U KR 2020000011135U KR 20000011135 U KR20000011135 U KR 20000011135U KR 200205702 Y1 KR200205702 Y1 KR 20020570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cycle
propeller
frame
pin
h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1135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재근
Original Assignee
이병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000020232A external-priority patent/KR20010096225A/en
Application filed by 이병세 filed Critical 이병세
Priority to KR20200000111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5702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570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5702Y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3/00Cycles convertible to, or transformable into, other types of cycles or land vehicle
    • B62K13/08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VAIR-CUSHION VEHICLES
    • B60V1/00Air-cushion
    • B60V1/14Propulsion; Control thereof
    • B60V1/145Propulsion; Control thereof using a watter propell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16/00Marine propulsion by muscle power
    • B63H16/04Oars; Sculls; Paddles; P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륙양용 자전거에 관한 것으로, 앞바퀴 부근 자전거 프레임에 소정 각도 제자리회동 가능케 설치되어 필요에 따라 올리거나 내릴 수 있도록 된 U프레임, 뒷바퀴 부근 지지체에 제자리회동 가능케 설치되고 뒷바퀴에 접촉되는 마찰력에 의해 회동되는 마찰휠, 마찰휠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면서 추진력을 발생하는 프로펠러, 마찰휠의 동력을 프로펠러로 전달하기 위한 제 2동력전달수단 및 U프레임과 프로펠러를 연결하여 U프레임의 회동각도에 따라 프로펠러를 회동시켜주는 연결줄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조립과 분해가 용이하고, 조향하기가 편할 뿐만 아니라 보침성이 뛰어나며, 승차감이 좋고, 물이 위쪽으로 튀지 않으며, 기어대신 벨트를 사용하므로 써 방향전환이 부드럽게 이루어진다는 효과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mphibious bicycle, a U-frame that is installed in the bicycle frame near the front wheel to be able to rotate at a predetermined angle, as needed, can be raised or lowered by the friction force that is installed on the support near the rear wheel and in contact with the rear wheel. Friction wheels rotated, propellers generating propulsion while rotating by receiving power from the friction wheels, second power transmission means for transmitting the power of the friction wheels to the propellers, and connecting the U frame and the propellers according to the rotation angle of the U frame Consists of a connecting line that rotates the propellers, and is easy to assemble and disassemble, easy to steer, has excellent supplemental comfort, good ride comfort, water does not splash upwards, and uses a belt instead of gears. Provides the effect of smoother redirection.

Description

수륙양용 자전거{combined use bicycle for water and earth}Amphibious bicycle {combined use bicycle for water and earth}

본 고안은 수륙양용 자전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육지에서는 일반 자전거와 같이 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바다나 강에서도 보트 대용으로 탈 수 있도록 해주는 수륙양용 자전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mphibious bicy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mphibious bicycle that can be used as a boat in the sea or river as well as ride on a land as a general bicycle.

일반적으로 수륙양용 자전거라 함은 육지에서는 물론이고 바다나 강, 호수 등에서도 탈 수 있도록 된 것으로, 자전거와 공기튜브 형태로 된 부체와 부체를 연결하고 자전거를 지지하여주는 지지체와 추진력을 발생하기 위한 프로펠러와 바퀴의 회전력을 프로펠러로 전달하기 위한 동력전달수단과 방향전환을 위한 조향수단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수륙양용 자전거는 본 출원인이 개발하여 실용신안등록출원 96-313호, 96-1937호, 98-13266호로 출원한 바 있다.In general, an amphibian bike is designed to ride on land, sea, river, lake, etc., and it is used to generate a support and propulsion for connecting a body and a body in the form of a bicycle and an air tube. It consists of a power transmission means for transferr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propeller and the wheel to the propeller, and steering means for changing the direction. These amphibious bicycles have been developed by the present applicant and filed as Utility Model Registration Application Nos. 96-313, 96-1937, and 98-13266.

하지만 종래의 수륙양용 자전거는 구조가 복잡하고 그 용도 전환시 조립과 분해과정이 복잡하며 특히 프로펠러로의 동력전달이 기어식으로 되어 있어 방향전환시 프로펠러의 각도변경에 따른 힘이 역으로 바퀴에 전달되어 추진력에 끊김 현상이 생기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 amphibious bike has a complicated structure and complicated assembly and disassembly process when converting its use, and in particular, the power transmission to the propeller is geared so that the force due to the change of the propeller's angle is reversely transmitted to the wheel when the direction is changed. There was a problem such as a break in the driving force.

본 고안의 목적은 용도 전환시 각 부품의 조립과 분해가 용이하고 조향성, 보침성이 우수하며 특히 추진력의 끊김 현상이 생기지 않고 지속적으로 유지되어 추진성능이 우수한 수륙양용 자전거를 제공하는데 있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mphibious bicycle with excellent propulsion performance, which is easy to assemble and disassemble each part when switching the use, and has excellent steering ability, supplementary property, and especially, without breaking of the driving force.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수륙양용 자전거의 사시도이고,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mphibian bicy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 수륙양용 자전거의 후면 사시도,Figure 2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amphibian bike of Figure 1,

도 3은 부체를 접어서 자전거에 탑재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3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olding body mounted on the bicycle,

도 4는 부체에서 분리한 자전거의 사시도이고,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icycle removed from the floating body,

도 5는 부체와 지지체를 나타낸 사시도,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loating body and the support,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수륙양용 자전거의 측면배치도이고,6 is a side view of the amphibian bicy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탄성부재를 나타낸 도면,7 is a view showing an elastic member,

도 8은 U프레임의 설치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리사시도이고,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installation structure of the U-frame,

도 9는 U프레임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U-frame is installed,

도 10a는 허브너트의 좌측면도,10A is a left side view of the hub nut,

도 10b는 허브너트의 단면도,10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hub nut,

도 10c는 허브너트의 우측면도,10c is a right side view of the hub nut,

도 11a는 연결핀의 좌측면도,Figure 11a is a left side view of the connecting pin,

도 11b는 연결핀의 정면도,11b is a front view of the connecting pin,

도 11c는 연결핀의 평면도,11c is a plan view of the connecting pin,

도 12는 프로펠러와 보침하우징 및 마찰휠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배면사시도,12 is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propeller and the supplementary housing and the friction wheel,

도 13은 프로펠러와 보침하우징 및 마찰휠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측면사시도,13 is a side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propeller and the supplementary housing and the friction wheel,

도 14는 마찰휠을 나타낸 단면도,1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riction wheel,

도 15a는 어댑터의 정면도,15A is a front view of the adapter,

도 15b는 그 평단면도,15B is a plan sectional view thereof;

도 16a는 고정너트를 나타낸 단면도이고,Figure 16a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ixing nut,

도 16b는 평너트의 단면도,16b is a sectional view of a flat nut,

도 17a는 일측 브래킷의 정면도,17A is a front view of one side bracket,

도 17b는 그 평면도,17B is a plan view thereof;

