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4114Y1 - 심회전식 필기구 - Google Patents

심회전식 필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4114Y1
KR200204114Y1 KR2020000016777U KR20000016777U KR200204114Y1 KR 200204114 Y1 KR200204114 Y1 KR 200204114Y1 KR 2020000016777 U KR2020000016777 U KR 2020000016777U KR 20000016777 U KR20000016777 U KR 20000016777U KR 200204114 Y1 KR200204114 Y1 KR 20020411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er cylinder
writing
tip
pressing member
rot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67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제원
Original Assignee
동아연필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아연필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아연필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000167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411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411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411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7/00Ball-point pens

Landscapes

  • Mechanical Pencils And Projecting And Retracting Systems Therefor, And Multi-System Writing Instruments (AREA)

Abstract

팁의 편마모 발생을 방지하여 볼이 탈락하거나 필기감이 저하되는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소정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외통과, 외통의 한쪽 끝부분에 조립되고 한쪽에서 외통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고리가 형성되는 클립과, 외통의 내부에 삽입되며 내부에는 잉크가 저장되고 한쪽 끝부분에는 필기가 이루어지는 팁이 설치되는 필기심과, 외통의 내부에 설치되고 항상 필기심에 팁의 반대쪽으로 힘을 가하는 탄성부재와, 외통에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누름부재와, 필기심의 팁 반대쪽 끝부분에 조립되고 누름부재가 왕복운동할 때마다 소정의 각도씩 회전하면서 녹크작동이 이루어지는 회전부재를 포함하는 심회전식 필기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심회전식 필기구 {Refill Rotating Type Writing Instrument}
본 고안은 녹크작동이 이루어질 때마다 필기심이 소정의 각도씩 회전하므로 필기압이 고르게 작용하여 볼의 탈락이나 필기감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심회전식 필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필기구로는 연필, 볼펜, 싸인펜 등이 있으며, 필기구와 유사한 기구로서 수정액 등을 도포하는 도포구가 알려져 있다.
상기한 필기구는 팁부가 노출된 상태로 외통에 필기심이 고정되고 노출된 팁부를 뚜껑을 사용하여 보호하는 고정식과, 외통에 필기심이 이동가능하게 조립되고 누름부재의 작동에 따라 팁부가 외통 바깥쪽으로 노출되거나 삽입되는 녹크식이 있다.
종래의 녹크식 필기구는 필기심의 아래쪽 끝부분에 팁부의 반대쪽으로 힘을 가하도록 스프링을 설치하고, 누름부재를 한번 누르면 필기심의 팁부가 캡 바깥쪽으로 노출되도록 이동된 필기상태가 유지되고, 다시 누르면 필기심의 팁부가 캡 안쪽으로 은폐되도록 복귀하는 해제상태로 변경되는 녹크수단을 설치한다.
또 종래의 녹크식 필기구는 녹크수단이 작동할 때마다 필기심은 왕복운동을 하면서 필기심의 팁부분이 외부로 노출되거나 은폐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녹크식 필기구에 있어서 필기심은 회전이 정지된 상태에서 왕복운동만하고, 사용자는 항상 클립의 반대쪽에서 외통을 잡고 필기를 행하므로, 필기시에 팁의 한쪽 끝면만이 항상 지면에 접촉하여 편마모가 발생한다.
