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4131Y1 - 세탁기 다리의 받침부재 - Google Patents

세탁기 다리의 받침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4131Y1
KR200204131Y1 KR2019980010563U KR19980010563U KR200204131Y1 KR 200204131 Y1 KR200204131 Y1 KR 200204131Y1 KR 2019980010563 U KR2019980010563 U KR 2019980010563U KR 19980010563 U KR19980010563 U KR 19980010563U KR 200204131 Y1 KR200204131 Y1 KR 20020413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g
support member
washing machine
washing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05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0959U (ko
Inventor
황성훈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800105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4131Y1/ko
Publication of KR2000000095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095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413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4131Y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25Supporting arrangements for the casing, e.g. rollers or leg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4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in machines with a receptacle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vertic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01Arrangements for transporting, moving, or setting washing machines; Protective arrangements for use during trans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세탁기 다리의 받침부재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받침부재의 내부에 상하측방향으로 조절공을 마련하고 이 조절공의 지름과 높이를 조절하여 강성을 낮춤으로써 고유진동수가 낮아지는 세탁기 다리의 받침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하우징, 하우징의 하부에 마련되는 하부커버, 하부커버의 저면에 마련되는 조절다리와 고정다리, 조절다리와 고정다리의 내부에 마련되는 결합공, 결합공에 설치되는 받침부재, 받침부재의 내부에 마련되어 받침부재를 조절다리와 고정다리에 체결시키는 스크류가 삽입되는 체결공, 체결공의 외측에 받침부재의 강성을 낮추도록 상하측방향으로 중공을 형성하는 조절공이 다수개 마련되는 구성이다.

Description

세탁기 다리의 받침부재
본 고안은 세탁기 받침부재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세탁기에서 발생되는 회전진동수와의 공진을 회피하도록, 받침부재의 내부에 상하측방향으로 조절공을 마련하여 조절공의 지름과 높이를 조절하여 받침부재의 강성을 낮추는 세탁기 다리의 받침부재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받침부재가 설치된 세탁기를 보인 측단면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탁기의 측면을 형성하도록 상하측이 개구된 하우징(10)이 마련되는데, 하우징(10)의 상하측에는 상부커버(11)와 하부커버(13)가 설치되어 세탁기의 외관이 형성된다. 이 하우징(10)은 방청코팅된 금속을 벤딩시켜 사각함체상으로 마련한 것이며, 상부커버(11)와 하부커버(13)는 하우징(10)의 상하측을 덮도록 마련되는 플라스틱 사출물인데, 상부커버(11)의 중앙에는 하우징(10)의 내부를 개폐가능하도록 뚜껑(12)이 마련되어 세탁물의 입출이 이루어진다.
하우징(10)의 내부에는 세탁수가 채워지는 수조(30)가 마련된다. 이 수조(30)는 상측이 개구된 원형관으로서, 하우징(10)의 내부 상측의 네 곳과 수조(30)의 외부 하측의 네 곳을 연결하는 현가장치(20)에 의해 하우징(10)에 매달려 설치되는데, 이 현가장치(20)는 현가봉(21)의 상단이 하우징(10)에 고정되고, 하단은 세탁기의 세탁 및 탈수행정시 수조(30)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흡수할 수 있도록 댐퍼(22)를 구비하여 수조(30)의 외측에 설치된다.
수조(30)의 내부에는 상측이 개구되어있으며, 내외측으로 다수개의 홀이 관통되어있는 세탁조(31)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이 세탁조(31)의 중앙에는 세탁수류를 형성할 수 있도록 상측으로 돌기가 마련된 원형판상의 펄세이터(32)가 마련된다.
구동부(40)는 수조(30)의 저면 일측에 설치되는 모터(41)와 모터(41)에서 발생되는 구동력을 펄세이터(32)와 세탁조(31)에 선택적으로 전달하도록 클러치(42)를 구비하는 것으로, 세탁행정시에는 펄세이터(32)를 정,역회전시켜 세탁행정을 수행하게 되고, 세탁행정이 끝난 후에는 세탁조(31)를 고속회전시켜 탈수행정을 수행한다.