도 18a는 타측 브래킷의 정면도,18a is a front view of the other side bracket,

도 18b는 그 평면도이다..18B is a plan view thereof.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수륙양용 자전거 110 : 부체100: amphibious bicycle 110: floating

120 : 자전거 122 : 뒷바퀴120: bicycle 122: rear wheel

130 : 지지체 131 : 연결봉130: support 131: connecting rod

132, 133 : 스프링 134 : 리프팅바132, 133: spring 134: lifting bar

136 : 앞스테이 137 : 허브너트136: front stay 137: hub nut

138 : 연결핀 140 : U프레임138: connecting pin 140: U frame

141 : 연결줄 150 : 마찰휠141: connection line 150: friction wheel

160 : 프로펠러 170 : 보침하우징160: propeller 170: supplementary housing

180 : 슬라이더 190 : 제 2동력전달수단180: slider 190: second power transmission means

210 : 어댑터 220 : 고정너트210: adapter 220: fixing nut

229 : 평너트 230, 230a : 브래킷229: flat nut 230, 230a: bracket

본 고안의 목적은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 한 쌍의 부체와, 두 부체를 연결하는 지지체와, 지지체 상에 착탈 가능케 설치되고 적어도 2이상의 바퀴와 두 바퀴를 연결하는 자전거 프레임과 뒷바퀴를 회전시키기 위한 페달과 페달의 동력을 뒷바퀴로 전달하기 위한 제 1동력전달수단을 갖는 자전거를 구비하여 필요에 따라 육상 또는 해상에서 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수륙양용 자전거에 있어서, 앞바퀴 부근 자전거 프레임에 소정 각도 제자리회동 가능케 설치되어 필요에 따라 올리거나 내릴 수 있도록 된 U프레임, 뒷바퀴 부근 지지체에 제자리회동 가능케 설치되고 뒷바퀴에 접촉되는 마찰력에 의해 회동되는 마찰휠, 마찰휠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면서 추진력을 발생하는 프로펠러, 마찰휠의 동력을 프로펠러로 전달하기 위한 제 2동력전달수단 및 U프레임과 프로펠러를 연결하여 U프레임의 회동각도에 따라 프로펠러를 회동시켜주는 연결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륙양용 자전거에 의해 달성 가능하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air of floats arrang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the support for connecting the two, the removable frame is installed on the support and for rotating the bicycle frame and rear wheels connecting at least two or more wheels and two wheels In an amphibian bicycle provided with a bicycle having a first power transmission means for transmitting a pedal and pedal power to a rear wheel so that it can be ride on land or at sea, if necessary, a predetermined angle can be rotated in a bicycle frame near a front wheel. U frame is installed to raise or lower as needed, the friction wheel is installed on the support near the rear wheel and rotated by the friction force in contact with the rear wheel, propeller to generate the propulsive force while rotating by receiving power from the friction wheel, Second power transmission means for transmitting the power of the friction wheel to the propeller And by connecting the U frame and the propeller can be achieved by the amphibian bik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necting line for rotating the propeller according to the rotation angle of the U frame.

위 U프레임에는 지지체에 연결되어 U프레임을 앞쪽으로 당겨주는 탄성부재가 연결되어 있고, 마찰휠에는 프로펠러를 회동가능케 지지하며 보침성을 유지하여주는 보침하우징이 소정 각도 좌우 회동가능케 설치되어 있으며, 연결줄은 U프레임에서 2가닥이 X자 형태로 보침하우징에 연결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좋다.The upper U frame is connected to the support is connected to the elastic member that pulls the U frame forward, the friction wheel is supported by the propeller to support the propeller rotatable and maintains the bendability is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angle left and right pivotable, connecting line In the U frame, it is recommended that the two strands are connected to the supplemental housing in the form of an X.

위 마찰휠은 수면 위쪽에서 소정 간격을 두고 마주보고 배치된 마찰부와 두 마찰부 사이 중앙부에 형성된 축부로 되어 있고, 지지체에 전후이동 가능케 설치된 슬라이더에 결합되어 있으며, 제 2동력전달수단은 축부와 프로펠러축 사이를 90°꼬인 상태로 연결하는 타임벨트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riction wheel is composed of a shaft portion formed at the center between the friction portion and the two friction portions disposed facing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bove the water surface, and is coupled to a slider installed to be movable back and forth on the support, and the second power transmission means is connected to the shaft portion. It is preferable to use a time belt that connects the propeller shafts in a 90 ° twisted state.

위 보침하우징은 프로펠러의 회전축을 지지하고 타임벨트가 프로펠러의 회전축에 걸릴 수 있도록 중공의 통로를 제공하며 프로펠러보다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고, 리프팅바에 의해 뒤쪽으로 회동되어 수면 위로 들어올려질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좋다.The upper supplemental housing supports the propeller's axis of rotation, provides a hollow passage for the time belt to catch on the axis of rotation of the propeller, protrudes below the propeller, and is pivoted backward by the lifting bar to be lifted above the water surface. It is good.

위 페달에 필요에 따라 착탈 가능한 노를 더 포함하는 구성으로 하면 더욱 좋다.The above pedal may be further configured to include a detachable oar as needed.

위 부체는 공기주입식 고무튜브로하고, 지지체는 고무튜브에 직접 연결되고, C자형 스냅링에 의해 고정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좋다.The upper body is an air injection rubber tube, and the support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rubber tube, it is good to have a configuration fixed by the C-shaped snap ring.

위 자전거의 허브에 고정 가능하고 일측면에는 구멍 바깥쪽으로 통과홈이 형성되어 있는 허브너트와 통과홈을 통과 후 회동되어 허브너트의 내측면에 걸리는 걸림핀과 걸림핀 타측에 형성되고 앞스테이의 끝단과 연결하기 위한 핀구멍를 갖는 연결핀을 더 포함하는 구성으로 하면 조립과 분해가 간편해진다.Can be fixed to the hub of the upper bike and is rotated after passing through the hub nut and the through groove formed in the outer side of the hole on one side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locking pin and the engaging pin on the inner side of the hub nut, the end of the front stay If the configuration further comprises a connecting pin having a pin hole for connecting with the assembly and disassembly is easy.

또, 자전거의 뒷바퀴축과 부체 사이에는 뒷바퀴축에 결합되는 체결너트와 체결너트에 결합되는 평너트에 의해 고정되는 브래킷을 통해 설치되는 연결부재가 설치되고, 연결부재와 안장하부의 프레임 사이에는 통과홈과 중공부를 구비하여 프레임에 고정되는 어댑터와 어댑터의 내측면에 걸리는 걸림핀과 걸림핀 타측에 형성되고 뒤스테이의 끝단과 연결하기 위한 핀구멍를 갖는 연결핀을 더 포함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In addition, a connection member is installed between the rear wheel shaft and the floating body of the bicycle through a bracket fixed by a fastening nut coupled to the rear wheel shaft and a flat nut coupled to the fastening nut, and passes between the connection member and the frame of the lower part of the saddle. It is more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n adapter having a groove and a hollow part, and a connecting pin having a pin hole for connecting to an end of the backstay and a catching pin and a catching pin caught on the inner side of the adapter and being connected to the end of the backstay. Do.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수륙양용 자전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 수륙양용 자전거의 후면 사시도, 도 3은 부체를 접어서 자전거에 탑재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부체에서 분리한 자전거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부체와 지지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mphibian bicy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amphibian bicycle of FIG. 1, FIG. 3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folding body is mounted on a bicycle, and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loating body and the support.