상기와 같이 팁의 끝부분에 편마모가 발생하면, 볼이 탈락하는 일이 발생하거나 잉크의 유출이 불균일하게 이루어져 필기감이 저하되는 일이 발생한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녹크수단의 회전부재가 회전할 때에 필기심도 함께 회전하도록 구성한 심회전식 필기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심회전식 필기구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심회전식 필기구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필기상태를 나타내는 조립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심회전식 필기구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해제상태를 나타내는 조립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심회전식 필기구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회전부재와 마개가 조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확대 단면도.
본 고안이 제안하는 심회전식 필기구는 소정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외통과, 상기한 외통의 한쪽 끝부분에 조립되고 한쪽에서 외통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고리가 형성되는 클립과, 상기한 외통의 내부에 삽입되며 내부에는 잉크가 저장되고 한쪽 끝부분에는 필기가 이루어지는 팁이 설치되는 필기심과, 상기한 외통의 내부에 설치되고 항상 상기한 필기심에 팁의 반대쪽으로 힘을 가하는 탄성부재와, 상기한 외통에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누름부재와, 상기한 필기심의 팁 반대쪽 끝부분에 조립되고 상기한 누름부재가 왕복운동할 때마다 소정의 각도씩 회전하면서 녹크작동이 이루어지는 회전부재를 포함한다.
다음으로 본 고안에 따른 심회전식 필기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고안에 따른 심회전식 필기구의 일실시예는 도 1∼도 2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정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외통(2)과, 상기한 외통(2)의 한쪽 끝부분에 조립되고 한쪽에서 외통(2)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고리(32)가 형성되는 클립(30)과, 상기한 외통(2)의 내부에 삽입되며 내부에는 잉크가 저장되고 한쪽 끝부분에는 필기가 이루어지는 팁(12)이 설치되는 필기심(10)과, 상기한 외통(2)의 내부에 설치되고 항상 상기한 필기심(10)에 팁(12)의 반대쪽으로 힘을 가하는 탄성부재(26)와, 상기한 외통(2)에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누름부재(40)와, 상기한 필기심(10)의 팁(12) 반대쪽 끝부분에 조립되고 상기한 누름부재(40)가 1회 왕복운동할 때마다 소정의 각도씩 회전하면서 녹크작동이 이루어지는 회전부재(50)를 포함한다.
상기한 필기심(10)의 팁(12)에는 볼이 회전가능하게 조립된다.
상기한 회전부재(50)의 아랫부분에는 상기한 필기심(10)의 팁(12) 반대쪽 끝부분에 삽입 고정되는 결합부(58)를 형성한다.
상기한 회전부재(50)의 결합부(58)는 필기심(10)에 삽입되어 일체로 고정되도록 억지끼워맞춤으로 삽입되거나 테이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한 회전부재(50)의 결합부(58) 끝부분은 필기심(10)에의 조립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필기심(10)의 내경보다 작은 지름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회전부재(50)의 중앙부에는 대기압이 작용하도록 필기심(10)의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는 관통구멍(59)이 형성된다.
상기한 외통(2)의 한쪽(위쪽) 끝부분에는 상기한 클립(30)이 조립되는 조립부(6)가 형성된다.
또 상기한 외통(2)의 다른쪽(아래쪽) 끝부분에는 수나사(4)를 형성한다.
상기한 외통(2)의 수나사(4)에는 상기한 필기심(10)의 팁(12)부분이 위치하고 상기한 탄성부재(26)를 지지하며 암나사(22)가 형성되는 캡(20)이 결합된다.
상기한 캡(20)은 콘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한 클립(30)의 중앙부에는 상기한 누름부재(40)가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이동구멍(34)이 형성된다.
상기한 누름부재(40)의 외주면에는 둘레를 따라 소정의 각도로 분할하여 복수의 이동돌기(42)를 돌출하여 형성한다.
상기한 회전부재(50)의 외주면에는 둘레를 따라 소정의 각도로 분할하여 상기한 이동돌기(42)의 1/2에 해당하는 수의 녹크돌기(52)를 돌출하여 형성한다.
상기한 녹크돌기(52)의 윗면은 경사면(53)으로 형성하고, 상기한 누름부재(40)의 밑면에는 상기한 경사면(53)과 접하여 결합되는 복수의 삼각형상 톱니(44)를 형성한다.
상기에서 톱니(44)는 상기한 이동돌기(42)의 수와 동일한 수로 형성한다.
또 상기한 외통(2)의 내면에는 상기한 이동돌기(42)가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안내홈(62)과 안내돌기(64)를 교대로 형성한다.
상기한 안내돌기(64)의 밑면은 상기한 녹크돌기(52)의 경사면(53)에 대응하는 경사면(65)으로 형성한다.
상기한 안내홈(62)에는 하나 건너서 상기한 녹크돌기(52)는 걸리고 상기한 이동돌기(42)는 걸리지 않는 높이로 복귀방지돌기(66)를 형성한다.
