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4610Y1 - 공조기기용 실내기 - Google Patents

공조기기용 실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4610Y1
KR200204610Y1 KR2019980009851U KR19980009851U KR200204610Y1 KR 200204610 Y1 KR200204610 Y1 KR 200204610Y1 KR 2019980009851 U KR2019980009851 U KR 2019980009851U KR 19980009851 U KR19980009851 U KR 19980009851U KR 200204610 Y1 KR200204610 Y1 KR 20020461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ing
collecting container
indoor unit
evaporator
air conditio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98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0412U (ko
Inventor
장경석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800098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4610Y1/ko
Publication of KR2000000041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041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461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4610Y1/ko

Links

Landscapes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 Devices For Blowing Cold Air, Devices For Blowing Warm Air, And Means For Preventing Water Condensation In Air 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내에 설치되어 실내공기를 열교환하는 증발기와, 상기 케이싱의 일영역에 고정되어 상기 증발기로부터의 제상수를 집수하는 집수용기를 갖는 공조기기용 실내기에 관한 것으로서, 일측면은 상기 집수용기의 상기 케이싱을 향한 외벽면에 접촉고정되고, 타측면은 상기 케이싱의 내벽면에 접촉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고정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집수용기를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공조기기용 실내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공조기기용 실내기
본 고안은 공조기기용 실내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증발기로부터의 제상수를 집수하는 집수용기가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한 공조기기용 실내기에 관한 것이다.
공조기기는, 실내에 설치되어 실내의 공기를 열교환하는 실내기와, 실외에 설치되어 냉매를 열교환하는 실외기로 이루어진다. 실외기는, 기체상태의 냉매를 고온고압으로 압축하는 압축기와, 압축기에서 압축된 냉매를 실외공기와 열교환하여 저온고압의 액상냉매로 응축하는 응축기를 구비하고 있다.
실내기 본체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이 개구된 외부케이싱(52)과, 외부케이싱(52)의 전면에 결합되는 전면커버(55)를 포함한다. 전면커버(55)의 하부에는 실내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53)가 형성되어 있으며, 전면커버(55)의 상부에는 열교환된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57)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본체(51)내의 하부 영역에는 실외의 응축기로부터 유입된 냉매와 실내공기를 열교환하는 증발기(60)가 설치되어 있고, 상부영역에는 실내공기가 증발기(60)내의 냉매와 열교환하도록 실내공기를 흡입 및 토출시키는 도시않은 송풍팬이 장착되어 있다.
본체(51)의 하부에 설치된 증발기(60)는, 평행하게 배치된 다수의 전열핀과, 전열핀을 관통하여 지그재그로 배치된 복수의 냉매배관으로 형성되며, 증발기(60)의 기립방향의 양 측면부에는 프레스물로 형성된 지지판(61)이 부착되어 있다. 이러한 증발기(60)는 흡입되는 실내공기의 열교환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상측 말단부가 전면커버(55)를 향해 기울어져 본체(51)내에 비스듬히 설치되어 있으며, 증발기(60)의 상단부는 증발기(60)를 고정지지하는 도시않은 브래킷에 의해 본체에 고정되어 있고, 증발기(60)의 하단부는 증발기(60)로부터의 제상수를 집수하는 집수용기(70)내에 수용되어 있다.
