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4979Y1 - 양식장용 어류 먹이통 수세장치 - Google Patents

양식장용 어류 먹이통 수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4979Y1
KR200204979Y1 KR2020000016474U KR20000016474U KR200204979Y1 KR 200204979 Y1 KR200204979 Y1 KR 200204979Y1 KR 2020000016474 U KR2020000016474 U KR 2020000016474U KR 20000016474 U KR20000016474 U KR 20000016474U KR 200204979 Y1 KR200204979 Y1 KR 20020497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plate
container
case
feed
injection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64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규
Original Assignee
김종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규 filed Critical 김종규
Priority to KR20200000164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497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49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497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10Cleaning bottoms or walls of ponds or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03Aquaria; Terraria
    • A01K63/006Accessories for aquaria or terraria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양식장용 어류 먹이통 수세장치에 관한 것으로, 사람이 일일이 수세를 하지 않고 먹이통의 상하좌우에서 일정한 압력으로 물을 분사하여 짧은 시간에 많은 양의 먹이통을 자동으로 수세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Description

양식장용 어류 먹이통 수세장치{Fish food box flushing device for nursery}
본 고안은 양식장용 어류 먹이통 수세장치에 관한 것으로, 수세기의 내부에 일정한 압력으로 물이 분사되는 분사장치를 구비하여 자동으로 어류 먹이통의 내부와 바닥 및 측면에 붙어 있는 이물질을 씻어주는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일반적으로, 어류를 양식하는 양식장에서는 어류에게 먹이를 줄때 먹이통에 일정한 양의 먹이를 담아 양식장으로 이동 후 먹이를 주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먹이를 주고 난 후의 먹이통에는 먹이의 찌꺼기가 붙어 있게 되고, 다음에 사용할 때를 위하여 위생상 먹이통을 씻어서 보관하게 되는 데, 종래에는 사람이 일일히 손으로 물을 뿌리며 씻어내거나, 일반 호수 끝에 강압노즐을 설치하여 먹이통을 하나하나 씻어 내는 것이 일반적인 방법이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법들은 사람이 일일이 먹이통을 씻어내야 하므로 오랜시간이 소비되었고, 오랜 시간 같은 작업을 해야 하므로 작업능률이 떨어져 먹이통 수세에는 한계가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사람이 수세를 하더라도 먹이통에 붙어있는 찌꺼기를 완전히 제거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사람이 일일이 수세를 하지 않고 먹이통의 상하좌우에서 일정한 압력으로 물을 분사하여 짧은 시간에 많은 양의 먹이통을 자동으로 수세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시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의 횡단면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의 측단면도.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의 내부를 보인 예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케이스
11 : 투입구 12 : 배출구 13 : 물막이판
20 : 이송 로울러 21 : 로울러 지지구
30 : 상부가이드판 31 : 하부가이드판
40 : 분사관
41 : 상부분사관 42 : 하부분사관 43 : 측면분사관
50 : 노즐
60 : 급수관
70 : 배수구
80 : 바퀴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시도이고,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의 횡단면도이며,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의 측단면도로서, 본 고안은 일정한 압력으로 물이 분사되는 분사장치를 구비하여 자동으로 어류 먹이통의 내부와 바닥 및 측면에 붙어 있는 이물질을 씻어줄 수 있는 것으로, 케이스(10)와, 상기 케이스(10)의 양측에 먹이통(100)이 투입되는 투입구(11)와, 상기 먹이통(100)이 배출되는 배출구(12)와, 내부에 분사관(40)을 구비하여서 된 것이다.