도 1∼도 5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수륙양용 자전거(100)는 한 쌍의 부체(110)를 구비하고 있다. 이 부체(110)는 그 위에 설치되는 자전거(120)와 자전거(120)에 타는 사람이 물 위에서도 뜰 수 있도록 부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공기튜브를 이용하는 것이 좋다. 이 부체(110)는 일반적으로 폰툰(pontoon)이라 부르기도 한다. 이 부체(110)는 수상에서 사용할 때는 바람을 넣어 도 1과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하고, 육상에서 일반 자전거와 같이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공기를 빼고 접어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전거(120)에 싣고 다니면 된다.As can be seen in Figures 1 to 5, the amphibian bicycl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pair of floating body (110). The floating body 110 is to provide a buoyancy buoyancy so that people riding on the bicycle 120 and the bicycle 120 is mounted on the water, it is good to use an air tube. This float 110 is also commonly referred to as a pontoon. The floating body 110 is used as shown in Figures 1 and 2 when the air is used in the water, and if you want to use like a general bicycle on land, fold the air and fold as shown in FIG. Carry it on.

도시된 바와 같이 두 부체(110) 사이에는 지지체(130)가 설치되어 있다. 이 지지체(130)는 두 부체(110)를 서로 연결하여주고, 또 자전거(120)를 부체(110)에 지지하여주기 위한 것이다. 종래에는 지지체(130)를 부체(110)에 설치하기 위해 부체(110) 둘레에 앞뒤로 띠강을 감고 또 이를 서로 연결한 상태에서 띠강에 지지체(130)를 설치하였는데, 이 경우 지지체(130)의 모든 지지점이 서로를 구속하기 때문에 부체(110)가 파도를 타는 경우 흔들림이 심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본 고안에서는 지지체(130)가 연결되는 부위를 보강하고 지지체(130)의 끝단을 직접 부체(110)에 연결하여 각 지지점이 어느 정도의 자유도를 가지도록 하였다. 즉, 부체(110)의 일측이 파도에 의해 요동을 하더라도 부체(110)가 휘어지기 때문에 타측의 지지점은 거의 움직이지 않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수륙양용 자전거(120)는 종래의 것에 비하여 파도에 강해 흔들림이 매우 적다. 이러한 지지체(130)로는 두 부체(110)를 직접 연결하는 연결봉(131)과 자전거(120) 앞바퀴(121)를 부체(110)에 지지하여주는 앞스테이(136)와 안장(124) 부근의 프레임(125)을 연결부재(139)에 지지하여주는 뒤스테이(132a)와 뒷바퀴(122)를 부체(110)에 지지하여주는 연결부재(139)로 구성되어 있다. 앞스테이(132)는 뒤에서 설명되는 허브너트(137)와 연결핀(138)에 의해, 뒤스테이(132a)는 어댑터(210)와 연결핀(138)에 의해, 연결부재(139)는 고정너트(220)와 평너트(229)에 의해 뒷바퀴축에 고정되는 브래킷(230, 230a)을 통해 자전거(120)에 결합되는데 이에 관하여서는 뒤에서 더 상세히 설명한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support 130 is installed between the two floating bodies 110. The support 130 is to connect the two bodies 110 to each other, and to support the bicycle 120 to the body 110. Conventionally, in order to install the support body 130 on the body 110, the support body 130 was wound around the body body 110 around the body body 110 and the support body 130 was installed in the state in which it was connected to each other. In this case, all of the support body 130 Since the support points restrain each other, when the body 110 rides a wave, the shaking was severe. In order to improve this, the present invention reinforces a portion to which the support 130 is connected and connects the end of the support 130 directly to the floating body 110 so that each support point has a certain degree of freedom. That is, even if one side of the body 110 is shaken by the waves, the support body on the other side can be hardly moved because the body 110 is bent. Therefore, the amphibian bicycle 1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very resistant to waves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one is very less shake. As the support 130, a frame near the front stay 136 and the saddle 124 that supports the connecting rod 131 for directly connecting the two bodies 110 and the front wheel 121 of the bicycle 120 to the body 110. It consists of a backstay 132a for supporting the 125 to the connecting member 139 and a connecting member 139 for supporting the rear wheel 122 to the body 110. The front stay 132 is made by the hub nut 137 and the connecting pin 138 described later, the backstay 132a is made by the adapter 210 and the connecting pin 138, and the connecting member 139 is the fixing nut. It is coupled to the bicycle 120 through the brackets 230 and 230a fixed to the rear wheel shaft by the 220 and the flat nut 229, which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later.

도 1과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체(130) 상에는 자전거(120)가 탑재되어 있다. 이 자전거(120)는 도 3과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육상에서는 일반 자전거로 이용하고 또 도 1과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상에서는 추진력을 발생하고 또 조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앞뒤의 두 바퀴(121, 122)와 두 바퀴(121, 122)를 연결하며 핸들(123), 안장(124)이 설치되는 프레임(125)과 동력발생을 위한 페달(126)과 페달(126)의 동력을 뒷바퀴(122)로 전달하기 위한 제 1동력전달수단(127)으로 이루어져 있다. 물론, 페달(126)에는 노(oar)를 설치해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관련하여서는 실용신안공개번호97-51267호 공보 제 2도를 보면 알 수 있으며, 페달에 노를 설치하여두면 전진에 도움이 되고, 필요에 따라 후진할 수 있도록 해줄뿐만 아니라 경우에 따라서는 비상 노로 사용할 수도 있다.As shown in FIG. 1 and FIG. 2, the bicycle 120 is mounted on the support 130. 3 and 4, the bicycle 120 is used as a general bicycle in the land, and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driving force can be generated and steered in the water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wheels 121 and 122 and the two wheels 121 and 122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 power of the pedal 126 and the pedal 126 for generating power and the frame 125 on which the handle 123 and the saddle 124 are installed. It consists of a first power transmission means 127 for transmitting to the rear wheel (122). Of course, it is desirable to provide an oar to the pedal 126. In this regard, see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97-51267 (2), and the installation of a paddle on the pedal will help to move forward and, if necessary, to make it possible to reverse. Can also be used.