집수용기(70)는, 상부가 개구되고 일측 방향으로 긴 사각통상으로 형성되며, 집수용기(70)의 일측에는 집수된 제상수를 배출하기 위한 도시않은 배출관이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집수용기(70)는 외부케이싱(52) 후방벽의 내벽면에 고정되며, 집수용기(70)의 후방벽을 향한 고정면(71)에는 고정면(71)의 상측 연부를 따라 복수의 스크류공(72)이 형성되어 외부케이싱(52)과 스크류체결되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집수용기(70)에는 증발기(60)의 하단부가 수용안착되며, 따라서, 집수용기(70)는 과중한 하중을 받게 된다. 그런데, 집수용기(70)는 복수의 스크류로 외부케이싱(52)에 부착되어 있으므로, 가해지는 하중에 비해 취약한 고정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에 따라, 집수용기(70)의 하부에 별도의 지지다리를 형성하여 부착하여 집수용기(70)를 지지하도록 하는 경우도 있으나, 지지다리를 형성하는 경우 지지다리의 형성을 위해 원가가 상승하며, 조립작업이 번거로워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집수용기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한 공조기기용 실내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공조기기용 실내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집수용기의 부분 확대사시도,
도 3은 종래의 공조기기용 실내기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집수용기의 부분 확대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2 : 외부케이싱
10 : 증발기 20 : 집수용기
21 : 고정면 22 : 스크류공
25 : 보조고정부 26 : 고정공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내에 설치되어 실내공기를 열교환하는 증발기와, 상기 케이싱의 일영역에 고정되어 상기 증발기로부터의 제상수를 집수하는 집수용기를 갖는 공조기기용 실내기에 있어서, 일측면은 상기 집수용기의 상기 케이싱을 향한 외벽면에 접촉고정되고, 타측면은 상기 케이싱의 내벽면에 접촉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고정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기기용 실내기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보조고정부는, 상기 집수용기의 측벽으로부터 연장된 다음, 후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보조고정부는 상기 집수용기에 점용접에 의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공조기기용 실내기 본체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이 개구된 외부케이싱(2)과, 외부케이싱(2)의 전면에 결합되는 전면커버(5)를 포함한다. 전면커버(5)의 하부에는 실내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3)가 형성되어 있으며, 전면커버(5)의 상부에는 열교환된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7)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본체(1)내의 하부 영역에는 실외의 응축기로부터 유입된 냉매와 실내공기를 열교환하는 증발기(10)가 설치되어 있고, 상부영역에는 실내공기가 증발기(10)내의 냉매와 열교환하도록 실내공기를 흡입 및 토출시키는 도시않은 송풍팬을 구비하고 있다.
본체(1)의 하부에 설치된 증발기(10)는, 평행하게 배치된 다수의 전열핀과, 전열핀을 관통하여 지그재그로 배치된 복수의 냉매배관으로 형성되며, 증발기(10)의 기립방향의 양 측면부에는 프레스물로 형성된 지지판(11)이 부착되어 있다.
이러한 증발기(10)는 흡입되는 실내공기의 열교환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상측 말단부가 전방을 향해 기울어져 본체(1)내에 비스듬히 설치되어 있으며, 증발기(10)의 상단부는 증발기(10)를 고정지지하는 도시않은 브래킷에 의해 고정되어 있고, 증발기(10)의 하단부는 증발기(10)로부터의 제상수를 집수하는 집수용기(20)내에 수용되어 있다.
집수용기(20)는 외부케이싱(2)의 후방벽의 내측면에 고정되며, 집수용기(20)의 일측에는 집수된 제상수를 배출하기 위한 도시않은 배출관이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집수용기(20)는 외부케이싱(2)의 가로방향으로 긴 사각통상으로 형성되며, 외부케이싱(2)에 접하는 고정면(21)에는 상측 연부를 따라 복수의 스크류공(22)이 형성되어 외부케이싱(2)에 스크류결합된다. 그리고, 고정면(21)의 양 측단부는 집수용기(20)의 측벽으로부터 판면을 따라 후방으로 소정 연장된 다음, 다시 상향 연장된 보조고정부(25)가 형성되어 있으며, 보조고정부(25)는 고정면(21)에 접하도록 절곡되어 고정면(21)과 점용접에 의해 상호 고정된다. 이 보조고정부(25)에는 케이싱에 스크류결합되기 위한 복수의 고정공(26)이 판면을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집수용기(20)를 외부케이싱(2)에 고정할 때, 집수용기(20)의 고정면(21)에 형성된 스크류공(22)과 외부케이싱(2)을 관통하도록 스크류를 결합시킨다. 그리고, 보조고정부(25)에 형성된 고정공(26)과 외부케이싱(2)을 관통하도록 스크류를 결합시켜 집수용기(20)를 외부케이싱(2)에 고정하게 된다. 이 때, 스크류를 결합하는 대신 집수용기(20)의 고정면(21)과 보조고정부(25)를 점용접을 하여 외부케이싱(2)에 결합시킬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집수용기(20)를 고정면(21)의 스크류공(22)과 보조고정부(25)의 고정공(26)을 통해 스크류 결합시킴으로써, 종래에서처럼 집수용기(20)의 고정면(21)의 스크류공(22)만을 형성시켜 스크류 고정하는 것보다 집수용기(20)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집수용기(20)의 측벽을 연장하여 보강부재(25)를 형성하였으나, 별도록 사각판상의 보조고정부를 형성하여 부착하여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집수용기를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공조기기용 실내기가 제공된다.