즉 상기한 안내돌기(64)보다 낮은 높이로 돌출하는 상기한 복귀방지돌기(66)를 안내홈(62)에 하나 건너서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한 녹크돌기(52)는 상기한 이동돌기(42)보다 외통(2)의 내면에 가깝게 위치하도록 높게 돌출하여 형성한다.
상기한 누름부재(40)의 톱니(44)와 회전부재(50)의 녹크돌기(52), 상기한 외통(2)의 안내홈(62) 및 안내돌기(64)는 조립하였을 때에 항상 회전부재(50)가 한쪽방향으로 회전하게 힘을 가하는 상태로 위치하도록 형성한다.
즉 조립하여 탄성부재(26)의 탄성력이 작용하는 상태에서 상기한 톱니(44)의 오목한 꼭지점과 상기한 녹크돌기(52)의 경사면(53) 꼭지점이 일치하지 않고 서로 어긋나 위치하도록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형성하면 탄성부재(26)의 탄성력이 작용할 때에 경사진 경사면(53)과 톱니(44)가 서로 미끄러져 이동하고자 하지만, 누름부재(40)의 이동돌기(42)가 안내홈(62)에 삽입되어 누름부재(40)의 회전이 구속된 상태이므로 , 상기한 회전부재(50)에는 회전력이 작용한다.
상기한 누름부재(40)는 속이 비고 한쪽 끝면이 막힌 통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한 회전부재(50)의 위쪽 일부분은 상기한 누름부재(40)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형성한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에 따른 심회전식 필기구의 작동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은 해제상태에서 필기를 하기 위하여 누름부재(40)를 누르면, 누름부재(40)와 접한 회전부재(50)가 아래쪽으로 전진이동하면서 필기심(10)을 탄성부재(26)의 탄성력을 이기고 전진이동시키고, 필기심(10)의 팁(12) 끝부분이 캡(20)의 외부로 노출된다.
상기와 같이 회전부재(50)가 전진이동하여 녹크돌기(52)의 위쪽 끝부분이 안내홈(62)으로부터 벗어나고, 상기한 녹크돌기(52)의 경사면(53) 꼭지점이 상기한 안내돌기(64)의 경사면(65) 꼭지점보다 아래쪽에 위치하면, 상기한 회전부재(50)는 상기한 녹크돌기(52) 경사면(53)의 꼭지점과 상기한 누름부재(40) 톱니(44)의 오목한 꼭지점이 맞물리도록 회전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한 누름부재(40)를 누르던 힘을 제거하면, 상기한 탄성부재(26)의 탄성력에 의하여 필기심(10)이 후진이동하고, 상기한 회전부재(50)는 후진이동하면서 녹크돌기(52)의 경사면(53)이 안내돌기(64)의 경사면(65)을 따라 미끄러짐에 따라 소정의 각도 회전하며, 상기한 녹크돌기(52)가 복귀방지돌기(66)에 걸림에 따라 회전부재(50)의 후진이동이 정지한다.
상기와 같이 회전부재(50)의 후진이동이 정지되면, 상기한 필기심(10)의 팁(12) 끝부분이 캡(20) 외부로 노출된 상태가 유지되는 필기상태(도 2 참조)로 된다.
상기에서 회전부재(50)가 회전하면, 상기한 회전부재(50)의 결합부(58)가 상기한 필기심(10)에 삽입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기한 필기심(10)도 소정의 각도 회전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필기상태(도 2 참조)에서 사용자가 필기를 행하고 보관을 위하여 다시 누름부재(40)를 누르면, 상기한 회전부재(50)가 전진이동하고, 녹크돌기(52)는 상기한 복귀방지돌기(66)에 밀착된 상태로부터 이탈된다.
이 때 상기한 회전부재(50)는 다시 회전하면서 상기한 녹크돌기(52)가 안내돌기(64)를 타넘어가게 되고, 복귀방지돌기(66)가 형성되지 않은 안내홈(62)에 위치하게 되며, 상기한 회전부재(50)의 결합부(58)가 필기심(10)에 삽입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기한 필기심(10)이 소정의 각도 회전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누름부재(40)를 누르던 힘을 제거하면, 탄성부재(26)의 탄성력에 의하여 필기심(10)이 후진이동하고, 차례로 회전부재(50)와 누름부재(40)가 후진이동하며, 필기심(10)의 팁(12) 끝부분이 캡(20) 안쪽으로 완전하게 은폐되는 해제상태(도 3 참조)로 된다.
상기와 같이 누름부재(40)를 반복하여 누름에 따라 필기상태(도 2 참조)와 해제상태(도 3 참조)가 반복하여 이루어지고, 이 때마다 필기심(10)이 소정의 각도씩 회전한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심회전식 필기구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와 고안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에 따른 심회전식 필기구에 의하면, 필기를 하기 위하여 누름부재를 누름에 따라 필기심이 소정의 각도씩 회전하므로, 지면과 접하는 팁부분이 그때마다 변경되고, 한쪽만 지속적으로 지면과 접하므로 발생하는 편마모를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팁 끝부분이 편마모됨에 따라 발생하는 볼의 탈락 등이 방지되므로 수명이 연장된다.