도시된 바와 같이 앞바퀴(121) 부근 자전거(120)의 프레임(125)에는 U프레임(140)이 설치되어 있다. 이 U프레임(140)은 자전거(120)의 허브(128)에 제자리회동 가능케 설치하는 것이 좋다. 즉, 필요에 따라 회동시켜 허브(128) 위쪽으로 올리거나 허브(128) 아래쪽으로 내릴 수 있다. 이 U프레임(140)은 조타를 위한 것으로, 주행방향을 바꾸기 위해 핸들(123)을 일측으로 돌리면 같이 돌아간다. 이 U프레임(140)은 수상에서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허브(128) 아래쪽으로 내려 조타에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관련하여서는 뒤에서 더 상세히 설명한다.As shown, the U frame 140 is installed in the frame 125 of the bicycle 120 near the front wheel 121. The U-frame 140 is preferably installed in the hub 128 of the bicycle 120 to be rotated in place. That is, it may be rotated as needed to raise the hub 128 upward or downward to the hub 128. The U frame 140 is for steering, and when the steering wheel 123 is turned to one side to change the driving direction, the U frame 140 returns together. The U-frame 140 is lowered to the hub 128 to be used for steering, as shown in FIG. This is described in more detail later.

도 5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수륙양용 자전거(120)는 마찰휠(150)을 구비하고 있다. 이 마찰휠(150)은 뒷바퀴(122)에 접촉되어 그 마찰력으로 회동되는 것으로, 수표면 위쪽으로 배치되게 하는 것이 좋다. 그래야만 뒷바퀴(122)에 묻어있는 물을 짜주므로 써 물이 튀는 것을 막아줄 수 있다. 이 마찰휠(150)에 관해서는 도 12∼도 15를 참조하여 뒤에서 더 상세히 설명한다.As can be seen in Figure 5 the amphibian bicycle 1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friction wheel 150. The friction wheel 150 is in contact with the rear wheel 122 is rotated by the friction force, it is good to be arranged above the water surface. Only by squeezing the water on the rear wheel 122 can be written to prevent the water from splashing. This friction wheel 15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later with reference to FIGS. 12 to 15.

마찰휠(150)의 아래쪽으로는 프로펠러(160)가 설치되어 있다. 이 프로펠러(160)는 자전거(120)의 뒷바퀴(122)에 의해 회전되는 마찰휠(15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면서 추진력을 발생한다. 물론, 마찰휠(150)과 프로펠러(160) 사이에는 제 2동력전달수단이 설치되어 있어야 한다. 제 2동력전달수단은 마찰휠(150)의 회전력을 프로펠러(160)로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 그 회전축이 서로 직각을 유지하고 있으므로 방향을 전환하여 동력을 전달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제 2동력전달수단으로는 고무 등으로 된 타임벨트가 적당하다. 타임벨트는 그 내면을 따라 나사산 형태로 요철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에 맞물리는 마찰휠(150)과 프로펠러(160)의 회전축에도 대응되는 형태의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어야 한다.The propeller 160 is provided below the friction wheel 150. The propeller 160 receives the power from the friction wheel 150 is rotated by the rear wheel 122 of the bicycle 120 to generate a driving force while rotating. Of course, the second power transmission means should be installed between the friction wheel 150 and the propeller 160. The second power transmission means is for transmitt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friction wheel 150 to the propeller 160, and because the rotation axis is perpendicular to each other should be able to transfer power by changing the direction. As the second power transmission means, a time belt made of rubber or the like is suitable. Unevenness is formed in the form of a thread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time belt, and the thread of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rotating shaft of the friction wheel 150 and the propeller 160 should be formed.

본 고안에 따른 수륙양용 자전거(100)는 보침하우징(170)을 구비하고 있다. 이 보침하우징(170)은 주행방향을 변경할 때 침로를 정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연결줄(141)을 통해 U프레임(140)에 연결되어 있다. 연결줄(141)은 도 5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X형태로 연결하여 핸들(123)을 돌리는 방향으로 프로펠러(160)가 회전되어 그 방향으로 방향 전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U프레임(140)은 아래쪽으로 내려진 상태에서 탄성부재에 의해 앞쪽으로 당겨지고 있는데, 그 상태는 도 9를 보면 알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6∼도 9를 참조하여 더 상세히 설명한다.The amphibian bicycl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supplemental housing 170. The supplementary housing 170 is connected to the U-frame 140 through the connecting line 141 to accurately maintain the course when changing the driving direction. Connecting line 141 is preferably connected to the X shape as shown in Figure 5 so that the propeller 160 is rotated in the direction to turn the handle 123 to be able to change direction in that direction. Of course, the U frame 140 is pulled forward by the elastic member in the lowered state, the state can be seen in Figure 9. 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6 to 9.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수륙양용 자전거의 측면배치도이고, 도 7은 탄성부재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U프레임의 설치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리사시도이고, 도 9는 U프레임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Figure 6 is a side layout view of the amphibian bicy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view showing an elastic member, Figure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installation structure of the U-frame, Figure 9 shows a state where the U-frame is installed Perspective view.

도 6∼도 9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U프레임(140)은 자전거(120)의 앞바퀴(121) 부근 프레임(125)의 허브(128)에 설치된 허브볼트(129)에 제자리 회동가능케 설치되며 그 안쪽으로 와셔(129a)가, 그 바깥쪽으로 허브너트(137)가 결합된다. 허브너트(137)는 도 10을 보면 알 수 있다.As can be seen in Figures 6 to 9, the U-frame 140 is installed to be rotated in place on the hub bolt 129 installed on the hub 128 of the frame 125 near the front wheel 121 of the bicycle 120. Washer 129a inward, hub nut 137 is coupled to the outside. Hub nut 137 can be seen in Figure 10.

허브너트(137)에는 연결핀(138)을 통해 앞스테이(136)가 연결되는데, 앞스테이(136)와 연결핀(138)은 유니버셜 조인트로 연결되어 있으며, 연결핀(138)은 도 11을 보면 알 수 있다.The hub nut 137 is connected to the front stay 136 through a connecting pin 138. The front stay 136 and the connecting pin 138 are connected by a universal joint, and the connecting pin 138 is shown in FIG. You can see it.

