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4531Y1 - 철도 재생침목용 레일체결구조 - Google Patents

철도 재생침목용 레일체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4531Y1
KR200204531Y1 KR2020000019827U KR20000019827U KR200204531Y1 KR 200204531 Y1 KR200204531 Y1 KR 200204531Y1 KR 2020000019827 U KR2020000019827 U KR 2020000019827U KR 20000019827 U KR20000019827 U KR 20000019827U KR 200204531 Y1 KR200204531 Y1 KR 20020453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sleeper
sleepers
shoulder
mort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98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겸
Original Assignee
김정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겸 filed Critical 김정겸
Priority to KR20200000198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453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453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4531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9/00Fastening rails on sleepers, or the like
    • E01B9/02Fastening rails, tie-plates, or chairs directly on sleepers or foundations; Means therefor
    • E01B9/28Fastening on wooden or concrete sleepers or on masonry with clamp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ailway Track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구 PC침목을 이용하여 코일스프링 체결구로 레일을 체결시킬 수 있는 철도 재생침목용 레일체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구 PC침목이 선로상에 설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레일체결 부품들을 제거하고 고정볼트가 제거된 자리에 숄더공을 형성한 다음 숄더공 하부에 밀폐부재를 끼워넣고 몰탈재를 충진시킴과 동시에 숄더의 하부를 몰탈재에 매설하며 몰탈재가 굳은 다음에 코일스프링을 이용하여 레일을 체결하게 되고 침목을 1개 또는 2개 건너서 레일 체결작업을 수행함으로써 열차 운행에 지장을 주지 않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철도 재생침목용 레일체결구조{the binding structure of the rail for remarking sleeper}
본 고안은 열차의 하중을 도상(道床)에 균등 분포시키고 레일을 고정하여 괘간을 유지시키기 위한 기능을 갖는 PC침목(Prestrssed concrete fie))중 이 침목의 상부에 장착되어 철도레일을 고정체결하는 레일체결구가 낡고 손상되어 기능을 다하지 못하는 구(舊)침목에서 낡은 체결구를 교체함으로서 침목의 기능을 회복시키고 기능이 우수한 체결부품으로 교체시키므로서 주행속도가 점차 높아지는 열차 운행에 보다 안전을 기할 수가 있도록 한 것이며, 특히 본 고안은 기존의 구 침목이 원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상태의 철도 운행선상에서 열차상간을 이용하여 침목의 레일에 체결된 구체결 부품을 제거하고 새로운 체결구조를 구성시킨 다음 이 새로운 체결부품을 이용하여 레일을 체결할 수가 있도록 한 것이다.
본 설명에서 구체결 부품이라 함은 도 1에 표시된 체결부품들을 말하는 것이며 새로운 체결부품이라 함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도 2에 표시된 체결부품들을 말하는 것이다.
◎ 본 고안에서 구침목에 체결된 레일 체결부품을 제거하는 작업과,
◎ 체결부품을 제거한 후 구침목에 레일 체결구조를 형성하는 작업과정과,
구침목에 레일체결구조가 형성된 다음에 새로운 체결부품을 이용하여 레일체결작업을 수행하는 것으로 작업공정이 마감되는 것이다.
본 고안에서 상기와 같은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체결구조 재생 대상 침목들 중 침목을 1개 건너 하나씩이나 2개 건너 하나씩 또는 3개 건너서 하나씩 재생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이와 같은 방법으로 재생시키면 열차운행에 전혀 지장을 주지 않는다.
종래 레일의 체결구조를 보면 도 1에 표시한 바와 같이 PC침목(1)에 보울트 커버(2)가 매설되고 보울트커버(2) 상부로는 게이지 블록(3) 및 게이지블록받침(4)이 설치되며 양쪽 게이지블록(4)사이에 위치한 레일(R)의 플렌지를 판스프링(5)이 압지하도록 보울트(6)로 체결하는 구성을 갖는 것이다.