한편, 하부커버(13) 저면의 각 모서리에는 세탁기를 지지하는 조절다리(50)와 고정다리(60)가 마련되어있다. 조절다리(50)는 전방의 양측으로 나사결합되어 마련되는 것으로 이를 회전시킴으로써 세탁기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고정다리(60)는 후방 양측에 하부커버(13)와 일체로 마련되는 것이다. 이 조절다리(50)와 고정다리(60)의 내부에는 하측으로 개구된 결합공(51,61)이 마련되고, 그 내부상측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결합홈(52,62)이 마련된다. 이 결합공(51, 61)은 동심을 가지는 두 개의 원관을 높이를 달리하여 형성한 것이다.
또한, 조절다리(50)와 고정다리(60)의 내부에는, 세탁행정시나 탈수행정시 세탁조(31)와 펄세이터(32)의 회전으로 발생되는 진동을 감쇄시켜 주며, 설치바닥면과 마찰되어 세탁기의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받침부재(70)가 설치된다.
이 받침부재(70)는 내진성과 밀착성이 좋은 고무재질로 마련되는 것으로 내부에는 스크류(72)가 삽입되는 체결공(71)이 마련되는데, 이 체결공(71)은 양측으로 개구되어있으며 중간에는 스크류(72)의 머리가 걸쳐지게 마련되어있으며 상측은 요철형상으로 마련되어있다. 그리고 조절다리(50)와 고정다리(60)에 마련되는 결합공(51,61)의 내부는 받침부재(70)의 상측과 대응되도록 마련되어있으며, 결합홈(52,62)은 체결공(71)과 연통되게 마련된다. 이로써 스크류(72)를 체결공(71)과 결합공(51,61)에 체결함으로써 조절다리(50)와 고정다리(60)에 받침부재(70)가 결합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세탁기는, 세탁행정시나 탈수행정시에 구동부(40)에 마련된 모터(41)가 구동되어 세탁조(31)와 펄세이터(32)를 회전시킴으로 인해 진동이 발생하게 되고, 이 진동은 현가장치(20)를 통해 감쇄되고, 일부는 외부의 하우징(10)에 전달된다. 하우징(10)에 전달된 진동은, 받침부재(70)와 결합공(51,61)의 미세한 마찰접촉과 받침부재(70)의 재질특성으로 인해 감쇄되는 것이다. 이러한 받침부재(70)는 세탁행정 및 탈수행정으로 발생되는 회전진동수를 회피하여 공진으로 발생되는 소음과 진동을 방지하도록 설계하기 위해 받침부재(70)의 강성을 낮추거나 높이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받침부재는 재질을 변경하여 강성을 높이게 될 때 생산성이 대폭 저하되고, 강성을 낮추게 되면, 세탁기의 지지가 어렵게된다. 또한, 높이와 지름을 변경하게 될 때 높이를 높게 하거나 지름을 작게하면 지지가 용이하지 않게 된다. 즉, 강성이 낮아지지만 세탁기의 무게를 지지하기에 적합하지않아 받침부재로서의 역할을 할 수 없게 된다. 또, 높이를 낮게하거나 지름을 크게 하면 결합 및 설치가 어렵게 된다. 즉, 높이가 낮을 때에는 결합공의 내부에 낮게 삽입되므로 쉽게 이탈되고, 지름을 크게 하려면 설치공간의 확보가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받침부재의 내부에 상하측방향으로 조절공을 마련하고 이 조절공의 지름과 높이를 조절하여 강성을 낮춤으로서 고유진동수가 낮아지는 세탁기 다리의 받침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받침부재가 설치된 세탁기의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받침부재가 설치된 세탁기의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받침부재의 사시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하우징 113:하부커버 150:조절다리
160:고정다리 151,161:결합공 152,162:결합홈
163:내부원관 164:외부원관 200:받침부재
210:체결공 220:조절공 230:스크류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마련되는 하부커버, 상기 하부커버의 저면에 마련되는 조절다리와 고정다리, 상기 조절다리와 고정다리의 내부에 마련되는 결합공, 상기 결합공에 설치되는 받침부재를 갖춘 세탁기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재의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받침부재를 상기 조절다리와 고정다리에 체결시키는 스크류가 삽입되는 체결공, 상기 체결공의 외측에 상기 받침부재의 강성을 낮추도록 상하측방향으로 중공을 형성하는 조절공이 다수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세탁기 받침부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겠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받침부재가 설치된 세탁기의 측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받침부재의 사시도면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탁기의 측면을 형성하도록 상하측이 개구된 하우징(110)이 마련되는데, 하우징(110)의 상하측에는 상부커버(111)와 하부커버(113)가 설치되고, 상부커버(111)의 중앙에는 하우징(110)의 내부를 개폐가능하도록 뚜껑(112)이 마련된다.