도 9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U프레임(140)이 아래쪽으로 내려진 상태에서는 일측단이 지지체(130)에 걸려있는 탄성부재(132)를 통해 앞쪽으로 당겨지고 있다. 탄성부재(132)는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U프레임(140)과 보침하우징(170) 사이에 X자 형태로 연결줄(141)이 걸린다. 즉, U프레임(140)이 연결줄(141)을 통해 보침하우징(170)을 앞쪽으로 당겨주고 있는 상태를 유지하며, 핸들(123)을 오른쪽으로 틀면 U프레임(140)의 왼쪽부분이 앞쪽으로 나가면서 보침하우징(170)의 오른쪽부분을 앞쪽으로 당겨준다. 이에 따라 보침하우징(170)은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되고, 그 상태에서 프로펠러(160)가 추진력을 발생시키면 본 고안에 따른 수륙양용자전거(100)의 후미 중심부를 왼쪽으로 밀어주는 힘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수륙양용 자전거(100)는 오른쪽으로 방향을 전환하게 된다. 물론, 보침하우징(170)은 평소에는 직진할 수 있도록 보침성을 제공하며, 약간 회동된 상태에서는 물의 저항을 받기 때문에 급작스런 방향전환을 방지하여준다.As can be seen in FIG. 9, one side end of the U frame 140 is pulled downward through the elastic member 132 hanging on the support 130. The elastic member 132 is shown in FIG. Between the U frame 140 and the supplemental housing 170, the connecting line 141 in the X-shape takes. That is, the U frame 140 maintains the state of pulling the supplementary housing 170 toward the front through the connecting line 141, and when the handle 123 is turned to the right, the left part of the U frame 140 is moved forward. While pulling the right part of the bodhisattva housing 170 forward. Accordingly, the supplementary housing 170 is rotated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and when the propeller 160 generates a driving force in the state, it acts as a force to push the rear center of the amphibian bicycl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left. Amphibious bicycle 100 is to change the direction to the right. Of course, the supplementary housing 170 provides supplementaryness so that it can go straight in usual times, and prevents a sudden change of direction because it is subjected to water resistance in a slightly rotated state.

도 6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프로펠러(160)가 설치되는 보침하우징(170)은 마찰휠(150)에 설치되어 있으며,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 전, 후, 좌, 후로 회동가능케 설치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그 지지점의 하단부는 탄성부재(132)와 연결줄(141)에 의해 앞쪽으로 당겨지고 있고, 지지점 상단은 다른 탄성부재(133)에 의해 앞쪽으로 당겨지고 있다. 물론, 보침하우징(170)이 연결줄(141)에 의해 앞쪽으로 당겨져 회동되는 각도는 제한되어 있으며, 뒤쪽으로는 충분히 회동될 수 있다. 이러한 보침하우징(170)은 리프팅바(134)를 이용해 뒤쪽으로 들어올릴 수 있다.As can be seen in Figure 6, the propeller housing 170, the propeller 160 is installed is installed on the friction wheel 150, it is rotatably installed to the front, rear, left, back within a predetermined angle range. In this state,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point is pulled forward by the elastic member 132 and the connecting line 141, and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point is pulled forward by the other elastic member 133. Of course, the angle at which the supplementary housing 170 is pulled forward by the connecting line 141 is limited, and may be sufficiently rotated backwards. The supplementary housing 170 may be lifted to the rear using the lifting bar 134.

도 10a는 허브너트의 좌측면도, 도 10b는 허브너트의 단면도, 도 10c는 허브너트의 우측면도이다.10A is a left side view of the hub nut, FIG. 10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hub nut, and FIG. 10C is a right side view of the hub nut.

도 10a∼도 10c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허브너트(137)는 자전거(120)의 허브에 설치된 허브볼트(129)에 고정할 수 있도록 일측 내주면을 따라 나선(137a)이 형성되어 있고, 타측 구멍(137b) 바깥쪽으로 일자형태의 통과홈(137c)이 형성되어 있다. 물론, 내부에는 구멍(137b)보다는 큰 중공부(137d)가 형성되어 있어야 한다.10A to 10C, the hub nut 137 has a spiral 137a formed along on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ub nut 137 to be fixed to the hub bolt 129 installed at the hub of the bicycle 120, and the other hole. 137b is a straight through-groove 137c to the outside. Of course, a larger hollow portion 137d than the hole 137b should be formed therein.

도 11a는 연결핀의 좌측면도, 도 11b는 연결핀의 정면도, 도 11c는 연결핀의 평면도이다.11A is a left side view of the connection pin, FIG. 11B is a front view of the connection pin, and FIG. 11C is a plan view of the connection pin.

즉, 연결핀(138)은 허브너트(137)의 통과홈(137c)을 통해 삽입하여 회동시키면, 허브너트(137)의 중공부(137d) 내측면에 걸리는 걸림핀(138a)과 걸림핀(138a) 타측에 형성되고 앞에서 설명한 앞스테이(136)의 끝단과 유니버셜조인트형태로 연결하기 위한 핀구멍(138b)을 갖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That is, when the connecting pin 138 is inserted and rotated through the through groove 137c of the hub nut 137, the catching pin 138a and the catching pin (which are caught on the inner surface of the hollow part 137d of the hub nut 137) 138a) formed on the other side and having a pin hole 138b for connecting to the end of the front stay 136 described above in the form of a universal joint.

즉, 도 10a∼도 10c를 통해 설명한 허브너트(137)를 자전거(120)의 허브볼트(129)에 결합해두고, 도 11a∼도 11c 연결핀(138)은 앞스테이(136)에 핀 등으로 결합한 상태에서 연결핀(138)의 걸림핀(138a)을 통과홈(137c)을 삽입하여 회동시킨 후 앞스테이(136)의 타측 끝단은 부체(110)의 일측에 설치된 보조구(111)에 삽입하고 C자형태의 스냅링을 결합하면 앞스테이(136)를 설치할 수 있다. 즉, 앞스테이(136)의 설치과정이 매우 간편해진다.That is, the hub nut 137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0A to 10C is coupled to the hub bolt 129 of the bicycle 120, and the connecting pins 138 of FIGS. 11A to 11C are pins to the front stay 136. Rotate the insertion pin 138a of the connecting pin 138 by inserting the through-groove 137c in the coupled state, and the other end of the front stay 136 is provided on the auxiliary tool 111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floating body 110. Inserting and engaging the C-shaped snap ring can be installed the front stay 136. That is, the installation process of the front stay 136 becomes very simple.

도 12는 프로펠러와 보침하우징 및 마찰휠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배면사시도, 도 13은 프로펠러와 보침하우징 및 마찰휠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측면사시도, 도 14는 마찰휠을 나타낸 단면도이다.12 is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stallation state of the propeller, the supplementary housing and the friction wheel, FIG. 13 is a side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stallation state of the propeller, the supplementary housing and the friction wheel, and FIG. 14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friction wheel.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두 부체(110)를 연결하는 뒤쪽 연결봉(131)의 중앙부근에 슬라이더(180)가 전후이동 가능케 설치되어 있고, 탄성부재(133)에 의해 앞쪽으로 힘을 받고 있다. 이 슬라이더(180)에 마찰휠(150)이 제자리회동 가능케 설치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2, the slider 180 is installed to move back and forth near the center of the rear connecting rod 131 that connects the two bodies 110, and is urged forward by the elastic member 133. The friction wheel 150 is attached to this slider 180 so that it can rotate in place.