Claims (3)

  1.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내에 설치되어 실내공기를 열교환하는 증발기와, 상기 케이싱의 일영역에 고정되어 상기 증발기로부터의 제상수를 집수하는 집수용기를 갖는 공조기기용 실내기에 있어서,
    상기 집수용기의 상기 케이싱에 접하는 일측면에는, 상기 집수용기의 상기 케이싱 사이에 개재되고, 일측판면은 상기 집수용기에 결합되고 타측 판면은 상기 케이싱에 결합되어 상기 집수용기를 상기 케이싱에 고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보강부재가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기기용 실내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집수용기의 측벽으로부터 연장된 다음, 후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기기용 실내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고정부는 상기 집수용기에 점용접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기기용 실내기.
KR2019980009851U 1998-06-10 1998-06-10 공조기기용 실내기 KR20020461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9851U KR200204610Y1 (ko) 1998-06-10 1998-06-10 공조기기용 실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9851U KR200204610Y1 (ko) 1998-06-10 1998-06-10 공조기기용 실내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0412U KR20000000412U (ko) 2000-01-15
KR200204610Y1 true KR200204610Y1 (ko) 2001-03-02

Family

ID=695173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9851U KR200204610Y1 (ko) 1998-06-10 1998-06-10 공조기기용 실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461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0412U (ko) 2000-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386194B1 (en) A dehumidifier
US6321556B1 (en) Three-way mounting of an air conditioner
US6343480B1 (en) Condensate drain arrangement for an air conditioner
EP1876397A2 (en) Air conditioner with condensate collection via drain pans and evaporative cooling of heat exchanger
KR200204610Y1 (ko) 공조기기용 실내기
US5964098A (en) Auxiliary condenser for air conditioners
KR200211714Y1 (ko) 공조기기용실내기
KR100212914B1 (ko) 분리형 에어컨의 응축수 처리장치
US6151906A (en) Condensate collection system for a room air conditioner
KR200164944Y1 (ko) 패키지 에어컨의 증발기 조립구조
KR200163495Y1 (ko) 패키지 에어컨의 실내기
KR100768165B1 (ko) 천정형 에어컨의 드레인패널
KR19990020727U (ko) 패키지 에어컨의 실내기
KR200350192Y1 (ko) 패키지형 에어컨의 드레인팬_
CN216976930U (zh) 空调器室内机
KR200187470Y1 (ko) 패키지에어컨의공기청정기설치구조
KR100874230B1 (ko) 천장형 에어컨의 응축수 집수구조
KR200178068Y1 (ko) 패키지 에어콘
KR0176924B1 (ko) 분리형 에어콘의 실외기
JPH05742Y2 (ko)
KR0139260Y1 (ko) 창문형 에어컨디셔너
KR20010093370A (ko) 배리어의 응축수 처리 장치
KR20030037554A (ko) 덕트형 공기 조화기의 응축수 배출장치
KR200146159Y1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의 배수장치
KR200161858Y1 (ko) 패키지 에어컨의 증발기 조립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30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