하우징(110)의 내부에는 세탁수가 채워지는 수조(130)가 마련된다. 이 수조(130)는 하우징(110)의 내부 상측의 네 곳과 수조(130)의 외부 하측의 네 곳을 연결하는 현가장치(120)에 의해 하우징(110)에 매달려 설치되는데, 이 현가장치(120)는 현가봉의 상단이 하우징(110)에 고정되고, 하단은 세탁기의 세탁 및 탈수행정시 수조(130)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흡수할 수 있도록 댐퍼(122)를 구비하여 수조(130)의 외측에 설치된다.
수조(130)의 내부에는 내외측으로 다수개의 홀이 관통되어있는 세탁조(131)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중앙에는 세탁수류를 형성할 수 있도록 펄세이터(132)가 마련된다.
구동부(140)는 수조(130)의 저면 일측에 설치되는 모터(141)와 모터(141)에서 발생되는 구동력을 펄세이터(132)와 세탁조(131)에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클러치(142)를 구비하는 것으로, 세탁행정시에는 펄세이터(132)를 정,역회전시켜 세탁행정을 수행하게 되고, 세탁행정이 끝난 후에는 세탁조(131)를 고속회전시켜 탈수행정을 수행한다.
한편, 하부커버(113) 저면의 각 모서리에는 세탁기를 지지하는 조절다리(150)와 고정다리(160)가 마련되어있고, 이 조절다리(150)와 고정다리(160)의 하측으로는 받침부재(200)가 설치된다.
고정다리(160)는 후방 양측에 하부커버(113)와 일체로 마련되는 것으로서, 그 내부에는 받침부재(200)가 삽입, 설치될 수 있게 하측으로 개구된 원형의 결합공(161)이 마련되고 내부 상측에는 스크류(230)가 고정되는 원형의 결합홈(162)이 마련된다. 이 결합공(161)은 동심을 가지는 두 개의 원관이 마련된 것으로 내부원관(163)과 외부원관(164)의 높이를 달리하여 형성함으로써 그 사이에는 홈이 마련되고, 전체적으로는 요철형상을 갖추게 된다.
조절다리(150)는 전방의 양측으로 나사결합되어 마련되는 것으로, 이를 회전시킴으로써 세탁기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이 조절다리(150)는 그 내부에는 고정다리(160)와 동일하게 결합공(151)과 결합홈(152)이 마련되어 받침부재(200)가 삽입, 설치되는 것이다.
조절다리(150)와 고정다리(160)의 결합공(151,161)에 마련되는 받침부재(200)는 세탁행정시나 탈수행정시 세탁조(131)와 펄세이터(132)의 회전으로 발생되는 진동을 감쇄시켜 주며, 바닥면과 마찰되어 세탁기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것으로 내부에는 스크류(230)가 삽입,고정되는 체결공(210)이 형성된다.