도 1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마찰휠(150)은 소정 간격을 두고 마주보고 배치된 원판형태의 두 마찰부(151)와 두 마찰부(151) 사이 중앙부에 형성된 축부(156)로 되어 있고, 축부(156)에는 타임벨트에 물려 돌아갈 수 있도록 나사산(157)이 형성되어 있어야 된다.As can be seen in Figure 14, the friction wheel 150 is composed of a shaft portion 156 formed in the center portion between the two friction portion 151 and the two friction portion 151 of the disc shape facing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he shaft portion 156 should be formed with a thread 157 to be bitten by the time belt.

마찰휠(150)에는 보침하우징(170)이 설치되어 있고, 보침하우징(170)에 프로펠러(160)가 회전 가능케 설치되어 있다. 조향을 위해서 프로펠러(160)가 소정 각도 좌우 회동될 수 있어야 되므로, 보침하우징(170)이 소정 각도 좌우 회동될 수 있어야 된다. 그렇게되기 위해서는 슬라이드(180)가 소정각도 회동될 수 있도록 설치되든가, 아니면 마찰휠(150)과 보침하우징(170)을 연결하는 브래킷(171)이 탄력적으로 좌우의 비틀림을 허용하도록 되어 있어야 된다. 물론, 이 보침하우징(170)은 연결줄(141)의 당기는 힘을 받더라도 일정 각도 이상 앞쪽으로 회동되는 것은 제한되어 있으며, 뒤쪽으로는 회동될 수 있도록 되어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수면 상으로 들어올려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마찰휠(150)과 프로펠러(160) 사이에 동력전달부재를 설치할 수 있도록 보침하우징(170)은 중공의 통로를 제공하여야 하며,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은 리프팅바(134)를 결합하여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프로펠러(160)보다는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는 얕은 물에서 앞쪽으로 전진 중에 바위 등에 보침하우징(170)이 먼저 걸려서 뒤쪽으로 들어올려지도록 하여 프로펠러(160)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보침하우징(170)의 평면모양은 앞쪽은 뾰족하고 뒤쪽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유선형 형태로 하는 것이 좋다.The friction wheel 150 is provided with a supplementary housing 170, and the propeller 160 is rotatably installed at the supplementary housing 170. Since the propeller 160 should be able to rotate left and right by a predetermined angle for steering, the supplementary housing 170 should be able to rotate left and right by a predetermined angle. In order to do so, the slide 180 may be installed to be rotated at a predetermined angle, or the bracket 171 connecting the friction wheel 150 and the supplemental housing 170 should be elastically allowed to allow left and right twisting. Of course, the supplementary housing 170 is limited to be rotated forward by a predetermined angle or more forward, even if subjected to the pulling force of the connecting line 141, it can be rotated to the rear can be lifted on the surface when not in use. It is supposed to be. In addition, the supplementary housing 170 should provide a hollow passage so that the power transmission member can be installed between the friction wheel 150 and the propeller 160, which combines the lifting bar 134 as shown in FIG. It is preferable. Moreover, it protrudes below rather than the propeller 160. This is to protect the propeller 160 by the hook housing 170 is first caught and lifted to the rear while moving forward in shallow water. The planar shape of the supplemental housing 170 is preferably in the form of a streamlined shape that is pointed at the front and widened toward the rear.

마찰휠(150)과 프로펠러(160) 사이에는 제 2동력전달수단(190)이 설치되어 있다. 이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타임벨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마찰휠(150)의 축부(156)와 프로펠러축 사이를 90°꼬인 상태로 연결되어 마찰휠(150)의 동력을 프로펠러(160)로 전달한다.The second power transmission means 190 is installed between the friction wheel 150 and the propeller 160. It is preferable to use a time belt having a thread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is connected between the shaft portion 156 of the friction wheel 150 and the propeller shaft in a 90 ° state to transfer the power of the friction wheel 150 to the propeller 160. To pass.

도 15a는 어댑터의 정면도, 도 15b는 그 평단면도이다.Fig. 15A is a front view of the adapter, and Fig. 15B is a plan sectional view thereof.

즉, 도 15a와 도 15b에 나타낸 바와 같은 어댑터(210)를 자전거의 안장 하부 프레임 양측에서 마주보고 조립한 후 볼트로 체결하여 고정하여두고, 도 11a∼도 11c에 나타낸 바와 같은 연결핀(138)은 뒤스테이(132a)의 끝단에 결합한 상태에서 걸림핀(138a)을 통과홈(212)을 통해 충분히 삽입 후 중공부(214)에서 소정 각도 회동시키면 걸림핀(138a)이 어댑터(210)의 내주면에 걸려있게되고, 그 상태에서 뒤스테이(132a)의 타측 끝단은 연결부재(139)에 고정하면 된다.That is, the adapter 210 as shown in FIGS. 15A and 15B is assembled to face each other at the lower side of the saddle lower frame of the bicycle, and then tightened and fixed by bolts, and the connection pin 138 as shown in FIGS. 11A to 11C. When the engaging pin 138a is sufficiently inserted through the through-groove 212 in the state coupled to the end of the backstay 132a, and then rotated by a predetermined angle in the hollow part 214, the locking pin 138a is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dapter 210. The other end of the backstay 132a may be fixed to the connecting member 139 in the state.

도 16a는 고정너트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6b는 평너트의 단면도, 도 17a는 일측 브래킷의 정면도, 도 17b는 그 평면도, 도 18a는 타측 브래킷의 정면도, 도 18b는 그 평면도이다.Figure 16a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ixing nut, Figure 16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flat nut, Figure 17a is a front view of one side bracket, Figure 17b is a plan view thereof, Figure 18a is a front view of the other bracket, Figure 18b is a plan view thereof.

도 16a∼도 18b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내주면에 나선(222)이 형성된 고정너트(220)를 자전거의 뒷바퀴축 양측에 각각 나사결합하고, 그 상태에서 자전거의 일측면으로는 도 17a와 도 17b에 나타낸 브래킷(230)을 통공(232)을 통해 고정너트(220)의 돌출부위로 삽입하고, 그 바깥쪽에서 도 16a와 도 16b에 나타낸 바와 너트(229)를 체결하여 브래킷(230)을 고정한다. 이 브래킷(230)을 통해 앞에서 언급한 연결부재(139)의 일측단을 고정하면 된다.As shown in FIGS. 16A to 18B, the fixing nuts 220 having the spiral 222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re respectively screwed to both sides of the rear wheel shaft of the bicycle, and in this state, FIGS. 17A and 17B Insert the bracket 230 shown in the protrusion of the fixing nut 220 through the through hole 232, and fasten the bracket 230 by fastening the nut 229 as shown in Figure 16a and 16b from the outside. It is only necessary to fix one end of the aforementioned connection member 139 through the bracket 230.

또, 자전거의 타측에서 도 18a와 도 18b에 나타낸 바와 같은 다른 브래킷(230a)을 통공(232a)을 통해 삽입하고 그 바깥쪽에서 너트(229)로 체결하면 브래킷(230a)이 고정된다. 이 브래킷(230a)에 연결부재(139)의 일단을 고정하면 된다.On the other side of the bicycle, the bracket 230a is fixed by inserting another bracket 230a as shown in FIGS. 18A and 18B through the through hole 232a and fastening the nut 229 from the outside thereof. One end of the connecting member 139 may be fixed to the bracket 230a.