10여년 전까지는 상기한 판스프링(5)을 이용하여 체결하였으나 지지력과 내구성이 떨어지는 판스프링은 부식이 쉽게 되고 체결 시에 규정 체결력(스프링의 압지력)이 1톤 이상을 넘지 못하고 체결볼트가 부식, 마모되어 체결력이 상실되거나 볼트가 볼트커버내에서 고정되어버리는 폐단으로 인하여 레일괘간 유지나 레일복진억제가 힘들어 열차의 안전운행에 지장을 초래하고 있는 것이다.
종래 래일체결부품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영국 팬트롤사에서 개발된 코일스프링을 이용한 체결구조가 알려지고 있으며,
본 고안은 상기한 코일스프링을 이용하기 위한 체결구조를 구침목을 이용하여 적용시키는데 목적이 있으며, 특히 구침목이 선로에 설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체결구조 형성작업과 체결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워지게 하는데 목적이 있는 것이다.
지금까지의 체결구조의 노후 및 기능저하 등으로 인하여 코일스프링으로 교체하기 위해서는 구침목을 제거하고 신침목으로 교체하고 있는 바, 신침목 갱환 시에 침목 값보다 구침목을 제거하고 신침목을 교체하는 비용이 휠씬 많으며 폐침목을 처리하는 비용 또한 만만치가 않으며 침목갱환 후에는 도상다지기 레일 수평맞춤등 많은 번거로움이 뒤따르게 되고 열차운행이 중단되는 차단 작업등 불편함이 많았던 것이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제반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구침목을 이용하여 체결구조를 재생한 것과 구침목이 선로상에 설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체결구조 재생과 채결작업이 원만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데 고안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구침목에 적용되었던 판스프링, 게이지블록, 게이지블록받침, 체결볼트, 볼트커버를 깨끗이 제거한 후에 노출되는 숄더 매설공에 몰탈재를 충진시키고 몰탈재에 숄더의 나선리브가 매설 될 수 있게 하여 몰탈재의 응고로 숄더가 완전히 고정된 다음에 코일스프링을 이용하여 레일을 체결하는 것이다.
도 1은 기존의 운행선상에 사용되고 있는 침목에 레일이 체결된 상태의 단면 예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재생침목에 레일이 체결된 상태의 단면예시도.
도 3은 본 고안이 적용된 재생침목에 레일을 체결하기 위한 작업과정을 보인 것으로 레일을 2개 건너 작업이 수행되는 상태의 평면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PC 침목
(h):숄더고정공
(b):밀폐부재
(M):몰탈재
(SD):숄더
(S):코일스프링
선로상에 체결되어 있는 상태의 PC침목(1)에서 레일체결부품을 제거하여 PC침목 저면까지 관통되는 숄더고정공(h)이 생기도록 하며 상기 숄더고정공(h) 하부에는 밀폐부재(b) 를 끼워넣은 다음에 몰탈재(M)를 충진시킴과 동시에 숄더(SD) 하부가 몰탈재(M)에 매설되도록 고정설치하고 상기 몰탈재(M)가 굳은 다음에 코일스프링(S)을 이용하여 레일을 체결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게 되는 본 고안은 구 PC침목(1)이 선로상에 설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기존의 레일 체결부품들을 간단히 제거하는 것으로 고정볼트가 제거된 자리를 천공착암기 등을 이용하여 숄더고정공(h)을 형성시키고 이와 같이 형성된 숄더고정공(h)에 몰탈재(M)를 충진시키고 숄더(SD)의 하부를 몰탈재(M)에 매설시키므로서 몰탈재(M)가 응고되면 숄더(SD)가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이다.
숄더(SD)가 고정된 다음에는 코일스프링(S)을 이용하여 레일을 체결하는 것으로 도 2의 상태와 같이 체결된 레일은 새로 갱환된 침목에 코일스프링을 이용하여 레일을 체결된 것에 비하여 그 기능이나 내구성에서 전혀 손색이 없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구성 및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는 본 고안은 대단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으로,
첫째, 침목 갱환 시에 소요되는 침목값과 인건비의 절감.
둘째, 교체된 폐침목의 운반 보관 처리등에 소요되는 비용의 절감.
셋째, 구침목에 선로상에 설치된 상태에서 체결작업이 원활하게 수행할 수가 있고 체결구조의 형성작업이나 체결작업은 설치된 상태의 침목을 1개 또는 2개 건너서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열차의 운행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는 효과를 얻을 수가 있으며,
넷째, 구침목에서 레일체결부품만 간단하게 제거한 다음 고정볼트공을 이용하여 숄더고정공이 쉽게 형성되며 이와 같이 형성된 숄더공에 몰탈을 이용하여 숄더를 고정시키는 것과 숄더가 고정되면 간단하게 코일스프링으로 레일을 체결하게 됨으로 작업공정이 간단하고 소요비용을 대폭절감 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게되는 것이다.