여기서, 상기 투입구(11)와 배출구(12)에는 개폐되는 물막이판(13)을 구비하고, 상기 투입구(11)와 배출구(12)의 전면 양측에는 돌출 형성된 로울러 지지구(21)에 의해 지지되어 먹이통(100)을 이송하는 이송로울러(20)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는 이송로울러(20)와 동일한 높이로 고정 설치되어 투입되는 먹이통(100)의 양측 하부를 지지하며 안내하는 하부가이드판(31)을 구비하고,
상기 하부가이드판(31)의 상부에는 투입되는 먹이통(100)의 양측 상부를 지지하며 안내하는 상부가이드판(30)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분기관(40)은 상부가이드판(30)의 상부에 다수의 노즐(50)을 구비한 상부분사관(41)을 구비하고, 하부가이드판(31)의 하부에는 등간격으로 노즐(50)을 다수 구비한 하부분사관(31)을 구비하며, 상기 상부가이드판(30)과 하부가이드판(31)의 사이에 노즐(50)이 위치하도록 측면분사관(43)을 양측으로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10)의 일측 하단에는 각 분사관(41)(42)(43)에서 분사된 물이 배수되는 배수구(70)를 구비한다.
이때, 케이스(10)의 바닥면은 배수구(70)로 물이 원활하게 배수될 수 있도록 배수구(70)를 향해 기울어지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케이스(10)의 하단에는 케이스의 이송을 위하여 바퀴(80)를 구비한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100은 먹이통이다.
이하, 본 고안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와 같이 케이스(10)의 양측에 먹이통(100)이 투입되는 투입구(11)와, 상기 먹이통(100)이 배출되는 배출구(12)와, 케이스(10)의 내부에 분사관(40)을 구비한 본 고안은 투입구(11)의 전면에 돌출형성된 로울러 지지구(21)에 의해 지지된 다수의 이송로울러(20) 상부에 먹이통(100)의 내부가 하부로 향하고 바닥면이 상부로 향하도록 먹이통(100)을 엎어서 올려놓고 투입구(11)로 밀어 넣는다.
이때, 이동되는 먹이통(100)은 투입구(11)의 구비된 물막이판(13)을 밀며 이송로울러(20)와 동일한 높이로 고정 설치된 하부가이드판(21)에 양측이 안내됨과 동시에 먹이통(100)의 양측 상부도 상부가이드판(30)에 끼워지며 케이스(10) 내부로 이송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이송된 먹이통(100)은 상부가이드판(30)의 상부에 구비된 상부분사관(41)과, 하부가이드판(31)의 하부에 구비되어 다수의 노즐(50)을 구비한 하부분사관(42) 및 상기 상부가이드판(30)과 하부가이드판(31)의 사이에 노즐(50)을 위치한 측면분사관(43)에서 펌프를 제어하여 급수관(60)을 통해 일정 압력으로 분사되는 물에 의해 상하좌우를 수세하게 된다.
그리고, 먹이통(100)의 이물질이 주로 먹이통(100) 내부에 붙어 있으므로 상부분사관(41) 보다 하부분사관(42)의 노즐(50)이 다수이면서 수압을 높게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각 분사관(41)(42)(43)에 구비된 노즐(50)을 통해 분사되는 물에 의해 먹이통(100)의 내부와 외부 및 바닥면에 묻어 있는 먹이 찌꺼기가 씻겨나가게 되는 것이다.
또한, 먹이통(100)을 수세 중이더라도 투입구(11)와 배출구(12)에 개폐되는 물막이판(13)이 구비되어 있으므로 일정한 압력에 의해 물이 먹이통(100)에 충돌 후 케이스(10) 밖으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물막이판(13)은 고무나 연질의 합성수지와 같은 휘어지는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와 같이 일정시간 경과 후 수세가 끝나면 수세할 새로운 먹이통(100)을 투입구(11)의 이송로울러(20) 상부에 올려 놓고 투입구(11)로 밀어 넣는다.
상기와 같이 투입구(11)로 수세할 먹이통(100)을 밀어 넣으면 상기 먹이통(100)은 수세가 끝난 먹이통(100)을 배출구(12)로 밀며 상부가이드판(30)과 하부가이드판(31)의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수세가 끝난 먹이통(100)은 따로 보관하며 상기와 같은 방법을 반복하여 먹이통(100)을 수세하면 되는 것이다.
그리고, 수세가 완료 후 수세장치를 보관하거나 타장소로 이동할 경우 이동이 쉽도록 도면에 도시된 바퀴(80)를 부착하여 실시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을 실시함에 있어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케이스(10)와 상·하부분사관(41)(42)을 길게 형성하고, 측면분사관(43)을 다수 형성하여 다수의 먹이통(100)을 한꺼번에 수세할 수 있도록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일정한 압력의 물을 먹이통의 상하좌우에서 분사하여 자동으로 어류 먹이통을 수세할 수 있어 적은 인원으로도 짧은 시간에 다수의 먹이통을 수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매우 유용한 것이다.