이상의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수륙양용 자전거를 이용하는 경우 필요에 따라 올리거나 내릴 수 있는 U프레임으로 인해 조립과 분해가 용이하고, 또 연결줄(141)을 X자 형태로 연결하기 때문에 핸들을 돌리는 방향으로 방향전환이 이루어져 조향하기가 편할 뿐만 아니라 보침하우징으로 인해 보침성이 뛰어나다.As can be seen from the above description, when using the amphibian bicy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ssembly and disassembly are easy due to the U-frame that can be raised or lowered as needed, and the connecting line 141 is connected in an X shape. It is easy to steer as the steering wheel is turned in the direction of turning the handle, and it is also excellent in the supplementary housing due to the supplementary housing.

또, 종래와는 달리 고무튜브를 둘러싸는 강체를 이용하지 않고 연결봉과 앞스테이를 고무튜브에 직접 연결하여 각 지지점이 타지지점에 어느 정도의 자유도를 가지도록 함으로써 파도가 심하게 치더라도 흔들림이 적어 승차감이 좋다.In addition, unlike the related art, by connecting the connecting rod and the front stay directly to the rubber tube without using a rigid body surrounding the rubber tube, each support point has a certain degree of freedom at the other support point, so that even if the waves hit hard, the shaking is less. This is good.

특히, 마찰휠이 슬라이더에 설치되어 소정 거리 전후 이동될 수 있어 바퀴변형이 발생치 않으며, 수면 상에 설치된 상태에서 뒷바퀴를 눌러주므로 물이 위쪽으로 튀지 않는다.In particular, the friction wheel is installed on the slider can be moved back and forth a predetermined distance so that wheel deformation does not occur, and water is not splashed upwards by pressing the rear wheel in the state installed on the water surface.

또, 바퀴의 관성에 의해 수상에서의 진행속도에 끊김 현상이 생기지 않으며, 기어대신 벨트를 사용하므로 써 방향전환시 기어에서 바퀴쪽으로 역으로 전달되는 문제가 해결되어 방향전환시에도 그 과정이 부드럽게 이루어진다.In addition, due to the inertia of the wheel, the running speed in the water is not cut off, and the belt is used instead of the gear to solve the problem of being transferred from the gear to the wheel in the reverse direction. .

뿐만 아니라 허브너트와 연결핀, 스냅링 등을 이용하므로써 용도변경시 분해, 조립이 매우 간편하게 이루어진다.In addition, disassembly and assembly are very easy when changing the usage by using hub nut, connecting pin and snap ring.