Claims (1)

  1. 소정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외통과,
    상기한 외통의 한쪽 끝부분에 조립되고 한쪽에서 외통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고리가 형성되는 클립과,
    상기한 외통의 내부에 삽입되며 내부에는 잉크가 저장되고 한쪽 끝부분에는 필기가 이루어지는 팁이 설치되는 필기심과,
    상기한 외통의 내부에 설치되고 항상 상기한 필기심에 팁의 반대쪽으로 힘을 가하는 탄성부재와,
    상기한 외통에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누름부재와,
    상기한 필기심의 팁 반대쪽 끝부분에 조립되고 상기한 누름부재가 왕복운동할 때마다 소정의 각도씩 회전하면서 녹크작동이 이루어지는 회전부재를 포함하는 심회전식 필기구.
KR2020000016777U 2000-06-13 2000-06-13 심회전식 필기구 KR20020411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6777U KR200204114Y1 (ko) 2000-06-13 2000-06-13 심회전식 필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6777U KR200204114Y1 (ko) 2000-06-13 2000-06-13 심회전식 필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4114Y1 true KR200204114Y1 (ko) 2000-11-15

Family

ID=196605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6777U KR200204114Y1 (ko) 2000-06-13 2000-06-13 심회전식 필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411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47392B2 (en) Combination writing instrument
KR100346022B1 (ko) 안전녹크식 필기구
JPH0328947Y2 (ko)
KR200204114Y1 (ko) 심회전식 필기구
KR200204113Y1 (ko) 심회전식 필기구
KR200214559Y1 (ko) 심회전식 필기구
KR200214558Y1 (ko) 심회전식 필기구
CA2545449A1 (en) Combination writing instrument
KR200214557Y1 (ko) 심회전식 필기구
KR200356696Y1 (ko) 전방녹크식 볼펜
KR200324665Y1 (ko) 녹크식 필기구
KR200225436Y1 (ko) 심회전식 필기구
KR200286955Y1 (ko) 안전녹크식 필기구
JP6157907B2 (ja) 筆記具
GB2104848A (en) Writing instrument
KR200272240Y1 (ko) 회전캠바겸용 수정펜이 내장된 수정펜겸용 노크식볼펜
JPS6111175A (ja) 塗布具
JP7444510B1 (ja) 複式筆記具
KR100326153B1 (ko) 측면녹크식 필기구
KR200228910Y1 (ko) 안전녹크식 필기구
JP2022016772A (ja) 回転繰出筆記具
CN117901563A (zh) 一种按压笔
JPS6222396Y2 (ko)
KR200166362Y1 (ko) 녹크식수성볼펜용팁
KR100320757B1 (ko) 녹크식 필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618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