이러한 받침부재(200)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받침부재(200)는 결합공(151,161)의 내부에 삽입되어 밀착될 수 있도록 원형으로 마련되며, 그 내부에는 체결공(210)이 관통되어있다. 체결공(210)은 상하측으로 개구되어 관통되는 홀로서 그 중간에는 스크류(230)의 머리가 걸쳐질 수 있도록 단차지게 마련된다.
그리고, 받침부재(200)의 상측은 결합공(151,161)의 내부와 대응되도록 요철지게 마련되는 것으로, 그 중앙의 체결공(210)에는 내부원관(163)이 삽입되고, 외측면은 내부원관(163)과 외부원관(164)의 사이로 삽입되어 밀착되는 것이다. 또, 받침부재(200)의 하측의 외주면은 모따기가 되어있다.
한편, 받침부재(200)의 내부에는 받침부재(200)의 강성을 조절하여 낮추는 다수개의 조절공(220)이 마련된다. 이 조절공(220)은 체결공(210)과 동심을 가지도록 원주방향으로 2열이 마련되는 것으로 받침부재(200)의 하측에서 뚫어서 설치하므로 하측면으로 개구되게 있고 상측면은 폐쇄되어있다.
그리고 조절공(220)은 체결공(210)과 인접한 측의 조절공(220a)은 작은 지름과 낮은 높이를 가지고 있으며 그 외측으로 마련되는 조절공(220b)은 큰 지름으로 높게 마련되는데, 이는 이미 형성된 체결공(210)에 지름과 높이를 감안하여 받침부재(200)의 전체적인 균형을 이루기 위해 체결공(210) 내외측 조절공(220)의 지름과 높이를 달리한 것이다.
조절공(220)은 받침부재(200)의 외형의 변화없이 강성을 낮추기 위한 것이다. 즉, 받침부재(200)는 외형을 변화시켜 높이를 높게 하거나 지름을 작게하면 지지가 용이하지 않게 된다. 즉, 강성이 낮아지지만 세탁기의 무게를 지지하기에 적합하지않게된다. 또, 높이를 낮게하거나 지름을 크게 하면 결합 및 설치가 어렵게 된다. 즉, 높이가 낮을 때는 결합공(151,161)의 내부에 낮게 삽입되므로 쉽게 이탈되고, 지름을 크게 하려면 설치공간의 확보가 어렵게 되므로 외형을 변화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내부의 조절공(220)을 마련하는 것이다.
이 조절공(220)은 상하측 방향으로 길게 마련되므로 상하측 방향으로의 강성에 비해 좌우측 방향으로의 감소가 크게 된다. 즉, 상하측방향으로 힘을 받는 단면의 감소보다 좌우측방향으로 힘을 받는 단면의 감소가 크게 된다. 이로써 세탁기를 하측에서 상측으로 지지하도록 상하측 강성을 유지하면서 좌우측 방향으로의 강성을 낮추게되어 받침부재(200) 전체의 고유진동수를 낮춰 세탁기의 작동으로 인해 발생되는 회전진동수와 멀어지게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세탁기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먼저 수조(130)에 세탁물과 세탁수를 투입한후 모터(141)에 전원을 인가하면 모터(141)의 회전력이 펄세이터(132) 또는 펄세이터(132) 및 세탁조(131)로 전달되어 이들을 선택적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세탁 또는 탈수를 수행한다. 이와 같은 세탁 및 탈수행정시 수조(130)에는 진동이 발생하게 된다. 특히, 세탁물의 세탁이 끝난 후 탈수를 하게 되는데, 이때 세탁물은 세탁과정에서 발생되는 교반작용에 의하여 상당히 편심된 상태에서 탈수에 임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탈수행정이 수행되면, 편심된 세탁물과 세탁조(131)의 회전에 의한 심한 진동이 발생되고, 발생된 진동은 수조(130)로 전달되어 수조(130)와 하우징(110)의 사이에 설치된 댐퍼(122)에 의해 감쇄되는 것이다. 그리고 댐퍼(122)에서 감쇄되지 않은 진동은 외부의 하우징(110)으로 전달되는 것이다. 하우징(110)에 전달된 진동은, 받침부재(200)와 결합공(151,161)의 미세한 마찰접촉과 받침부재(200)의 재질특성으로 인해 감쇄되는 것이다. 이때 받침부재(200)는 조절공(220)으로 인해 세탁기를 지지하는 한도내에서 전체적인 강성이 낮아지므로 그 고유진동수가 세탁기의 작동시 발생되는 회전진동수에서 멀어지게된다. 이로써 공진을 회피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세탁기 받침부재는 내부에 조절공이 마련되므로 세탁기의 하중을 지지하는 한도내에서 전체적인 강성이 낮아진다. 이로써 받침부재의 고유진동수가 낮아지게 되고, 세탁기의 동작시에 발생되는 회전진동수와 멀어지므로 공진을 회피할수 있으며 진동과 소음이 감소되는 이점이 있다.