Claims (1)

  1. 구 PC침목(1)이 선로상에 설치된 상태에서 기존의 레일 체결부품을 제거하며, 상기 레일체결부품 중 고정볼트가 제거된 자리에 숄더고정공(h)을 형성하고,
    상기 숄더고정공(h) 하부에 밀폐부재(b)를 끼워 넣으며, 밀폐부재(b)가 끼워진 숄더고정공(h)에 몰탈재(M)를 충진시킴과 동시에 몰탈재(M)에 숄더(SD)의 하부가 매설되게 하여 몰탈재(M)의 응고로 숄더(SD)를 고정시킨 다음에 코일스프링(S)으로 레일을 체결하는 작업공정을 침목의 1개나 2개 또는 3개 건너서 수행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재생침목용 레일체결구조.
KR2020000019827U 2000-07-11 2000-07-11 철도 재생침목용 레일체결구조 KR20020453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9827U KR200204531Y1 (ko) 2000-07-11 2000-07-11 철도 재생침목용 레일체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9827U KR200204531Y1 (ko) 2000-07-11 2000-07-11 철도 재생침목용 레일체결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4531Y1 true KR200204531Y1 (ko) 2000-11-15

Family

ID=196645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9827U KR200204531Y1 (ko) 2000-07-11 2000-07-11 철도 재생침목용 레일체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453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300140A (en) Beams for railroad track structure
KR200204531Y1 (ko) 철도 재생침목용 레일체결구조
US4365744A (en) Anchor lock fastening assembly
CA2276799C (en) Base structure of a turnout
RU2682156C1 (ru) Ремонтный комплект для анкерного рельсового скрепления арс и способ ремонта анкерного скрепления
RU2328569C1 (ru) Железнодорожный путь для тоннелей
JP4832797B2 (ja) 安全レール装置
US1725410A (en) Railway-crossing pavement
KR20170138704A (ko) 결합방식의 매립형 궤도
KR102458085B1 (ko) 철도용 분절형침목 및 이와 결합되는 언더플레이트
JP3851826B2 (ja) 鉄道車両軌道逸脱防止装置、及び鉄道車両の軌道逸脱防止方法
KR102583148B1 (ko) 철도 분기기용 분절형침목
WO2006036088A2 (fr) Attache de rails
RU2254407C1 (ru) Промежуточное рельсовое скрепление
JPH0412090Y2 (ko)
KR102380587B1 (ko) 브라켓을 이용한 철도용 일탈방호시설 및 그 시공방법
CA1194010A (en) Rail seal
US1134455A (en) Combination tie-plate and rail-fastener.
US531819A (en) Rail-securing device
EP0889169A1 (en) Mechanism for securing rails of railways on wooden sleepers
KR200245911Y1 (ko) 철도 레일 방진장치
US1584056A (en) Railway tie
US2620137A (en) Railway track securing means
KR200425613Y1 (ko) 철도 선로용 레일
KR200281054Y1 (ko) 피씨티용 가드레일 체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