Claims (1)

  1. 케이스(10)와, 상기 케이스(10)의 양측에 먹이통(100)이 투입되는 투입구(11)와, 상기 먹이통(100)이 배출되는 배출구(12)와,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 분사관(40)을 구비하되,
    상기 투입구(11)와 배출구(12)에는 개폐되는 물막이판(13)을 구비하고, 상기 투입구(11)와 배출구(12)의 전면 양측에는 돌출 형성된 로울러 지지구(21)에 의해 지지되어 먹이통(100)을 이송하는 이송로울러(20)를 구비하며,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는 이송로울러(20)와 동일한 높이로 고정 설치되어 투입되는 먹이통(100)의 하부를 지지하며 안내하는 하부가이드판(31)을 구비하고,
    상기 하부가이드판(31)의 상부에는 투입되는 먹이통(100)의 양측 상부를 지지하며 안내하는 상부가이드판(30)을 구비하며,
    상기 분기관(40)은 상부가이드판(30)의 상부에 다수의 노즐(50)을 구비한 상부분사관(41)을 구비하고, 하부가이드판(31)의 하부에는 등간격으로 노즐(50)을 다수 구비한 하부분사관(42)을 구비하며, 상기 상부가이드판(30)과 하부가이드판(31)의 사이에 노즐(50)이 위치하도록 양측으로 측면분사관(43)을 구비하고,
    상기 케이스(10)의 일측 하단에 배수구(7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장용 어류 먹이통 수세장치.
KR2020000016474U 2000-06-10 2000-06-10 양식장용 어류 먹이통 수세장치 KR20020497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6474U KR200204979Y1 (ko) 2000-06-10 2000-06-10 양식장용 어류 먹이통 수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6474U KR200204979Y1 (ko) 2000-06-10 2000-06-10 양식장용 어류 먹이통 수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4979Y1 true KR200204979Y1 (ko) 2000-12-01

Family

ID=196601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6474U KR200204979Y1 (ko) 2000-06-10 2000-06-10 양식장용 어류 먹이통 수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497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9729B1 (ko) 2012-11-29 2014-08-13 박송범 해삼 및 전복 양식판용 어류 분리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9729B1 (ko) 2012-11-29 2014-08-13 박송범 해삼 및 전복 양식판용 어류 분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4270B1 (ko) 자동세척과 살균기능을 갖춘 애완견용 화장실
US4228554A (en) Toilet for animals
JPH067052A (ja) 犬猫用屋根なし便所装置
KR100402160B1 (ko) 단체급식소용 컵자동 세척장치
KR101712260B1 (ko) 애완견용 화장실
JPWO2018123998A1 (ja) カップ洗浄装置
KR200204979Y1 (ko) 양식장용 어류 먹이통 수세장치
US20050172907A1 (en) Pet toilet
CN210538566U (zh) 一种用于海参加工的清洗消毒一体化装置
KR100914827B1 (ko) 농산물 자동세척기
KR20070041020A (ko) 고추 세척기
US6938282B2 (en) Article washing apparatus
KR200442653Y1 (ko) 레일형 호퍼가 설치된 농산물 세척기
DE202006017404U1 (de) Zahnbürstenhochdruckreiniger
KR100763644B1 (ko) 고추 세척기
AU2004227004A1 (en) Assembly for washing, drying and polishing cutlery, and washing device intended for such an assembly
JP6325899B2 (ja) 水耕パネルの洗浄装置および方法
KR200249043Y1 (ko) 자동세척기능을 가지는 생수자동주입장치
JPH06315667A (ja) 洗浄装置
KR20090099819A (ko) 잔토 강제 배출 세척기
JPH05292852A (ja) 養貝用水槽
JPH1072098A (ja) ノズルパイプの洗浄装置を有する洗壜機
CN219425192U (zh) 垃圾桶自动清洗设备
CN115443937B (zh) 一种可自动控制绿藻浓度的自动投喂渔场及使用方法
CN220771789U (zh) 一种环保的资源再生清洗烘干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118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