Claims (2)

  1.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마련되는 하부커버, 상기 하부커버의 저면에 마련되는 조절다리와 고정다리, 상기 조절다리와 고정다리의 내부에 마련되는 결합공, 상기 결합공에 설치되는 받침부재를 갖춘 세탁기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재의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받침부재를 상기 조절다리와 고정다리에 체결시키는 스크류가 삽입되는 체결공, 상기 체결공의 외측에 상기 받침부재의 강성을 낮추도록 상하측방향으로 중공을 형성하는 조절공이 다수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다리의 받침부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공은 상기 체결공과 동심으로 다수의 열로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다리의 받침부재.
KR2019980010563U 1998-06-18 1998-06-18 세탁기 다리의 받침부재 KR20020413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0563U KR200204131Y1 (ko) 1998-06-18 1998-06-18 세탁기 다리의 받침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0563U KR200204131Y1 (ko) 1998-06-18 1998-06-18 세탁기 다리의 받침부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0959U KR20000000959U (ko) 2000-01-15
KR200204131Y1 true KR200204131Y1 (ko) 2000-12-01

Family

ID=195354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0563U KR200204131Y1 (ko) 1998-06-18 1998-06-18 세탁기 다리의 받침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4131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83767A (zh) * 2020-03-02 2020-06-16 荆门宁杰机电技术服务有限公司 一种建筑工程用尼龙绳分离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0959U (ko) 2000-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0342891A (ja) 洗濯機のダンパー装置
KR19990051597A (ko) 세탁기 받침대
JP3585667B2 (ja) ドラム式洗濯機
KR200204131Y1 (ko) 세탁기 다리의 받침부재
EP3199692B1 (en) Front-loading washing machine
KR100280919B1 (ko) 세탁기 다리의 받침부재
KR100274679B1 (ko) 세탁기 다리의 받침부재
KR100274678B1 (ko) 세탁기 다리의 받침부재
KR100247359B1 (ko) 세탁기 받침대
JPH07124378A (ja) 全自動洗濯機の防振支持装置
KR101770815B1 (ko) 세탁기 레그
JP2910205B2 (ja) 洗濯機の防振装置
US20030115913A1 (en) Washing machine with an improved water tub
KR200251154Y1 (ko) 자동 세탁기의 방진장치
KR20080084885A (ko) 세탁기
KR100323506B1 (ko) 세탁조가 기울어진 세탁기
KR0136468Y1 (ko) 세탁기의 세탁조 진동 감쇠용 댐핑장치
KR200142968Y1 (ko) 세탁조 진동감쇠용 댐핑장치를 갖는 세탁기
KR0154449B1 (ko) 세탁기의 현가장치
KR100323529B1 (ko) 세탁기
KR0136459Y1 (ko) 세탁조 진동감쇠용 댐핑장치를 갖는 세탁기
KR19980018954U (ko) 세탁기의 상판
EP2065507B1 (en) Laundry machine
KR0136467Y1 (ko) 세탁조의 진동감쇠용 댐핑장치를 갖는 세탁기
KR980008202U (ko) 진동감쇠줄을 갖는 세탁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82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