Claims (11)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 한 쌍의 부체와, 두 부체를 연결하는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 상에 착탈 가능케 설치되고 적어도 2이상의 바퀴와 상기 두 바퀴를 연결하는 자전거 프레임과 뒷바퀴를 회전시키기 위한 페달과 상기 페달의 동력을 뒷바퀴로 전달하기 위한 제 1동력전달수단을 갖는 자전거를 구비하여 필요에 따라 육상 또는 해상에서 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수륙양용 자전거에 있어서,A pair of floats arrang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 support connecting the two floats, a detachably mounted on the support, a bicycle frame connecting the at least two wheels and the two wheels, and a pedal for rotating the rear wheel; In an amphibian bicycle having a bicycle having a first power transmission means for transmitting the power of the pedal to the rear wheel to ride on land or sea as needed, 상기 앞바퀴 부근 자전거 프레임에 소정 각도 제자리회동 가능케 설치되어 필요에 따라 올리거나 내릴 수 있도록 된 U프레임;A U frame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angle on the bicycle frame near the front wheel to be able to raise or lower as needed; 상기 뒷바퀴 부근 상기 지지체에 제자리회동 가능케 설치되고 상기 뒷바퀴에 접촉되는 마찰력에 의해 회동되는 마찰휠;A friction wheel rotatably installed on the support near the rear wheel and rotated by a frictional force contacting the rear wheel; 상기 마찰휠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면서 추진력을 발생하는 프로펠러;A propeller generating propulsion while rotating by receiving power from the friction wheel; 상기 마찰휠의 동력을 상기 프로펠러로 전달하기 위한 제 2동력전달수단; 및Second power transmission means for transmitting power of the friction wheel to the propeller; And 상기 U프레임과 상기 프로펠러를 연결하여 상기 U프레임의 회동각도에 따라 상기 프로펠러를 회동시켜주는 연결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륙양용 자전거.An amphibious bicycle comprising a connecting line for connecting the U frame and the propeller to rotate the propeller according to the rotation angle of the U fram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U프레임에는 지지체에 연결되어 상기 U프레임을 앞쪽으로 당겨주는 탄성부재가 연결되어 있고, 상기 마찰휠에는 상기 프로펠러를 회동가능케 지지하며 보침성을 유지하여주는 보침하우징이 소정 각도 좌우 회동가능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줄은 상기 U프레임에서 2가닥이 X자 형태로 상기 보침하우징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륙양용 자전거.According to claim 1, The U-frame is connected to the support is connected to the elastic member for pulling the U-frame forward, The friction wheel is provided with a supplementary housing for supporting the propeller rotatably and maintains the bendability An amphibious bicycle is installed at an angle and rotates, and the connecting line is connected to the supplemental housing in the form of X-shaped two strands in the U-frame.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휠은 수면 위쪽에서 소정 간격을 두고 마주보고 배치된 마찰부와 상기 두 마찰부 사이 중앙부에 형성된 축부로 되어 있고, 상기 지지체에 전후이동 가능케 설치된 슬라이더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제 2동력전달수단은 상기 축부와 상기 프로펠러축 사이를 90°꼬인 상태로 연결하는 타임벨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륙양용 자전거.According to claim 1 or claim 2, wherein the friction wheel is a friction portion disposed facing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bove the water surface and the shaft portion formed in the center portion between the two friction portions, the slider is provided on the slider so as to be movable back and forth on the support; And the second power transmission means is a time belt for connecting the shaft portion and the propeller shaft in a twisted state by 90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침하우징은 상기 프로펠러의 회전축을 지지하고 상기 타임벨트가 상기 프로펠러의 회전축에 걸릴 수 있도록 중공의 통로를 제공하며 상기 프로펠러보다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고, 리프팅바에 의해 뒤쪽으로 회동되어 수면 위로 들어올려질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륙양용 자전거.The propeller housing of claim 2, wherein the supplemental housing supports a rotation axis of the propeller and provides a hollow passage so that the time belt can be caught by the rotation axis of the propeller, protrudes downwardly from the propeller, and rotates backward by a lifting bar. Amphibian bike,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be lifted above the water surface.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페달에 필요에 따라 착탈 가능한 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륙양용 자전거.The amphibian bicycle according to claim 1 or 2, further comprising a detachable oar to the pedal as necessary.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부체는 공기주입식 고무튜브이고 상기 지지체는 상기 고무튜브에 직접 연결되고, C자형 스냅링에 의해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륙양용 자전거.The amphibian bicycle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floating body is an air injection rubber tube and the support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rubber tube and fixed by a C-shaped snap ring.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자전거의 허브에 고정 가능하고 일측면에는 구멍 바깥쪽으로 통과홈이 형성되어 있는 허브너트와 상기 통과홈을 통과후 회동되어 상기 허브너트의 내측면에 걸리는 걸림핀과 걸림핀 타측에 형성되고 상기 앞스테이의 끝단과 연결하기 위한 핀구멍를 갖는 연결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륙양용 자전거.The hook of claim 1 or 2, wherein the hub nut is fixed to the hub of the bicycle and rotates after passing through the hub groove and the hub nut having a passage groove formed outside the hole on one side thereof, and being caught by the inner surface of the hub nut. The amphibian bicycle further comprising a connecting pin having a pin hole formed at the other side of the pin and the engaging pin and connected to the end of the front stay.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자전거의 뒷바퀴축과 부체 사이에는 뒷바퀴축에 결합되는 체결너트와 체결너트에 결합되는 평너트에 의해 고정되는 브래킷을 통해 설치되는 연결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연결부재와 상기 안장하부의 프레임 사이에는 통과홈과 중공부를 갖는 어댑터와 상기 어댑터의 내측면에 걸리는 걸림핀과 걸림핀 타측에 형성되고 상기 뒤스테이의 끝단과 연결하기 위한 핀구멍를 갖는 연결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륙양용 자전거.According to claim 1 or 2, Between the rear wheel shaft and the floating body of the bicycle connection member is installed through a bracket fixed by a fastening nut coupled to the rear wheel shaft and a flat nut coupled to the fastening nut is installed, Between the connecting member and the frame of the lower saddle, an adapter having a through groove and a hollow portion, and a connecting pin having a pin hole for engaging with the end of the backstay and the engaging pin and the locking pin which are caught on the inner side of the adapter, is further connected. An amphibian bike comprising: 제1항에 있어서, 수륙양용 자전거의 부체와 자전거 사이를 연결하는 앞스테이의 연결구를 더 포함하고, 그 앞 스테이의 연결구는 상기 자전거의 허브에 고정 가능하고 일측면에는 구멍 바깥쪽으로 통과홈이 형성되어 있는 허브너트와, 상기 통과홈을 통과후 회동되어 상기 허브너트의 내측면에 걸리는 걸림핀과 걸림핀 타측으로 형성되고 상기 앞스테이의 끝단과 연결하기 위한 핀구멍를 갖는 연결핀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수륙양용 자전거.According to claim 1, It further comprises a connector of the front stay to connect between the float and the bicycle of the amphibian bicycle, the connector of the front stay is fixed to the hub of the bicycle and one side is formed with a passage groove outside the hole And a hub pin, and a connecting pin having a pin hole for connecting to the end of the front stay, the hook pin being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hub pin and the hook pin being rotated after passing through the passage groove, and the other end of the front stay. Amphibious bik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침하우징은 상기 프로펠러의 회전축을 지지하고 소정의 타임벨트가 상기 프로펠러의 회전축에 걸릴 수 있도록 중공의 통로를 제공하며 상기 프로펠러보다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고, 앞쪽은 뾰족하고 뒤쪽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유선형 형태의 평면모양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륙양용 자전거.The propeller housing of claim 2, wherein the supplemental housing supports the axis of rotation of the propeller and provides a hollow passage so that a predetermined time belt can be caught by the axis of rotation of the propeller, and protrudes downwardly from the propeller. An amphibious bicycle,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streamlined planar shape that widens graduall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륙양용 자전거는 자전거 뒷바퀴에 접촉되어 뒷바퀴가 회전되면 같이 회전되는 마찰휠의 동력을 프로펠러로 전달하기 위한 동력 전달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동력 전달수단은 상기 마찰휠의 축부와 상기 프로펠러의 회전축 사이에 소정 각도 꼬인 폐곡선형태로 걸린 신축재료로된 타임벨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륙양용 자전거.According to claim 1, The amphibian bicycle is provided with a power transmission means for transmitting the power of the friction wheel to the propeller that is rotated in contact with the rear wheel and the rear wheel is rotated, the power transmission means is the shaft portion of the friction wheel An amphibious bicy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time belt made of a stretchable material caught in a closed curve twisted by a predetermined angle between the rotation axis of the propeller.
KR2020000011135U 2000-04-18 2000-04-19 Combined use bicycle for water and earth KR200205702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1135U KR200205702Y1 (en) 2000-04-18 2000-04-19 Combined use bicycle for water and earth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0232A KR20010096225A (en) 2000-04-18 2000-04-18 combined use bicycle for water and earth
KR2020000011135U KR200205702Y1 (en) 2000-04-18 2000-04-19 Combined use bicycle for water and earth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0232A Division KR20010096225A (en) 2000-04-18 2000-04-18 combined use bicycle for water and earth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5702Y1 true KR200205702Y1 (en) 2000-12-01

Family

ID=266373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1135U KR200205702Y1 (en) 2000-04-18 2000-04-19 Combined use bicycle for water and earth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5702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7938B1 (en) 2016-08-04 2016-12-28 송용화 Water bicycl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7938B1 (en) 2016-08-04 2016-12-28 송용화 Water bicyc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59892A (en) Amphibious vehicle
US5316508A (en) Water bicycle
US4789365A (en) Aquacycle
US9533746B1 (en) Human powered watercraft propulsion device
JPS589765Y2 (en) amphibious bicycle
KR200386701Y1 (en) Amphibious bicycle
KR200205702Y1 (en) Combined use bicycle for water and earth
US6135835A (en) Aquatic vehicle
KR100944820B1 (en) Apparatus for moving forward on the water
KR20010096225A (en) combined use bicycle for water and earth
US6231408B1 (en) Drive mechanism assembly for aquatic vehicle
JPH0487896A (en) Foot force propelling canoe and steering device used therein
KR200401856Y1 (en) Amphibian bicycle
JP4713631B2 (en) Outboard motor
KR101150420B1 (en) Human Powered Boat
KR200391586Y1 (en) Water bicycle
US6692317B2 (en) Water craft propelled by a double-flipper device actuated by a pedal mechanism
CN2598858Y (en) Amphibious dual-purpose recreation body-building pleasure-boat
KR20000003196U (en) Amphibian bike
CN115674966A (en) Amphibious bicycle
KR200292144Y1 (en) Seacycle set
KR200280180Y1 (en) propelling apparatus of leisure-boat and the boat
CN213619235U (en) Amphibious bicycle
KR200273215Y1 (en) Transferable embodiment on water
KR20060031376A (en) Bicycle for land and water combined u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